b1.관상법인물감정의 인간학(Humanics) 심령철학 운명감정 미래투시
      ☞
대인처세 인물판단 및 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잠재능력 발굴을 위한

관상법인물감정학

 

 

 

 

 

 

 

 

 

 

 

 

 

 

 

 

 

 

 

 

 

 

 

 

                                靑空(BLUE SPACE): 安 鍾 哲 創著

                             KOREAN HUMANICS RESEARCH INSTITUTE

                 韓國  仙道花郞丹法 心靈修道會                                              

NINE PLANETS PHYSIOGNOMY OF THE SOUL BODY ETHER IN SPIRITUAL CLAIRVOYANCE

九星運 人體氣功 心靈透視 觀相學

                                 

PHYSIOGNOMY OF SPIRITUAL CLAIRVOYANCE

NINE PLANETS PHYSIOGNOMY OF THE SOUL BODY ETHER IN SPIRITUAL CLAIRVOYANCE

觀相法 人物鑑定 細部 面相部位 名稱圖解
人體靈動 數理鑑定
心靈透視 觀相部位圖面相 五運六氣 對應 五臟六腑 四肢百體

 

 

 

 

 

 

 

 

 

 

 

 

 

 

 

 

 

 

 

 

 

 

 

 

 

EVERY JUDGING PART OF THE FORTUNE TELLING IN PHYSIOGNOMY

一段

변지

보각

군문

무고

천양

고광

외부

右廂

천악

天 中

天岳

左廂

內府

高廣

天陽

武庫

軍門

輔角

邊地

역마

조정

전당

사살

母墓

방심

천부

虎角

月角

天 庭

日角

龍角

天府

房心

父墓

四殺

戰堂

弔廷

驛馬

은현

산림

중미

교액

도중

교우

소부

상경

액각

司 空

額角

上卿

小府

交友

道中

交額

重眉

山林

隱賢

교외

塚墓

복당

부극

보골

우각

원각

용미

虎尾

中 正

龍尾

元角

牛角

輔骨

斧戟

華蓋

福堂

兵陵

郊外

청로

항로

겁문

彩霞

빈문

靈光

林中

紫氣

형옥

印 堂

刑獄

凌雲

蠶室

神光

嬪門

繁霞

劫門

港路

靑路

朱雀

천정

천창

어미

간문

少陰

中陰

太陰

光殿

山 根

精舍

太陽

中陽

小陽

奸門

魚尾

天倉

天井

玄武

유군

조적

琴房

금궤

외녀

소녀

중녀

장녀

처좌

年 上

부좌

長男

中男

少男

外男

金櫃

禁房

盜賊

遊軍

명문

虎耳

권세

관골

姉妹

姨母

당상

귀래

갑궤

壽 上

甲櫃

歸來

堂上

姑叔

兄弟

琯骨

權勢

龍耳

命門

인수

병졸

수문

圓倉

전어

궁실

재화

법령

廷尉

準 頭

蘭臺

法令

災火

宮室

典御

後閣

守門

兵卒

印綬

현벽

박사

영문

기당

복종

祿倉

세주

井部

선고

人 中

仙庫

帳下

細廚

食倉

僕從

妓堂

嬰門

博士

縣壁

十一

산두

위항

상려

가고

通衢

금루

鵝鴨

비린

각문

水 星

閣門

比鄰

波池

金縷

兵蘭

家庫

商旅

委巷

山頭

十二

行旅

시골

지고

藥池

荒丘

임원

외원

손택

조택

承 獎

祖宅

孫宅

外院

林苑

下墓

酒池

地庫

腮骨

道路

十三

路線

船路

대해

魚場

禽鴨

갱참

대마

노복

하사

地 閣

下舍

奴僕

碓磨

坑塹

養鴨

養魚

大海

海路

車路

9

8

7

6

5

4

3

2

1

모사(某事)는 재인(在人)이요 성사(成事)는 재천(在天)이라.

일을 도모(圖謀:계획)하는 것은 사람이요, 그것을 성공시키는 것은 하늘의 뜻에 달려있다.”

宇宙天空法界 妙音聽取 天使 交信圖 人體外功 對應內功 面相透視圖

Written, edited by Blue Space of Cheong-gong(靑空). 인물감정 상담 연락 ☎ 051-271-6957,  011-9320-9357※인물 감정 관상 투시관법 :남자는 左陽 右陰으로 관찰하고, 여자는 右陽 左陰 觀法이 기본이나 21세기 후천개벽 成約시대는 陰氣가 腹上하는 지식정보화의 컴퓨터 시대가 전개되어 여성의 柔性이 남성의 强性을 휘감아 압도하므로 여자도 左陽 右陰 관법을 혼용한다. 즉 남녀의 성구별이 없어지고 心中暗法 靈動능력이 좌우한다.

구성운 인체기공 심령투시 관상원리도

‘創造的 運命開拓 人生妙言’

姓名之 不如四柱 運命 手相之 不如觀相 頭腦

觀相之 不如心相 透視 心相之 不如實踐 躬行

이름이 아무리 좋아도 사주 운명의 예시를 초월할 수 없고 수상이 아무리 좋아도 관상 두뇌의 범위 안에 존재하고 관상이 아무리 좋아도 심상으로 꿰뚫는 예언투시만큼 못하고 심상이 아무리 좋아도 (지금 목표를 향해) 몸소 실천함만 못하니라.

 

 

 

 

 

 

 

 

 

 

 

 

 

 

 

 

 

 

 

 

 

                   머 리 말

현대는 고도의 정보 통신 기계문명이 발달하고 황금만능주의와 물질에 대한 탐욕이 팽배하여 인간본성에 대한 인격적 가치와 정신문화의 전통적 가치관이 흔들리고 경시(輕視)되는 시대이다.

현 시대의 특성인 급속한 사회변혁과 무분별한 서양문물의 유입으로 옛날부터 내려오던 동양적(특히 한국적) 미풍양속이나 관습 및 도덕 윤리 또는 전통적 사상이나 인생관 등이 현대의 시대풍조나 사회생활 양식에 맞지 않게끔 되었다. 말하자면 구시대와 신시대의 모든 문화체계가 복잡다기(複雜多岐)하게 충돌하고 혼효(混淆)하는 혼란과 단절과 배역(背逆)의 시대이다.

이와 같은 복잡한 세기말(世紀末)과 세기초의 변혁과 다양성의 시대에도 우리 인생은 삶을 영위해야 하고 내일의 계획과 미래의 희망과 포부를 향해 달려야 하는 것이 인간의 운명이고 갈 길이다. 자신의 진로와 갈 길 운명이 이러한 사회적 현실과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우리는 매일 매일의 생활을 의미심장하게 음미(吟味)하고 대처하지 않으면 생존경쟁에서 낙오하거나 실패하기 때문에 더욱 자신을 살펴보고 철학적으로 인생을 설계하고 나아가야 한다.

필자는 이러한 시대적 여건의 변화를 합리적으로 이해하고 인생의 진로에서 자신의 인생좌표를 확실히 설정하여 참되고 진실하며 보람있는 가치관을 확립하고자 노력한 결과로, 옛 선현들의 문헌을 토대로 현대의 제 사상과 학문 종교 철학 교육 심리 등을 종합적으로 통합하고 정신 및 물질세계와의 상호 유기적인 연관성을 분석종합하고 창조적으로 인생문제 해결의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하는 취지와 목적으로 ‘대인처세와 인물판단 및 직업의 진로선택과 능력개발을 위한’전인적 평생교육의 지침서로 본 저서를 펴내게 되었다.

본 저서는 단전호흡법의 심신수도와 선도화랑단법의 정신무술을 바탕으로 한 심령투시철학에 입각하여 각 개인의 직업선택에 실용적 도움을 주는 인상법과 장래의 성공적 인생을 목표로 한 진로지도와 능력개발을 위한 인재양성의 인물학(人物學)에 관한 안내지도서로써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가 있다. 내용적으로 심령학적 사고방법과 오랜 수도생활의 체험에서 우러나온 예지적 지혜로서 자타가 인정하는 적중률에 의한 경험적 통계로 사실 검증된 자료를 학문적으로 정리하여 저술하였다. 동양철학의 전통적 우수성과 현대적 제() 학문의 과학적 탐구방법을 동원하여 논리적으로 해설하는 종합적 체계를 밟아 모든 사람의 인생행로에서 바른 길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지도 조언의 충실한 안내서로써 인물감정의 심상투시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자신의 장단점을 발견하고 장점은 보강 발전시키고 단점은 수정 보완하는 처방과 대책을 수립하여, 누구든지 자기의 내부 심층 심령의식 속에 잠재된 선천적 후천적 능력을 개발하여, 운명을 개척하고 생활을 창조하여 필생의 소망을 달성하고 행복한 인생의 이상향으로 인도하는 탁월한 생활지침서의 구실을 할 수 있다.

 

◎九星運 人體氣功 心靈透視 觀相學[속표지]--------------------1

◎觀相法 人物鑑定 細部 面相部位 名稱圖解---------------------2

◎모사(某事)는 재인(在人)이요 성사(成事)는 재천(在天)이라.-------------3

◎구성운 인체기공 심령투시 관상원리도------------------------------------4

머 리 말

관상법과 인상판단의 인물감정학 안내 서론부----------21

1.관상학(觀相學: Physiognomy)의 기원과 유래

(1)관상학 인상학 골상학 관상법의 기원과 유래의 어원적 해석
(2)관상학의 시대적 현황과 생활의 활용도-----------------------------------------22

2.관상학의 태동과 발전에 대한 개요정리-------------------------23

(1)달마(Bodhidharma/?~528?)상법(相法) (2)마의상법-----------------------------23
(3)수야남북 상법(水野南北 相法) (4)한국의 관상학 (5)현대적 관상법--------------25

3.고대 중국에서 발생한 동양식 관상법---------------------------26

4.서양 관상법의 기원과 유래------------------------------------27

5.인생 운명철학의 종류와 각종 길흉화복 예언분야----------------29

①사주학 ②관상학 ③성명학 ④수상학-------------------------------------------30
⑤점성학 ⑥종교 철학 학문 심리상담 분야
⑦인상법과 관상법의 차이------------------------------------------------------30

제一편:전통적 관상법에 의한 인상 판단의 인물감정학

제1장 : 관상의 원리와 기초상법의 총론------------31

1.기본인상의 관찰요법

(1)사람의 형상(形象)-만물의 영장(靈長)------------------------------------31
(2)얼굴 총론:
얼굴은 陽이요 몸체는 陰이 된다.-----------------------------32
(3)삼정(三停): 面相 얼굴의 상중하 삼부위----------------------------------33
(4)오행성(五行星)에 비유한 얼굴 오악(五嶽) 사독(四瀆) 부위도--------------34
(5)얼굴 사독(四瀆)--------------------------------------------------------35

2.오관투시 감정법------------------------------------------37

(1)눈-눈썹 (2)코 (3)귀 (4)입-입술-치아-혀-감정법--------------------------41
(5)음성-소리 감정법 (6)인중을 보는 법-------------------------------------45
(7)상모면상(相貌面相)-머리-이마-머리털(상모)------------------------------46

①머리 감정법
②뒷머리 감정법 ③이마[額] 감정법----------------------------47
④머리털-頭髮-감정법 ⑤이마-발제(髮際)-두상형(頭上形)-감정법---------------49

3.사관(四官)의 형상특징과 종류-----------------------------52

(1)눈의 형상특징과 종류 (2)코의 형상특징과 종류---------------------------52
(3)귀의 형상특징과 종류 (4)입의 형상특징과 종류---------------------------54
(5)정신력 개발과 행동언어 연기 발표력-------------------------------------56

4.삼정론(三停論)-------------------------------------------57

5.육부론(六部論)------------------------------------------58

6.십이학당(十二學堂)--------------------------------------58

(1)4학당 (2)8학당

제2장 : 오관 및 사지백체 내장기관 세포조직 세부상설-60

1.골수(骨髓)-근육-피부-살결-------------------------------60

(1)골수 (2)근육 (3)피부-살결

2.몸체-외형-미추(美醜)-----------------------------------62

(1)한국의 전통미인 조건 (2)현대적인 미인 조건

3.사지백체 신체골격 인체형상 체형감정--------------------63

(1)남자의 체형감정 (2)여자의 체형감정-----------------------------------64
(3)목을 보는 법 (4)엉덩이 보는 법

4.내장기관 세포조직 유전인자----------------------------65

5.얼굴로 보는 오장육부 내장기관 건강상태 감정법---------66

(1)둥근 원형 얼굴 (2)타원형 0 얼굴----------------------------------67
(3)네모형(정사각형)
얼굴 (4)네모형(직사각형)얼굴------------------68
(5)삼각형
얼굴 (6)역삼각형 ▽⌔얼굴 (7)다이아몬드 얼굴--69

제3장 : 십이궁의 관찰과 인상판단 인물감정법----70

1.관록궁(官祿宮) 2.명궁(命宮) 3.재백궁(財帛宮)-----------71

4.천이궁(遷移宮) 5.부모궁(父母宮) 6.형제자매궁(兄弟姉妹宮)

7.복덕궁(福德宮) 8.처첩궁(妻妾宮) 9.전택궁(田宅宮)--------72

10.자손궁(子孫宮) 11.질액궁(疾厄宮)12.노복궁(奴僕宮)------73

제4장 : 십이궁의 상세한 해설법------------------74

1.관록궁 2.명궁 3.재백궁----------------------------------74

4.천이궁 5.부모궁 6.형제자매궁----------------------------76

7.복덕궁 8.처첩궁 9.전택궁--------------------------------78

10.자손궁 11.질액궁 12.노복궁-----------------------------80

제5장 : 인상판단과 인물감정법의 관상세부론------82

1.머리와 목을 보는 법 2.어깨 등어리 보는 법---------------83

3.가슴(젖 유방) 보는 법 4.배와 배꼽을 보는 법-------------84

5.허리와 엉덩이 보는 법 (1)허리[腰] 보는 법(2)엉덩이-둔부 보는 법--86

6.무릎과 정강이-슬퇴(膝腿)-보는 법------------------------87

7.팔다리-지굉(肢肱)-보는 법 (1)손을 보는 법 (2)발을 보는 법-------88

8.생식기 자기 감정법---------------------------------------89

제二편:동물형에 의한 물형비유 인물 감정법

                           머 리 말-------------------------91

동물형에 비유한 관상판단과 인물감정법의 근본원리--------93

동물형비유 관상판단 인물감정법[속표지]

동물형 인상판단과 실제관상의 인물감정법상 유의할 점--95

동물형에 비유한 관상판단 인물감정 인상법의 원리 본편-----96

1.육지동물형-----------------------------------------------96

(1)호랑이형
①호랑이 학문교육형 ②호랑이 정치 관직형 ③호랑이 사업가형
④재규어형
(2)사자형-----------------------------------------------------------------99

①사자 정치 학문 사업형 ②사자 사법관 경찰형 ③사자 공무원 관리 군인형

◎퓨마형

(3)코끼리형--------------------------------------------------------------101

①코끼리 학문 및 언론 교육형 ②코끼리 정치 관리 사업형

(4)곰형------------------------------------------------------------------102

①곰 일반형 ②백곰형 ③흑곰형 ④재주 곰형 ⑤운동 곰형

(5)표범형----------------------------------------------------------------104

①표범 일반형
②표범 정치 관직 교육형 ③표범 예능 실무형 ④표범 운동 스포츠형
(6)기린형----------------------------------------------------------------106
(7)낙타형----------------------------------------------------------------107

①낙타 정치 관리 사업형 ②낙타 교육 학문 연구형

(8)고릴라형 (9)원숭이형-------------------------------------------------108
(10)성성이(猩猩-)형-----------------------------------------------------110

①성성이 남자형 ②성성이 여자형

(11)사슴형 (12)노루형---------------------------------------------------111
(13)늑대형--------------------------------------------------------------112

①늑대 일반형 ②늑대 관리형 ③늑대 실무행정형 ④늑대 체육운동형

(14)이리형-승냥이형 (15)하이에나----------------------------------------113
(16)여우형--------------------------------------------------------------115

①여우 일반형 ②여우형 과학 연구직
③여우형 기능 기술직 ④여우형 인기 연예직-------------------------------115

(17)너구리형 (18)족제비형-----------------------------------------------116
(19)오소리형(A badger) (20)다람쥐형-------------------------------------117
(21)고슴도치형 (22)두더지형 (23)소형------------------------------------118
(24)말형----------------------------------------------------------------120

ⓛ말 일반형
②여자 말형 ③노새--당나귀형
(25)돼지형
ⓛ돼지 일반형 ②멧돼지형 (26)개형-------------------------------121
(27)양형 (28)염소형 (29)닭형--------------------------------------------124
(30)토끼형 (31)쥐형 (32)고양이형----------------------------------------126

2.수중동물 및 양서류(兩棲類)형---------------------------128

(1)고래형 (2)하마형 (3)물개형-------------------------------------------128
(4)펭귄형 (5)잉어형 (6)금붕어형-----------------------------------------129
(7)가물치형 (8)뱀장어․미꾸라지형 (9)두꺼비형----------------------------131

4.조류형(鳥類型)-----------------------------------------133

(1)독수리형-------------------------------------------------------------133
①독수리 일반형 ②독수리 관직형[검찰 군인 수사관] ③독수리 정치관리 사업형

(2)매형 (3)소리개형 (솔개:Black kite)-----------------------------------135
(4)올빼미형 (5)박쥐형
(6)공작형 (7)앵무형-----------------------------------------------------136

①앵무 예능사업형 ②앵무 언론학술형

(8)제비형 (9)카나리아형 (10)참새형--------------------------------------138
(11)백조형 (12)학 ․ 두루미형-------------------------------------------140

①학(Crane)형 ②두루미(A white crane)형

(13)백로․ 해오라기형 (14)황새형 (15)기러기형----------------------------142
(16)오리형 (17)타조형 (18)칠면조형--------------------------------------144
(19)까치형 (20)까마귀형------------------------------------------------145

4.파충류(爬蟲類)및 상상세계 전설상의 동물----------------147

(1)용형----------------------------------------------------------------147
①청룡형 ②백룡형
③흑룡형 ④해룡형(海龍形)-----------------------------------------------149

(2)뱀형의 각종형--------------------------------------------------------151

①뱀 일반형 ②독사․살무사형 ③코브라(Cobra)형④인도 왕뱀(Indian python)
⑤(능)구렁이형
⑥아나콘다(Anaconda)형-----------------------------------153
(3)거북이형 (4)악어형--------------------------------------------------154
(5)카멜레온(Chameleon)형 (6)주작(朱雀)----------------------------------156
(7)현무(玄武) (8)구진등사(句陳螣蛇)-------------------------------------157
(9)삼족오(三足烏) (10)피닉스(Phoenix:불사조)형
-------------------------158
(11)봉황(鳳凰)----------------------------------------------------------160

제三편 : 사상체질에 의한 인물 감정법

제1장:체격 체형 체질 총론----------------------162

1.사상체질인의 습성 기질 성격의 개성적 특징--------------162

(1)태양인 (2)태음인(3)소양인 (4)소음인

2.사상체질론과 인체 기질성품 및 특기적성 판단의 직업분류표-163

★사상체질․체격론에 따른 인체 기질성품 및 특기적성 판단의 직업분류표★

3.팔 다리 근육피부 감정법---------------------------------166

제2장:체형 체질 습성 기질 성격 과 심성 사고 세부 각론167

1.사상인의 체형 체질 습성의 한방 치료법의 특징

2.사상체질인의 실천윤리 처세방향-------------------------168

(1)소양인 (2)태양인 (3)소음인 (4)태음인

3.성격 기질상으로 본 사상인의 장단점---------------------169

(1)소양인 (2)태양인 (3)소음인 (4)태음인

4.심성특성 사고방향으로 본 사상인의 생활태도 개선방안----170

(1)소양인 (2)태양인 (3)소음인 (4)태음인

제3장:체질 성격 기질론-------------------------172

1.수형학(手形學: Cheirognomy)과 4체액 기질론-------------172

▣4체액(體液) 기질론(氣質論)

2.수기(手氣) 색상으로 보는 오운육기 피부 감정요법--------173

(1)수장찰색(手掌察色)의 기색(氣色) 판단기준-----------------------------173
①감정요체(鑑定要諦)②핵심관건(核心關鍵)
③수장선(手掌線)의 변화와 인생진로 운명의 변화관계

(2)수상과 관상에서 찰색(察色)으로 판단하는 피부 감정요법---------------174
①홍자색(紅紫色)이나 은색 ②핑크(Pink)색이나 연분홍
③청색계통의 초록이나 파랑색 ④赤色이나 분홍 주황 계통의 색상
⑤百色이나 회색 재[灰]빛 ⑥黃色이나 갈색(褐色)

(3)오운육기란 무엇인가?------------------------------------------------175
①궐음풍목(厥陰風木) ②소음군화(少陰君火) ③태음습토(太陰濕土)
④소양상화(少陽相火) ⑤양명조금(陽明燥金) ⑥태양한수(太陽寒水)

제4장: 사상체격 체질 체상 심상 종합판단 감정법-178

1.사상체질의 천부적 품성바탕-----------------------------178

(1)태양인 (2)태음인 (3)소양인 (4)소음인

2.사상의학의 체격체질을 바탕으로 한 인물감정 찰색운기법---181

(1)찰색운기법의 기본인 빛의 파장 종류와 색상에 관한 연구도표------------181
①삼원색법(三原色法) ②오색법(五色法) ③칠색법(七色法)

(2)프리즘에 의한 빛의 분산(分散)과 집광(集光)----------------------------184

3.사상체상 성격 기질 심상분류 특징의 종합판단 감정법-----185

(1)사상에 의한 체상분류 (2)성격과 기질의 특징파악
(3)심상에 의한 인물파악 (4)인물의 총체적 종합판단------------------------186

제5장 : 동양철학의 원리에 따른 사상체질 분류법-188

1.사상체질의 12지 배치도

2.사상체질의 오행방위 배치도------------------------------189

3.동양철학 원리 주역팔괘(周易八卦) 방위 원리도------------190

◈주역 팔괘 발전도-한반도 태풍진로도

4.사상체질 분류의 감정판단 기준법-------------------------192

(1)태양인----------------------------------------------------------------192

①용모 신체상의 특징 ②기질 성품 바탕의 성격
③질병예방상 대체의학 건강요법
④사상체질로 분류한 유사오행 상생상극형 인물감정
⑤사상체질과 유사오행 인물형 직업선택의 처세성공 진로방향

(2)태음인----------------------------------------------------------------193

①용모 신체상의 특징 ②기질 성품 바탕의 성격
③질병예방상 대체의학 시술법
④사상체질로 분류한 유사오행 상생상극형 인물감정
⑤사상체질과 유사오행 인물형 직업선택의 처세성공 진로방향

(3)소양인----------------------------------------------------------------194

①용모 신체상의 특징 ②기질 성품 바탕의 성격
③질병예방상 대체의학 건강요법
④사상체질로 분류한 유사오행 상생상극형 인물감정
⑤사상체질과 유사오행 인물형 직업선택의 처세성공 진로방향

(4)소음인----------------------------------------------------------------195

①용모 신체상의 특징 ②기질 성품 바탕의 성격
③질병 예방상 대체의학 건강요법
④사상체질로 분류한 유사오행 상생상극형 인물감정
⑤사상체질과 유사오행 인물형 직업선택의 처세성공 진로방향

제四편:음양오행으로 본 인상판단과 인물 감정법

제1장: 우주 만물의 음양운동과 오행사상-----------196

1.음양 오행론의 기본 소양-----------------------------------196

(1)우주관(宇宙觀) (2)천인지 삼문 통달 (3)오행의 상생 상극 변화작용
동방단리학의 靈動數理哲學五行 萬物靈像관계 소속 일람표★------------200

2.음양오행으로 보는 인상판단법과 인물감정법의 해설----------201

3.오행 오성의 상생 상극형 음양조합에 따른 얼굴모양 분류모델--202

4.오성 및 상생 상극형 얼굴모양의 분류도표-------------------203

5.사상체질과 오행의 상생상극 인물형 15가지 결합 유형모델-----205

제2장: 先天河圖 後天洛書의 陰陽 五行 八卦 解釋----207

1.선천하도와 후천낙서도의 우주 자연 인간의 철학원리---------207

2.太極圖와 陰陽 四象 八卦 次序圖-----------------------208

(1)태극과 음양설의 기원 (2)先天 河圖와 後天 洛書의 성립유래
(3)선천하도와 후천낙서의 경영사업 제반백사 적용원리------------------------211

3.선천 하도와 복희 팔괘-------------------------------212

4.후천 낙서와 문왕 팔괘-------------------------------213

5.황극도와 구궁수 및 道···術 관계표-----------------214

(1)황극도의 구성도해와 용어해설 (2)생명철학의 구성요소---------------------215
(3)천지창조와 오행 탄생 순서-----------------------------------------------217

제3장: 기본 오행으로 본 인상판단 인물감정--------218

1.목성인(木性人)-------------------------------------------218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2)신체 및 골격~
(3)기질 및 성품~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
(5)역사적 인물유형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
(8)수생목형 종합해석

※인생운명 진로변화의 연령구분 시기판정

2.화성인(火性人)-------------------------------------------220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2)신체 및 골격~
(3)기질 및 성품~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
(5)역사적 인물유형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
(8)수생목형 종합해석

3.토성인(土性人)------------------------------------------222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2)신체 및 골격~
(3)기질 및 성품~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
(5)역사적 인물유형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
(8)수생목형 종합해석

4.금성인(金性人)------------------------------------------224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2)신체 및 골격~
(3)기질 및 성품~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
(5)역사적 인물유형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
(8)수생목형 종합해석

5.수성인(水性人)-------------------------------------------226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2)신체 및 골격~
(3)기질 및 성품~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
(5)역사적 인물유형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
(8)수생목형 종합해석

제4장: 상생형으로 본 인상판단 인물감정----------228

1.수생목형(水生木形)--------------------------------------228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2)신체 및 골격~
(3)기질 및 성품~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
(5)역사적 인물유형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
(8)수생목형 종합해석

2.목생화형(木生火形)--------------------------------------231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2)신체 및 골격~
(3)기질 및 성품~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
(5)역사적 인물유형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
(8)목생화형 종합해석

3.화생토형(火生土形)-------------------------------------233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2)신체 및 골격~
(3)기질 및 성품~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
(5)역사적 인물유형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
(8)화생토형 종합해석

4.토생금형(土生金形)--------------------------------------235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2)신체 및 골격~
(3)기질 및 성품~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
(5)역사적 인물유형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
(8)토생금형 종합해석

5.금생수형(金生水形)--------------------------------------237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2)신체 및 골격~
(3)기질 및 성품~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
(5)역사적 인물유형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
(8)금생수형 종합해석

제5장: 상극형으로 본 인상판단 인물감정----------239

1.금극목형(金克木形)--------------------------------------239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2)신체 및 골격~
(3)기질 및 성품~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
(5)역사적 인물유형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
(8)금극목형 종합해석

2.수극화형(水克火形)--------------------------------------241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2)신체 및 골격~
(3)기질 및 성품~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
(5)역사적 인물유형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
(8)수극화형 종합해석

3.목극토형(木克土形)--------------------------------------243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2)신체 및 골격~
(3)기질 및 성품~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
(5)역사적 인물유형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
(8)목극토형 종합해석

4.화극금형(火克金形)--------------------------------------245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2)신체 및 골격~
(3)기질 및 성품~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
(5)역사적 인물유형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
(8)화극금형 종합해석

5.토극수형(土克水形)--------------------------------------247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2)신체 및 골격~
(3)기질 및 성품~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
(5)역사적 인물유형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
(8)토극수형 종합해석

제6장: 오성의 상생 상극 및 각종 인물에 관한 분류도표249

1.오성 및 상생 상극형 얼굴모양의 분류도표------------------249

2.기본 오성인들의 성품․기질상 장단점 일람표----------------251

3.상생형 인물들의 성품․기질상 장단점 일람표----------------253

4.상극형 인물들의 성품․기질상 장단점 일람표----------------255

5.오성의 상호결합에 의한 결혼 배우자 선택의 양호도---------257

제五편:인체기공 잠재능력과 심령투시술의 인물감정법

제1장: 동양철학과 음양오행의 인체기공-----------260

1.무극과 태극사상-----------------------------------------261

2.음과 양(Eum and Yang)-----------------------------------263

3.오행(오성)원소의 본질 에너지----------------------------264

4.대자연 오행(오성)에 대한 초험적 명상의 심령투시 --------265

5.인생의 동반자(Companion in Life)------------------------267

6.출생운명의 12지 동물 띠와 사주팔자----------------------268

(1)12지 동물 띠로 판단하는 인물 감정법

(2)12지 동물 물형으로 판단하는 인물 감정법의 세부설명--------------------270

①자(子;쥐) ②축(丑;소)------------------------------------------------------------270
③인(寅;범) ④묘(卯;토끼)----------------------------------------------------------274
⑤진(辰;용) ⑥사(巳;뱀)------------------------------------------------------------278
⑦오(午;말) ⑧미(未;양)------------------------------------------------------------282
⑨신(申;원숭이) ⑩유(酉;닭)--------------------------------------------------------286
⑪술(戌;개) ⑫해(亥;돼지)----------------------------------------------------------290

제2장:심상의 성질과 개성으로 본 심령투시술의 인물감정법294

1.「~형」에 속하는 인물----------------------------------------295

(1)사색추구형 (2)명상형 (3)철학형 (4)종교형 (5)창조형 (6)지성형-----------------295
(7)감성형 (8)예술형 (9)공상가형 (10)심사숙고형 (11)과학형------------------------297
(12)이론형 (13)경제형 (14)정열가형 (15)금욕형 (16)섹스형(SEX-形)-----------------298
(17)귀족형 (18)서민형 (19)권력형 (20)개척가형 (21)실무행정형--------------------299
(22)투쟁형 (23)솔선수범형 (24)사회봉사형 (25)자수성가형 (26)융통형---------------301
(27)오뚝이형 (28)천하태평형 (29)자화자찬형 (30)생기발랄형 (31)몰두형-------------302
(32)설교형 (33)설득권유형 (34)책임전가형 (35)무사안일형 (36)고집불통형-----------303
(37)억지형 (38)떠버리형 (39)자포자기형 (40)과대망상형 (41)근심걱정 불안형--------305
(42)새침데기형 (43)욕구불만형 (44)자기아집형 (45)히스테리․신경질형---------------306
(46)눈치형 (47)아첨간사형 (48)얌체형 (49)고자질형 (50)조삼모사형-----------------307
(51)변덕형 (52)촉새 날라리형 (53)교만형 (54)유아독존형 (55)고백형-----------------309
(56)비밀형 (57)능구렁이형 (58)철면피형 (59)악질형 (60)파렴치형--------------------310
(61)후안무치형(厚顔無恥形)

2.「~주의자」로 분류된 인물-------------------------------------313

(1)이상주의자 (2)현실주의자 (3)중용주의자 (4)정신주의자 (5)유물(물질)주의자-------313
(6)황금(배금)주의자 (7)합리주의자 (8)적당주의자 (9)기회주의자 (10)권위주의자------315
(11)절충주의자 (12)낙천주의자 (13)염세주의자 (14)비관주의자 (15)이기주의자-------316
(16)낭만주의자 (17)고전주의자 (18)보수(전통)주의자 (19)자연주의자----------------318
(20)진보주의자 (21)개혁․혁신주의자-----------------------------------------------319

3.「~인간」으로 분류된 인물-------------------------------------320

(1)이성적 인간 (2)감각적 인간 (3)영웅적 인간 (4)소극적 인간 (5)적극적(능동적) 인간-320
(6)내향적 인간 (7)외향적 인간 (8)물질적 인간 (9)유신론적 인간 (10)무신론적 인간----321
(11)종교적 인간 (12)영적인 인간 (13)도덕적 인간------------------------------------323

4.기타 유형의 인물------------------------------------------------324

(1)야심가 (2)실리(타산)가 (3)고지식파 (4)기분파 (5)아류어용파(亞流御用派)---------324
(6)심술쟁이 (7)바보․멍청이․얼간이 (8)얌전이 (9)수다쟁이 (10)돌팔이(엉터리)----325
(11)이중인격자 (12)숙맥 (13)다혈질 (14)우울질 (15)점액질 (16)깐돌이----------------327

제3장 : 인체기공 색채의 찰색요법과 YOGA CHAKRA 운기론329

1.안면찰색(顔面察色)의 기색 운기론---------------------------330

(1)안면찰색 기색(氣色) 운기론(運氣論)
(2)기색운기로 판정하는 인물감정 적중 예언법

2.삼원색 오색 칠색의 고차감정 기공색채 찰색요법 운기판단법----332

(1)색상 기색으로 판단하는 관상감정 비법오의(秘法奧義)-----------------------333
①삼원색법(三元色法) ②오색법(五色法) ③칠색법(七色法)
④만물의 색과 열과 빛의 변용 및 파동과 음악과 우주--------------------------335

(2)대화와 BODY ACTION의 표정 동작 연기로 판단하는 처세 감정법---------------336
(3)光色 多次元 靈氣波 MIND SCREEN OF THE VISION IMAGE SYMBOL
심령투시 영계감정--337

3.YOGA 수행 ETHER 靈氣 靈波 CHAKRA 감정법------------------338

(1)丹學氣功과 요가修行의 챠크라 煉丹法
(2)요가수행에 필요한 용어해설------------------------------------------------339
(3)챠크라와 오로라 수행과정의 여러 가지 단계적 특징--------------------------341

무라다하라의 뿌리 챠크라(Root Chakra of Muladhara)-------------------------342
②스와디스타나의 性챠크라(Sex Chakra of Swadisthana)
③마니푸라의 배꼽 차크라(Navel Chakra of Manipuraka)------------------------343
④우주심의 태양 網狀叢 챠크라(Solar Plexus Chakra of Cosmos Mind)
아나하타의 심장 챠크라(Heart Chakra of Anahatha)----------------------------345
비슈다의 목소리 챠크라(Throat Chakra of Visudda)
⑦아지나의 제3의 눈 챠크라(Third Eye Chakra of Ajana)----------------------------346
⑧두뇌 왕관의 사하스라라 챠크라(Sahashrara Chakra of Head Crown)
⑨全身 몸,맘과 魂魄의 靈的 오로라 챠크라(Spiritual Aura Chakra of the Body Mind, Soul)347

4.THE CHAKRA COLOR SYSTEM OF YOGA 人體氣功 生命磁氣
AURA SPIRIT OF COSMOS 色彩圖------------------------------------348

(1)챠크라와 오로라의 인체부위 우주 에너지 관련도표
(2)환상 走馬燈 속에 나타나는 챠크라 바퀴의 나선형 소용돌이와 정신 스크린 색채도-350
(Spiral Vortex of Chakra Wheel and Mind Screen appearing in Phantasm Panorama)

5.TRINITY OF DAN JEON BREATH METHOD IN MIND,
BODY AND SOUL OF SPIRIT ENERGY POWER(맘,몸,혼백 기공력의 삼단전호흡)351

(1)라라요가를 위한 초월적 명상 열기
(Opening Transcendental Meditations for Laya Yoga)
-353
(2)샨스크리트 인도영어 용어해설----------------------------------------------356

6.오운 육기 우주원기와 인물감정의 광륜색상 종합 감정법-------359

(1)대우주 자연과 소우주 인체의 비유적 해석 확장------------------------------362
(2)우주대생명력의 우주원기 속에는 오운육기(五運六氣)가 있다.-----------------364
(3)四神圖 神靈世界 運氣 판단법-----------------------------------------------365
(4)단전행공과 단법수련의 자연섭생건강법의 심신수행법-------------------------366
(5)오상덕목(五常德目)--------------------------------------------------------367

7.대자연과 인체오행에 대한 초험적 명상의 심령투시------------368

(1)나무의 木氣 (2)불과 빛의 火氣 (3)땅의 土氣--------------------------------368
[산의 정기] (4)금속의 金氣 (5)바다 및 강의 水氣-----------------------------370

제4장:심상감정에 의한 관상판단의 심령투시 인물감정법----372

1.관상법에 의한 인물감정학의 학문적 계통---------------------372

(1)동양철학의 관상법에 의한 인상판단의 인물감정법----------------------------374
(2)서양 관상학의 발달 개관사-------------------------------------------------376
(3)동서양 인물감정학의 통일적 해석판단---------------------------------------378

2.인물감정의 심상판단 영상판독(靈像判讀) 심령투시술의 방법---379

(1)기색판단과 영상판독(靈相判讀)의 심상감정으로 보는 심령투시술의 인물감정법-380
(2)영상판독의 심상감정 기색판단의 본질색 다섯 종류---------------------------380

①활동색(活動色)
②정체-수색(停滯-守色) ③유산색(流産色)
④응결색(凝結色) ⑤성취색(成就色)------------------------------------------381

(3)영상판독의 심상감정 기색판단의 변화색 다섯 종류-------------------------382

①건체색(蹇滯色) ②해악-흉색(害惡-凶色) ③활염색(滑艶色)
④홍자적-윤색(紅紫赤-潤色) ⑤이취색(利就色)--------------------------------383

(4)기색판단과 찰색요법의 색상변화의 발색처 기관 원천뿌리-------------------384
(5)인생운명 진로변화의 연령구분 시기판정-----------------------------------385

3.운명철학의 4대 감정분야의 구조대응비(構造對應比)----------386

4.운명감정 4대 분야의 상호도표 관계-------------------------387

5.인체기공력의 잠재능력개발과 심령투시 미래돌파-------------389

(1)태양에너지의 오로라(Aura) 현상과 태양호흡법-----------------------------389
(2)여명일출 석양낙조 광명 해맞이·해보내기 태양호흡법의 영단비경-----------390
㰁‹☯㰂☄일출 광명 태양호흡법의 목적과 의의(意義) 및 효능과 방법

☞ 일출광명 태양앙명인 해맞이 태양호흡법 찬탄송 ☜

(3)인체기공력의 잠재능력개발과 심령투시 미래돌파 행공수련--393
(4)기신정(氣神精) 인체 기공력의 단기회로도---------------------------------394

(5)단전호흡 연단행공 임독맥 대주천 소주천 인체순환도-----------------------395

제5장 : 창조적 인생개척을 위한 운명개조론--------396

1.관상법 인물감정 12부 명칭의 세부해설---------------------397

(1)관록궁 (2)명궁 (3)재백궁-----------------------------------------------398
(4)천이궁 (5)부모궁
(6)형제자매궁-----------------------------------------400
(7)복덕궁 (8)처첩궁 (9)전택궁---------------------------------------------402
(10)자손궁 (11)질액궁 (12)노복궁------------------------------------------403

2.면상투시 12부 소속 247부위 經緯相透 종합운세 운기판단법---405

(1)12월별 運勢감정 吉凶盛衰 察色부위 天男地女 판단방위도--------------------406
(2)나이 별 평생運數 吉凶盛衰 面相 部位圖------------------------------------407
(3)면상 247부위 연령별 얼굴감정 주요 구역 배치도----------------------------408
(4)얼굴전체 247부위 평생운수 종합감정 판단요도------------------------------409

3.창조적 미래개척을 위한 12부 관찰 심령투시술의 감정법-------411

▣◈★◉관상12부와 면상247 세부인상 통합감정 심령투시도◉★◈▣-413

◉사람을 보고 판단하는 방법: 호길 흉악(好吉凶惡)의 인물감정과 면상투시법414

(1)관록궁의 현대적 심령투시 감정법-------------------------------------------416
(2)명궁의 현대적 심령투시 감정법---------------------------------------------417
(3)재백궁의 현대적 심령투시 감정법-------------------------------------------418
(4)천이궁의 현대적 심령투시 감정법-------------------------------------------419
(5)부모궁(부모 조상궁)의 현대적 심령투시 감정법-----------------------------420
(6)형제자매궁(형제궁+자매궁)의 현대적 심령투시 감정법-----------------------421
(7)복덕궁의 현대적 심령투시 감정법------------------------------------------422
(8)처첩궁의 현대적 심령투시 감정법
(9)전택궁의 현대적 심령투시 감정법
(10)자손궁(여식궁+남식궁)의 현대적 심령투시 감정법-------------------------423
(11)질액궁의 현대적 심령투시 감정법
(12)노복궁의 현대적 심령투시 감정법
(13)상모 머리 얼굴전체와 사지백체의 종합 투시감정--------------------------424

4.얼굴 면상 13路 247部位 세부감정 적중 예언 방법-----------425

5.얼굴 상법 13로 247부위 세부도 해설------------------------426

(1)第一路 19部位 (2)第二路 19部位 (3)第三路 19部位 (4)第四路 19部位-------425
(5)第五路 19部位 (6)第六路 19部位 (7)第七路 19部位 (8)第八路 19部位----
-------428
(9)第九路 19部位 (10)第十路 19部位 (11)第十一路 19部位 -------------------431
(12)第十二路 19部位 (13)第十三路 19部位----------------------------------433

6.창조적 인생개척의 운명개조론----------------------------434

(1)운명에 대한 정의와 관계용어-------------------------------------------435
(2)운명(運命:Fate)과 숙명(宿命:Destiny,Doom)의 차이----------------------436
(3)동서고금의 각종 운명관 (4)운명의 결정과 변화요인----------------------438

7.운명개척과 생활창조의 실천 수도론-----------------------441

(1)운명의 핵심인 마음이 이기(理氣)와 성정(性情)-------------------------441
(2)운명개척과 생활창조의 진수(眞髓)인 영능력 신기(神氣)-----------------442
(3)성격 및 습관개조와 운명변화의 창조적 역동성(力動性)------------------443
(4)운명개척과 의식개조 생활창조 정신혁명---------------------------------445

선도단법 심령수도 염송진언(念誦眞言) 수심보결(修心寶訣) -------------446
(5)성공적인 운명개척과 생활창조의 능력요인-------------------------------447

①창조적 아이디어 ②교육과 경험 ③끈질긴 노력의 집념---------------------------447
④정열적 에너지의 생기와 활력 ⑤대인관계의 처세술 ⑥빈틈없는 준비와 기회의 포착-448
⑦운명개척을 위한 심신단련의 수도실천 ⑧성공의 가능성 총화의 결집---------------449

부록 연구편

1.직업과 성공의 능력 :---------------------------------------------------450

(1)지능지수(IQ)와 직업적성의 판정 분류도
(2)인생운명 진로변화의 연령구분 시기판정--------------------------------451
(3)직업선택과 인생의 행복추구
(4)성공적인 직업선택의 능력요건-----------------------------------------453

2.전통적 관상법 경험비전의 현대적 해석론--------------------------455

(1)팔대 부귀상(富貴相) (2)팔대 빈천상(貧賤相)(3)팔소(八小) 호상(好相)-------455
(4)오로(五露) 흉상(凶相)(5)10대 공망(空亡) 빈천상
(6)육대 천박상(淺薄相)-456
(7)남자 빈궁상으로 출세와 성공이 어려운 관상-----------------------------457
(8)여자 빈궁상으로 팔자가 세고 편안함이 어려운 관상----------------------458
(9)남녀빈궁 운기 약세상(男女貧窮 運氣 弱勢相)의 운명개선책---------------459
(10)남녀 길상 흉상 종합 판단 기준----------------------------------------460

3.인상법과 운명개척의 심신수행에 관한 용어해설----------------462

(1)단전행공(丹田行功)
(2)하단기해(下丹氣海)---------------------------------------------------463
(3)불확정성 원리(不確定性: Uncertainty principle)-----------------------464

※착오 오류 수정 정정란-------------------------------------------------465

관상법과 인상판단의 인물감정학 안내 서론부

1.관상학(觀相學:Physiognomy)의 기원과 유래(Original History)

(1)관상학 인상학 골상학 관상법의 기원과 유래의 어원적 해석

◦관상학, 인상학(Physiognomy) : The art of judging human character from facial feature and image. *Physiognomist :인상학자, 관상가

◦골상학(Phrenology):derived from original Greek word of phnŏ[마음의, 정신의]; mind/mental,

phren[조직]; organic, -logy[담화,--학문,--론]

The study of the shape and irregularities of the human skull, based on the now discredited belief that they reveal character and mental capacity/power.

고래(古來)로부터 사람의 인상을 관찰하고 기색을 살펴서, 그 사람 인물의 장래 운명을 미리 예측하여 추론하고 탐색한 결론을 가지고, 피흉추길(避凶趨吉)하는 방법을 찾아서 불행이나 나쁜 길을 피하고, 행복이나 좋은 길[방법]을 찾는 지식탐구나 학문의 방법이다. 관상학은 현실을 바탕으로 경험론적 통계와 확률에 근거하여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신체적 정신적 조건을 검토하여 장래의 가능성을 판단하기 때문에 민간에서 전해오는 주술적인 점술이나 기복적인 미신행위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참고문헌과 경험을 토대로 관상학을 보기 때문에 즉흥적으로 보는 상식적이거나 피상적인 인상/인물관찰법과는 질적으로 다르다. 정신 심리분석학적 심령투시술에 의거하여 심상감정법을 겸하는 인상법과 인물감정학으로 관상술을 감정하면 정확도가 우수하다.

동양적 관상학의 유래는 원래 중국에서 발생하였다. 춘추시대 진(晉)나라 사람 고포자경(姑布子卿)이 공자의 상을 보고 장차 대성인이 될 것을 예언하였으며, 전국시대에 위나라 사람 당거(唐擧)도 상술로 이름이 높았으나 후세에 책으로 남긴 것은 없다. 남북조시대에 남인도 출신의 달마(達磨)가 중국에 들어와서 불교의 선종(禪宗)을 일으키는 동시에 ‘달마상법’을 후세에 전하였다. 그 후에 송나라 초기에 마의도사(麻衣道士)가 ‘마의상법’을 남겼는데 지금 책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때부터 관상학 중의 면상학(面相學)이 체계적으로 확립되었다. ‘달마상법’과 ‘마의상법’은 관상학의 쌍벽(雙璧)을 이룬다. 관상학이 한반도/한국에 들어온 때는 신라시대라 하며, 고려시대에는 혜징(惠澄)이 유명했으며 조선시대에도 관상술이 이어져 내려와 현대에 이르고 있다.

관상의 요체는 얼굴을 중점으로 그 사람의 길흉화복의 운세를 예측하는바, 주로 ≪마의상법≫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얼굴에 오관(五官)·육부(六府)·삼재(三才)·삼정(三停)·오성(五星)·육요(六曜)·오악(五嶽)·사독(四瀆)·십이궁(十二宮)·사학당(四學堂)·팔학당(八學堂) 등을 잡고 그것을 관찰함으로써 面相을 본다. 오관은 귀·눈썹·눈·코·입을 가리키고, 육부는 얼굴을 좌우로 양분한 뒤 각기 상·중·하부로 나누어 관상한다. 삼재는 이마·코·턱을 천(天)·지(地)·인(人)으로 구분하고, 삼정은 삼재와 같은 부위를 상·중·하정으로 나눈다. 오성은 금·목·수·화·토성을 각기 왼쪽 귀·오른쪽 귀·입·이마·코에 배치한 것이다.

관상의 2차 단계는 얼굴氣色과 피부살결의 청탁을 보는 察色法으로 관상법의 은밀한 徵兆와 暗示의 심령적 변화와 核心機微를 파악한다. 우선 얼굴이 잘 생기고 혈색이 좋으며 기색도 맑으면 상등급으로 간주하여 부귀공명의 출세와 성공의 확률이 많다고 예언한다. 그와 반대의 형상을 가진 중등급이나 하급 최하급의 관상은 품격이 단계적으로 떨어지는 좋지 않은 상으로 판단하여 惡相 凶相 鄙淺상으로 하강세의 등급판정을 한다. 만약에 얼굴이 못생겼거나, 기색이 어둡고 침침하며 혼탁하고, 피부도 꺼칠꺼칠하면 상대적으로 불운하거나 실패가 많고 고생을 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청격(淸格)은 얼굴빛이 윤택, 선명하고, 눈에 광채가 있고, 눈썹이 청수하고, 이마의 뼈가 나와 넓고, 입과 귀와 코가 잘생긴 얼굴이다.

이러한 관상법이 대개 시초에는 중국에서 체계화되고 발전되어 온 만큼 한국 사람의 관상을 중국식대로 판정하면 적중률이 떨어진다. 그것은 지리적 역사적 문화풍토가 다르고 민족적 인종의 골격형상과 체격조건도 다른 인물형상의 이질성 때문에 이치에 맞지 않는 해설이 많으므로 한국인의 얼굴을 중국식 이론이나 설명에 비교하면 정확하게 적합하지 않다. 물론 관상의 원리는 중국인이나 한국인이 대동소이하여 같은 이치로 감정해도 적중하는 것도 많지만 인종적인 차이가 있어 우리나라의 상법은 중국과 약간 다르다.

예컨대, 중국에서는 오악 가운데 이마가 좋은 것을 상등으로 치지만 우리는 턱이 잘 생긴 것을 최고로 친다. 눈의 경우 중국에서는 3할 정도의 비중을 두지만 우리는 5할 정도로 높게 평가한다. 귀를 보는 법도 달라서 중국에서는 長壽를 살피지만 우리나라 상법에서는 부귀장수와 자손과 본인의 오장육부 건강의 양호도도 검토한다. 또, 중국에서는 십이궁 가운데 재백궁인 코가 무조건 높아야 좋다고 하나 우리는 코가 다른 四官에 비해 너무 크거나 작아서 상대적인 균형이 맞지 않으면 좋게 생각하지 않는다. 즉 중국식은 대범하게 개략적으로 판단하지만 한국식은 더욱 세부적으로 다른 인체기관이나 정신적 요소를 가미하여 종합적으로 감정하는 방법이 세분화되었다.

이 밖에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상법으로는 얼굴 각 부위의 치수를 재는 법을 들 수 있다. 그래서 오늘날의 이름난 어떤 관상가는 얼굴 각 부위를 자로 재서 상을 본다. 세조 때 한명회의 상을 자로 재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관상법으로 또한 일월각(日月角)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오성에 의거하고 극히 소수의 관상가에 의하여 실용되고 있지만, 중국의 그것과는 다르다. 오성은 오행(五行)을 그 원리로 삼아, 화성인 이마는 모가 나야 하고, 토성인 코는 두둑하여야 오래 살 수 있는 것으로 여긴다. 목성인 오른쪽 귀는 코를 향해 있어야 오복을 누리며, 금성인 왼쪽 귀는 빛깔이 희면 관직을 얻는다고 한다.

일월각에서는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을 日과 月로 정하여 양쪽 눈의 생김새를 중심으로 천지의 양기와 음기를 얼마나 稟受했는지 따진다. 오른쪽 귀는 東方木이요, 왼쪽 귀는 西方金이요, 입은 北方水요, 이마는 南方火요, 코는 中央土로 목 금 수 화 토의 상대적인 균형과 조화를 보고 천지우주로부터 얼마나 많고 좋은 오행의 기운을 天福地慧로 惠澤을 받았는지 평가한다.

(2)관상학의 시대적 현황과 생활의 활용도

관상은 우리 사회에 널리 퍼지면서 얼굴 및 사람 판단과 인물감정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다. 기업체의 신입사원 채용에서 관상을 보기도 하는데, 이러한 것은 고전소설이나 속담 등에서도 확인된다. 고전소설인 〈구운몽〉에 양소유의 관상이 두 눈썹은 다른 사람과는 달리 봉의 눈이 살쩍을 향했으니 벼슬이 삼정승에 이를 것이라고 되어 있다. 속담에도 얼굴의 각 부위를 두고 상의 길흉을 말한다. 예컨대, ‘이마가 벗어지면 공것 좋아한다.’‘이마가 높고 훤하면 고관대작이 된다.’든지‘귀가 보배다.’또는 ‘귀가 크면 남의 말을 잘 듣고 덕성이 있다.’‘작은 귀는 앙큼하고 담대하다.’‘귀가 뒤쪽으로 발랑 젖혀지면 고집이 세다.’는 인물평이 있다. ‘밥이 얼굴에 덕적덕적 붙었다.’‘입이 크면 욕심이 많다.’‘입술이 두툼하면 정이 많다.‘속담은 얼굴 전체의 유복한 상을 두고 쓰인다.

관상은 일반적으로 우리 생활에 보편화되어 있어 알게 모르게 사람을 사귀고 헤어지는 인생사에 관상학적 판단이 처세의 중요한 관건이 되고 있다. 관상을 보는 것을 전문적으로 직업으로 삼는 이를 관상가라고 한다. 관상가는 오늘날 사주를 보거나 작명하는 사람 등과 같이 역술인의 범주에 든다. 그러므로 이들은 대부분 서너 개의 역술단체에 소속되어 영업을 한다. 역학인은 전국적인 조직을 자랑하는 대한승공경신연합회(大韓勝共敬神聯合會)의 무당을 포함하여 전국에 약 20만 명이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가운데 관상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은 대략 1,500명이다. 사람의 상은 일생을 통하여 늘 변하게 마련이다. 그것은 사람의 빈부귀천이 바뀌는 데에서도 잘 알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사람의 상은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 어느 한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상을 종합해 보면, 그 시대의 운세를 점치기가 어렵지 않다. 오늘날 한국인의 얼굴은 예전에 비하여 크게 변하였다는 것이 관상가들의 일반적인 견해이다.

국가의 경제력의 규모가 커져 각 개인의 부가 늘어나고 식생활이 크게 개선되어 체격과 신장 몸무게 등이 예전과 달라져서 관상의 척도가 되는 신체와 얼굴의 형태와 모양이 변화되어 감정하는 기준도 많이 바뀌었다. 최근 이렇게 변한 것을 살펴보면, 먼저 체격이 커진 사실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눈썹이 적어졌는데, 그것은 요즈음 사람들의 심성이 고독해진 것을 가리킨다. 한국 사람들은 예전에 대부분 골격형이 많았으나 오늘날에는 비만형이 아주 많아졌다. 광대뼈가 줄어든 것도 변화로 주목된다. 이것은 관상에서 보면 그만큼 공격적 주체성이 줄었음을 의미한다. 고생스러운 일이 많이 없어짐에 따라 잔주름이 없어져 가는 현상도 눈에 띈다. 그리고 목소리를 보면 옛날 남성의 성대는 장중하고 은근한 토성을 선호했으나 현대는 남자라도 여성화 되어 금성이나 수성의 음성으로 대화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여성의 음성도 남성화 되어가 중성의 목소리가 일반화 되었다. 예의범절의 미덕이 사라지고 희생정신이나 도의심이 약화되고 이기적인 심성의 대두로 개인적인 욕심이 확대되어 금성이나 화성의 음성이 많아졌다.

그러나 관상을 보는 것이 심상을 보는 것만 못하다는 말이 있다.[觀相之 不如心相] 마음의 상태와 변화는 물론 印象의 顯現과 관상의 形相에 다소 다르게 나타나기 마련이다. 이율곡 선생이 “사람의 타고난 얼굴과 골상은 못 바꿔도 성격과 기질은 변화시켜 마음을 잘 먹으면 범인일지라도 성인군자가 될 수 있다.”고 격몽요결에서 언급한 것처럼 관상이 나빠도 마음수양을 잘하면 좋은 운명의 인생을 개척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마음은 깨닫고 반성하고 느끼고 다듬을 수 있는 것이기에 평소 선한 마음을 일으키고 舊習革新으로 언행을 바로잡아 나간다면, 각 사람의 인생살이를 능히 창조적인 성공적인 삶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관상인물 투시원리 인상판단 기본상법(基本相法)


구성운 인체기공 심령투시 인물감정학


PHYSIOGNOMY OF SPIRITUAL CLAIRVOYANCE

 

 

 

 

 

 

 

 

 

 

 

 

 

 

 

 

 

 

 

 

 

 

 

 

                     靑空(BLUE SPACE): 安 鍾 哲 創著
               韓國 仙道花郞丹法 心靈哲學 修道會
    KOREAN HUMANICS RESEARCH INSTITUTE

모사(某事)는 재인(在人)이요 성사(成事)는 재천(在天)이라.
'일을 도모(圖謀:계획)하는 것은 사람이요,'
'그것을 성공시키는 것은 하늘의 뜻에 달려있다.'

 

태극운동으로 움직이는 태풍진로

주역 팔괘의 靈動數理 음양상호 작용도

▲음양운동이 확대발전하는 주역팔괘의 우주만물 삼사원 영상진리 기본운동도

 

 

 

 

 

 

 

觀世音 光自在 心靈透視 靈覺靈視靈聽圖

 관상 수상 심상 심령투시 얼굴 부위도

 

 

 

        

  

天地運氣 五運六氣 人體氣功 透視感應圖

 面上察色 人體氣功 心靈透視 觀透圖

 

심령투시 관상학(心靈透視 觀相學)
PHYSIOGNOMY OF SPIRITUAL CLAIRVOYANCE   
觀相法 人物鑑定 細部 面相部位 名稱圖解
 EVERY JUDGING PART OF THE FORTUNE TELLING IN PHYSIOGNOMY
 
 

 

 

 

 

 

 

 

 

 

 

 

 

 

 

 

 

 

 

 

 

 대인처세 인물판단 및 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잠재능력 발굴을 위한


인상법인물투시감정학

 

 

 

   

 

 

 

 

 

 

 

 

 

 

 

 

 

 

 

 

 

      

 

 

 

 

 

 

 

 

 

 

 

 

 '創造的 運命開拓 人生妙言'
姓名之 不如四柱 運命   手相之 不如觀相 頭腦
觀相之 不如心相 透視   心相之 不如實踐 躬行
이름이 아무리 좋아도 사주 운명의 예시를 초월할 수 없고 수상이 아무리 좋아도 관상 두뇌의 범위 안에 존재하고 관상이 아무리 좋아도 심상으로 꿰뚫는 예언투시만큼 못하고심상이 아무리 좋아도 (지금 목표를 향해)몸소 실천함만 못하니라.

  ====================== 본편 시작======================

제一편: 전통적 관상법에 의한 인상 판단법과 인물감정학

                                             머 리 말    

 현대는 고도의 정보 통신 기계문명이 발달하고 황금만능주의와 물질에 대한 탐욕이 팽배하여 인간본성에 대한 인격적 가치와 정신문화의 전통적 가치관이 흔들리고 경시(輕視)되는 시대이다. 현 시대의 특성인 급속한 사회변혁과 무분별한 서양문물의 유입으로 옛부터 내려오던 동양적(특히 한국적)  미풍양속이나 관습 및 도덕 윤리 또는 전통적 사상이나 인생관 등이 현대의 시대풍조나 사회생활 양식에 맞지 않게끔 되었다. 말하자면 구시대와 신시대의 모든 문화체계가 복잡다기(複雜多岐)하게  충돌하고 혼효(混淆)하는 혼란과 단절과 배역(背逆)의 시대이다.

  이와 같은 복잡한 세기말(世紀末)과 세기초의 변혁과 다양성의 시대에도 우리 인생은 삶을 영위해야 하고 내일의 계획과 미래의 희망과 포부를 향해 달려야 하는 것이 인간의 운명이고 갈 길이다. 자신의 진로와 갈 길 운명이 이러한 사회적 현실과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우리는 매일 매일의 생활을 의미심장하게 음미(吟味)하고 대처하지 않으면 생존경쟁에서 낙오하거나 실패하기 때문에 더욱 자신을 살펴보고 철학적으로 인생을 설계하고 나아가야 한다.

  필자는 이러한 시대적 여건의 변화를 합리적으로 이해하고 인생의 진로에서 자신의 인생좌표를 확실히 설정하여 참되고 진실하며 보람있는 가치관을 확립하고자 노력한 결과로, 옛 선현들의 문헌을 토대로 현대의 제 사상과 학문 종교 철학 교육 심리 등을 종합적으로 통합하고 정신 및 물질세계와의 상호 유기적인 연관성을 분석종합하고 창조적으로 인생문제 해결의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하는 취지와 목적으로 '대인처세와 인물판단 및 직업의 진로선택과 능력개발을 위한' 전인적 평생교육의 지침서로 본 저서를 펴내게 되었다.

  본 저서는 단전호흡법의 심신수도와 선도화랑단법의 정신무술을 바탕으로 한 심령투시철학에 입각하여 각 개인의 직업선택에 실용적 도움을 주는 인상법과 장래의 성공적 인생을 목표로 한 진로지도와 능력개발을 위한 인재양성의 인물학에 관한 안내지도서로써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가 있다. 내용적으로 심령학적 사고방법과 오랜 수도생활의 체험에서 우러나온 예지적 지혜로서 자타가 인정하는 적중률에 의한 경험적 통계로 사실 검증된 자료를 학문적으로 정리하여 저술하였다. 동양철학의 전통적 우수성과 현대적 제(諸) 학문의 과학적 탐구방법을 동원하여 논리적으로 해설하는 종합적 체계를 밟아 모든 사람의 인생행로에서 바른 길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지도 조언의 충실한 안내서로써 인물감정의 심상투시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자신의 장단점을 발견하고 장점은 보강 발전시키고 단점은 수정 보완하는 처방과 대책을 수립하여 누구든지 자기의 소망을 달성하는 인생생활의 탁월한 지침서 구실을 할 수 있다.

★관상학(觀相學: Physiognomy)의 기원과 유래
Physiognomy : The art of judging human character from facial feature

  고래(古來)로부터 사람의 인상을 관찰하고 기색을 살펴서 그 사람의 장래 운명을 미리 예측하여 추론하고 탐색한 결론을 가지고 피흉추길(避凶趨吉)하는 방법을 찾아서 불행이나 나쁜 길을 피하고 행복이나 좋은 길을 찾는 지식탐구나 학문의 방법이다. 관상학은 현실을 바탕으로 경험론적 통계와 확률에 근거하여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신체적 정신적 조건을 검토하여 장래의 가능성을 판단하기 때문에 민간에서 전해오는 주술적인 점술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참고문헌과 경험을 토대로 관상학을 보기 때문에 즉흥적으로 보는 상식적이거나 피상적인 인물관찰법과는 질적으로 다르다. 심령투시술에 의거하여 심상을 겸하는 인상법으로 관상학으로 감정하면 정확도가 우수하다.

  동양적 관상학의 유래는 원래 중국에서 발생하였다. 춘추시대 진(晉)나라 사람 고포자경(姑布子卿)이 공자의 상을 보고 장차 대성인이 될 것을 예언하였으며, 전국시대에 위나라 사람 당거(唐擧)도 상술로 이름이 높았으나 후세에 책으로 남긴 것은 없다. 남북조시대에 남인도 출신의 달마(達磨)가 중국에 들어와서 불교의 선종(禪宗)을 일으키는 동시에 '달마상법'을 후세에 전하였다. 그 후에 송나라 초기에 마의도사(麻衣道士)가 '마의상법'을 남겼는데 지금 책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때부터 관상학 중의 면상학(面相學)이 체계적으로 확립되었다. '달마상법'과 '마의상법'은 관상학의 쌍벽을 이룬다. 관상학이 한국에 들어온 때는 신라시대라 하며, 고려시대에는 혜징(惠澄)이 유명했으며 조선시대에도 상술이 이어져 내려와 현대에 이르고 있다.

달마(Bodhidharma/?∼528?)상법(相法)

  중국 남북조시대의 선승(禪僧)인 보리달마(菩提達磨: 梵語로 보디다르마)는 원래는 남인도 향지국(香至國:일설에는 페르시아)의 셋째 왕자로 불교(불법)을 전하기 위하여 중국에 들어와서 포교활동을 한 후 중국대승불교 선종의 창시자가 되었다. 520년경 중국의 북위(北魏)의 낙양(洛陽)에서 활동하다 동쪽의 쑹산(嵩山) 소림사(少林寺)에서 9년간 좌선묵상(坐禪默想) 면벽수행(面壁修行)을 한 후 득도의 과정을 거쳐 선법에 통달하고 소림무술을 창안하고 선법을 창시하여 제자 혜가(惠可)에게 전수하였다. 그는 인도 불교의 28대 조사이나 중국불교의 선법을 창안한 후 1대 초조(初祖)가 되었다. 달마는 사람의 마음이 본래 淸淨無垢하나 세속의 雜事煩惱로 마음이 둔탁하고 혼미해졌으니 참선을 수행을 통하여 마음을 닦으면 본 바탕의 참마음 진면목을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하여 많은 제자를 길러내어 중국 대승 불교의 터전을 마련했다.

  원래 종교적이고 사변적인 명상법에 치중한 인도 불교의 난해한 점이 현실적인(무술이나 전쟁에 관심이 많은) 중국 사람들이 잘 받아들이지 않으므로 불법의 효과적인 포교활동을 위해서 소림사에서 선법을 활용한 선무술을 창안하고 관심법을 응용하여 자연 관상법같은 인물판단 인상법이 개발됐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달마가 창안한 달마상법이 태동하게 되었다. 그 당시에는 인도에서 전파된 불법의 보급방법인 사찰위주의 伽藍불교의 儀式적인 불교나 講說불교와는 다른 교육방법인 좌선 묵좌(默坐)나 명상법의 참선형태의 불교를 창시하여 널리 유명하여 진 결과 발전이 된 것이다.

관상법의 종류-인상법과 인물판단 감정법의 종류
★사주학: 주역이나 동양철학의 우주대원리를 인간의 운명감정에 비유한 발상법은 좋으나 상당히 어렵고 많은 공부와 경험이 필요하고, 설명이 애매모호(曖昧模糊)하고 막연한 해설로 추상적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적중시키기가 힘들다. 단 역사성이 뛰어나고 경험적 통계에 근거하여 예언감정하며 실력이 있는 사람은 적중률이 높다.
★관상학: 직관적 추리와 mind reading의 독심술을 사용한다.
★성명학: 음양 오행 靈動數理學에 기초하여 성명漢字의 획수풀이나 한글 오행의 상생상극의 음양재합성을 검토하나 과학적 객관성이 좀 결여되고 있으나 운명감정가의 경험과 성명학의 원리에 따라, 전통적 방법과 현대적 해석을 병용하여 개인의 운세풀이에 적용하여 어느 정도의 적중을 하나 평생운수를 종합적으로 해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수상학: 구체적 형상물을 보고 사실적 관찰과 경험적인 감정법을 동원하여 판단하며 적중률이 높다.

◆인상학 골상학 관상법의 영어 풀이
Phrenology(derived from original Greek word of phn ;mind, phren; organic)
The study of the shape and irregularities of the human skull, based on the now discredited belief that they reveal character and mental capacity.
Physiognomy: The art of judging human character from facial feature   

제1장 : 관상의 원리와 총론

1.기본인상
   三才 三停 六府 얼굴 부위도 
⊙얼굴 총론 : 얼굴은 양이요 몸체는 음이 된다.
(1)삼재(三才): 天地人의 三才
얼굴의 본래 어원은 "사람의 얼[마음의 본 뿌리로 혼에 해당]이 들어 있는 동굴"이란 뜻이니 사람의 얼굴면상을 관찰하여 관상을 본다는 것은 그 사람의 마음의 뿌리가 박힌 동굴을 살피고 혼백(魂魄)의 유무형상과 얼굴형체를 살펴서 각 사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개성의 인간 됨됨이의 원래 본 모습을 캐내어 밝히고 감정하여 정말 진짜 「참 마음 동굴」의 진상(眞相)을 알아낸다는 의미가 있다. 사람을 보는 데 기본 인상법으로 천지인으로 삼분하니 머리는 둥글고 하늘을 상징하는 天이요, 상체는 오장육부를 감쌓는 장기(臟器)의 본체로 자기의 몸을 주관하는 人이요, 하체는 상체를 떠받치는 신체의 바탕이 되므로 地가 된다. 머리와 상체와 하체를 삼등분하여 전체적인 얼굴의 윤곽과 신체의 형상에서 풍겨나오는 기색과 풍채와 체취로 느낀 인상을 종합하여 그 사람의 길흉행복의 운수를 암산하여 예언 판정한다.

(2)삼정(三停): 面相 얼굴의 상중하 삼부위
①상정(上停)∼ 상정은 天停으로 불리면 얼굴의 상부로 髮際부위서 눈썹 위까지로 초년운세를 관찰하는 부위로 부모의 유덕이나 조상의 운기를 측정하는 부위로 이 곳이 豊隆하고 明潤하게 잘 생기고 찰색도 光潤하면 그에 상응하여 인생 초년의 부모복이 많은 것이다. 상정이 못 생겼으면 그에 상응하여 초년의 운세에 굴곡이 심하고 고생이 있으면 팔자가 기박할 수도 있다.
②중정(中停)∼ 중정은 人停으로 불리면 얼굴의 중부로 눈썹과 上耳 언저리부터 準頭 말단 人中 交點에서 下耳 언저리 경계까지로 중년운세를 관찰하는 부위로 형제자매나 세상에서 교제하는 친구나 동료 이웃사람 등과의 사회생활에서 발생하는 運氣를 측정하는 부위로 각 부분의 얼굴 판단요소에 따라 形相格局의 상태가 좋고 나쁨에 따라 중년운세의 길흉화복이 예측된다.
③하정(下停)∼ 하정은 地停으로 불리면 얼굴의 하부로 인중에서 아래턱 언저리까지로 말년운세를 관찰하는 부위로 직계자녀와 방계자손 및 자기가 부리는 부하나 아랫사람과 재물과 전토 산림까지의 명예와 富를 運勢를 측정하는 부위로 잘 생기고 못생긴 데에 상응하여 말년운세의 행복과 불행이 결정된다.

 

 

(3)얼굴 오악(五嶽)
   
五行性 五嶽 四瀆 얼굴 부위도 
얼굴의 이목구비(耳目口鼻)를 자연과 산천강하(山川江河)에 비유하며 해석하고 설명하여 사람의 인품과 성격과 장래 직업과 처세의 방향을 가늠하고 관찰하여 인물을 감정하고 판단한다. 코는 얼굴의 중심에 우뚝 솟아 자리 잡았으니 한국인에게는 백두대간에 해당한다.
①좌관골(左觀骨)은 중국에서는 동악태산(東岳泰山)에 해당하나 한국사람에게는 동악은 오대산에 해당한다.
②우관골(右觀骨)은 중국에서는 서악태산(西岳華山)에 해당하나 한국사람에게는 서악은 마니산(摩尼山)에 해당한다.
③턱은 중국에서는 북악환산(北岳桓山)에 해당하나 한국사람에게는 북악은 백두산에 해당한다.
④이마는 중국에서는 남악형산(南岳衡山)에 해당하나 한국사람에게는 남악은 남해 금산에 해당한다.
⑤코는 얼굴의 중심으로 중악숭산(中岳嵩山)에 해당하나 한국사람에게는 서울에서는 중앙토로 북한산에 해당하고 남한면적 전체에서는 속리산에 해당한다.

오악에 해당하는 좌우 관골과 턱은 서로 바라보듯 웅크리고 있는 형상이 좋다. 동서악 좌우 관골은 살집이 얼굴의 크기에 알맞게 불룩하게 벌어지고 살집이 두둑하면 좋고, 좌우 관골의 균형이 틀어지거나 성격이 원만하지 못하고 인정과 동정심이나 포용심이 부족하다. 북악인 턱이 뾰족하고 찌그러지면 말년에 평안하지 못하고 남악인 이마가 넓고 풍륭(豊隆)하지 못하고 좌우 균형이 어그러지면 평생의 신수가 원만하지 못하다. 되로 자빠진 듯 너무 벗어지면 가세가 융성하지 못하다. 중악인 코는 두둑하고 힘있게 뻗친 것이 좋다. 코가 낮거나 얼굴과의 조화미가 없으면 다른 사악의 주인이 없는 것과 같아 심신의 활동과 사고력의 중심이 잡히지 않아 인생의 진로에 부침이 많다. 코가 너무 적거나 못생기고 인중이 짧으면 수명이 길지 못하고 평생에 질고(疾苦)가 많다. 코가 뾰족하고 살이 없으면 인생의 계획이나 목적 달성이 어렵고 재산이 잘 모이지 않으며 수입은 적으나 지출이 많다.

(4)얼굴 사독(四瀆)
인체는 기공(氣孔) 주머니와 같은 것으로 몸 안팎이 기통(氣通)으로 운영된다. 사독을 통하여 신체 내외의 우주 원기가 출입 통관(通貫)하니 상호 밀집되지 않고 알맞은 위치에 조화롭게 배치된 것이 상등이고 선이 분명하며 깊게 뚫린 것이 좋다.

①귀를 강해독(江海瀆)이라 하니 귓바퀴의 천륜 인륜 지륜이 서로 감싸듯이 어우러져 분명하게 배치되면 한 평생 정신적인 평안을 누릴 수다. 또한 귀의 살집이 부드럽고 풍륭하면서 단단하면 식견이 넓고 이해심이 깊어 항상 남을 지도하는 포용심이 원만하다. 재물도 풍부하여 남에게 빌려줄지언정 빚을 지지 않고 살 운수다.
②눈을 하독(河瀆)이라 하니 깊고 선명하여 광채가 있으면 지혜가 있으며 기억력이 뛰어난다. 눈은 얼굴에 비해 크지도 작지도 않으면서 중용의 크기에 눈동자가 빛나고 흰창과 검은 창이 분명하면 성격이 담백하고 대인관계가 원만하면 사물의 허실을 잘 구분하며 정의롭게 인생을 살아간다.
③입을 회독(淮瀆)이라 하니 알맞게 모[方]가 나며 입끝이 위로 뻗고 잇발을 잘 덮으며 상하 입술이 긴장되고 붉은 빛이 나는 홍윤색(紅潤色)이면 언변이 유창하고 설득력이 있으며 또한 재물을 많이 모으고 건강의 축복이 있다.
④코를 제독(濟瀆)이라하니 두툼하고 쭉 곧으며 흠이 없고 색상이 좋으면 이상이 높고 의지가 강하고 금전에 여유가 있으며 사회생활에 중심인물이 될 수 있다.

2.오관투시 인상판단 인물감정법
 오관이란 이목구비(耳目口鼻)와 신체 일반을 말하는 데 신체는 머리 몸통 팔다리로 구성되어 있고 백체란 오장육부를 통칭하여 주로 인체 내부기관을 가리킨다. 결국 오관 사지백체란 몸과 마음으로 이루어진 몸체를 바탕으로 우선 외관으로 구별하기 쉽고 뚜렷한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 인체기관을 특별하게 가리키는 말이다.
(1)눈-눈썹
눈을 감찰관(監察官)이라 하여 사물의 대소 장단 크기 모양을 보고 거리의 원근(遠近)을 살펴서 모든 광파의 변화와 흐름을 식별하는 시각을 담당하여 두뇌가 정확한 판단을 하도록 시각정보를 제공한다.

①좌우 눈은 일월로 상징되고, 눈동자와 수정체 전부를 보통 눈이라 부르며 정신과 연결하여 마음의 창이라 한다. 눈썹을 보수관(保壽官)이라 한다. 눈썹은 腎氣의 餘分이고, 肝에서 나오는 미세한 경락이 눈썹과 연결돼있어 눈썹은 건강과 감정의 기미(機微)를 나타낸다.  사람이 깊이 생각하거나 사색을 할 때 눈두덩이나 언저리를 움직여서 느낌을 수용하고 감정의 동요를 정서(情緖)로 반응한다. 또한 눈썹은 몸밖에 있는 사물의 움직이는 율동과 파장의 진동이 신체내부로 전달되는 전기적 반사를 일으키니 마음과 물체가 접촉하는 Telepathy 交信器 역할을 한다.
②눈동자 수정체가 너무 쑥 들어가지도 않고 앞으로 불거지지도 않으면서, 흑백이 분명하고 동공(瞳孔)에서 빛[정기]이 뿜어 나오는 듯 광채가 나며, 눈 전체가 버들잎처럼 가늘고 길면 감찰관이 잘 되었다 하면 총명예지(聰明叡智)하다. 눈동자가 희미하거나 붉은 빛이 충혈된 느낌이 들면 현재 건강상태가 좋지 않고 항상 그런 상태면 우둔하거나 생각이 어리석다.
③눈의 형태가 둥근 사람은 감수성이 예민하나 깊은 사고력은 부족하고 모지거나 가는 버들잎의 눈은 관찰력이 날카롭고 생각이 깊으나 선악간에 술수를 발휘한다.
④눈과 눈 사이가 상대적으로 넓은 사람은 융통성이 있으며 多方面에 활동력이 왕성하고 실리적이다. 눈이 얼굴에 비해 작은 사람은 질투심이 있고 의심이 많다.
⑤남자의 눈썹은 좀 짙고 힘차게 상부로 뻗고 길게 눈 위를 덮어주어 좌우 눈썹의 균형이 맞고 淸秀한 느낌이 들면 좋다. 눈썹이 길고 부드러우면 지혜가 있으며 눈썰미나 손재주가 있다.
눈썹이 위로 솟구쳤거나 너무 짙거나 엷으며 좌우 눈썹이 바짝 붙어 인당의 부위가 너무 좁은 것 같은 것은 다 흉상에 속한다. 눈썹이 어지럽게 흩어졌거나 옅은 사람은 약삭빠르거나 인정이 희박하다.
⑥여자는 눈썹이 초생달처럼 곱고 단아하며 하부로 내려 뻗어 아리따운 분위기가 들면 보수관이 잘 되었다 하며 남편에 순종적이고 자녀에 인자한 현모양처형이다.

(4)입-입술-이
입을 출납관(出納官)이라 하여 입 속으로 들어오는 음식물을 씹고 저작(詛嚼)하여 입술 혀 치아 등과 함께 미각정보를 수행한다. 입은 몸을 보양하는 음식이 들어가는 출입문이고 생각과 느낌을 음성으로 표현하는 중요한 기관이니 출납관이라 한다. 입술의 모양은 활[弓]과 같은 형상으로 경계선이 분명하여 단정하고 긴장감이 돌고 색깔이 홍자색(紅紫色)을 띠면 좋다. 입을 벌리면 크고 둥글게 모난 방원(方圓)형으로 입안의 동굴이 깊고 그윽하며 오므리면 작은 모양이며 이는 희고 가지런한 배열로 아름다우면 출납관이 좋다고 할 수 있다.

⊙입술이 엷고 뾰족하며 긴장미가 없고 색깔이 검거나 푸르고 헤벌레하면 정신의 수양이 부족하고 매사에 의지력이 모자라고 각오와 결심이 없어 자기의 인생목표를 달성하기 힘들다.

(2)코
코를 변심관(辨審官)이라 하고 모든 냄새와 향기를 분변심판(分辨審判)하는 후각을 담당하여 신경세포가 두뇌로 하여금 올바른 냄새를 맡도록 하도록 하는 안내자이다. 코는 넓은 인당(印堂)에서 쭉 곧게 뻗어내려 山根이 죽지 않고 콧등 중간에 주름이나 흠이 없고 또 굴곡이 안 생겨야 상등급이다. 준두(準頭)가 풍융(豊隆)하고 난대(蘭臺) 정위(廷尉)가 원만하여 마치 쓸개를 매단 것처럼 얼굴 중앙에 가볍게 붙고 양옆 밑바탕의 左身 右身의 색깔이 좋은 것이 변심관이 잘되었다고 한다. 
⊙코의 살집이 엷고 콧대가 낮거나[낮아도 얼굴과의 조화가 이룬 것은 제외]콧구멍이 훤히 보이는 것은 사람은 마음을 안으로 단속하는 통제력이 부족하다.
⊙남자의 코가 크고 잘 생기고 여자는 아담하게 오뚝하여 보기가 좋으면 인물이 잘 생겨 운이 좋고 잘 산다는 俗說이 있으나 고대나 근대사회의 身言書判 위주의 인물감정시대는 대체로 적중했으나 현대에 첨단기계와 컴퓨터 정보화의 기술발전시대에 와서는 개인의 정신적 능력이나 후천적 학문지식이나 경험에 의해 많이 좌우되므로 코가 못생겨도 출세하는 사람이 많다.  

(3)귀
  
귀를 채청관(採聽官)이라 하고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모든 소리 음파를 분별하는 청각정보를 관장하여 두뇌가 올바른 판단을 하도록 한다. 귀는 눈썹보다 약간 높이 솟고 귓불 언저리와 명문(命門: 風門:귓구멍 주위의 골)이 광윤(光閏)하고, 外輪 內輪의 귀 갓이 분명하고 귀뿌리의 이수(耳垂; 혹은 耳朶)가 알맞게 두툼하고 뒤로 약간 젖혀진 듯한 것이 최상이다. 또한 혈색이나 기색이 선명하면 채청관이 잘되었다 하여 총명다재하고 이해력이 깊고 넓어 사회계층의 상위에 진출할 운세다. 
  귀의 살집이 너무 엷거나 갈퀴나 짐승귀처럼 생겼으면 우선 흉상에 속한다. 귀를 채청관(採聽官)이라 하고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모든 소리 음파를 분별하는 청각정보를 관장하여 두뇌가 올바른 판단을 하도록 한다. 귀는 눈썹보다 약간 높이 솟고 귓불[귀의 하단부 지륜 불룩하게 처진 부분] 언저리와 명문(命門: 風門:귓구멍 주위의 골)이 광윤(光閏)하고, 外輪 內輪의 귀 갓이 분명하고 귀뿌리의 이수(耳垂) 혹은 L이타(耳朶)가 알맞게 두툼하고 뒤로 약간 젖혀진 듯한 것이 최상이다. 또한 혈색이나 기색이 선명하면 채청관이 잘되었다 하여 총명다재(聰明多才)하고 이해력이 깊고 넓어 사회계층의 상위에 진출할 운세다.

⊙귀는 인체생명 기공학상(氣功學上) 신장[콩팥]과 대응하여 음양상호작용을 한다. 그래서 귓불의 색깔로 건강상태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귓불 주위가 거무칙칙하고 윤기가 없으면 신장계통의 기능이 약해져 과로했거나 수면부족 피로가 쌓인 것으로 판단하다.

⊙귀의 전체 색깔이 불그스름하고 紅紫색의 광윤이 나면 혈액순환이 좋고 내장기관이 건강하다. 귀가 파란색의 기운이 감돌거나 하얗게 변색되면 빈혈증의 우려가 있다.  

⊙귀의 빛깔로 물질금전의 운세도 보는 데 불그스레한 홍윤색이면 활기가 넘쳐 금전의 수입과 지출이 왕성하고 부유해진다는 증거이고 검거나 赤黃색의 칙칙한 빛깔이 많으면 금전운이 좋지 않고 노력을 많이 해도 금전의 수입은 적다.

⊙귀의 색깔이 검거나 흑색이나 마른 낙엽처럼 부실 부실하게 깡마른 느낌이 들거나 검푸른 빛이 충일하면 직업이 없거나 건강이 허약해 일을 하지 못해 돈벌이를 못한다는 형색이다.

⊙귀의 천륜 지륜 인륜의 윤곽이 완만한 곡선으로 부드럽지 못하고 울퉁불퉁하거나 구겨진 느낌이 들고 좌측 귀와 우측 귀 모양이 비대칭으로 불균형이 심하면 어렸을 때부터 부모의 혜택이 적고 운세가 유동적이라 매사에 어려움이 많고 객지에서 고생할 운수이다.

⊙귀의 살집이 너무 엷거나 갈퀴나 짐승귀처럼 생겼으면 우선 흉상에 속한다.

⊙ 귀의 형상이 뒤집힌 듯 발랑 까졌으면 육친골육의 정이 얇아 천지의 복이 희박하거나 없어 부지런히 노력하나 재물과 食祿이 부족하다. 배우자의 운도 없으면 한평생 가난하고 단명할 수이다.  

 古傳 觀相詩에 귀의 윤곽이 분명하고 귓불이 두툼하면 仁義의 덕망이 있고 두 귀가 우뚝 솟아 힘이 있고 기색이 양호하면 光德의 학문이 밝아 그 이름이 사해에 떨쳐 한 평생 부귀와 총명이 넘친다고 전해온다.

 귀가 잘 생긴 길상이라도 좋은 눈과 코와 입의 상응된 운세가 약하면 전체적인 인생의 운은 약하다.

(4)입-입술-이
입을 출납관(出納官)이라 하여 입 속으로 들어오는 음식물을 씹고 저작(詛嚼)하여 입술 혀 치아 등과 함께 미각정보를 수행한다. 입은 몸을 보양하는 음식이 들어가는 출입문이고 생각과 느낌을 음성으로 표현하는 중요한 기관이니 출납관이라 한다. 입술의 모양은 활[弓]과 같은 형상으로 경계선이 분명하여 단정하고 긴장감이 돌고 색깔이 홍자색(紅紫色)을 띠면 좋다. 입을 벌리면 크고 둥글게 모난 방원(方圓)형으로 입안의 동굴이 깊고 그윽하며 오므리면 작은 모양이며 이는 희고 가지런한 배열로 아름다우면 출납관이 좋다고 할 수 있다.

⊙입술이 엷고 뾰족하며 긴장미가 없고 색깔이 검거나 푸르고 헤벌레하면 정신의 수양이 부족하고 매사에 의지력이 모자라고 각오와 결심이 없어 자기의 인생목표를 달성하기 힘들다.

(5)인중을 보는 법
 코 아래 윗입술 사이 골이 진 곳을 인중(人中)이라 한다. 인중은 정기와 수명 인내력 자손유무과다와 정신력의 흐름을 본다.  사람은 만물의 靈長으로 우주의 五運六氣를 받고 정신은 마음의 바다에 비유되어 六大洋의 水氣와 연결되고 골육은 山川江河오 연결되어 있어 인중은 신체의 강하를 상징하고 있다.

①인중의 상부는 좁으면서 하부로 넓게 깊게 쭉 뻗은 것이 상등이다. 직사각형이나 기둥형으로 뻗은 것은 中吉이고 역 사다리꼴로 엷게 퍼진 것은 하등이다.
②골 파인 것이 뚜렷하고 깊으면 재물의 출입이 빈다(頻多)하고 자손도 융성하고 정욕도 왕성하다.
③인중 사이에 가로금이 있거나 굽었거나 짧고 옅으면 운세가 잘 풀리지 않고 하는 일이 지지부진하다.

(6)상모면상(相貌面相) 머리전체 종합 - 머리-이마-머리털(상모)
오관 중에서 이목구비는 외부적으로 뚜렷한 특징의 기관으로 표출되어 분별하기 쉽지만 피부로 감지되는 촉각은 본인의 감각기관의 신경조직으로 접수되니 그 장단점에 대해서 알기 어렵다. 다만 살갗의 윤기나 색깔 등으로 구별하여 그 사람의 신체전반의 체격이나 체질을 참조하여 인상판단의 자료로 삼는다. 상모면상(相貌面相)의 머리전체를 종합하여 관상감정(觀相鑑定)하는 것이 얼굴 총론에 해당한다. 신체는 옷속에 감추었으므로 양이 되고 얼굴은 밖으로 드러나서 그 형체가 밝은 빛에 나타나므로 양이 된다. 그러므로 얼굴을 보고 보이지 않은 신체와 오장육부를 인체 대응 투시법으로 감정한다. 우주 천지만물이 전부 상대적으로 존재하는 대응의 법칙이 있으니 밖으로 나타난 얼굴을 보고 보이지 않는 심신의 잠재적 세계까지 천지자연의 도리에 비추어 그 원인과 결과를 소급하고 유추하여 사물의 오묘한 이치를 밝히는 것이 인상법과 인물감정법의 신비한 요체가 된다. 사람을 보는 데 우선 오관(眼耳鼻舌身)을 중심한 신체의 상부를 보고 다음 신체의 주요한 기관인 머리 및 상모와 눈, 코, 귀, 입 치아 피부 등을 비롯한 신체전체를 관찰하는 법을 기본으로 인상을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이상 오관이 모두 잘 생겼으면 평생 富貴兼全하고 사회적으로 상위 계층으로 상승할 확률이 높다. 오관이 다 잘 생긴 사람은 드물고 이중에 1-2관 3-4관이 잘 생긴 비율에 따라 10-20년 운은 족히 잘 풀려나간다. 오관 중 3관가지만 잘 갖추면 吉相에 속하며 후천적인 노력으로 평생에 부족함이 없이 보내고 시운을 잘 타면 대귀 대성할 수 있다. 나쁜 관상도 어느정도 수양하고 심상으로 노력하면 결점을 보완할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 운명을 바꾸기는 힘들다. 특별한 수행이나 능력을 개발하면 정신적으로 어느정도 보상이 가능하다. 정형수술이나 미용 화장 등으로 얼굴 모습을 고쳐도 근본적으로 자기운명을 개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3.삼정론
 얼굴의 상중하를 삼등분하는 삼정법(三停法)을 중심으로 판단하는 삼정론이 있다. 삼정은 얼굴을 횡으로 평균하여 삼등분하여 상부 중부 하부로 나누어 관찰하는 것이다.

①상부를 상정(上停) 혹은 천정(天停) 이라 하여 머리털이 난 발제(髮際) 부위를 경계로 이마를 포함하고 인당까지니 초년 운 부모의 슬하에 있는 기간을 지배하고 상정이 넓고 둥글고 불룩하게 나왔으면 어릴 때부터 총명하며 공부를 잘한다. 상정이 잘 생겼으면 부모와 상사의 덕이 있고 천혜(天惠)를 받을 수다.
②중부를 중정(中停) 혹은 인정(人停) 이라 하여 코뿌리가 시작하는 산근에서 준두(準頭:코끝)까지니 중년운을 지배하고 중정이 바르고 우뚝 솟았고 살집이 좋으면 중년에 부귀를 누리고 사업과 가정이 번창할 운세이다. 중정이 좋으면 형제자매와 친구 동료들의 원조와 도움이 많아 세상의 덕이 많다.
③하부를 하정(下停) 혹은 지정(地停) 이라 하여 코밑의 인중에서 지각(地閣)까지니 말년운을 지배한다. 하정이 모지고[떡 벌어지고] 두터우면 만년에 명성을 날리고 대성한다. 하정이 쑥 빼어났으면 자녀의 복과 손아래 부하나 후배 제자들의 도움이 많아 음덕(陰德)이 있다 한다.

4.사관(四官)의 형상 특징과 종류
사람의 얼굴을 보통 오관이라 하는 데 눈 코 입이 상하로 배열되고 좌우에 양 귀가 배치되어 사관이라 하고 오관은 얼굴전체의 형상과 감각의 수용체로 통합하여 면상(面相)으로 보아 오관이 된다. 그러나 眼鼻口耳가 뚜렷하게 면상에 배치되어 관상을 보는 데는 아주 중요하고 다시 그것을 통합하여 얼굴전체의 오관으로 보는 것이 관상감정의 중요한 포인터(Point)가 된다.

(1)눈의 형상특징과 종류 

 

 

 관상법의 인상판단 인물감정에 의한 눈의 각 부위 세부명칭 주요 부분 도해(解圖)

 

 

 「눈은 마음의 창」이라 하는 말이 있어 그 사람의 생각과 느낌과 감정이 어우러진 精氣神의 통합체로서의 마음이 몸밖으로 비쳐지는 심상체(心象體)의 통로로 눈이 된다. 잘 생긴 눈은 동공(瞳孔:눈동자)이 선명하고 검은 창과 흰 창이 분명하면 우선 외관적 상태가 양호하다. 충혈되거나 피로한 기색이 없이 맑은 느낌과 선량한 감각이 풍겨오면 善人의 상이라 할 수 있다. 눈에서 정기가 번뜩이며 안광에 빛이 나면 범인의 경지를 뛰어넘는 기백이 있고 흉중(胸中)에 대모(大謀)를 품고 있다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사람의 풍채와 언행이 장래에 선인으로 화할지 악인으로 화할지는 자기의 의지와 결심과 노력에 의한 심상에 따라 나타날 것이다.

[눈의 각부 명칭]
①안두(眼頭) : 눈 머리로 코의 山根 옆이다.
②용궁(龍宮) : 눈 머리의 흰창에 있는 불그스름한 부분이다.
③청(晴) : 검거나 푸른색 기운을 띄는 창이다.
④동공(瞳孔) : 검은 창 속의 작은 눈동자와 중심핵을 말한다.
⑤차륜(車輪) : 눈동자 안에 실같은 선이 바퀴모양의 형체를 띈 부분.
⑥황사(黃沙) : 검은 창 속에 비치는 모래알 같은 누른 점들의 모양.
⑦적근(赤筋) : 흰창 속에 비치는 붉은 힘줄의 모양.
⑧상파(上波) : 눈 뚜껑에 해당하는 윗 눈꺼풀의 접어지는 파도모양의 선
⑨하파(下波) : 아래 눈꺼풀의 접어지는 파도모양의 뚜껑
⑩안미(眼尾) : 눈 안 창의 꼬리부분
⑪어미(魚尾) : 눈꺼풀이 고기의 꼬리모양으로 주름지는 곳
⑫분심문(芬心紋) : 아래 눈꺼풀 하파에서 횡으로 주름지는 부분

 눈썹은 피(Blood)의 여분(餘分)으로 몸 속의 혈액기운이 밖으로 뻗어 나온 고체형상이므로 눈썹이 짙은 사람은 혈기가 세고 눈썹이 부드럽고 옅은 사람은 성정이 순한 사람으로 보면 대체로 성격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다. 성정(性情)이 거세고 성격이 과격한 사람이 후천적인 수양을 한다고 해도 성질의 본성은 변하지 않는다.눈썹이 짙고 길며 수술이 많으면 형제자매가 많고 성격도 다혈질이고 열정이 많아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처세를 하나 신중하지 못하고 인내심이 부족해 실수를 많이 한다. 눈썹이 곡선이 부드럽고 색깔도 연하면 성정이 온순하고 인정과 자비심이 많아 종교성이 풍부하다.       

[눈썹의 각부 명칭]
①미두(眉頭) : 인당의 옆 눈썹의 뿌리에 해당한다.
②미신(眉身) : 눈썹의 몸체나 허리에 해당한다.
③미각(眉角) : 눈썹의 위로 치켜 올라가다 아래로 살짝 각이 진 곳
④미미(眉尾) : 미각에서 눈썹이 마무리가 지는 꼬리에 해당한다.

(2)코의 형상특징과 종류

코를 말하며 코는 얼굴의 중앙에 위치하여 오행상 中央土에 해당하며 재백궁(財帛宮)이라 하여 금전이나 재산의 과다 유무를 판단한다. 남녀를 불문하고 美醜의 조건에서 코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하다. 코가 잘 생기고 복이 있으면 얼굴전체 돋보이는 경우가 많으나 반드시 코 하나만 보고 인상을 감정하는 것은 그릇 판단할 위험이 있다. 코의 생김새와 굴곡의 정도와 형상을 보고 그 사람 자신의 의지나 신념 용기와 자신감을 측정하고 담력이나 배짱의 유무를 측정하기도 한다. 또한 남녀 공히 미추(美醜)의 기준을 삼는 데 코는 중요한 포인터(Point)가 되고 평생 운수의 幸不幸의 변화를 관찰하고 질병유무의 기색도 살피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코는 얼굴의 중앙에 배치되어 오행상 黃土에 해당하여 내장기관의 脾胃와 상응하여 통기하고, 면상의 몸體가 되나 용법상으로 호흡기인 폐장과 氣通하여 西方金과 상호 土生金하는 이치로 비위와 코와 허파가 좋으면 무병장수할 상이다.
①산근(山根) : 두눈 사이 인당에서 코잔등의 뿌리가 시작되는 곳
②년상(年上) : 산근 바로 밑의 콧등[비량:鼻樑]의 가는 부분
③년수(年壽) : 연상 바로 밑의 콧등[비량:鼻樑]의 굵은 부분
④준두(準頭) : 연수 바로 밑의 코끝[비단:鼻端] 뭉텅한 곳
⑤좌신(左身) : 코 잔등의 좌측 경사진 부분으로 右肺의 기능과 상응한다.
⑥우신(右身) : 코 잔등의 좌측 경사진 부분으로 左肺의 기능과 상응한다.
⑦난대(蘭臺) : 준두의 왼쪽 콧구멍 뚜껑에 해당하는 부분.
⑧정위(廷尉) : 준두의 오른 쪽 콧구멍 뚜껑에 해당하는 부분.
★蘭臺 廷尉를 각각 金櫃 甲櫃로 부르기도 하는 데 모두가 금전이나 재물을 표현하는 財運星의 의미가 있다. 전통적으로 코의 전체 모양이 곰의 쓸개를 꺼꾸로 매달아 놓은 모양을 상징하는 현담(懸膽)의 형상을 한 것이 좋은 코라 한다. 즉 돈과 명예와 재물이 많은 사람은 코의 생김새가 현담을 닮으면 "좋은 재백궁이다"는 말이다.  

(3)입의 형상특징과 종류
얼굴전체가 혼백영체(魂魄靈體)가 한데 어우러진 「마음의 동굴」이라면 입은 오장육부가 몸체로 변전된 「육신의 동굴」이라 할 수 있다. 즉 입과 입술 혀의 상태로 육신의 내면에 감추어진 내장의 건강상태와 언어와 대화의 상징인 정신의 능력을 감정할 수 있다. 상하입술의 균형이 잡혀있고 다른 3관의 눈과 코와 귀와 조화를 이루어 얼굴 전체의 모양에 진선미(眞善美)적 감각을 풍기며 좋은 인상을 주면 잘 생긴 입이라 할 수 있다.

①인중(人中) : 코밑에서 윗입술 중앙까지 쭉 골이진 구(溝)배진 길이다.
②상순(上脣) : 윗입술을 말한다.
③하순(下脣) : 아랫입술을 말한다.
④구가(口角) : 윗입술의 끝 부분 경계선
⑤해각(海角) : 아랫입술의 끝 부분 경계선

 

 

(4)귀의 형상특징과 종류
  
귀는 주택의 울타리에 해당하고 성곽에 해당하며 사회조직의 전기 전화 통신의 수단과 같아서 채청관(採聽官)이라 한다. 귀는 얼굴 전체에 균형을 잡아주는 외곽의 보호벽과 같으니 용모와 풍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부(臟腑)로는 신수기(腎水氣)에 속해 신기가 강하면 귀가 잘 들리고 신수의 콩팥기운이 약하면 영양흡수 소화배출에 문제가 생긴다. 귀는 두텁고 단단하고 전체의 크기와 모양이 얼굴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좋고 색깔도 선명하게 깨끗하며 건강한 윤기가 나면 장수할 상이다. 귀가 너무 작거나 위축되어 쭈그러지거나 뒤집히고 못생겼으면 운세가 약하여 부모의 도움이 미약하고 단명하거나 평생 고생이 많고 빈천할 상이다. 그런 귀라도 본인이 단점을 자각하고 운명을 개척하면 어느 정도까지 운세가 좋아질 수 있다.
  귀의 운세는 남자의 왼쪽 귀는 1-7세까지 담당하고 오른 쪽 귀는 8-14세까지 이어간다. 여자는 남자와 반대로 본다. 귀는 전체 얼굴에서 외관상  5%정도의 운세를 담당하나 잠재적으로 사람의 인상판단에 그 이상의 역할을 하는 수가 많다. 남자에게는 귀보다는 코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하나 여자에게는 귀가 상당히 중요하다. 여자에게 귀와 입은 빈부귀천의 가문출신을 추정하는 자료가 되고 남편복과 자식복을 헤아리는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귀의 각 부분 명칭과 인상학적 의미 해석
①천륜(天輪) : 귀의 바깥 外輪으로 천지자연의 혜택과 조상의 가문 내력이나 시공적 잠재능력을 판단한다.

보통 귓바퀴로 이해되며 귀를 제일 밖에서 보호하니 天地의 天에 해당한다.

②인륜(人輪) : 속귀 안쪽에 불거진 內輪으로 中輪에 해당하며 각 개인의 심신능력과 주체성 용기 자신감 행동력을 판단한다. 귓속과 접속하여 사람의 청력과 이해력을 담당한다.

③지륜(地輪) : 귀바퀴 안쪽의 움푹 파인 하부에서 밑으로 불거진 귓밥과 연결된 下輪으로 주거환경이나 가까운 친척 가족의 조건 영향을 감정한다. 귓바퀴의 아래쪽으로 天地의 地에 해당한다. 땅이 두툼한 것처럼 귓밥 부위에 해당하니 귓전[귀의 전각(殿閣)]이나 난간(欄干)에 해당한다.

④이현(耳弦) : 관골에서 뻗어 나와 귓구멍을 덮고 있는 반달모양의 불거진 살집으로 개인의 자부심이나 자아적 고집이나 건강상태를 판단한다. 귓불이라고도 하는 데 인륜과 서로 상응하여 개인의 주체성과 의지력의 대소강약을 판단한다.

⑤명문(命門) : 귓구멍의 동굴을 지칭하며 사람의 수명과 청력상태 사상과 감정의 깊이를 측정한다. 명문은 바로 귓구멍과 통하니 밖의 소리와 진동이 안으로 전파되는 음파의 동굴이라 할 수 있다.

⑥풍문(風門) : 귓구멍의 동굴주위의 움푹한 골짜기를 지칭하며 생각과 활동력의 범위를 측정한다. 귀구멍의 동굴이 넓고 듬직하면 남의 말을 잘 이해하고 생각이 깊어 심모원려(沈謀遠慮)의 지모가 있어 유능한 참모가 되거나 책략가의 소질이 있다. 
⑦이수(耳垂) : 귓밥의 한자말로 아래쪽으로 늘어진 귓밥이라 할 수 있다. 귓밥이 크면 인자하다고 한다. 이수에서 이타까지 귓밥이 쭉 늘어져서 氣色運相이 좋으면 부모나 유산을 많이 받고 숨겨진 조상의 暗藏된 재산이 나중에 자기 것으로 될 운수다.
⑧이타(耳朶) : 귓밥의 하단부 쭉 늘어진 부분으로 보통 부처나 보살상의 불상의 형상에 두드러지게 불거진 부분으로 福田이나 자비의 상징으로 이수와 이타가 크게 늘어진 사람은 마음이 풍족하고 동정심이 많다고 평한다.
⑨이근(耳根) 귓뿌리에 해당하며 귀와 얼굴이 단단하게 붙어있는 상태를 보고 귀의 전체모양과 얼굴과의 균형감각을 살펴본다.⑩이륜(耳輪): 귀 바퀴를 말하며 천륜 지륜 인륜의 제일 바깥 경계선의 테두리를 맗나다. 귀바퀴의 전체적인 윤곽과 모양은 사람의 대할 때 가장 뚜렷하세 각인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빈부귀천의 인상을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

 

 

 

 

 

 

 


◈귀바퀴 상부가 발달한 자는 심성질(心性質)의 기질이 농후(濃厚)하여 이지적(理智的)인 성격이 강하여 "소위 귀가 큰 자는 남의 말을 잘 이해한다"는 속설처럼 이해심이 많고 아량이 넓어 관용심이 풍부하다. 단 남의 말을 잘 들어 손해를 보거나 속임수에 잘 넘어간다는 평은 그 사람의 수양과 학식과 경험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귀바퀴 중부가 발달한 자는 근골질(筋骨質)의 체질이 많아 활동적(活動的)인 성격이 강하여 신체가 강건하고 동작이 빨라 운동 스포츠 분야에 특기가 있다.
◈귀바퀴 하부가 발달한 자는 영양질(營養質)의 신체가 많아 감성적(感性的)인 기질과 성격이 강하여 사상과 감정이 풍부하여 원만한 개성에 여러 사람을 두루 잘 사귀는 교제 처세 능력이 뛰어나고 예능적 잠재력이 많다.

피 감정자의 얼굴에 혈색이 건강하고 기색이 좋으며 이현의 근육 언저리에 은은한 윤빛이 나면 가까운 장래에 시험의 합격이나 승진이 발생하고 사업의 확장 개업이나 금전의 수입 계약의 성사 등 반가운 사람을 만나고 좋은 소식이 들려오고 心身運數가 피어나는 징조이다.

5.육부론
 
육부는 두 천창(天倉:하늘의 창고)과 두 관골(觀骨)과 두 이골(한자 턱이-骨: 턱 주위 좌우골)을 말하는 데 이 육부가 중앙코를 향해 서로 도우고 바라보고 副應하면 대길하고 제각기 서로 어긋나며 균형이 깨지고 낮으면 흉상이다. 천창은 이마의 중심에서 양옆과 눈썹까지의 부분을 말하며 관골은 눈아래 상하로 뺨위의 뼈와 살집 부분을 말하고, 좌우는 눈에서부터 命門 호이(虎耳)까지 걸친다. 이골은 귀밑에서 턱 입까지 걸친 뼈를 말하고 호이에서 지각(地閣)까지의 살집부분이 이골부위다. 육부는 둥그스름하고 불룩하며 얼굴전체가 꽉차고 꺼진 곳이나 흉터나 자국이 없으면 우선 보기에 좋고 관상의 풍채도 원만하다. 천창의 보골(輔骨)이 솟았으면 재복[산림 부동산 건물] 이 있고 머리가 좋으면 대귀하고 출세할 상이며 관골이 우뚝하면 권세나 지위가 높아지면 지각이 방후(方厚)하면 만년에 자식복이 있고 넓은 집에 살며 수하에 거느리는 사람이 많다.

6.십이학당

얼굴에 4학당과 8학당이 있으니 합하여 12학당이라 한다. 사람은 배우는 존재로써 학문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학당의 활동을 중요한 인간능력 판단자료로 삼는다. 인간능력의 활동부위를 나타내는 학당은 얼굴에 집중되어 있어 4학당과 8학당을 잘 살펴보고 인상을 감정한다.

(1)4학당
①눈을 관학당(官學堂)이라하여 눈이 길고 눈동자의 흰창 검은창이 선명하고 총기(聰氣)가 빛나면 청수(淸秀)의 기운이 빼어나서 학문에 뛰어나고 관직에 나갈 운세이며 사회생활의 상위직에 진출할 수 있다.  
②이마는 녹학당(祿學堂)이니 넓고 불룩하면 天福이 있고 관직에 출세할 운과 총명하여 壽福을 누린다.
③치아(齒牙)은 內學堂이니 잇발이 반듯하고 가지런하면 內因적 건강이 좋고 충효와 신의가 있다. 잇사이에 공간이 많거나 치아가 고르지 못하며 엉성하거나 짧고 못생겼으면 성실성이 부족하고 엉뚱한 짓을 하는 수가 있다.  
④귀앞을 外學堂이라하니 이곳이 풍만하고 윤기가 있으면 사교술이 좋으며 언변이 좋고 외교처세에 능해 재물을 모으는 재주가 있다.

(2)8학당
①머리는 고명학당(高明學堂)이니 둥글고 높이 솟고 윤기가 나면 머리가 영민(英敏)하고 생각이 넓고 깊으며 비뚤어지고 납작하며 기색이 흐리면 어리석고 둔하며 생각이 얕고 모자란다.
②액각(額角)의 양 이마 옆은 고광(高廣)학당이니 骨과 살집이 솟고 불룩하면 기백이 있고, 윤택이 나면 총명하다. 반대로 골이 낮고 꺼진 듯하며 우중충한 느낌이 들면 소심하고 용맹이 없으며 남이 하는 대로 따라한다.  
③인당은 光大학당이니 거울처럼 깨끗하고 볼록하게 넓으면 학문을 성취하여 박사까지 이르고 전문가가 될 수 있다. 눈이 밝고 이마와 골이 잘 생긴 사람은 영감(靈感:Inspiration)이나 지혜가 뛰어나고 역사적 발견이나 발명까지 할 수 있다. 인당이 푹 꺼지고 색깔이 어둡거나 흉터나 주름살이 있으면 사고력이 열등하여 평범하거나 보통이하이다.
④눈동자는 명수(明秀)학당이니 검은창이 많고 흰창이 적어야 하고 광채가 나면 총명다예(聰明多藝)하고 흐리면 어리석고 소심하다.
⑤귀는 聰明학당이니 귀윤곽[耳輪]이 분명하고 색상이 선명하면 슬기롭고 재주가 있으며 검거나 누르면 행동이 아둔(Dull, Stupid)하고 매사에 남에게 뒤떨어진다.
⑥이는 충신(忠信)학당이니 위 아랫이가 가지런하고 빈틈이 없고 희거나 푸르스름한 윤색이 나면 사람이 신실하고 믿음성이 있으며 사상적인 신앙심이 강하고 건강도 양호하다.
⑦혀는 광덕(光德)학당이니 혀바닥이 길고 붉으며 생기가 돌면 변설이 좋아 언어감각이 뛰어나고 생각도 깊고 융통성이 있다. 혀끝이 코끝까지 닿으면 언론과 토론 연설에 능숙하여 가히 천만사람을 움직이는 대 웅변가가 될 수 있다.
⑧눈썹은 기룡(氣湧)학당이니 액면(顔面)의 기공력(氣功力)이 용출(湧出)하는 곳이니 눈썹의 모양이 남자는 반달같고 여자는 초생달같으면 상급의 형상이다. 눈썹의 털이 부드럽고 가지런하면 형제자매사이 인정이 많고 의리가 있으며 억세고 짙으면 성질이 급하고 안정성이 부족하다. 눈썹의 전체모양이 한데 어우러져 정돈되고 미색(眉色)이 청수하면 기품과 신용이 있으며 매사에 관찰력이 예민하고 일을 처리하는 데 허점이 없다.

제2장 : 오관 및 사지백체 기관 조직 세부상설

1.근육-피부-살결
근육은 골격신체를 감싸는 기공 주머니에 해당하고 근육의 소질(素質)은 피부 살갗이므로 혈색이 담홍색으로 은은하게 비치며 기색에 홍윤색(黃潤色)의 기상이 돌고 탄력이 있으면 최상의 피부라 할 수 있다.

2.몸체-외형-미추(美醜)
(1)한국의 전통미인 조건
①삼백(三白)-여자의 살결 치아 손의 부드럽고 희고 생기가 있는 기색이다.
②삼흑(三黑)-여자의 눈동자 눈썹 속눈썹이 검고 빛난다.
③삼홍(三紅)-입술 볼 손톱이 홍자색(紅紫色)의 붉은 기운이 감돈다.
④삼협(三狹)-입 허리 발목이 가늘고 유연하다.
(2)현대적인 미인 조건
①전통적인 고전미보다는 서구적인 미인의 외형적인 모습을 중시한다.
②서구형 미인의 표준형은 그리스 로마의 조각상에 나타나는 팔등신을 기준으로 한다.
③서구유럽의 미인대회나 배우 탈랜트(Talent)의 모델을 모방하는 미인형이 유행한다.
④얼굴의 미모와 함께 육체미나 성적인 감각을 중시하는 몸체의 형태나 굴곡을 중시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⑤신체적인 외형을 중시하나 내면적인 예의범절 교양미나 세련된 행동 재능이나 특기도 함께 참조하는 진선미를 추구한다.

3.사지배체 신체골격 인체형상 체형감정

오관을 중심으로 신체의 상부를 보고 관찰하는 법을 기본으로 얼굴의 상중하를 삼등분하는 삼정법(三停法)을 중심으로 판단한다. 옛날에는 무예를 통한 殺生공격 기술의 연마숙달도의 우열이나 학문수양을 통한 과거급제 등의 한문경서 詩文실력이 벼슬과 출세하는 방편이 되어, 표면적인 용모나 풍채를 보고 身言書判 위주의 인물감정으로, 사람의 됨됨이를 판정했으나 현대에 와서는 산업기술문명과 스포츠 운동분야와 언론매체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간의 능력이 다양하게 개발됨에 따라, 얼굴위주의 두뇌능력은 물론, 사지백체 온 몸 전체 신체골격의 구조와 잠재적 능력을 인체형상학적으로 관찰하는 체형감정이 인물판단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동의보감에 「남자는 陽이고 여자는 陰이며 남자는 天氣가 성하고 여자는 地氣가 성하다」라고 소개되어 있다. 여기서 남자의 천기는 하늘의 기운으로 주로 정신적인 요소를 말하고 여자의 지기는 물질적인 요소를 말하여 남자는 思想이나 학문과 기술과 건설 등을 주로 담당하고 여자는 땅에서 생산되는 물질의 변화나 음식이나 요리  분야와 상품제조나 장식이나 가공에 재능을 발휘한다는 것이다. 즉 남녀는 자기의 인체형상에 맞게 일을 하고 체질에 따라 자기 전공분야와 소질개발이 다르다는 것이다.

(1)남자의 체형감정
 인체형상의 체형감정은 신체적 특징을 기초로 사람의 운명과 재능의 소질을 판단한다. 남자는 역삼각형 구도로 어깨가 듬직하고 상체가 발달하여 얼굴중심의 코가 잘생긴 氣質위주가 좋은 체형이다. 남자는 하체보다 상체에 중점을 주어 관찰한다.

⊙ 남자는 상체와 균등하게 하복부가 발달해야 배짱이 있고 대담한 성격에 용기와 자신감이 뛰어난다.

⊙코가 잘 생긴 남성은 주관과 신념이 뚜렷하고 수신제가 치국평천하의 기개가 있으며 사회생활을 잘하여 부귀와 총명을 발휘할 수 있다. 코가 잘 생긴다는 것은 꼭 미남형이 아니라도 자기의 얼굴에 알맞은 개성적인 코를 말하는 것이다.

⊙남자의 피부는 검붉으며 거친 면이 있어야 건강체질이다. 남자의 피부가 여자의 피부처럼 흰 빛이 많으면 기허(氣虛)하여 병약체질로 진취력이 부족하고 외부온도의 변화에 내구력이 약하다.

(2)여자의 체형감정
여자는 삼각형 구도로 어깨의 곡선이 부드럽고 유연하며 상체는 알맞게 통통한 적은 골격에 얼굴하부의 입이 잘생긴 血液위주가 좋은 체형이다. 즉 여자는 상체보다 하체에 중점을 두어 관찰한다.

⊙몸체에 비해 머리는 작은 듯 아담하고 눈이 청명하고 입이 단정하고 잘생기면 상등이다. 몸체는 유연하게 쭉 빠지면 예술적 미감은 있으나 재운은 약하며 오히려 살집이 풍만하며 통통한 체격은 재물 복이 강하다.

⊙여자는 가슴과 엉덩이가 적당하게 굴곡이 져서 전체적으로 풍만한 체형이 생식의 능력과 색정이 발달한다.

⊙입이 잘 생긴 여성은 현모양처형으로 남편의 사랑을 받고 자녀의 융성을 도모하며 일가친척간에 신뢰가 있다. 여자가 남자의 얼굴형을 닮아 네모지거나 선이 굵으면 남자의 직업과 경쟁하며 사회적 활동을 많이 하면 혈액보다는 기질위주 남성형 체질이기 때문이다.  

⊙여자의 피부는 희고 부드러우며 윤기가 있어야 색정적인 면이 강하고 인내심과 지구력이 강하다. 여자의 피부가 남성처럼 검붉은 면이 많으면 고생을 많이 하거나 사회적 활동을 많이 하는 사람이다.

4.내장기관 세포조직 유전인자
인물을 감정하는 데는 외면적인 인상의 느낌이나 표면적인 심신행동의 변화도 중요한 요소로 인정되지만 근본적으로 사람의 인체는 내장기관의 오장육부 구조나 세포조직의 유전인자에 의해, 생리 심리 정신작용이 그 근본원인이 됨으로 사람의 전반적인 능력의 가능성을 감정하기 위해서는, 각종 심신능력의 검사테스트와 의학적 건강상태와 유전학적 인자도 참작하여 인물을 판단하면 더욱 더 심층적인 깊이로 정확하게 알 수 있다.

5.얼굴로 보는 오장육부 내장기관 건강상태 감정법

 

 

 

 

 

 

 

 

 

 

 

얼굴은 얼[혼백의 얼개: Soul Spirit]의 동굴이요 내장기관이 밖으로 나타난 양의 형상이다. 그러므로 오장육부가 중심이 된 내장기관은 음으로 몸 속에 감추어진 얼의 동굴이라면 표면에 보이는 얼굴면상은 내장기관과 음양상응의 대칭관계를 형성한다. 얼굴기관의 오관상태를 관찰하여 몸 속의 건강상태를 판단하여 그 사람의 운명의 변화와 장래에 일어날 일을 추리 예언할 수가 있다.

오관

오행

오장

육부

내장기관

방향기색

 祥瑞靈物

건강상태 감정 치료법

눈-眼

木性

肝臟

膽囊

眉間印堂

東方靑色

靑龍

瞳孔 검은창 흰창의 색깔 점검

귀-耳

水性

腎臟

膀胱

下焦

北方黑色

玄武

三輪의 天人地輪의 모양과 균형

코-鼻孔

金性

肺臟

大腸

丹核中焦

西方白色

白虎

관상학적으로 코의 형상은 중앙토

입-口

土性

脾臟

胃臟

丹田中焦

中央黃色

勾陳騰蛇

입술의 모양과 빛갈 경계선 윤택도

혀-舌

火性

心臟

小腸

命門上焦

南方赤色

朱雀

입안 동굴의 형상과 혀의 대소빛깔

면상
피부
전체

 

얼굴전체의 윤곽과 形相 image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靈的慧眼의 透視術로 운세를 감정한다.

 

얼의 동굴에 피어오르는상서영물의 형상을 참조

 

붉은 색

발열현상

과열성 피부열 해소는: 녹두 치자의 冷性해독처방

황색

피로누적

혈액불순의 냉성피부는 인삼녹용의 熱性처방으로 냉기를 중화시킴

푸른 색

驚氣
놀람 발작

거칠고 메마른 피부는 율무로 수분공급, 종양 및 부스럼에는 냉성의 알로에로 해독 진정효과

⊙옆구리와 겨드랑이의 점검---肝膽의 내장기운에 따라 옆구리와 겨드랑이의 건강상태가 결정된다.
⊙살갗 피부의 점검---脾胃의 건강상태는 살갗 피부에 나타난다.
⊙근육의 양호도 측정---肝의 건강상태에 따라 근육의 강약과 힘이 결정된다.

(1)네모형▩ 혹은 마름모형 얼굴
氣科체질로 부지런한 성품에 실질을 중시하고 근면성실하고 좌고우면(左雇右眄)하지 않고 자기의 목표를 향하여 앞만 보고 달리는 기질이다. 虛氣가 필요 없이 몸 속에 과다하게 쌓이면, 가슴부위가 더부룩하며 체한 듯이 아프고 배와 옆구리 허리 쪽에 통증이 오며, 건강의 밸런스가 맞지 않기 때문에 계속 활동하는 것이 오히려 건강의 유지와 신진대사에 좋다. 기과 체질은 기가 過多하거나 氣虛하면 건강에 Unbalance가 오기 때문에 항상 기의 운행과 혈맥을 순행시키는 것이 건강을 역동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항상 부지런하게 활동하는 것이 건강을 유지시키는 비결이다.  

(2)둥근형  얼굴
精科체질로 骨筋보다는 살집이 많은 형으로 통통하게 살이 찐 모습으로 성격이 명랑하고 낙천성이 풍부하고 비위가 강건하여 아무 음식이나 잘 먹고 소화력도 왕성하다. 뼈와 근육이 물러서 식중독에 약하여 몸이 잘 붓고 류머티스나 관절염 당뇨병 같은 혈액순환계의 질병에 유의해야 한다.

(3)삼각형 얼굴 혹은 역삼각형  얼굴
얼굴이 세모진 삼각형은 腦科형으로 지식축적과 기술형에 적합하여 남녀가 공히 세심하고 민감한 성격에 꼼꼼하며 자상하다.

역삼각형은 神科형으로 선천적으로 머리가 좋은 사람이 많으며 예술적 감각도 풍부하고 성격이 예민하며 사물에 대한 관찰력이 뛰어난다. 신경을 많이 써 신경계통의 질병이 발생할 확률이 많으니 자연요법을 사용하여 마음의 수양을 도모하여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4)타원형 0 얼굴
타원형이나 좁은 직사각형으로 얼굴이 갸름한 사람은 血科형으로 혈액과 맥박으로 인한 질병이 오기 쉽다. 신선한 血虛현상으로 두통이나 생리불순 혈맥이 막히는 어혈증(瘀血症)에 주의해야한다.

血科 形相은 조용한 성품에 내성적이며 남자라도 여성적인 이미지가 많이 풍긴다. 감성이 풍부하여 예술이나 기예 요리 장식 도안에 취미와 소질이 많고 대외적으로 소심하고 부끄러워하는 기질이 있다. 예의범절이 있어 언행에 절도와 세련미가 있다. 悲感적인 심성에 생각은 많으나 행동력이 약하다. 소규모의 일에 민감하게 대처하고 성실하게 절약하는 알뜰형으로 차분하게 일을 하여 실수가 적다. 한가지에 집착한다든지 안목과 식견이 좁아 활달한 면이 부족하나 내면적 경쟁심이나 승부욕은 강하다. 가정적이고 부드러운 성품에 아기자기한 면도 있고 자기분야에 정통한 전문가 기질이 있으나 개방적인 다양성과 융통성이 부족하여 대인관계에 답답하고 심사숙고하고 눈치를 부며 속으로 타산을 하는 처세는 남에게 짜증스런 인상을 느끼게 한다.

 제3장 : 전통 관상법의 십이궁 관찰과 인물감정법
             
12궁 얼굴 면상 인체투시 감정부위도
 

 

 

 

 

 

 

 

 

 

 

 

 

 

 

 

 

 

 

 

 

   관상은 항시 변화한다. 사람의 얼굴은 얼(魂을 가진 마음의 얼킨 덩어리:The Soul of the Mind)을 가진 마음의 동굴에서 나오는 기공력(氣功力:The Spirit Power of the Ether)의 변동상태에 따라 과거의 고정된 불변상과 현재와 미래의 변화상에 따라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그래서 관상은 고정된 운명이 아니라 항상 시시각각 움직이고 바뀌는 변화상이다.
 사주나 궁합 같은 경우는 태어난 생년월일시에 따라 고정된 형태로 움직여지나 관상은 항시 변화하며 내 의지에 따라 변화시킬 수도 있다.이 말은 바꾸어 말하면 좋은 인상으로 즉 좋은 관상으로 변모시켜 내 운의 흐름을 좋은 쪽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이 때문에 좋은 관상을 아는 것은 중요하다. 매일의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심신의 변화가 나의 생각과 행동과 의식을 변화시켜 운명이 생성소멸되어 가는 것이다. 오늘날의 조그마한 변화가 나의 앞날을 창조하고운명을 변화시켜 인생의 생사와 길흉화복을 만들어 나가면 이러한 불변상과 변화상 속에서 나의 운명을 감지하고 예측하는 능력이 생기는 것이다.
  얼굴은 나의 모든 것과 같다. 내 마음의 변화에서부터 시운의 흐름과 앞으로 닥칠 미래의 예상과 징조를 미리 나타나기 때문에 앞날에 일어날 길흉화복을 예측하고 예언할 수 있다. 내 마음의 상태에 생각의 흐름과 의식의 방향에 따라 얼굴의 안색과 찰색이 달라져 보이는 것이 이 모든 천지기운의 변화와 상통한다. 마음이 편안할 때는 다른 이들이 보기에도 편안해 보이며 내 마음이 불편할 때에는 다른 이들의 눈에도 불안해 보인다. 간단히 말하면 얼굴을 보는 법이 바로 관상이고 관상을 통해 기공학적으로 사람의 마음을 읽고 그 사람의 인격전체를 운명학적 예언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얼굴의 요소요소를 주목하여 보게되면 생각과 느낌의 흐름이 마음의 영상에 각인되어 앞날의 행위가 결정되어 나간다. 관상과 찰색의 형상 이미지 흐름이 모두 영상으로 보이게 되니 얼굴의 요소요소를 미리 관찰하고 앞으로 일어날 일의 현상과 징조기미를 미리 알아 미래에 일어날 일의 변화에 밀 대처하는 것이 관상을 보는 목적이라 하겠다. 관상학에 있어 중요하게 보는 12궁의 위치를 살피고 그 의미를 알아보자.

1.관록궁(官祿宮)
관록궁은 이마 전체를 보고 관상 세부명칭에 해당하는 天中 天庭 司空 中正 등을 세밀히 관찰하여 기색을 살피고 특히 이마 한 가운데의 중앙부위를 잘 살핀다. 관록궁은 윗사람의 신용 父祖의 家運 운세 유산의 유무, 관운과 출세 직업의 선택, 재판의 시비언쟁, 아랫사람의 덕망 등을 판정한다.

(1)관록궁
  관록궁의 위치는 이마의 중앙 상단부 천중 천정 사공을 중심으로 그 주위의 이마의 모양과 찰색의 기색운을 관찰하여 그 사람의 과거 현재 미래운의 종합적인 역량을 판단하는 아주 중요한 위치다. 관록이란 관직의 俸祿을 받는 직업이란 의미로 현대어로는 공무원에 해당하며 國公祿을 받는 공공기업체의 관리직을 담당하는 것이다.
  관록궁만 보는 것이 아니라 이마 전체를 동시에 관찰하며 그 한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하좌우를 함께 감정한다. 이 곳에 나타나는 찰색의 기운과 얼굴에서 풍겨나는 인상의 매력이나 흡인력을 참고하여 입신양명에 관한 내용의 장래 운세 예언한다. 즉 직업의 운이나 명예 등을 살펴보게 되는데 피감정자 자신이 정한 목표가 앞으로 달성될 것인지의 성공 실패여부를 판단하여 예언한다.
  이마의 상부가 볼록하고 높이 솟은 듯하며 色氣[察色의 氣運]가 좋은 사람은 두뇌의 사고력이 영민하며 이상이 높고 학식과 경험이 뛰어나며 평생의 운세가 강하여 입신출세의 가도를 순탄하게 달릴 가능성이 많다는 것이다.관록궁이 양호한 사람은 자신의 노력에 의한 자수성가도 이룩하고 주위의 도움을 받아 유망한 자리를 쉽게 확보하여 운세가 상승하면 상사나 知人으로부터 추천과 지원을 받아 점점 높은 관록의 지위를 밟아 올라가 마침내 최고의 지위까지 도달하여 많은 관록을 받고 권세와 명예까지 쥘 수 있다. 보통 사회적으로 출세한 사람들의 이마가 반듯하며 둥그스름하게 발달하여 고관대작의 지위에 오른 사람은 대부분 관골이 좋은 모양을 하고 있다.
  고대나 중세 근대에 걸쳐서 옛날에는 십중팔구 상위직의 관리들은 이마가 잘생기고 우뚝하나 현대에 와서는 기계문명의 기술정보화시대로 접어들어서는 시대적 판단기준이 변천되어 관록궁이 잘생기지 않은 사람도 출세하는 사람이 많은 데 이것은 외모의 美醜보다도 내면적인 기술적 실력 즉 두뇌개발의 차이에 따라 정신적인 능력이 보다 더 많이 사람의 출세 주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관록궁이 좋고 얼굴의 다른 12부의 상태가 好條件이 많은 사람은 조상의 유업이나 부모복을 많이 타고 주위의 친지나 이웃 동료들의 도움도 받고 상사의 인정을 받아 신용과 명예를 함께 향유하여 성공할 확률이 많다.

2.명궁(命宮)
  
명궁은 눈과 눈사이를 말하며 그 중앙을 印堂이라 하니 중정의 아래요 山根의 위다. 이 곳을 보고 선천적 운명이나 학식 직업 희망을 보고 본인의 의지력 결심의 强度 등을 참작하고 심층적으로 미래에 대한 투시 관찰력과 영감의 발휘 유무등 영적 능력을 판정한다. 명궁의 위치는 두 눈썹과 눈썹의 사이 즉 양미간으로 콧등을 타고 올라간 눈썹 사이에 위치한 곳으로 인체 생리 氣功學에서 印堂이라고 말하며 觀相學에서는 命宮이라 한다. 이 자리는 관상을 보는 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자리로 그 어떠한 것들보다도 우선 시 된다. 이는 面相 인체투시도에서 가슴에 위치되는 부위로 사람의 운명을 감정할 때 내공력의 중심에 해당하는 중요한 자리이다.
  단학에서는 상단전이 있는 곳으로 전두엽에서 창조적 아이디어가 발생하는, 人體內氣의 영적인 혜안이 자리잡고, 심안(心眼:Mind's eye)이 작동하는 곳으로 사람의 잠재적인 기운이 인체의 외부 五運六氣와 상통하는 곳으로 관상의 운세가 시시각각으로 변화되는 바로미터(Barometer)이다. 그러므로 사람을 바로 보고 관찰하는 아주 중요한 자리로 鑑定者가  피감정자의 내면적인 정신세계를 독심술로 MIND READING하고 중심점이다. 감정자는 상대방의 명궁을 지긋이 바라보며 한동안 응시하면 어느덧 순간적인 영감이 떠오르기도 하는 곳이다. 얼굴의 모양에 나타나는 형상도 중요하지만 만물이 색깔로 자기의 존재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살갗의 색깔도 잘 관찰하여 피부 겉의 찰색 빛깔과 속에 잠재되어 있는 內氣의 暗藏色를 조합해서 판단해야 앞날의 운세변화를  정확하게 예언할 수 있다.
  좋은 명궁은 은은한 광채가 나는 것이 좋으며 이 자리가 좋으면 평생의 운이 좋다고 본다. 나쁜 일이 생기기 전에는 이 자리의 빛이 어두워지며 그 색깔에 따라서도 凶殺의 어두운 기가 비치면 어떠한 액운이 닥쳐올지 가늠할 수 있다. 눈과 눈 사이 코 잔등이 시작하는 곳을 산맥이 시작하는 山根이라 하여 인당과 함께 종합적으로 감정한다. 명궁은 人體內氣가 몸밖으로 영적인 교신을 하는 자리로 온몸의 기운이 명궁으로 응집되어 준두에서 기색이 발현되기 때문에 생명의 神命줄이 운세의 변화에 따라 길흉화복 기미징조(機微徵兆)의 前兆가 시시각각으로 현현(顯現)하는 심령투시거울에 해당하기 곳으로 운명을 투시 예언하는 데는 아주 중요한 곳이다.

3.재백궁(財帛宮)
  
재백궁은 코를 말하며 코는 얼굴의 중앙에 위치하여 오행상 中央土에 해당하며 그 사람 자신의 의지와 신념 배짱의 강약을 보고 재산의 유무를 판단하니 재백궁이라 한다. 또한 남녀 공히 미추(美醜)의 기준을 삼는 데 코는 중요한 포인터(Point)가 되고 평생 운수의 幸不幸의 변화를 관찰하고 질병유무의 기색도 살피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이 궁은 그 사람의 재산이나 금전적인 富의 유무를 판단하는 위치로써 정신적인 자산보다 물질적인 유형의 재물을 판단한다. 또한 인체에서는 생각이나 사상보다는 정력적인 에너지의 체력을 많아 참조한다. 이 자리는 외관상 관상감정에서 명궁 다음으로 중요한 자리로 간주한다.
  사람을 얼른 관찰할 때 명궁으로 정신적인 인상을 점검하면서 재백궁으로 사람의 외모를 판단하는 중요한 관건으로 삼기 때문이다. 명궁의 인당과 재배궁의 준두에서 온몸의 기색이「응집하며 모였다」「발산하며 흩어졌다」하면서 시시각각의 심신의 변화되는 靈的운세를 찰색으로 미리 앞서서 나타낸다.
 이 자리에 따라서 평생의 금전운을 살피고 본인의 인생에서 자신감이나 용기 등을 점검한다. 이 위치는 코의 줄기와 끝 모서리를 종합적으로 그 모양과 빛깔도 함께 관찰한다. 코는 사람의 美醜를 관찰하는 뚜렸한 表形으로 산근에서 준두까지 쭉 곧게 뻗고 굴곡이 없으며 左身 右身에 부드러운 살집이 알맞게 덮어 있으면 우선 좋은 코로 간주한다. 재백궁의 好不好로 각 개인 財福의 多少有無와 평생의 금전재산의 물질적인 운세를 판정한다. 재백궁은 주로 코의 중하반부를 가리키는 데 얼굴크기에 비해 너무 큰 코나 작은 코도 좋지 않다. 콧등에 주름이 있거나 콧대가 좌우로 굽었거나 좌우대칭이 맞지 않으면 인생살이가 순탄하게 풀리지 않을 확률이 많고 기색이 좋지 않으면 쓸쓸하고 고독한 인생에 고생할 팔자다. 코가 얼굴에 맞지 않으면 잘 되는 일이 없고 심하면 비운의 상이거나 비극으로 인생이 결말날 수도 있다. 코가 너무 뾰족하게 높거나 너무 펑퍼짐하게 낮은 것도 균형미가 없어 복록이 희박하다. 코잔등이 매끄러운 모양에 윤기가 나며 기색이 좋고 얼굴의 다른 12궁의 요철굴곡과 균형미가 있으면 좋은 코의 재백궁으로 판정한다.

4.천이궁(遷移宮)
 
천이궁은 이마 양쪽 관자놀이 부분의 변지(邊地) 역마(驛馬) 天倉부위를 가리킨다. 천이궁의 피부색이나 기색을 살펴서 먼곳의 일이나 여행 소식 전달 이사(移徙)유무를 관찰하고 미래의 일어날 영적인 일도 예언한다. 피감정자의 앞날의 행운이나 불행에 관해서 예언할 때는 얼굴전체에 나타나는 기색을 참조하고 천이궁의 찰색을 관찰하여 오랜 경험이나 영감을 얻어 정확하게 예언할 수 있다.
 천이궁은 양 눈썹 끝 부위 언저리에서 이마의 옆모서리와 髮際의 경계선 구역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移動數에 관한 이사 전근 출장 외출 등을 판단하다. 이사 전직 전근 퇴직 또는 여행 등 현재의 위치에서 出行에 해당하는 움직이는 들을 예측하거나 예언한다.
 출행의 시기가 다가오게 되면 천이궁의 기색이 변화하여 알 수 있게 되며 이곳의 찰색이 변하는 데 따라서 그에 상응하는 豫斷을 하는 것이다. 천이궁은 양 이마의 끝 부분을 주로 하여 예측하게 되며 이 부분의 찰색이 변화하게 되면 자신의 위치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니 마음가짐을 단단히 하여 앞날의 길흉화복을 대비하는 준비성이 필요하다.

 5.부모궁(父母宮)
부모궁은 日角 月角을 말하고 넓게는 보골(輔骨)까지 관찰하여 조상이나 부모의 유운(遺運)이나 上司나 윗사람의 신뢰나 인정(認定) 등의 출세에 관한 운세를 감정한다. 부모궁이 깨끗하고 혈색이 좋으며 살집이 풍부하면 조상으로부터 유산이나 재물을 많이 물려받는다. 부모궁은 일각으로 부계조상의 유산을 판정하고 월각으로 모계조상의 유업이나 財福을 관찰하여 이곳들이 光潤하고 높이 솟아 찰색이 좋으면 조상과 부모덕이 있고 부기장수할 운세가 강하다. 이 부위가 푹 꺼지고 거무죽죽하거나 우중충하여 顔面기색이 어둠침침하면 조실부모하거나 부모가 생존했어도 병약하거나 경제력이 부족하여 자녀의 성장발달이나 학업성취에 큰 도움이 안되고 자식이 오히려 부모를 봉양할 처지다.

6.형제자매궁(兄弟姉妹宮)
  
남자를 기준으로 형제는 左尾, 자매는 右尾를 상징하고, 여자는 반대로 본다. 형제자매궁은 눈썹을 말하며 형제자매의 多少有無와 형제사이의 우애를 살피고 그 사람의 性情의 느림과 조급함을 살피고 생각과 행동력의 완만강약(緩慢强弱)을 판단한다.
  형제자매궁에서 판단하는 것은 형제나 자매들의 多少유무 親疎관계이다. 평생을 살면서 피를 나눈 형제간의 관계는 어느 누구보다도 중요하며 위급하거나 어려운 경우 길흉행사에 힘이 되어 줄 수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형제궁은 눈썹을 중심으로 하여 관찰하며 그 모양과 위치 빛깔의 形相을 보고 형제자매들의 보이지 않는 無形의 영적 관계도 살펴본다. 눈썹 자체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눈썹물결까지 참조하여 눈썹주변의 피부와 눈두덩까지도 살펴본다. 눈썹이나 몸에 난 털은 血液의 여분 즉 피의 內氣가 몸 속에서 돌다가 몸밖으로 外氣化되어 나타난 精氣의 변형된 형상으로 볼 수 있다. 형제자매는 혈육적인 관계뿐만 아니라 집안이나 가문 혈족의 사회지도층에 있는 사람은 일가친척으로 파급되고 이웃사람 주민 국민 세계시민까지 포함하여 관찰하고 해석하여 그 사람의 성격 사상과 감정 대인관계 인생관 등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古書畵에 나타나듯 눈썹의 모양은 남자는 억세고 힘찬 모습으로 여러 가지 맹수들의 눈썹 모양을 비유하여 상등급으로 간주하고 여자는 반달모양 수양버들 잎 모양을 으뜸으로 쳐주게 되며 털이 부드러워야 한다.그러나 현대적인 관점에서 보면 사람의 눈썹이나 얼굴모양을 동물의 형상에 비유하여 설명하는 것이 一理가 있으나 단정적으로 善惡간 사람의 성격이나 운명의 변화와 적중되는 해석을 가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니 극단적인 해석은 삼가는 것이 합당하다.  

7.복덕궁(福德宮)
 
복덕궁은 액각(額角:눈썹 위의 이마 모서리 및 윗 귀의 옆 부분)과 福堂과 천창 등을 관찰하여 본인과 부모형제 일가친척과 관계있는 福祿의 유무나 재운이나 금전의 수입지출의 이익과 손실관계를 본다. 좁게는 부모형제사이의 福祿惠澤을 관찰하고 넓게는 일가친척 사회생활의 처세관계도 판정한다.이 궁의 위치는 양 눈옆 위의 우각 보골 화개를 살피고 복당과 애각을 함께 보지만 얼굴전체의 다른 부위와 종합하여 참조한다.
 천정과 하정이 중정을 향해 우러러보고 복종하는 듯한 형세이면 평생에 복록이 풍부하여 안온한 여생을 즐길 수 있다. 복덕궁으로 자신이 부모나 선조 세상으로부터 받을 복이나 덕을 나타낸다. 부모의 덕을 본다거나 어떠한 일을 추진함에 있어 남의 도움을 받게 되는 경우를 이 궁의 변화에 따라 알 수 있는 것이다. 천정과 하정이 중정을 향해 우러러보고 복종하는 듯한 형세이면 평생 복록이 풍족하여 인생에 여유를 가지고 살아갈 운세다.
 현재적 의미의 오복은 첫째 무병장수의 건강한 삶이요 둘째 경제적인 여유와 쓸 만큼의 재물이요 셋째 지식과 학문의 풍부로 좋은 직업과 사회적 지위를 가지는 능력이요 넷째 선조와 부모의 유복이 두터워 훌륭한 자녀를 두어 가정과 집안이 화목한 것이요 다섯째는 배우자와 백년회로하는 부부덕이 많은 것이다. 여기서 오복을 다 갖춘 사람은 드물고 두 세 개의 복만 갖춰도 한평생 살기가 괜찮다.  

8.처첩궁(妻妾宮: 一名; 夫婦宮)
 
처첩궁은 눈썹꼬리와 귀 사이 간문(奸門)과 어미(魚尾)를말하고 배우자나 연인 애인 이성친구와의 애정관계나 친소(親疎)관계를 살피고 장래의 길흉상태을 예언한다. 옛날의 남존여비시대에는 남편의 사회적 지위와 명예 출세에 따라 아내도 그기에 상응하는 자격과 대우를 받는 것이 통례였으나 현대와 와서는 남녀평등사상과 민주의식의 발전으로 여자도 독립적으로 사회적 신분과 지위를 유지하므로 처첩이라는 말보다는 부부궁으로 감정하는 것이 더욱 시대적 현상에 합당하다.
  처첩궁은 일명 부부궁이라 하고 눈의 모양과 형상 眼光의 명암과 어미와 간문 등으로 배우자의 인연과 남녀 이성관계의 감정과 느낌을 판정한다. 이곳의 위치나 생김에 따라 배우자에 대한 이성운과 평생동안 교제하는 남녀관계의 운을 예언하고 판정한다. 奸門과 魚尾는 눈꼬리의 겹쳐진 잔주름이 고기의 꼬리 무뉘 모양과 같다고 하여 붙어진 이름으로 어미에서 눈언저리부터 귀밑머리까지 말한다.
  즉 부부간의 애정이나 사랑의 심도인 금슬(琴瑟:금실의 본디말)이나, 연인끼리의 화목과 불화정도와 가정의 화목도 등 결혼 이후의 생활을 주로 이곳에서 예측하게 된다. 이 궁의 형상을 보고 色情의 기운 살피는 중심이 되며 이곳에 상처 없고 깨끗하여 맑은 것을 좋고 이곳에 쭈그러진 주름이 많거나 상처나 흠결이나 있는 것은 나쁘다고 한다. 간문이나 어미가 주름이 가지런하고 명윤하고 풍륭(豊隆)하면 부부관계가 천생연분이거나 애정이 깊고 남녀관계의 왕래가 좋고 감정의 소통이 잘 된다.

9.전택궁(田宅宮)
  
전택궁이란 눈썹과 눈 사이의 눈 뚜껑(꺼풀)을 말하고 주택이나 토지 혹은 부동산의 상속재산 매매의 손익관계 상업 등을 감정한다. 넓고 깨끗하고 윤기가 있으면 부동산이나 주택 산림토지에 좋은 징조라 할 수 있다. 혈색과 기색이 빛나고 윤택하면 부동산의 매입이나 취득의 운이고 검거나 어둡고 피부색도 좋지 않으면 건물이나 토지 산림 등을 팔아할 처지가 생길 것이다.
  전택궁은 토지와 건물 주택 산림 등 부동산관계의 재산의 多少有無를 감정하는 곳이다. 이 궁의 크기나 찰색 피부의 윤택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勘案)하여 어떠한 토지나 주택등을 소유할 것인지 판단한다. 궁의 위치는 눈과 눈썹의 사이 눈꺼풀 부분을 지칭한다. 좋은 전택궁은 넓고 맑은 빛을 띄며 상처나 굴곡이 없고 살결도 풍요한 것을 양호한 것으로 본다. 만일 흉터나 흠집이 있거나 피부색이 꺼칠꺼칠하다면 좋은 전토를 받지 못한다. 전택궁이 미흡하고 밝지 못하면 부모의 좋은 집이나 재산을 물려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전택궁이 넓고 깨끗하며 맑은 빛을 띠며 색상도 좋으면 일생을 좋은 집에서 평안하게 지내게 되며 토지에 대한 운세도 강하여 그에 상응하는 토지를 소유하게 될 확률이 많다.

10.자손궁(子孫宮)
  눈 아래 볼록하고 통통하게 살짝 부풀어 오른 부위를 와잠궁(臥蠶宮)이라 하여 남녀자손의 多少有無를 판정하고 자손의 복록(福祿)을 추정한다. 또한 와잠궁은 생식호르몬의 분비액과 음양길항작용으로 나타나는 생리현상과도 관계가 있어 性感帶의유발이나 SEX FEELING의 强度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불룩하고 홍조가 띄면 성감대가 발달했다는 징조이다. 자손궁은 자녀궁이라고도 말하는 데 여성의 아래 눈썹의 자식궁이 은은하게 부풀은 듯 볼록 솟아올라 紅潮를 띄고 있으면 생리현상이나 임신을 한 징조다. 여성에게 자식궁의 오른 쪽 눈 밑이 왼쪽보다 더 부풀어  올랐으면 아들, 왼쪽이 더 부풀어올랐으면 딸을 잉태했다고 감정한다. 남자도 자기 상대의 여자가 임신한 경우, 왼쪽이 더 많이 부풀어올랐으면 아들, 오른쪽이 더 많이 부풀어올랐으면 딸로 판정하는 데 이것은 음양오행론에 입각한 이론적 설명이지 실지로 맞을 확률은 50%정도이다. 오히려 자식의 남녀 유무 출산에 관한 예언은 수상에서 자녀선을 보고 판정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자녀궁은 인체에서 내분비 호르몬의 생리적 현상이 외부의 기색으로 나타나는 부위이기 때문에 건강이나 운세 판단에 중요한 포인터(Point)가 된다. 와잠 자손궁 부위가 불그스레하고 혈색이 좋고 氣色 또한 홍윤색이나 밝고 환한 느낌이 들면 그 사람의 운세와 건강은 왕성하고, 검푸르거나 누렇게 변색되어 윤기가 없으면 약한 운세이며, 잿빛이나 흙색의 검은 기운이면 실직하거나 기운이 쇠잔하여 생활이 궁핍하고 건강의 적신호가 발생할 징조이니 사전에 대비하여 생명을 보호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남녀궁은 남녀이성관계에 관한 것들을 관찰하고 판단 예언한다. 이 위치는 특히 다른 위치보다도 피부 색깔의 찰색요법응 많이 참조한다. 양쪽 눈의 바로 아랫부분 즉 광대뼈와 눈 사이 부분을 말하는 것이며 이곳의 찰색형상에 따라 인간관계의 많은 잠재성을 예측하고 판단한다. 이 부분이 紅潤색이나 자색의 황갈색이나 홍조를 띠면 이성관계가 원만하게 진행됨을 암시하고, 이 곳이 검푸른 색의 빛을 띄는 경우 이성에 관하여 신경을 쓰고 있어나 일이 잘 풀려나가지 않음을 말해준다. 혼사에 있어서도 이곳의 기운을 살펴 혼담의 길흉화복 성패 여부를 알 수 있으니 홍윤색이나 붉은 홍조의 약간 흥분되고 고조된 빛을 띄는 경우는 좋은 혼사라고 볼 수 있으나 어두운 빛을 띄게 될 경우 흉한 혼사의 예측이 된다.

11.질액궁(疾厄宮)
 두 눈 사이의 산근(山根: 콧대가 처음시작한 곳)을 질액궁이라 하고 질병유무와 건강상태를 점검한다. 코가 검붉거나 피부색이 꺼칠꺼칠하고 어두운 색이면 만성질병이 있거나 현재 위장이나 비장등 소화기관의 생리조절이 건강하지 않은 기미(機微)다.
 질액궁의 위치는 코뿌리 산근에서 코잔등을 중심으로 건강상태를 점검하고 평생에 겪을 수 있는 사고나 재난에 관한 것들을 예측하고 질병의 病歷이나 불의의 재난 사고의 발생여부를 이 궁의 형상과 기색의 변화에 따라 감정한다. 內氣의 응집부위인 인당과 察色의 發現處所인 준두와 함께 관찰하고 질병발생의 여부를 예측 판단하지만 이것은 상당한 전문가가 아니면 적중예언하기가 어렵다.즉 질액궁만으로 질병발생여부와 미래의 壽命長短에 대한 예측은 힘들므로 얼굴전체의 기색과 사지백체 온몸의 체형체질을 참조하고 언어발성의 生氣活力을 측정하여 問診상담등을 거쳐서 신중하게 판단한다.
 상대방을 정확하게 관찰하고 대화해서 인생개척이나 능력개발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카운슬링(Counselling)하여야 하고 대충 어림짐작으로 말해서는 신뢰성을 주지 못하니 수명이나 질병건강상담은 신중하게 감정해야 한다. 이 궁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평생에 재난이 끊이지 않고 항시 질병이나 사고에 시달리게 된다.

12.노복궁(奴僕宮: 일명 부하궁)
 
입 아래와 턱을 가리켜 노복궁이라고 하며 아랫사람 하인이나 부하직원들의 多少有無를 판단하며 그 사람의 사회적 지위나 빈부귀천을 판정한다. 또한 노복궁은 주택의 대소유무를 판정하고 노후에 福祿의 過多도 판정한다. 턱이 이중 턱이거나 법령이 길고 선이 쭉 뻗어 이중 부위가 넓으면 많은 재산과 주택과 사람을 거느릴 운세다.
 
노북궁은 일명 부하궁으로 불리며 이 궁의 위치는 대개 광대뼈와 턱의 사이 볼 부분을 일컬어 말한다. 흔히 볼때기라고 하는 턱부분과 下觀骨 근육 주변을 지칭하고 이 부분의 모양을 보고, 그 형체가 의미하는 심볼(Symbol)과 상징(Vision)의 형상(Image)을 종합적으로 감정하여 피감정자의 앞날의 미래투시의 영적인 虛實相을 말하여 참다운 인생을 계도하도록 예언하는 것이다. 이 부분에 따라 남을 부리든지 부림을 받게 되는지를  판단하게 되며 나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인간관계를 측정하는 위치가 된다.이 궁의 생김에 따라 길흉을 보게 되는데 적당히 도톰하고 발그스레 한 것을 좋은 것으로 본다. 살이 없이 쑥 들어가게 되어 광대뼈가 도드라져 보이는 것은 좋지 않은 흉상으로 보게 된다.

13.상모 머리 얼굴전체와 사지백체의 종합감정

  이 궁은 지금까지 보아온 다른 궁들과 달리 한 부분이 아니라 전체를 일컫는 것을 말한다. 이 궁은 지금까지 보아온 관상전체를 완성하는 얼의 동굴인 면상전부를 종합하여 보는 것이므로 이 궁을 볼 줄 모르게 된다면 제대로 관상을 볼 수 없게 된다. 관상을 봄에 있어서 한 부분들을 중심으로 하게되나 서로가 미치는 영향들을 종합적으로 분석 해 낼 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 궁은 관상의 완성인 궁이라 하겠다.
  머리의 외관적인 형상만 보는 것이 아니라 내부의 두뇌에 대한 I·Q의 지능지수와 후천적인 지식의 축적인 총명지혜력을 심상으로 측정하고 골격의 짜임새나 體相[사상체질의 형상]도 관찰하여 한 인물의 총체적인 가능성을 통합적으로 살피고 과거의 不變相과 현재 미래의 변화상을 투시통관하는 심령투시술의 영적인 판단을 하는 것이다.
  사람의 능력이나 인격의 전체를 판단할 때 과거의 기준은 身言書判이나 외모를 중시한 면이 있지만 현대에 와서는 자격증의 유무나 내면적 정신세계의 재주나 기능이 바탕이 된 학력이나 경험등 후천적인 변인이 많이 고려된다. 즉 얼굴이 잘 못생겼거나 추남추녀라도 실력이 있으면 사회직업의 상위직에 도달할 수가 있다. 현대는 기술 경제 문화발달의 시대로 특별한 아이디어나 재능 특기 등이 있으면 얼굴이 좀 못 생겨도 성공할 가능성이 많다.
  관상을 볼 때는 단순하게 얼굴만 감정하는 것이 아니고 인물전체의 전반적인 풍모와 외모 생김새 몸체 등을 포함한 사지백체 전부를 관찰하고 점검해야만 그 사람에 대한 전모를 거의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관상은 물론 수상과 사주 성명을 총체적으로 살펴서 현실적으로 확실한 자료를 바탕으로 탐색하고 최종적으로 심상까지 점검해야 그야말로 적중률 높은 운명감정을 통하여 개인운명을 개척하는 선견지명의 적중률을 발휘할 수 있다.
  사람은 다른 동물이 갖지 못한 언어나 영혼을 가지고 있다 하여 만물의 영장으로 분류되고 「옷이 날개라」는 말처럼 동물들이 가죽이나 깃털로 장식하고 뿔이나 발톱으로 무장을 하는 것처럼 사람도 맨 몸뚱이를 감싸는 의복이나 장식으로 각 사람에 고유한 개성이나 인품을 보여준다. 이런 면에서 현대적 관상법에서는 얼굴이나 몸체만 감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입고 있는 옷이나 장신구 휴대품 등을 살피고 관찰하여 사람의 직업이나 인품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람의 얼굴이나 상체를 주로 감정하는 것이 관상분야라면 온 몸의 사지백체를 관찰하고 해석하는 觀體法에는 사상체질로 인물을 분류하고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인간의 내면적 정신을 독심하는 학문으로는 심리학이나 정신분석학 같은 심상감정법도 있다.    

 

 

 

 

 

 

 

 

 

 

 

 

 

 

 

 

 

 

 

 

 

Written, edited by Blue Space of Cheong-gong(靑空).※인물 감정 관상 투시관법 인물감정 상담 연락 ☎ 051-291-6856, 011-9320-9357 남자는 左陽 右陰으로 관찰하고, 여자는 右陽 左陰 觀法이 기본이나 21세기 후천개벽 成約시대는 陰氣가 腹上하는 지식정보화의 컴퓨터 시대가 전개되어 여성의 柔性이 남성의 强性을 휘감아 압도하므로 여자도 左陽 右陰 관법을 혼용한다. 즉 남녀의 성에 다른 사회적 차별이 허물어지고 남녀공통의 활동분야에서 신분적인 南尊女卑가 사라지고 오히려 女權이 신장되어 남성의 영역을 더욱 침투하여 남자의 男權이 약화되는 陰氣旺盛의 시대가 도래한다. 즉 전통적인 남성위주의 관상법도 변화되어 남녀의 구별에 얽매이지 말고 남녀공통 평등원리에 의한 心中靈動 心相透視觀法의 인물감정법이 출현한다.

 제4장 : 십이궁관찰과 인물판단의 상세한 해설법

 

남녀차별 철폐시대 도래의 증좌(證左): "600년 금녀의 문턱을 넘다." 2005년 9월 30일 국제신보 기사 1면 참조. 유교의 전통과 예법을 숭상하는 건물인 동래 향교 대성전은 1392년 태조 이성계의 건립지시 후 한번도 여성의 출입이 허락되지 않은 禁女의 구역으로 유교의 전통제례의식 행사시 여성참례가 제한된 곳이었다. 금번 공자 탄생을 기리는 음력 8월 27일 헌다례(獻茶禮) 행사에 여성제관이 참례하여 이제껏 600여년간 지켜오던 남성위주의 행사가 남녀동참으로 執禮절차가 바뀌게 된 것은 시대적 변화추세에 따른 향교 유생들의 개혁적 조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후천개벽의 성약시대가 도래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남녀변혁의 시대를 증좌하는 것이다. 21세기에는 선천문물이 우주 천지도법수에 따라 새로이 변화되는 후천개벽의 시대로 모든 문물의 제도가 세계화의 흐름에 따라 변하지 않으면 살아 남을 수가 없는 필연적인 변천시대가 도래했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관상법이나 운명감정 인물판단법도 과거에 내려오던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인물을 감정하는 데 사회 현실적 여건과 맞지 않아, 적중하기 힘들므로 시대적 변화추세에 알맞는 현대적 관상법이 창안 도출되어야 한다. 여권이 개선되고 사회적 위신이 높아졌다고 우쭐되거나 반대로 남자의 권위가 약해졌다고 위축되는 것은 진정한 남녀평등이 아니다. 남녀의 사회적 신분이나 활동적 영역에 변동이 생기드라도 어디까지나 상호역할의 영역에 합리적인 변화가 발생한 것이지 근본적인 남녀의 역할과 질서는 변한 것이 아니다. 아무리 세상이 바뀌어도 남녀가 원천적인 본분과 하는 일에서 우주천지도법에서 이탈하면 재앙이 내릴 수 있다.

1.관록궁(官祿宮)
  
관록궁은 나라의 록(祿) 즉 관운에 의한 출세의 운세를 판단하는 부위이다. 요즘은 각종 공공기관이나 사회단체 기업체 등의 상위직 관리직으로 진출하고 승진하는 운세의 유무강약을 미리 살피고 대처하는 데 관록궁의 색깔이나 피부 근육의 상태를 관찰하여 판단한다. 즉 좋은 이마를 가졌느냐를 감정하여 그 사람의 앞날에 일어날 일을 미리 예언하고 장래를 개운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감정하는 것이다. 관록궁을 볼 때는 天庭 좌우의 일각 월각을 중심으로 司空과 中正의 상태도 함께 본다. 이마가 깨끗하고 불룩하여 높이 솟은 듯하며 광택(光澤)이 있는 사람은 두뇌가 명민(明敏)하고 이상이 높아 학문의 길로 나가면 대업을 이루고 세상의 부귀공명과 출세의 길이 순탄하다. 높은 지위의 상사나 다른 사람으로부터 추천을 받거나 지지를 받아 유망한 자리에 앉을 확률이 많고 또는 자기의 노력과 강한 운세로 점점 상위의 신분에 도달하여 마침내 많은 관록과 권한을 얻게 된다. 정신적으로 칭송을 받거나 명예가 상승하여 이름을 날릴 수가 있다. 잘 살펴보면 높은 지위의 長이나 뛰어난 인물의 고관대작(高官大爵)의 신분에 있는 사람의 이마가 못생긴 사람은 거의 없다. 물론 인물이나 풍채가 잘 생긴 사람이 아니라도 높은 지위에 도달할 수가 있어도 무언가 보통의 인상보다는 좀 다른 특색이 있다.
  이렇게 이마가 넓고 둥글며 액각(額角)이 불거져 나와 마치 肝을 엎어[覆肝]놓은 듯하면 두뇌도 좋아 학문발달이 양호하여 일찍부터 좋은 직장에 진출하여 上司와 동료의 인정과 신용을 받아 출세의 가도를 달린다. 반대로 이마가 푹 꺼지고 흠이 있어 쭈글쭈글하거나 색상도 검푸르거나 우중충하면 사고의 폭과 길이가 빈약하여 십중팔구 좋은 직장의 진출이 어렵고 출세의 운도 나빠 십중팔구 인생살이가 고달프고 되는 일보다 안되는 일이 더 많다. 현대는 남녀 평등의 시대이므로 여자도 남자와 같이 이마가 좀 넓고[남자보다는 적게] 불룩한 것이 좋다. 여자의 이마는 四角지게 넓은 것보다 달처럼 둥그스름하면서 상하로 타원형의 형태를 닮은 것이 최상이다. 여기서 기색이 양호하면 뛰어난 여성이 되든지 남편이 사회의 상위직에 도달하고 크게 출세할 운이다.
 반대로 관록궁이 푹 꺼지고 이마에 굴곡이 있다든지 기색도 양호하지 못하면 출세에 애로와 지장이 많다. 주름살이나 흠이 있어 쭈글쭈글하다든지 찰색도 검푸르거나 우주충하게 어두운 빛깔이 들면 정신력도 산만하여 백방으로 노력하나 기본적인 재산이나 재능이 부족하여 성공의 길로 가는 대는 많은 장애와 시련이 많다. 이마가 좁고 낮으면 사고의 폭과 넓이도 적고 생각도 얕아서 좁은 안목으로 세상을 보기 때문에 큰 스케일의 인생을 펼치기가 어렵다.
  관록궁이 못생긴 사람은 출세의 기회도 잘 오지 않아 십중팔구 좋은 직장의 진출이 어렵고 주위의 도움도 없거나 적어서 혼자서 고독하게 인생을 개척하는 외로운 운명이다. 여자의 이마는 남자처럼 넓거나 모난 것은 좋지 않다. 오히려 타원형처럼 둥그스름하며 약간 좁은 듯 하는 게 오히려 숨은 복이 많다. 아무리 남녀 동등시대라지만 인간사회는 평등한 것이 진리인 것 같으나 宇宙理法上 남녀는 하늘과 땅의 역할을 해야만 천지조화의 법도에 맞는 진정한 평등이 되는 이치이므로 여자의 외모가 남자처럼 생기면 활달하고 억세며 개척적일지라도 그 여자의 운명은 순탄하지 못하며 악수가 따르고 팔자가 센 것이다. 즉 인간사회에 맞는 것이 꼭 대우주 자연의 천지법도 하늘의 이치에 맞지 않을 수가 있다.          
     

2.명궁(命宮)
  
명궁은 전두엽(前頭葉)의 밖앝 피부이므로 온 몸의 氣가 응집(凝集)하는 곳이기 때문에 사람운세의 강약과 時運의 好不好에 대한 길흉화복의 기미(機微)와 징조(徵兆)가 시시각각 나타나는 신체의 기공작용의 거울과 같다. 그러므로 인당을 볼 때는 색상을 중요시한다. 중정과 인당과 산근이 선명하고 광윤이 나고 특히 인당이 불룩하면 그 사람은 과히 秀才이상의 능력을 발휘한다. 이런 사람은 무엇을 전공하던지 한 분야에 달통할 수 있고 사람을 꿰뚫어 보는 심안이나 혜안을 가진 사람이다.
  반대로 명궁이 쑥 들어가고 흠과 주름살이 있거나 기색도 침침하거나 어두운 색깔이면 두뇌도 좋지 못하고 생각도 짧아 운세도 약하며 생존경쟁에서 상위권에 진출하거나 승리하기 힘들다. 기쁜 일이 생기면 명궁이 환해지고 심사숙고하면 명궁이 팽팽하게 긴장하며 온 몸의 정신력이 집중된다. 슬픈 일이 있거나 수심이 생기면 명궁이 어둡고 찌푸려지니 현재의 모든 운기가 명궁에 나타난다. 그러니 감정과 정서의 자극과 느낌에 의해 생기는 희로애락과 우수사려(憂愁思慮)의 오욕칠정이 명궁에 心波의 진동으로 비치는 것이다. 명궁은 氣가 모이고 준두(準頭: 코잔등 끝)는 색이 발현하는 곳이니 명궁과 함께 코끝도 잘 살펴야 한다.

  인물투시도에서 명궁은 가슴에 해당하므로 명궁이 넓은 사람은 가슴도 넓고 흉중(胸中)의 생각도 깊다. 명궁의 상태가 좋으면 오장육부와 내장기관이 튼튼하므로 수명이 길어 결과적으로 건강도 양호하다. 정신적으로 명궁이 밝고 넓으면 식견이 넓어 이해성이 많고 도량도 크고 경험이 많아 많은 사람을 포용하는 두령운이 있다. 많은 사람을 이해하고 포용심이 크다는 것은 많은 사람을 거느릴 수 있는 아량과 능력이 있다는 것이니 높은 지위에 이를 수 있다는 인재가 된다는 뜻으로 명궁이 좋으면 크게 성공할 인물이란 뜻이다. 그러나 다른 부분에 비해 명궁이 너무 넓으면 오행의 균형이 깨어져서 실속이 없을 수 있고 공짜를 좋아한다든지 성질이 허망하여 사물에 대한 집착심이 약하고 낭비벽이 있으며 허세와 과장을 일삼아 다른 사람으로부터 신용을 잃어 재산을 털어먹고 실속이 없는 사람이 된다.

  명궁이 밝고 알맞게 넓은 사람은 陽者인니 활동력을 구사하는 대외적 직업이 좋으니 정치가 군인 관리 실업가 선전홍보 연예방면에 유망하다. 명궁이 좁고 어두운 자는 陰者이니 대내적 직업의 종교가 교육자 연구기술직 철학자 참모직 사무직 상담역으로 진출하면 유망하다. 그러나 명궁에 기색이 빛나야 대성할 수 있다.   명궁을 중심으로 한 상하죄우의 중정과 인당 산근이 한줄기로 선명하게 쭉 뻗고 광윤이 나며 인당이 불룩 솟아오른 듯하면 창의력과 상상력이 뛰어나서 사회적으로 우수한 능력을 발휘하여 무엇을 전공하든지 전문가로 이름을 날릴 수가 있고 사람의 다스리고 꿰뚫어 보는 지혜의 심안이 있다. 반대로 명궁이 쑥 들어가고 꺼졌거나 주름살이나 흠결이 있으면 선천적인 자질이 부족하거나 부모의 裕福도 적다. 기색이 어둡거나 침침하거나 우중충하면 정신력이 박약하고 생각이 명랑하지 못하고 어둡거나 비뚤어진 성격의 公算이 농후하여 사고력도 짧고 운세도 약하며 생존경재의 전선에서 곤란과 장애가 많아 운명을 개척하는 데 힘든 일이 많이 닥친다.
 명궁의 찰색법에서 기쁜 일이 생기면 명궁이 환해지며 얼굴에 和色이 돈다. 심사숙고하면 자기도 모르게 명궁이 긴장하며 내공이 응축되어 팽팽해지고 슬픈 일이나 근심걱정이 생기면 명궁이 침침하게 어두어지며 색깔도 맑지 못하고 얼굴이 찌푸려지거나 안색도 푸르거나 누렇게 병약한 색으로 변신된다. 이렇게 명궁에는 희로애락과 오욕칠정의 감정과 정서가 서려지고 기쁨과 슬픔의 기운이 오장육부에서 상승하여 명궁에 기운이 응집하여 준두에서 색깔이 발색한다. 명궁은 인체투시도에서 가슴에 해당함으로 명궁이 넓으면 胸中이 광활하여 생각도 넓고 포부와 희망도 큰 사람이다. 즉 명궁이 좋으면 오장육부의 내장기관도 강인하여 심신이 건강하고 체력도 튼튼하여 정상적인 생존경쟁에 투지력이 좋아 성공의 확률이 많다.
  식견이 넓고 명랑쾌활하며 사람을 사귀는데 교제 처세술이 좋아 대인관계도 원만하다. 사물에 대한 이해심과 도량이 크고 넓어 사회적으로 우두머리 두령운이 있다 많은 사람을 포용하고 다스리는 지도력이 있어 사회적 출세의 상위직에 오를 기회가 많고 잠재력을 잘 발휘하여 크게 성공할 인물이다. 그러나 명궁이 얼굴전체에 비해 너무 넓거나 긴장미도 없고 펑퍼짐한 느낌이 들면 오행의 균형이 깨져서 실속이 없거나 허망한 것을 집착하고 공짜를 좋아하며 비현실적이 공상을 사로잡히는 사람이다. 낭비벽이 있으면 허세를 부리고 심하면 과대망상증이 있어 사귀면 별 도움이 안되는 사람으로 신용이 없어 친구도 적다. 명궁이 깨끗하고 선명한 색깔에 밝고 환한 사람은 학식과 경험이 풍부하고 창의적인 활동력이 왕성하여 학자 정치가 교육자 종교가로 진출하면 성공할 운세가 좋고 기술연구직 이나 외교가 상담 홍보자 인기연예 예술직이나 사업에도 상당한 전망이 보장된다.   
 

3.재백궁(財帛宮)
  
재백궁은 그 사람의 재산이나 금전 돈의 有無過多를 중점적으로 보고 평생 운세의 강약이나 믿음이나 신안 신조의 인생관을 관찰한다. 오행상으로 中央土에 해당한다. 코는 얼굴에서 제일 높고 중앙에 위치하여 온몸의 기색이 "모였다 흩어졌다" 하는 장소로 모든 察色이 코로 응집(凝集)하고 발산한다. 또 코는 미관상 미추(美醜)를 판정하는 관건(關鍵)이 되어 소위 미남미녀를 판단하는 데 코를 아주 중요시한다. 좋은 코는 산근에서 년수(年壽: 年上-壽上을 통칭] 준두(準頭)까지 쭉 곧고 둥그스름하며 살집[피부근육의 살결]이 좋은 것을 말하며 그기에 배짱과 氣槪가 흘러 넘치면 더욱 좋다.  나쁜 코는 굽었거나 비뚤어졌고 중간에 굴곡이 있으며 너무 높거나 납작하고 앞에서 콧구멍이 보이며 그 위에 기색의 분위기가 쓸쓸하며 고독한 느낌이 들면 비운의 상이거나 고생의 팔자상(八字: 四柱八字)이다.
  그래서 좋은 코는 부귀총명의 좋운 운세를 약속하고 나쁜 코는 불운이나 빈천의 운세를 암시한다고 해석하는 것인데 현대에 와서는 납작한 코나 못생긴 코를 가진 사람도 성공한 사람이 많고 사회적 상위의 지위에 있는 사람도 허다하다. 탤런트나 배우들 중에는 미남미녀가 아닌 못생긴 얼굴 역할의 사람도 필요하다. 단지 개성이 있는 특이한 형태의 용모로 재능만 있으면 출세할 수 있고 소위 매스컴에 뜰 수가 있다. 코가 못생겼어도 후천적으로 많은 노력을 한다든지 얼굴의 다른 부위가 좋든지 성형수술의 인공미를 살린 경우도 있고 남모르는 수양을 하여 심상으로 운명을 개척하기 때문이다.
  코는 얼굴에 비해서 너무 크지도 작지도 않은 것이 좋고 색깔은 너무 붉지도 검지도 않고 황윤색(黃閏色)이나 흰빛의 자색(紫色)이 도는 것이 좋다. 코가 잘생긴 사람은 재복이 좋으므로 은행금융업 사업가 중개업 상업 등으로 진출하면 운세가 잘 풀린다. 콧 구명이 큰 사람은 사치 낭비성이 농후하고 공짜를 좋아한다. 작은 사람은 꼼꼼하고 인색(吝嗇)하며 의심이 많은 신중형이다. 여자의 코는 아주 중요해서 남편 복의 유무를 본다. 준두 양끝의 콧밥[난대,정위]에 살이 적거나 준두가 뾰족하면 남편 복이 희박하고 평생 고생할 운이다. 여자 코의 색깔이 검푸르며 기미(discoloration)가 끼었거나 사마귀 등이 있으면 남편이 성실치 못해 바람을 피우거나 혹은 몸에 만성질병을 갖고 있다. 콧등에 주름이 항상 잡힌 사람은 재산이 모이지 않으며 설상가상(雪上加霜)의 불행이 닥치고 흠집이 있거나 세로로 금이 있는 사람은 자식으로 인한 고생이 많이 닥친다.      
①코가 잘생긴 사람 즉 얼굴 전체의 균형에 코의 크기나 높낮이가 알맞게 그 모양 색깔 등이 양호한 사람은 은행 금융업 상업가 무역 중개업에 좋고 두뇌의 정신능력인 학식 경험이 뒷받침되면 정치 경제 국공립 관직에 진출이 유망하다.
②콧구멍이 위로 벌름하거나 큰 사람은 과대망상의 기질이 있고 비현실적으로 큰 소리를 치거나 공짜를 좋아하고 풍류나 놀기를 몰두한다. 코는 호흡기와 음양관계에 있어 외향적 크기보다 체질적 강인성이 중요하다.
③콧구멍이 작은 사람은 인색하고 꼼꼼하며 소심하고 의심이 많아 같이 동업하기에 부적당하다. 준두가 뾰쪽하거나 양쪽의 콧밥 좌신우신에 살이 적거나 쭈그러지고 풍만하지 못하면 남녀간에 수혜복이 희박하고 평생 안정된 삶이 어렵고 여기저기 생계를 위해 바쁘게 다녀야 할 만큼 거주가 불안정하다.
④여자의 코는 자신의 복뿐만 아니라 남편이나 부모형제의 여복(餘福:여유의 복록)도 참조한다. 여자의 코에 사마귀나 점 흉터가 있거나 색깔이 검푸르거나 푸르죽죽하면 남편이 성실치 못하고 바람을 피우거나 만성질병으로 고생할 상이다.
⑤여하튼 코가 못생겼거나 복록이 엷은 코는 재산이 잘 모이지 않고 수입보다 지출이 많이 생겨 고생할 상이고 엎친 데 덮치는 설상가상의 불행의 악운이 따라다닐 공산이 크다. 흠집이 많고 세로로 금이 그어져 있는 사람은 자식이나 手下의 사람 때문에 고생하거나 뒷바라지 할 고생의 凶相이라 할 수 있다.  

4.천이궁(遷移宮)
  
천이궁은 양 눈썹 끝 부위에서 이마의 옆모서리를 말하는 데 이곳이 깨끗하고 흠이 없이 뼈대가 불룩하면 직업이나 주거가 안정되어 착실한 발전을 한다. 반대로 머리털 난 곳과의 경계가 들쭉날쭉하며 빛이 검고 주름이나 흉터가 있으면 거주의 이동이 심하고 직장도 자주 바뀌며 바쁘게 돌아다녀야 의식주가 해결된다.
①천이궁이 豊隆하고 원만하게 잘 생기고 깨끗하고 明潤하게 찰색이 좋으면 평생 의식주와 직업이 안정되고 착실한 발전을 거듭하여 인생살이가 행복하여 사회의 상위직에 도달한다.
②이마 양옆이 검푸르거나 꺼칠꺼칠한 찰색에 髮際와의 경계부위가 들쭉날쭉하거나 피부 빛이 검고 주름이나 흉터가 있으면 거주 이동이 심하고 항상 불길한 운수가 자주 닥치며 직장의 변동이 심하여 자주 돌아다녀도 의식주 해결에 곤란이 많다.
③이 궁의 살집이 좋고 색상이 은은하게 비치고 얼굴전체의 윤곽에 좋은 배경이 되면 부모의 유산이 많고 뒤에서 도와주는 사람이 많아 산림주택 토지를 많이 소유할 수 있고 멀리 떨어진 곳에 가드라도 좋은 일이 자주 생기며 여행을 자주하며 인생을 풍요롭게 보낼 운수다.
천이궁의 살집이 좋고 색상이 윤택할 때에 이사를 하거나 직장을 옮기면 큰 재물을 얻거나 승진할 운수이다.
천이궁이 좋은 사람은 부모의 유산이 많고 타향에 멀리 떨어져 있어도 도와주는 사람이 많으며 늘그막에 가서 많은 토지나 땅 산림을 얻을 운수이다.   

5.부모궁(父母宮)
  
日角으로 아버지 부계조상을 판단하고 월각으로 어머니나 모계조상을 판단하는 데 위치는 인당 위 3cm정도에서 天庭의 좌우 위다. 이때 눈썹위 1cm 정도의 輔角도 함께 본다. 이곳들이 높고 광윤하면 부모의 덕이 있고 부귀장수할 운세가 유망하다. 반대로 이곳이 푹 꺼지고 주름이 있거나 어둠침침하면 早失父母하거나 부모가 생존했더라도 병약하거나 경제력이 부족하여 자녀의 학업성취나 성장발달에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일각이 월각보다 낮거나 기색이 좋지 못하면 아버지가 먼저 죽거나 부의 능력이 미약하다. 월각이 일각보다 열등하면 어머니의 복이 없고 아버지나 계모 혹은 양모의 힘으로 자식을 양육할 운세이다. 눈썹이 이중으로 겹쳐있으면 이복형제남매가 있을 수로 아버지나 어머니가 계부 혹은 계모로 양부나 양모의 슬하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다. 눈썹의 부위가 끊어졌거나 흉터가 있으면 소년시절에 형제자매가 죽은 것을 암시하고 이때 남자의 왼쪽 눈썹에 흉터나 자국이 있으면, 죽었거나 불구 장애자 또는 불행한 사건을 겪은 형제가 있고 오른쪽 눈썹인 경우 자매의 경우다. 눈썹의 중간을 기준으로 안쪽 머리부분이면 형이나 누나이고, 바깥쪽 꼬리부분이면 동생이나 여동생일 확률이 많다. 여자는 철학상 음양의 원리로 남자와는 반대로 보는 데 오른쪽이 남형제를 나타내고 왼쪽은 여자를 나타내나 현실적으로 꼭 맞는 것은 아니다.  

①일각이 월각보다 열등하면 아버지의 복록이 적고, 월각이 일각보다 열등하면 어머니의 복록이 희박하여 계모나 양모의 손에 양육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②머리가 둥글고 이마가 넓으면서 일각 월각이 높이 솟아 위엄의 기운이 있으면 장남이나 장녀인 경우가 많고 그에 상응하여 일월각 상태의 비율에 따라 2남 3남의 기세로 판정한다.
③머리 윤곽이 뒤틀어져졌거나 이마가 좁거나 울퉁불퉁한 굴곡이 있으면 유복자나 서자 고아일 확률이 많다. 양가출신의 자녀는 두뇌크기가 원만하고 얼굴형태의 오관의 모습도 비슷하게 양호하나 외로운 집안이나 자손이 적은 집안 조실부모한 고아출신 遺棄된 자녀일 경우가 많다.
머리가 둥글고 이마가 넓으며 일각 월각이 높이 솟고 명윤(明閏)하면 장남이나 장녀인 경우가 많고 머리가 틀어졌거나 틀어지고 꺼졌거나 이마가 좁고 굴곡이 있으면 그 정도에 따라 차남이나 삼남이요 혹은 서자나 고아출신일 경우이다.
 좋은 가문 출신은 장남 장녀와 之次의 남녀는 두뇌의 크기나 이마발달정도가 대동소이한 것이 보통이고 고아출신은 거의가 두뇌모양이 고르지 못하다.   

6.형제자매궁(兄弟姉妹宮)
  
형제자매는 눈썹의 짙고 옅음이나 생긴 형세의 모양으로 판단한다. 눈썹의 형태는 좁게는 형제자매나 가까운 혈육의 관계를 감정하고 넓게는 친인척의 過小유무 친구 동료관계를 판단하고 국가의 지도자급에서는 이웃사람 주민 국민 등 사해동포가 다 형제에 속하므로 눈썹의 상태로 그 사람의 우정 사랑 애정관계 인생관 등을 종합적으로 관찰한다. 대개 눈썹이 많거나 질은 사람은 형제자매도 많고 성격이 활달하고 다혈질이 농후하다. 눈썹이 적거나 옅은 사람은 형제도 적고 성질도 온순하며 내성적 기질이다. 눈썹이 초승달처럼 가지런하고 아름다우면 3-4형제자매가 되고 우애심이 있으며 모두가 잘 성장하여 사회성이 양호하고 협조심이 강하여 인생을 즐겁게 보낸다.
  현대에서는 산아제한[가족계획]으로 자녀출산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므로 눈썹으로 형제자매수를 판단하는 것은 적중률이 희박하다. 양쪽 눈썹의 균형이 맞지 않고 산란(散亂)하거나 어지럽게 흩어져 있으면 절제심이 부족하고 자기중심적인 에고이스트(Egoist)인 경우가 많다. 눈썹이 너무 짙거나 짧은 사람은 성격이 난폭하거나 인내심이 부족하여 주위사람으로부터 인덕이 없는 편이다. 이런 사람은 형제자매 사이에 협조보다는 경쟁관계에서 자라서 자기 욕심이나 자부심이 강하여 매사에 투쟁적이고 참을성이 부족하며 사회성도 원만하지 못해 마치 독불장군식 처세로 살아가기 때문에 형제라도 배척하니 타인의 지지를 받기 힘들다.
  이런 형의 사람은 인정이 메마르고 고독에 빠져 매사에 경쟁자나 갈등관계에 휩싸여 주위에 반대자나 적을 만들고 충실한 부하나 솔직한 반려자가 없어 인생의 건설이 불완전할 수 있으니 평소에 자기를 반성하여 인격상의 결함을 수양으로 고쳐나가야 한다. 눈썹은 그 사람의 마음 수양정도나 정신력의 잠재적 기운을 방사하는 기공력의 측정이 된다. 대개 눈썹이 곱고 아름답고 수려(秀麗)한 사람은 인품과 학식이 높고 예의범절이 있으며 기품도 고상하다. 반대로 눈과 눈썹이 바짝 붙은 사람은 생각도 底急하며 어지럽게 흩어진 눈썹은 성격이 조야(粗野)하며 하찮은 일에도 불끈 성을 내거나 불만을 표시하고 학문과 지식수준도 낮다. 간혹 부모의 덕으로 공부를 많이 했다 해도 건설적이고 사회 복지적인 홍익이념이 없고 卑俗에 흘러 사람이 천박(淺薄)하거나 경망(輕妄)스럽다.
  여자의 눈썹은 매우 중요해서 아름다운 눈썹의 여자는 富貴功名의 남편을 만날 기본 조건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여자의 눈썹이 끊어진 것은 남편복이 끊어져 再嫁할 수이고 눈썹이 산란한 것은 정숙치 못하고 放恣하며 희박한 눈썹은 의식주가 부족하고 고독할 상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점은 마음의 수양으로 심상을 좋게 하면 개선할 소지가 있다.
①보통 눈썹이 많거나 짙은 사람은 정기가 왕성하여 형제자매도 많고 성격이 활달하며 매사에 적극적인 다혈질의 경우가 많고, 눈썹이 적거나 옅은 사람은 혈기가 미약하여 형제자매도 적고 성질도 온순하며 소극적인 내성적인 경우가 많다.
②눈썹의 초승달처럼 가지런하고 단아하고 아름다운 형상이면 부모형제간 애정이나 우애심이 짙으며 성장발달이 무난하고 협조심이 양호하여 사회성이 뛰어나서 인생열차가 순탄하게 잘 나아간다.
③양쪽 눈썹의 균형이 맞지 않고 눈썹물결이 산란하거나 어지럽게 흩어진 형상이 성격이 급박하고 절제심이 부족하여 사회성에 문제가 있고 절제력과 인내심이 부족하다.
④눈썹이 이중으로 겹쳐있고 눈썹결이 고르지 못하면 계부 계모 혹은 양부 양모의 슬하에 양육될 확률이 많다. 눈썹 부위에 흉터나 자국이 있으면 형제자매 중 사망했거나 불구나 실종 혹은 행방불명의 凶手경우가 있고 이 때 왼쪽은 남자형제 오른 쪽은 여자형제이며 중앙에서 눈썹뿌리 쪽에 가까우면 손위의 형(누나)이며 눈썹꼬리 쪽에 가까우면 손아래의 동생(누이)이다. 여자는 남자의 경우와 대칭되니 반대로 해석한다. 즉 여자의 오른쪽 눈썹에 흉터가 있으면 남자 형제에 손상이 있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확률판단은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것이 아니고 단지 점성학상 동양철학의 원리에 따른 古書에 전해오거나 감정가의 경험통계에 불과하나 남녀관계없이 형제간에 불행한 손상이 있다는 것은 적중될 근거가 된다.
⑤여자는 털이 거친 것은 좋지 않다고 보며 초생달 모양의 부드럽고 곱다란 결을 가진 눈썹을 가장 좋다고 본다. 이러한 눈썹을 가진 사람은 형제간의 우애가 좋으며 평생 서로에게 버팀목이 되어줄 든든한 관계가 유지될 것이다.
⑥눈썹의 굵고 짧은 사람은 성격이 난폭하거나 조급하고 생각하기보다 행동부터 먼저 옮기는 충동적인 성격이다. 이런 사람은 근육형으로 정신적인 직업보다는 육체노동에 종사할 공산이 크다. 눈썹 털이 상하좌우 어지럽게 흩어졌거나 균형미가 없으면 형제자매사이에 우애도 희박하고 주위사람들에게 폐를 끼쳐 나중에 배척당하고 왕따를 당할 신세다. 인간관계를 협조보다는 경쟁관계로 파악하여 좌충우돌이나 독벌장군식으로 처세하여 외롭게 고군분투하다 지지자를 잃고 실패할 운세다. 눈썹의 기세가 혼탁한 사람은 성격이 온전치 못해 사소한 일에도 성질을 부리며 자기에게 맞지 않은 사람을 배척하며 적과 동지를 구별하려는 이분법적 사고 때문에 상대방에게 불안정하고 두려운 느낌을 주고 기피인물로 간주되어 사귀기 힘들다. 또 두 눈썹사이가 바짝 붙어 인당이 협소한 사람은 생각도 단순하고 식견도 좁아 큰일을 할 사람이 아니다.
⑦눈썹이 곱고 아름다워 고결한 이미지를 주거나 수려하게 가지런한 사람은 오행이 두루 갖춰져 예의범절이 있고 기품이 있으며 학식이 높고 성품도 원만하다.
⑧여자의 눈썹은 남편과의 인연을 勘案하는 중요한 판단자료가 되어 좋고 아름답고 기품이 있는 고결한 눈과 눈썹은 그러한 배우자를 만날 확률이 많다. 여자의 눈썹이 너무 연약하거나 끊어진 것은 남편복이 단절되어 과부가 되거나 離婚數 재혼의 상이다. 눈썹이 산란하면 음란의 색정이 다분하여 정숙치 못하고 눈썹이 희박한 사람은 의식주가 부족하고 고독하거나 빈궁의 상이다.   
 

7.복덕궁(福德宮)
  
복덕궁을 볼 때는 양 눈옆과 위의 천창과 액각의 복당을 보지만 얼굴 전체의 다른 부위와 비교대조하여 종합적으로 관찰하여 판단한다. 천정과 하정이 中停[中鼻]을 향해 朝貢하는 형세로 얼굴의 상부와 하부가 중앙으로 집중되어 균형이 잡혀있으면 평생복록[五福]이 풍성하다. 현대적인 오복은 첫째 건강과 무병장수요, 둘째 경제적인 물질의 富有요, 셋째 지식과 학문과 경험의 풍부함으로 출세성공의 상위직으로 올라가는 지위와 벼슬이요, 넷째 부모복이 많아 선조의 유복을 받아 훌륭한 자녀를 두는 가정의 화목과 평화요, 다섯째는 배우자의 부부덕으로 평생해로(平生偕老)하는 것인데 오복을 다 갖춘 사람은 드물고 그 중 2-3개만 타고나도 한평생 살기가 힘들지 않다. 복이니 덕이니 하는 것은 관념적인 무형의 술어이지만 모두가 음양의 오묘한 이치로 생성소멸되는 것으로 그 불가사의한 원인결과를 잘 이해하기 힘들지만 세상만사가 유무상통으로 유는 전부 無로부터 나온다. 이때의 무는 영(零: Zero)으로써 없는 것[Nothing]이 아니고 모든 것의 核仁을 포함한 虛無 虛靈 太虛의 무로써 만유의 공통된 본질적인 요소의 기공핵인(氣功核仁)을 말한다. 이것을 色卽是空 色心不二라고 부르고 여기서의 색은 철학상의 물질 혹은 육체를 상징한다. 그래서 눈에 보이지 않는 복덕의 유무를 추지하는 데 유형의 얼굴로써 무형의 본질실상에 대한 존재유무와 운세의 강약을 관찰예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함부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기본적 학식과 경험을 가지고 마음을 수양하고 심신을 수련한 연후에 인간수행의 정도를 살피고 판단하는 것이다. ①부모복은 일각 월각을 보고 천심 방심 천정을 살피고 얼굴전체의 용모로 빈부귀천의 상을 점검한다.
②복덕궁을 부모궁과 함께 보는 것은 이 세상에 저절로 태어나는 사람이 없고 선조의 潤氣와 부모의 은덕으로 출생하여 하늘보다 넓고 바다보다 깊은 생명의 기운을 받아 성장발달하여 한 생명이 완성되기 때문이다.
③복덕궁에 상처나 흠집이 생기거나 찰색이 좋지 않고 살집도 빈약하면 하는 일이 잘 성취되지 않고 복록이 엷어 자신의 복이 달아나거나 사라지고 고생할 운명이다.
부모복은 일각 월각을 보고, 자기자신의 재복은 코를 보고, 출세와 성공의 운세는 관록궁을 보고, 상사의 도움은 이마를, 주위사람의 협조는 볼 주위 관골을 보고, 두뇌의 지혜와 총명은 눈과 귀를 보고 난 후 이 모든 것의 공통분모 핵인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사람의 운명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쪽으로 치우쳐 판단하면 중대한 과오를 범해 사람의 운명을 창조개선 할 수 없다. 이마에서 눈까지 초년운을 보고, 눈에서 코끝까지 중년을 보고, 코밑에서 턱까지 말년을 보는 것인데 인물의 전체를 완전하게 판단하려면 관상과 심상은 물론 수상과 사주 성명까지 총체적으로 종합해서 감정하면 그야말로 적중률이 높아 인생의 先導와 개인운명의 개척에 탁월한 감정대가 될 수 있다.

8.처첩궁(妻妾宮: 一名; 夫婦宮)
  
처첩궁은 일명 부부궁이라하며 魚尾와 간문으로 남녀 이성관계를 본다. 눈꼬리의 겹쳐진 잔주름이 고기의 꼬리 무늬와 흡사하다해서 어미라 하고 간문은 어미에서 귀옆까지의 눈언저리를 말한다. 이곳으로 결혼의 여부, 남녀의 애정관계 부부의 사랑의 심도, 연인끼리의 화목과 불화, 그 외의 연애관계를 판단한다. 간문이 깨끗하고 豊厚하면 부부의 인연이 좋고 남녀 애정관계가 화목하다. 어미와 간문에 주름이나 흠이 많으면 남녀관계가 복잡하거나 의견충돌의 불화가 많다. 여기에 점이나 사마귀 잔주름 기미 주근깨 등도 부부관계에 불만이 있을 징조이다. 간문이 좋으면 미남미녀의 연인이나 남편 배우자를 만날 확률이 많고 색깔이 윤택하고 살집이 좋으면 남녀의 애정이 만족하다. 관상도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생각과 사고방향, 행동 습관 등의 개선 개조 혁명의식에 의해 나쁜 이상도 좋게되고 또한 반대의 영향으로 좋은 얼굴의 이상도 고생을 하거나 세파에 시달리고 생활고가 겹치면 나쁜 인상으로 변한다. 흉상이나 호상의 얼굴이 변하는 시간은 마음먹기에 따라 개운 혹은 개악의 방향으로 3년 6년 9년의 주기로 얼굴의 형태나 색상 등이 서서히 변모된다. 간문의 색깔이 검어지고 푸르죽죽하거나 누르스름하면 애정관계에 파탄이 생길 징후이고 부부연인사이에 불화나 갈등 싸움이 잦다. 외간 남녀와 정을 통하고 난 후에는 간문의 색상이 보통 때와는 다르게 짙은 색깔로 변한다. 어미와 간문을 잘 관찰하면 남녀사이의 비밀된 관계를 미리 예측하고 대처할 수 있다.   

①간문에 和色이 돌고 살집도 윤택이 나면 미남미녀 호남호녀끼리 교제가 좋고 애정도 상호 신뢰관계이다.
②여기에 사마귀 검은 점 흉터 흠결이 있으면 남녀관계에 파탄의 경력이 있고 잔주름 기미 주근깨 등은 부부애인 연인관계 색정의 음양교류가 원만하지 못하고 생체리듬이 불균형하고 건강에도 적신호가 나타난다.
③간문의 찰색이 검어지고 푸르죽죽하거나 누르스름하면 애정관계에 균열이 생기고 서로간 결점을 보고 상호 비난하거나 불신하는 갈등관계가 조성되어 부부나 연인 배우자끼리 파탄이 날 불길한 징조다.
④간문과 어미에 주름이 많거나 혼탁하면 남녀관계가 복잡하고 찰색도 검푸르거나 우중충하면 이성관계에 충돌이나 불화가 많다.
⑤어미와 간문을 잘 살피면 남녀관계에 비밀관계를 미리 예측하고 선악간 대비를 할 수 있다. 외간남녀와 색정을 통하거나 음욕의 후유증으로 색상이 보통 짙게 깔리거나 흥분된 비정상의 기색이 나타날 수 있다.
  

9.전택궁(田宅宮)
  
전택궁은 토지와 주택 등을 보는 부위인데 이곳의 색상이 좋고 깨끗하면 훌륭한 주택이나 전답을 가진다. 눈 뚜껑이 힘이 없고 어둠침침한 검은 색깔이면 자기 주택을 소유하기 힘들고 주름이나 흠이 많으면 자주 이사를 가거나 직장의 변동이 심하다. 전택궁이 넓고 깨끗한 사람은 마음이 정직하고 신앙심이 깊어 종교가로써 자질이 풍부하다. 전택궁이 좁으면 거의가 사상이나 생각이 좁고 얕아 신념이 약해 매사에 변덕이 많거나 옹졸하고 의심이 많다. 밝고 선명한 사람은 십중팔구 좋은 주택환경을 가질 수 있고 부모유산도 많다.  

①전택궁이 넓고 깨끗하고 건강미가 흘러 넘치면 심신이 안정되고 마음이 온순정직하고 신앙심도 깊어 학자나 종교 예술가의 자질이 있다.
②눈두덩이 풍만하고 윤택한 기운이 비치면 마음이 화평하고 성격이 원만하며 좋은 주택이나 땅을 소유할 운세이다.
③눈 뚜껑에 힘이 없고 긴장미가 풀려서 피로감이 역력하면 주거가 안정돼있지 않아 고생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눈꺼풀에 주름이 많고 흠결이 있으면 거주이전이나 직장의 변동이 심하다.
④전택궁이 좁고 얕으면 믿음성과 의지력이 희박하여 주의나 사상 감정의 식견이 좁아 매사의 추진에 용두사미가 되고 변덕이 심한 성품이다.⑤

10.자손궁(子孫宮)
  
눈아래 뚜껑을 와잠(臥蠶:누에가 누운모양을 상징)이라하고 눈물이 흐르는 곳이니 淚堂이라고 한다. 이곳으로 남녀 자식이나 후손의 유무다소를 판단한다. 생식기에 이상이 있거나 성병이 있는 사람은 와잠이 검푸르다. 이것은 花柳界의 여성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이곳이 윤택하고 살집이 불룩하며 불그스레하면 좋은 자녀를 생산한다. 와잠이 움푹 패였거나 말라붙어 쭈글쭈글 하든가 흠이나 사마귀가 있으면 성감대도 좋지 않고 자녀운도 나쁘다. 와잠이 은은하게 明閏하면 인정이 넘쳐흐르고 느낌이 드는 사람은 자비심이나 사랑이 풍부한 사람으로 陰德을 많이 베풀고 보시를 많이 쌓은 사람으로 필히 인정이 많고 어려운 사람을 도와주어도 자기의 재물은 줄지 않는다. 이것은 음덕이 하늘의 복이기 때문에 마르지 않는 샘과 같다. 와잠이 검푸르거나 흉한 사람은 이중인격의 소유자로 겉으로는 정의를 내세우나 속으로는 자기의 이익과 사리사욕을 탐한다. 와잠은 속으로 動眼신경과 연접하여 작은골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생식선 호르몬 조절과 생리적 유전인자와 관계가 깊어 자손의 일을 판단한다. 자궁이나 생식기에 질병이 있으면 와잠이 어둡고 검푸르며 건강한 사람의 와잠은 빛깔이 윤택하고 깨끗하다. 와잠이 좋지 않는 사람의 자녀는 荒淫의 결과이므로 三百眼 四百眼의 눈이 많다. 三四百眼을 가진 사람은 성질이 組暴하고 慓毒한 악취미를 가져서 신경질적이고 분열증이 있는 수가 있다. 그래서 한 곳에 집중하지 못하고 마음에 중심을 잡지 못해 방황하는 것이니 아무튼 흰자위가 많으면 좋지않다. ※사백안은 검은 눈동자가 너무 작아 눈의 상하좌우에 흰자위가 보이는 것이요 삼백안은 세 곳에 흰자위가 드러나 검은 자위가 한 쪽에만 붙어 있는 눈이다.눈 아래 볼록한 부분의 두덩을 와잠이라 하는데 마치 누에가 고치를 틀며 잠자는 모습을 상징한 이름이다. 임신중인 여성은 와잠이 불룩하고 홍조을 띠고 약간 부풀어 오른 형상이다. 생식기에 질병이 있거나 성병이 있는 사람의 와잠궁은 어둠침침하고 검푸른 색상이 보이며 누런 황색의 노리끼리한 빛이 나온다. 와잠내부의 경혈은 생식선의 호르몬 조절을 담당하고 유전인자나 생식세포의 활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배우자를 선택하는 혼담에서 중요한 인물판단의 준거(準據)가 된다.

①와잠궁이 양호하고 찰색[건강미가 도는 황윤색의 화색]도 윤택하면 좋은 자녀를 생산한다. 이 궁에 은은하 빛이 돌고 안광이 영민하면 총명 박식하고 지혜가 있어 현자가 될 자질이 보인다. 또한 면상의 기색이 좋으면 동정심이 풍부하고 인정이 넘쳐 남에게 덕을 베푸는 사람이다.
②와잠과 안색이 양호하고 신뢰감을 주는 사람은 사랑의 자비심이 많아 어려운 사람을 보살피고 사해에 보시하기 때문에 하늘의 복을 받고 자손이 융성하다.
③와잠궁이 움푹 패였거나 쭈글쭈글하게 말라붙어 병약한 형상이면 만성병이 있고 성감대도 좋지 않다.
④와잠이 푹 꺼졌거나 검푸르고 생동미가 없으면 이중적인 처세를 하고 겉으로 대의명분을 내세우나 속으로는 사리사욕을 추구하는 욕심쟁이일 수 있다.
⑤와잠이 좋지않는 사람 중에는 三四白眼이 많다. 삼백안은 검은자위가 한쪽에만 붙어있어 세곳에 흰자위가 보이는 것이요 사백안은 검은 눈동자가 너무 적어 상하좌우에 흰자위가 나타나는 눈이다. 삼사백안의 소유자는 항상 남을 경계하고 살피는 의심형으로 신경질적이며 남의 약점을 캐내는 악취미를 가지고 있다. 사귀기는 힘드는 사람으로 경계의 대상이 될 공산이 많다. 물론 삼사백안의 소유자가 자기의 성격상의 결점을 알고 수양하면 이러한 凶相의 징조도 吉相으로 완화될 수 있다.  

11.질액궁(疾厄宮)
   
코로써 건강상태를 점지하는데 그 중 콧대의 시작을 산근이라하고 그 주위를 질액궁이라 한다. 산근이 깨끗하고 끊어지지 않았으면 질병에 잘 걸리지 않고 흠이 있거나 색깔이 검거나 짙은 황갈색인 경우 만성병을 가지고 있다. 산근에 검은 점이나 주름이 짙으면 거주 이동이 심하고 돈을 모으나 잘 흩어지고 몸에 우환을 가지고 있다. 위장 계통이 좋지 않으면 산근이 검푸르고 빛깔이 어둡고 피부에 윤택이 없으면 현재 병을 앓고 있는 중이다.  

①산근에서 年上 壽上으로 이어지는 콧잔등 마루가 쭉 곧고 깨끗하고 명윤하며 和色이 돌면 준두에서 밝은 기운이 은은하게 비쳐 나오는 사람은 한평생 건강하게 큰 질병이 없이 보낼 수 있다.
②코의 모양과 형상 빛깔을 보고 조언하며 다른 부위와 마찬가지로 상처가 있거나 빛깔이 어두운 것은 좋지 않다고 본다. 콧마루에 주름이나 흠결이 있어 피부찰색이 좋지 않고 검붉거나 어두운 암색을 띄면 몸속에 만성병이나 중병에 걸려 있다.
③산근과 年壽에 히끗히끗한 점이나 황갈색 반점이 진하게 퍼지든지 세로로 주름살이 나있고, 찰색도 푸르죽죽한 피로색이 겹쳐있든지, 붉은 반점같은 것이 보이면 건강이나 생명운세에 적신호가 나타날 징조이며 불의의 사고나 橫厄의 凶氣가 뻗어있어 미리 악운을 대피하는 처방을 해야한다. 산근 연수 준두는 항시 깨끗하고 맑은 빛을 띄어야만 복록이 쌓인다고 한다. 이곳이 앙상하고 허약하고 고독한 느낌을 주게 되면 몸이 좋지 않거나 사고를 많이 당하게 되며 반대로 화색이 돌아오고 생기가 퍼지면 점차 건강이 좋아지고 身運도 피어나서 무병 장수하게 될 것이다.
④종합적으로 질액궁이 양호하지 못하면 소화기계통의 위장이나 창자 내장들이 병약하여 심신의 안정이 흐트러지면 운세가 하강세이니 은인자중하여 내기를 기르고 安穩靜謐의 隱身術을 써서 위급한 상황을 벗어나야 한다.  

12.노복궁(奴僕宮: 일명 부하궁)
   
노복궁은 일명 부하궁이라 하는 데 턱이 떡 벌어지고 살집이 두터운 사람은 거느리는 부하가 많고 턱이 좁고 뾰족한 사람은 높은 자리에 앉기에 힘들다. 턱이 이중으로 겹친 사람은 사회 상류층의 고관대작이 되는 경우가 많고 두텁고 넓어 색깔이 윤택하면 단체나 기관의 수령이나 長이 될 상이다. 턱이 넓은 사랍은 사회적 활동과 교제에 처세가 좋으므로 정치가 사업가 상업 무역 연예 예능 흥행업이 진출이 유망하고, 좁은 사람은 철학적 사색가이므로 연구 기술직 학자 개척사업에 알맞다. 아무튼 턱이 좋지 못하면 통솔력도 약하며 아랫사람이 잘 따르지 않거나 부하의 배신을 당하기 쉽다. 또한 부하궁은 타인만 보는 것이 아니라 자기집안의 아랫사람이나 자손 덕의 유무도 판단하니 턱이 원만하고 얼굴의 균형과 조화가 되면 부하복이나 자손복이 많다.   

①턱이 方形으로 완만한 굴곡을 보이며 둥그스름하게 모지고 살집도 원만하면 상대방에게 푸근한 인상을 주고  신뢰감이나 믿음성을 주면 상등급의 노복궁으로 치고 이런 형의 사람은 사회의 상위직에 도달하여 지도자가 될 가능성이 확실하다. 반면에 턱이 뾰족하거나 볼때기가 훌쭉하거나 움푹 들어간 사람은 혈혈단신의 사주팔자인 경우가 많아 남의 수하로써 일해도 인정받기 힘들고 재물도 잘 모이지 않아 빈천한 가세에 곤궁의 신세이니 특별한 대책과 수양이 필요하다.
②턱이 이중으로 겹쳐진 사람은 관직이나 회사에서 지위와 신분을 보장하는 의자가 2-3개 이상되고 사회 상류층의 권위와 직업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법령이 2-3개 이중으로 선이 그어진 경우는 富貴兼全으로 사회적 지위가 상당하고 재산이나 토지도 많이 소유할 신분이다.
③턱이 두텁고 넓으며 찰색도 윤택이 나면 사회적 활동에 처세수완이 우수하여 기관이나 단체의 우두머리가 될 신분으로 정치 경제 사업 교육문화 인기연예 흥행업 등에 대표나 책임자가 될 운세다.
④턱이 좁고 법령의 안쪽 면적이 협소하나 골이 깊은 사람은 내성적이고 조용한 성품으로 외향적 활동보다는 내향적 연구에 적합하여 개척이나 탐구의 창의성이 뛰어나서 사색의 문필가 철학가 참모 관리직의 진출이 용이하다.
⑤노복궁이 양호하지 못하면 통솔력이 약하고 지도력이 없어 아랫사람이나 부하가 잘 따르지 않고 동료나 경쟁자들의 반대와 배신감을 맛보기도 한다, 노복궁은 직장에서의 아랫사람이나 부하뿐만 아니라 집안이나 가문에서의 자손이나 후배 수하사람들을 통솔하고 다스리는 인원의 多少有無를 판정하기도 한다. 노복궁이 얼굴전체의 오관과 균형을 이루고 상호조화를 이루는 中庸之形局이 최상의 얼굴 모델(Model)이다.  

제5장: 인상판단과 인물감정법의 관상세부론

1.머리와 목을 보는 법
   
面相 五運六氣五官 對應 人體 五臟六腑器官과
 四肢百體 靈動心相鑑定 觀相 心靈透視 部位圖

 

 

  머리는 얼굴 12부 감정법에서 잘 참조하여 목과 함께 균형이 잡혔는가를 감정한다. 목[頸]은 사고활동의 본산인 두뇌와 오장육부의 내장기관을 연결하는 생명력의 통로이고 사지백체를 결속하는 연결쇄(連結鎖) 같으니 몸체 상부의 기둥이고 촛대이다. 남자는 목이 알맞게 짧고 튼튼한 것이 좋고 여자는 약간 긴 듯하고 미끈한 것이 상급이다.
①육모기둥같이 모지고 윤택하면 大貴하고 둥글고 實한자는 大富한다.
②목은 몸체에 비해 너무 굵거나 약하면 상하체 균형이 맞지 않아 평생이 운수가 순조롭지 못하고 너무 길거나 짧은 것은 좋지 않다.
③목의 울대뼈[結喉]가 툭 불거진 자는 가난하고 재수가 없고 가늘고 연약한 것도 두려움이 많고 베짱이 약하다.
④학처럼 길고 깨끗하면 고상하나 재운이 없고 반점(半點)이 있으면 부모 덕이 희박하다.
⑤뒷덜미 목이 이중이면 富者相이나 고혈압의 위험이 있다.
⑥얼굴이 맑고 환하면서 목이 짧은 자는 지위가 높이 올라가고 사교처세술의 기교가 많다.
⑦목이 약간 앞으로 향 한자는 진취적이고 뒤로 제친 자는 보수적이고 융통성이 부족하다. 

2.어깨 등어리 보는 법
①양쪽어깨가 평평하고 둥그스름하게 살이 붙은 것은 좋고 뼈가 불거졌거나 축 늘어진 어깨는 좋지 않다.
②오른쪽어깨가 높으면 부지런하고 자수성가하고 왼쪽어깨가 높으면 무위도식(無爲徒食)할 상이다.<단 왼손잡이는 반대>
③어깨가 떡 벌어진 사람은 운동가이며 근육질이고 보통 힘이 세고 주로 육체를 많이 움직여서 생계를 유지한다. 넓은 어깨에 모난 얼굴은 대길(大吉)할 상이다.
④등이 단정하고 두텁고 복판 골이 쪽 곧은 자는 貴相이고 엷고 깨진 자는 가난하며 바쁘기 분주하나 큰 이익이 없다.
⑤등어리가 길면 좋은 집안 가문출신이고 짧으면 서민출신이다.
⑥엎드린 거북 등과 같은 자는 장수하고 두텁고 허리가 둥근 자는 부귀한다.
⑦등골이 너무 깊게 패인 자는 빈천하고 두두룩하게 사방이 평평하며 앞가슴이 넓은 자는 지혜부귀 겸전(兼全)한다.
⑧여자의 둥근 어깨와 살집이 좋은 등은 부덕(婦德)이 있고 허리 또한 평평하게 균형이 잡혔으면 자녀가 좋다.

3.가슴(젖 유방) 보는 법

가슴은 심장과 폐를 감추고 신(神)이 거주하는 집으로 인간 오욕칠정이 생기는 곳이다. 그러므로 정신이 살고 잇는 저택(邸宅)과 같으니 집이 넓고 튼튼하면 좋듯이 가슴도 넓고 튼튼한 것이 좋다.
①가슴이 넓은 자는 정력적이고 포부(抱負)도 크고 사상도 넓다.
②가슴이 얇고 좁은 자는 기운이 약하고 생각도 천박하지만 체력에 비해서 알맞은 것은 상관없다.
③육체적 운동을 요하는 직업인은 대체로 가슴이 넓고 피부가 두터우며 근육이 튼튼하고, 정신방면의 직업인은  가슴이 약하고 좁은 편이다.
④가슴의 빚 갈이 윤택하고 깨끗하면 지혜와 복이 있고 어둡고 거무스름하면 어리석고 빈천하다.
⑤양쪽가슴이 삐뚤어졌거나 움푹하게 꺼진 자는 고생과 실패가 많고 좁고 뾰족한 새가슴은 게으르고 성실치 못하다.
⑥가슴이 넓어도 살이 부족하면 경제적으로 고난받는다.
⑦ 가슴에 털이 보기 좋게 난 사람은 좋은 가문출신이거나 장차 귀히 된다. 단 후천적 노력이나 시운이 없으면 평범하게 끝난다.

 

⊙젖을 보는 법
  
 젖은 여자에게 중요한데 남자는 주로 가슴을 중시하고 여자는 유방으로 빈부귀천과 아름다운 곡선미와 융체적 색감(色感:Sex feeling)과 자녀생산 유무과다를 감정한다.
①젖은 사발을 엎은 듯 오목하게 볼록하고 크고 바르면 부귀하고 총명하다.
②젖이 좁고 작으며 절벽 같거나 비뚤어 졌거나 축 쳐진 것은 가난하고 외로우며 훌륭한 자녀의 생산도 힘들다.
③젖꼭지가 크고 검붉으며 둥글고 볼록한 자는 자녀가 많고, 젖꼭지가 작고 희며 누렇거나 쭈그려졌으며 꺼진 자는 자녀가 귀하다.(낳기 힘들다)
④젖꼭지가 위로 향 한자는 귀한 자녀를 낳고 아래로 향한 것은 평범하다

 4.배와 배꼽을 보는 법
★배는 인체의 중심이고 단전기해(丹田氣海)로써 모든 강물을 받아들이는 대양과 같으며 음식을 모으는 창고이고 잠재의식이 잠드는 사상의 보고이며 생각의 뿌리가 있는 곳이다. 고로 배는 큼직하고 살 갖은 두텁고 윤나는 것이다 좋다[단 살찐 기름진 배는 제외하고 배꼽아래 배가 커야 한다]
①뱃가죽이 두터운 자는 건강하고 부하고 얇은 자는 허약하고 가난할 상이다.
②배꼽은 깊숙하고 상하로 뱃가죽이 약간 접혀서 솟은 자는 총명하다.
③배가 붉고 윤택한 것은 좋고 꺼칠꺼칠하고 검고 누른 것은 고생할 것이다.
④40전에 나온 배는 소위 똥배로써 기름이 찬 것이니 불의의 재란 을 당하고 40후에 나온 배는 건강의 상징이다. 그것도 아랫배 단전이 나와야 한다.

★배꼽은 사람이 만들어진 최후의 매듭이니 인체의 중심이고 태양신경총이 있으니 모든 오장육부와 사지백체가 이곳을 원점으로 연결돼 있다. 고로 배꼽은 넓고 깊으며 가죽이 두텁고 힘줄이 튼튼하게 좌우사방으로 연결된 것이 최상이다

①배꼽이 좁고 얕은 자는 지혜와 아량이 모자라고 깊게 쑥 들어간 자는 생각이 깊고 인품이 그윽하고 천하의 복을 받는다.
②배꼽이 뾰족하거나 적고 힘줄이 약한 자는 빈궁하거나 요사할 상이다.
③배꼽이 깊고 넓으며 구멍이 위로 향하고 살구 한 개가 들어가면 나라에 큰부자가 되고 포도 한 알 들어갈 정도는 지방의 부자고 콩 한 개 들어가면 큰 부자는 어렵다

5.허리와 엉덩이 보는 법
엉덩이는 인체를 받치는 방석이니 당연히 둥글고 두텁고 좌우가 균형이 잡힌 것이 좋다. 앉아서 뼈가 불거질 정도로 빈약하면 자식이 없기 쉽고 건강도 약하고 정감도 무미하다.
①젊어서 볼기가 빈약하면 대사를 이루기 어렵고 몸은 뚱뚱한데 볼기 살이 없으면 고생이 많고 사람이 우둔하다.
②여자의 엉덩이가 너무 크면 어리석고 빈천하며 자녀를 낳아 귀하게 기르지 못한다.
③엉덩이가 뒤에서 봐서 알맞게 벌어졌으며 통통하고 탄력 있으며 배가 크고 배꼽이 깊은 자는 남자는 큰 부자가 되거나 높은 사람이 되고 여자는 큰 인물을 낳을 상이다.

6.무릎과 정강이 보는 법
 
 무릎은 허벅지아래와 아랫다리의 연결된 곳의 둥근 관절이다. 무릎은 둥글고 윤택하며 사람이 앉았을 때 위엄이 넘치고 온화한 기분이 드는 사람이 좋고 무릎이 모지고 거칠고 빼빼 마른 것은 흉상이다.
①무릎 뼈가 날카롭고 정강이에 살집이 없고 빈약한 자는 병이 많고 수명도 짧다.
②무릎 위에 힘줄이 불거지면 항상 바삐 돌아 다녀야 먹을 것이 생긴다.
③무릎과 정강이에 털이 부드럽고 길면 편안하고 만년에도 자식 복이 있다.

7.팔다리 보는 법
 
 사람의 팔은 변화의 묘수로써 날개에 해당하며 다리는 운동의 매체로써 움직임의 근본이다. 팔과 손은 임금에 해당하고 다리와 발은 신하에 해당한다.
①팔과 손의 길이가 다리와 발의 길이보다 긴 것은 귀상이고 그 반대이면 천 할 상이다.
②팔과 다리의 길이가 비슷하면 의식이 풍족하고 다리가 팔보다 긴 사람은 항상 바쁘다.
③팔은 上膊과 下膊으로 구성되어 어깨에서 팔꿈치까지가 상박이요, 팔꿈치에서 손목까지가 下膊이다. 윗팔 상박은 君主에 해당하는 龍骨이요, 아랫팔 하박은 신하에 해당하는 虎骨이라 어느 쪽이 길고 짧은 데 따라서 서로 장단점이 있다. 몸체와 사지백체가 상호 균형이 잡힌 것이 가장 양호한 것이리라. 

8.생식기 자기 감정법
  
음부란 남자의 음경과 여자의 자궁을 말하는데 보이지 않는 은밀한 곳의 음지에 있으므로 자기 스스로 판단해야 한다. 관상이나 사상체질적(四象體質)으로 사람의 인체를 감정할 때는 생식기는 타인에게 직접 보여주는 것이 인륜의 도덕예의 염치 상 비례(非禮)이므로 스스로 자기 판단의 감정을 한다. 그러나 간접적으로 추지하고 예단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니 만물의 상대적 음양원리에 의해 감정한다. 사람의 몸도 대우주 자연의 천인지 三才道에 의해 운행되기 때문에 얼굴의 투시면상도(透視面相圖)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사람의 심신기관구조도 물리적인 인체생리에 의해 움직이는 데 세포는 유전인자의 원형질막에 의해 소용돌이형의 나선형 대각선의 극과 극이 상호보완적으로 물질이 운동함으로 인체 면상해부투시도의 원리대로 판단한다. 얼굴은 '얼의 동굴'의 준말로 '얼굴 인체 투시도'의 소용돌이 앵무조개의 나선형 운동에 의해 인체 내장기관의 내면적 오윤육기가 원심력의 대각선 상생상극운동으로 외면적 오윤육기로 현현(顯現)된 것이므로 면상에 나타난 오관의 굴곡 변화운동이 나타난 형상을 보고 보이지 않은 오장육부나 생식기의 형상본질을 파악하면 운기와 생명력의 에너지 운동을 추지하면 거의 틀림없이 정확한 판단을 영동력(靈動力)으로 투시감정할 수 있다.
①음경과 음문에 흑자가 있는 이는 위인이나 귀자를 낳을 확률이 많다.
②음경이 강하고 모가 난자는 매사에 진취적이고 활동력이 강하나 두뇌적 사고력은 낮다.
③음부에 털이 너무 많은 자는 음란하여 서방을 두고 너무 적은 자는 생산이 좋지 않다.
④음모가 부드럽고 가지런하고 몽실몽실하면 귀상이고 애정도 좋으며 뻗치고 억세며 농탁(濃濁) 산란한 자는 천하고 음탕하고 육욕적 SEX가 강하나 사고력의 지능은 낮다.
⑤눈썹이 짙으면 음부에 털이 많고 엷으면 음부에 털이 적다. 음부에 털이 많으면 상대적으로 성감대가 풍부하며 육체적 SEX FEELING이 강하고 적으면 정신적 SEX MIND가 강하다. 단 너무 적으면 성감이 부족하다.  
⑥항문 주위까지 털이 난 사람은 생각이 깊어 매사에 신중하며 성공운도 좋다
⑦남자의 코로 陰莖을 大小長短 크기를 추지하고 여자는 입과 人中과 속귀(귀의 안 테두리)로써 陰門의 대소깊이와 크기 탄력도를 추지한다.

제6장: 얼굴전체로 감정하는 종합적 관상의 인물감정법

面相 五運六氣五官 對應 人體 五臟六腑器官과
四肢百體 靈動鑑定 觀相 心靈人物透視 部位圖

 

 

 

 

 

 

 

 

 

 

 

 

 

 

 

 

 

 

 

 

 

 관상 수상 성명 사주학의 종합감정으로 인간운명의 예상 인생진로를 미리 예단(豫斷:예지적 지혜로써 앞날을 판단)하여 개인의 운명을 개운시키는 인상법과 인물감정학의 운명철학으로 심상을 판단하여 인물의 심령을 투시(직관)를 하는 인체영동수리학을 말한다. 심령투시술에 의한 인상판단법은 양의 形象으로 외형적 표현인 얼굴의 투시면상도(透視面相圖)를 참조하여 음의 운명인 내면적 本質象을 통관투시하여 감정한다.

1.12개월별 運數 吉凶 盛衰 面相 察色部位 天男地女 方位圖
 

 

 

 

 

 

 

 

 

 

 

 

 

 

 

 

 

 

 

 

 

  天男은 向南伏地하면 左가 東方이고 右가 西方이며[天體圖 표준], 地女는 向南仰天하면 右가 東方이고 左가 西方이 된다.[地球分野圖 표준] 男女 共히 이마는 南方火星이고 입은 北方水星이 된다. 이 모든 것을 실증하려면 溺死體를 부면 남자는 엎어져 伏浮하고 여자는 仰浮한다.   

 

2. 나이 별 평생運數 吉凶盛衰 面相 部位圖 

 

 

 

 

 

 

 

 

 

 

 

 

 

 

 

 

 

 

 

 

 

 

 

  (1)얼굴을 보고 연령에 따라 나이감정을 하면서 평생운수의 길흉성쇠를 예언하는 법

연령시기

인생무대 시기구분

얼굴 부위 중심 역할기관

인체 기관

五行의 변화 현상

1세∼14세

유년기 소년기

左耳 右耳

腎臟

左耳木星 右耳金星

15세∼28세

청년전기 청년후기

앞 이마와 인당중심

心臟  舌

火星

29세∼42세

장년전기 壯年후기

양눈썹 兩眼과 산근중심

眼眉瞼肝

木과 五行中和交流

43세∼56세

중년전기 中年후기

콧대와 준두 양관골 인당중심

肺鼻

金星 中央土

57세∼70세

노년기 말년기

입주위 下停 얼굴 전체 頭相

口 턱

水星

※검(瞼:눈시울검)--目上下弦으로 눈동자 瞳孔을 둘러싸고 있는 원형의 막

3. 면상 247부위 연령별 얼굴감정 주요구역 배치도
  

 

 

 

 

 

 

 

 

 

 

 

 

 

 

 

 

 

 

 

 

 

 

 

 

★印堂骨이 天庭까지 뻗었으면 天柱骨이라 하여 사회의 상위직까지 출세할 相이고 髮際까지 뻗었으면 복서골(伏犀骨)이라 하여 크게 귀히 되어 최고의 지위까지 도달할 운세다. 다만 뼈대만 굵고 살집이 튀어나오면 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오관의 형상이 잘 생기고 은은한 광채의 기색이 있어야 확실한 징조가 될 상이다. 이와 같은 奇骨이 있어도 얼굴이 청수하고 기품이 풍겨나야 그 부귀영화가 오래갈 것이다.     
★관골에서 귀밑 머리까지 뻗친 골을 玉梁骨이라 하여 이 골이 높고 둥근 사람은 玉骨仙風이 있어 풍류를 즐기고 유유자적하는 선인으로 건강하게 오래 장수할 상이다. 귀 뒷뼈를 壽骨이라하고 이 골이 높은 사람도 수명운이 길다.    
★관골에서 옆이마 살적까지 뻗친 골을 역마궁이라 하여 여기가 둥글게 풍륭하고 찰색도 좋으면 여행과 이동의 운세가 강하여 각 지방을 순회근무하는 관리로 출세할 상이다.  

4. 얼굴전체 247부위 평생운수 종합감정 판단요도

 

 

 

 

 

 

 

 

 

 

 

 

 

 

 

 

 

 

 

 

 

 

  觀相法 人物鑑定 面相部位 細部 名稱解說

변지

보각

군문

무고

천양

고광

外府

右廂

천악

天中

天岳

左廂

內府

高廣

天陽

武庫

軍門

輔角

邊地

◈발제(髮際)[頭上경계부위]:조상과 부모의 유덕과 건강상태 氣勢점검
☆화성(火星): 남방화성
천중(天中)[중앙一단]: 大貴大富나 부귀영화의 천지운세 평생운수
①천악(天岳,天嶽)[좌一행]: 官災口舌數 성패길흉
좌상(左廂)[좌二행]: 골육기혈의 부귀빈천 天陽之卦
우상(右廂)[우二행]: 골육기혈의 부귀빈천 天陰之卦
③내부(內府)[좌三행]: 財寶의 多少有無 天陽之卦
외부(外府)[우三행]: 내부와 상동 天陰之卦
④고광(高廣)[좌四행]: 관운의 유무
⑤천양(天陽)[좌五행]: 官職의 진퇴여부
⑥무고(武庫)[좌六행]: 군문과 관청의 일
⑦군문(軍門)[좌七행]: 兵事의 관계
⑧보각(輔角)[좌八행]: 관록의 유무
⑨변지(邊地)[좌九행]: 관운의 승급과 여행의 길흉

역마

조정

전당

사살

母墓

방심

천부

虎角

月角

天 庭

日角

龍角

天府

房心

父墓

四殺

戰堂

弔廷

驛馬

천정(天庭)[中央二단]: 관직의 진퇴여부와 녹봉수혜 여부
①일각(日角)[좌一행]: 부친궁의 길흉
 월각(月角)[우一행]: 모친궁의 길흉
②용각(龍角)[우二행]: 부계일가의 길흉화복
  호각(虎角)[좌二행]: 모계친척의 길흉화복
③천부(天府)[좌三행]: 고위관직의 當否
④방심(
房心)[좌四행]: 사부(師傅)의 成否
⑤부모(父墓)[좌五행]: 부계선조의 유업이나 산소관리
모묘(母墓)[우五행]: 모계의 遺德관계
⑥사살(四殺)[좌六행]: 무장의 길흉
⑦전당(戰堂)[좌七행]: 전쟁과 경쟁사업의 갈흉성패
⑧조정(弔廷)[좌八행]: 喪事 有故의 當否
⑨역마(驛馬)[좌九행]: 여행의 길흉

은현

산림

중미

교액

도중

교우

소부

상경

액각

司 空

額角

上卿

小府

交友

道中

交額

重眉

山林

隱賢

사공(司空)[삼단중앙]:관록의 高卑
천정(天庭)[中央二단]:
액각(額角)[좌一행]: 관록의 길흉
②월각(月角)[우二행]:
상경(上卿)[좌二행]: 관록의 고하
③소부(小府)[좌三행]: 승진과 좌천
④방심(
房心)[좌四행]:
⑤도중(道中)[좌五행]: 길 도로 거리에서의 행보중 길흉 사고 사망운세
모묘(母墓)[우五행]:어머니나 모계쪽의 산소나 묘지에 관한 일
⑥교액(交額)[좌六행]: 富貴貧賤의 변천이동 출납관계
⑦중미(重眉)[좌七행]: 용기의 유무
⑧산림(山林)[좌八행]: 입산의 길흉
⑨은현(隱賢)[좌九행]: 隱居군자의 도통여부

교외

塚墓

복당

화개

부극

보골

우각

원각

虎眉

中正

龍眉

元角

牛角

輔骨

斧戟

華蓋

福堂

丘陵

郊外

천정(天庭)[中央二단]:
①용미(龍眉)[좌一행]: 좌청룡을 상징하는 권세나 관운과 병권의 유무
  호미(虎眉)[우一행]: 우백호를 상징하는 권세나 관운과 병권의 유무
②원각(
元角)[좌二행]: 권세와 부귀빈천의 선조유업
③牛角(우각)[좌三행]: 권세와 부귀빈천 당대변천
④輔骨(보골)[좌四행]: 관록의 유무나 관직의 승급
⑤부극(斧戟)[좌五행]: 무관의 길흉
⑥화개(華蓋)[좌六행]: 성격과 품성의 인품 문장 언어 행실
⑦복당(福堂)[좌七행]: 선조유업의 복록유무
⑧구릉(兵陵)[좌八행]: 父系 先山의 길흉
  총묘(塚墓)[우八행]: 母系 先山의 길흉
⑨역마(驛馬)[좌九행]:
 

청로

항로

겁문

彩霞

빈문

靈光

林中

紫氣

형옥

印堂

刑獄

凌雲

蠶室

神光

嬪門

繁霞

劫門

港路

靑路

⊙인당(印堂)[中央二단]: 평생의 길흉화복 運數 發顯 花點
①형옥(刑獄)[좌一행]:
②능운(凌雲)[좌二행]: 형옥과 상동
紫氣(자기)[우二행]: 凌雲 刑獄과 상동
③잠실(蠶室)[좌三행]: 전답이나 뽕나무밭의 경작 성패여부, 양잠과 영농의 길흉성패
임중(林中)[우三행]: 산림이나 부동산
④신광(神光)[좌四행]: 사상과 종교 및 神佛세계의 靈性관계
⑤형옥(刑獄)[좌五행]: 官災口舌數나 감옥 구류 사건
⑥번하(繁霞)[좌六행]: 장래 일의 성패와 업무변화 天陽之卦 ※繁:성할 번, 번잡할 번
  채하(彩霞)[우六행]: 장래 일의 성패와 업무변화 天陰之卦
⑦겁문(
劫門)[좌우七행]: 도난이나 사기 분실의 여부
⑧항로(
港路)[좌八행]: 여행숙박의 길흉
⑨역마(驛馬)[좌九행]:

朱雀

천정

천창

어미

간문

少陰

中陰

太陰

光殿

山根

精舍

太陽

中陽

小陽

奸門

魚尾

天倉

天井

玄武

산근(山  根)[중앙 6단]:조업과 건강, 본인의 평생 운세 암장 뿌리
천정(天庭)[中央二단]:
①정사(精舍)[좌一행]: 光殿과 상동
 광전(光殿)[우一행]: 富貴貧賤의 壽福관계
②태양(
太陽)[좌二행]: 富貴貧賤의 평생운수 天陽之卦
  태음(
太陰)[우二행]:부귀빈천의 변천운수 天陰之卦
③중양(
中陽)[좌三행]: 부귀빈천의 변천운수 天陽之卦
  중음(中陰)[우三행]: 부귀빈천의 변천운수 天陰之卦
④소양(小陽)[좌四행]: 빈부귀천의 영고성쇠 변천운수 天陽之卦
소음(少陰)[좌四행]: 빈부귀천의 영고성쇠 변천운수 天陰之卦
⑤간문(奸門)[좌五행]: 부부의 관계
모묘(母墓)[우五행]:
⑥어미(魚尾)[좌六행]: 간문과 상동, 남녀관계 애정행각
⑦천창(天倉)[좌七행]: 부귀빈천의 변천운수
⑧천정(天井)[좌八행]: 재물금전의 취득 손실
⑨현무(
玄武)[좌九행]: 도난 詐欺의 당부
 주작(朱雀)[우九행]: 투기 모험의 성패여부

유군

조적

琴房

금궤

外女

소녀

중녀

장녀

妻座

年上

夫座

長男

中男

少男

外男

金櫃

禁房

盜賊

遊軍

⊙연상(年上)[中央二단]: 壽上과 상동
①부좌(夫座)[좌一행]: 남편의 길흉운세
  처자(妻座)[우一행]: 처첩의 길흉운세
②장남(長男)[좌二행]: 장남의 길흉
장녀(長女)[우二행]: 장녀의 길흉
③중남(中男)[좌三행]: 장남의 길흉
중녀(中女)[우三행]: 장녀의 길흉
④소남(少男)[좌四행]: 晩子의 길흉
소녀(少女)[좌四행]: 晩女의 길흉
⑤외남(外男)[좌五행]: 外房子 유무
외녀(外女)[우五행]: 外房女 유무
⑥금궤(金櫃)[좌六행]: 금전보화의 유무
⑦금방(禁房)[좌七행]: 盜難의 當否
⑧도적(盜賊)[좌八행]: 도난의 발생 여부
⑨유군(遊軍)[좌九행]: 변방이나 객지의 길흉소식

명문

虎耳

권세

관골

姉妹

姨母

당상

귀래

갑궤

壽上

甲櫃

歸來

堂上

姑叔

兄弟

觀骨

權勢

龍耳

命門

⊙수상(壽上)[中央二단]: 수명과 損財數
①갑궤(甲櫃)[좌一행]: 재산의 득실
②귀래(歸來)[좌二행]: 侍從과 방문객 손님의 출입여부
③당상(堂上)[좌三행]: 친척의 길흉 운세변화
④고숙(姑叔)[좌四행]: 고종촌수의 길흉
이모(姨母)[우四행]: 이종촌수의 길흉
⑤형제(兄弟)[좌五행]: 형제의 길흉
  자매(姉妹)[우五행]: 자매의 길흉
⑥관골(觀骨)[좌六행]: 권세의 유무
⑦권세(權勢)[좌七행]: 권위와 세력의 유무
⑧용이(
龍耳)[좌八행]: 명문의 건강 수명 장수관계 天陽之卦
  호이(虎耳)[좌八행]: 명문의 건강 수명 장수관계 天陰之卦
⑨명문(命門)[좌九행]: 수명의 장단

인수

병졸

수문

圓倉

전어

궁실

재화

법령

廷尉

準頭

蘭臺

法令

災火

宮室

典御

後閣

守門

兵卒

印綬

⊙준두(準頭)[中央九단]: 平生 부귀빈천의 종합운세
①난대(蘭臺)[좌一행]: 재물과 부귀빈천에 대한 天陽之卦
  정위(廷尉)[우一행]: 재물과 부귀빈천에 대한 天陰之卦
②법령(法令)[좌二행]: 수명과 공중도덕성의 준법성여부
  정위(廷尉)[우二행]: 금전과 물질의 관리운영
③재화(災火)[좌三행]: 災殃과 火災의 當否
④궁실(宮室)[좌四행]:처첩의 침실과 안방 및 부속 廚房
⑤전어(典御)[좌五행]: 부하의 다소유무 통솔관계
⑥後閣(후각)[좌六행]: 여행 숙박의 길흉
  圓倉(원창)[우六행]: 전원의 풍작과 흉년
⑦수문(守門)[좌七행]: 家勢 家道의 빈부귀천
⑧병란(兵卒)[좌八행]: 군대나 경찰 관청의 軍務나 공공업무상황
ⓢ역마(驛馬)[좌九행]: 여행이나 수행의 길흉

현벽

박사

영문

기당

복종

祿倉

세주

井部

선고

人中

仙庫

帳下

細廚

食倉

僕從

妓堂

영門

博士

縣壁

인중(人中)[中央二단]: 수명과 정력원천 에너지 및 자녀운수
①선고(仙庫)[좌一행]: 전택의 유무
②장하(
帳下)[좌二행]: 욕실 및 처첩궁
정부(井部)[우二행]: 仙庫와 상동
③세주(細廚)[좌三행]: 盛饌과 粗饌
④식창(食倉)[좌四행]: 음식물의 섭취와 식복관계의 天陽之卦
녹창(祿倉)[우四행]: 식록의 유무 창고주방의 재화 天陰之卦
⑤복종(僕從)[좌五행]: 종복이나 사환의 유무
모묘(母墓)[우五행]:
⑥기당(妓堂)[좌六행]: 애첩의 유무
⑦영문(영門)[좌七행]: 소아의 양육 길흉
⑧박사(博士)[좌八행]: 학위 자격증의 취득 여부
⑨현벽(
縣壁)[좌九행]: 가택의 안부

十一

산두

위항

상려

가고

通衢

금루

鵝鴨

비린

각문

水星

閣門

比隣

波池

金縷

兵蘭

家庫

商旅

委巷

山頭

수성(水星)[中央十一단]: 신의와 말운, 처세대인관계의 원활성
①각문(閣門)[좌一행]: 閨房의 길흉
②비린(比隣)[좌二행]: 隣家의 好 불호, 이웃집이나 동네 지역사회의 소원(疎遠)형편 관계
③파지(波池)[좌三행]: 水生家禽類 및 축산의 길흉
  아압(鵝鴨)[우三행]: 가금류 및 축산의 길흉
④금루(金縷)[좌四행]: 광산의 成敗
⑤병란(兵蘭)[좌五행]: 사환 급사의 업무
통구(通衢)[우五행]: 遠行의 길흉
⑥가고(家庫)[좌六행]: 家穀의 유무
⑦상여(商旅)[좌七행]: 행상의 성패
⑧委巷(위항)[좌八행]: 항구출입의 길흉
⑨산두(山頭)[좌九행]:산중의 여행

十二

行旅

시골

지고

藥池

荒丘

임원

외원

손택

조택

承奬

祖宅

孫宅

外院

林苑

下墓

酒池

地庫

시骨

道路

승장(承奬)[中央十二단]: 水厄及 飮酒
①조택(
祖宅)[좌一행]: 조부모의 길흉과 遺福
손택(孫宅)[좌二행]: 孫宮의 길흉
③외원(外院)[좌三행]: 우마와 전장(田庄:전답과 축사)
④임원(林苑)[좌四행]: 임야의 유무
⑤하묘(下墓)[좌五행]: 移葬의 길흉
  황구(荒丘)[우五행]: 移葬과 선산묘지 관리의 길흉
⑥주지(
酒池)[좌六행]: 飮酒 歌舞 餘興의 길흉화복
⑦지고(地庫)[좌七행]: 지각과 상동
⑧시골(시骨)[좌八행]: 노복과 상동
⑨도로(道路)[좌九행]: 여행의 길흉 운세변화
여행(行旅)[우九행]: 여행숙박의 길흉

十三

路線

船路

대해

魚場

禽鴨

갱참

대마

노복

하사

地閣

下舍

奴僕

대磨

坑塹

養鴨

養魚

大海

海路

車路

 頌堂

지각(地閣)[中央十三단] 인생말년의 운세, 지각의 아래부위 →송당(頌堂): 지각의 후반부 운세
頌: 칭송할송, 얼굴용, 모양용
①하사(下舍)[좌一행]: 外舍의 유무: 本家 外의 방이나 사무실 창고 등 건물의 부속공간
②노복(奴僕)[우二행]: 부하나 아랫사람의 다소유뮤
용각(龍角)[우二행]:
③대마(대磨)[좌三행]: 정미소의 업무 길흉, 대:방아대
④갱참(坑塹)[좌四행]: 지하실의 유무
⑤양압(養鴨)[좌五행]: 가축의 양육 성패
금압(禽鴨)[우五행]: 축산의 길흉
⑥양어(養魚)[좌六행]: 양식업 및 수산업 생선포획
어장(魚場)[우六행]: 수산어업의 길흉
⑦대해(大海)[좌七행]: 선박 항해의 길흉
⑧해로(海路)[좌八행]: 선박 항해 해운의 길흉화복
 선로(船路)[우八행]: 선박 항해 해운의 水厄과 水幸
⑨차로(
車路)[좌九행]: 교통운수의 길흉

제三편: 사상체질에 의한 인물 감정법

제1장: 체격 체형 체질 총론
1.사상체질인의 습성 기질 성격의 개성적 특징
(1)태양인
태양인은 진취적 적극적 능동적 성격이 강하나 인생처세에서 공격적 기질이 강하나 방어적 전략이 부족하여 저돌적으로 나아가다 실패와 좌절을 맛보는 경우가 많다. 자기 과시적이고 허장성세의 약점이 있다. 처음에는 거창하게 벌리나 나중에 용두사미로 끝나는 수가 많으니 항상 신중하게 처신하고 심사숙고 한 후 여러번 생각한 후 행동해야 실패가 적다. 돌다리도 두드리면서 건너야 하는 좌우명이 요구된다. 역사적 소용돌이 전환기나 변화의 시기에 혁명가 열사 선구자 개척자 등이 대개 태양인의 기질이 발휘된다. 서양인들의 체격과 용모 등에 태양인을 닮은 사람이 많다.  

(2)태음인
태음인은 소극적 안정적 성격이 강하나 인생처세에서 방어적 기질이 강하나 공격적 전략이 부족하여 망설이고 주춤거리다 큰일을 이루지 못하고 기회를 놓치고 후회하는 수가 많다. 몸이 굼뜨고 동작이 느리며 겉으로는 점잖고 여유가 있어 보이지만 속으로는 조바심을 내거나 걱정을 많이 하는 편이다. 태음인은 체격이 대형이고 뼈대 근육이 튼튼하여 운동이나 수행을 한 사람 중에는 중량급 운동종목에 태음인이 많고 정치가나 사업가 중에도 태음인이 많다. 현대에 와서는 관리직 정치가 중에는 태음인보다는 소양인들이 많이 나타난다. 중국인들의 기질 성품이 태음인의 특징을 많이 보여준다.  

(3)소양인
소양인은 외향적이고 활동적이며 陰地에서보다 陽地에서 활동하는 사람이 많고 인생처세에서 공격과 방어전략을 동시에 사용하나 공격적 성향이 강하다. 화려한 일과 남 앞에 나서는 일을 좋아하고 좀 까불거나 촐랑대며 경거망동하여 큰일을 이루지 못하고 반쯤 하다 그만두는 수가 많다. 서두르거나 빨리 일을 하여 속전속결하는 스타일로 단기적인 일을 잘하나 장기적인 사업에는 안목과 계획성이 부족하여 큰일을 이루기 힘들다. 인기연예인이나 외향적으로 남 앞에서 선전을 하거나 사람을 많이 접하는 직업인에 태양인이 많다. 한국인의 조급하고 단시일에 업적을 이루려는「빨리빨리 속성 문화」는 소양인의 기질과 성격을 많이 닮았다.  

(4)소음인
소음인은 내향적이고 靜的으로 사무실 안이나 방안에서 거주하며 일하는 경우가 많다. 陽地에서보다 陰地에서 활동하는 사람이 많고 인생처세에서 공격과 방어전략을 동시에 사용하나 방어적 성향이 강하다. 속으로 차분하게 계산하며 궁리하며 자기의 속마음을 잘 열어 보이지 않는 일본인의 성격을 많이 닮았다. 가정적인 현모양처로 내조를 잘하는 여자 중에는 소음인이 많다. 신경이 예민하고 철두철미 꼼꼼하게 일을 하고 계획을 세우고 충분히 승산이 있을 때 행동에 들어가나 너무 소심하게 따져서 신경증이나 결벽성이 있어서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결점이 있다.  

★사상체질을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의 4가지 종류로 분류하지만 태어날 때부터 선천적으로 품수된 혈액형이나 유전자가 바뀌는 것은 아니지만 기질과 성품은 성장의 경험과 환경의 영향 따라 변화되어 나간다. 각 사람에게 고유한 체질을 바탕으로 습관(습성)이 함양되고 天地人의 三符印의 氣功力영향에 의한 기질이 심신 상호작용과 결부되어 개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성격으로 형성되어 한 개인의 고유한 생리심리정신구조가 형성되어 전체적인 인간 운명의 방향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오행오성의 상생 상극형 음양조합에 따른 얼굴모양 분류모델 ▼

 태양인(太陽人):肺大肝小

 태음인(太陰人):肝大肺小

 소양인(少陽人):脾大腎小

 소음인(少陰人):腎大脾小

상단전 가슴발달 肺형 체질

중단전 下腹부발달 肝체질

중단전 上腹부발달 脾체질

하단전 腰부발달 腎체질

               ▼사상체질인 들의 신체적 특성과 생리 심리 정신구조의 특징분류 ▼

사상인

태양인(太陽人):肺大肝小

태음인(太陰人):肝大肺小

소양인(少陽人):脾大腎小

소음인(少陰人):腎大脾小

1.얼굴형

부채꼴, 공작날개 벌린형. 광대뼈가 불룩

方形, 둥근 모서리 사각형. 둥근 네모형

마름모형, DIAMOND형. 역삼각형

원형, 계란형, 씨앗 열매형. 상하좌우 대칭균형

2.머리형

머리상부의 양옆관자놀이가 넓게 발달했고 이마도 크고 불룩하다. 귀가 크고 중앙부위의 근육이 번들거린다.

머리전체가 크나 굴곡이 거의 없고 둥근 사각형 편이다. 이마에 주름이 있고, 귀와 입술이 두툼하다.

머리에 완만한 요철(凹凸)굴곡이 있고 살결이 단단한 형상이다. 얼굴의 윤곽선이 섬세하고 예민한 인상을 준다.

얼굴형이 갸름하고 아담하며 상하균형이 있고 피부는 부드럽고 유연한 인상이다. 여자는 예쁘거나 미인형이 많다.

3.머리카락-눈썹-체모

머리털이 억세거나 곱슬곱슬하기도 하며 눈썹이 짧으며 일직선에 가깝고 숱이 적으며 짙고 체모도 적으며 억세다.

머리털이 가늘고 부드러우며 눈썹이 길고 곡선이며 숱이 많고 눈꺼풀에 살집이 많고 체모도 많고 유연하다.

곱슬머리 경향이고 윤기가 많다. 일자형으로 뻗은 경우가 많고 남자는 수염이 적은 편이다. 체모도 듬성듬성하다.

머리털이 유연하고 아주 가는 편이다. 눈썹이 반달모양 곡선으로 가늘고 이며 숱이 보통이고 체모도 풍부하며 부드럽다.

4.성대

성대의 톤(tone)이 굵고 음량도 억세다. 우두머리의 말을 하고 격식을 갖추어 말한다.baritone계통의 음색에 가깝다.

목소리가 장중하고 위엄이 서리거나 느릿느릿하다. 때로는 답답한  느낌이 들고 意思가 분명치 않다.tenor나 bass계통의 음색이다.

목소리가 맑고 청아하며 변성의 기술이 능하다. 또박또박 발성하고 강하게 음성을 바꾸어 말한다.baritone이나 alto계통

.음성이 낭랑하고 은근하면서 色感을 풍긴다. 감미로우면서 호소력이 있다.soprano나 alto계통의 음성이다.

5.체격

체격이 크고 어깨가 넓으며 상체가 발달했다.가슴부위의 근육이 발달했다. 허리나 엉덩이가 약하여 장시간 서있기 힘들다.

머리에 비해 목이 가늘고 상체가 짧고 펑퍼짐하다. 손발이 크고 手足指가 뭉툭하다. 골격이 굵고 장대하고 둔중한 느낌이다.

몸통근육이 단단하고 상체의 근육이 고루 발달. 체격이 단단해 보이나 상대적으로 엉덩이 살이 빈약하고 하체가 약하다.

하체가 고루 발달하여 신체의 육감적 균형미가 풍만하다. 상대적으로 상체가 빈약하다.체구는 근육질로 작은 사람이 많다.

6.몸체

상체에 비해 하체가 약하다. 엉덩이가 빈약하고 다리도 상체에 비해 짧은 편이다.여자는 어깨 가슴이 유달리 커 보인다.

배가 불룩하고 하체가 비대하며 살집이 무르고 동작이 느리다. 거만한 기운이 보인다. 호흡기가 약하거나 숨결이 거칠다.

엉덩이와 다리는 근육형이고 살집이 빈약하다. 상하체의 균형이 알맞고 남자는 단단하고 여자는 날씬한 형이 많다.

여자일수록 상하체의 균형이 맞고 날씬하거나 SEXY한 편이다.남자도 상하체가 고루 발달한 형이다.

7.내부장기형

호흡순환계발달(지식과 행동겸비 활동형

내장근육발달하고 살과 혈이 많은 비만 (사업추진형)

소화흡수발달(운동기술예능형)

생식배설발달(사무연구예능재주기예 발휘형)

8.기색

흰색바탕에 붉은 기운이나 갈색의 윤기가 돈다.

황색바탕에 검푸른 기운이 나 청색의 기색이 돈다.

흰색바탕에 황갈색이나 구리 빛의 기운이 돈다.

황색바탕에 홍자색(紅紫色)의 기운이 돈다.

9.성품 및 의식세계

원기왕성하고 공명정대한 성품에 모험개척의 정신이 뛰어나서 명예나 부를 잘 쌓으나 정확성이 부족하면 마무리를 잘못한다.

은인자중하며 집념이 강하여 장기적 안목이 우수하나 자신의 주장이나 고집에 집착하여 큰 것을 바라다 적은 것도 놓친다.

생기발랄한 성격에 동작이 민첩하며 사교활동력이 좋고 창의력이 있으나 저돌적 猛進性으로 실수가 있거나 경거망동한다.

심사숙고하는 침착한 기질로 책임감이 강하며  활동성이 강하여 자수성가하는 부지런한 성품이나 소심하거나 용기가 부족하다.

10.직업의 방향

과학자, 탐험발굴가, 학자예술가, 종교가(기독교),법관 행정가 교육가, 홍보원

정치가 군대지휘관, 관리사업가, 현장감독, 운동선수 종교가(불교) 수도인

외교관 군인 경찰 무술가, 장식업, 디자이너, 회사원, 중개사, 세일즈맨, 방송인

교육자 공무원, 은행원, 경리계산원, 도서사서인 기능공, 패션모델, 연예인,

사상인

태양인(太陽人):肺大肝小

태음인(太陰人):肝大肺小

소양인(少陽人):脾大腎小

소음인(少陰人):腎大脾小

11.오행

 金性人形

 木性人形,

 土性人形

 水性人形

12.類似오행

 火性人, 火克金, 木生火

 水生木, 土克水

 木克土, 火生土, 土生金

 水克火, 金生水, 金克木

13.삼국지 인물

 관우(義-羞惡之心)

 유비(禮-辭讓之心)

 장비(仁-惻隱之心)

제갈량(智-分別,是非之心)

14.사고방향

 외부지향성(하늘방향)으로 남에게 지기 싫어하는 과시형으로 옹고집이 있고 항상 작은 것보다는 큰 것을 추구한다.

 내부지향성(땅 방향)으로 은근과 끈기로 인생의 승부를 거는 권모술수의 처세기질이 있으며 욕망을 내부로 불태우고 있다.

 시간지향성(정신방향)으로 순발력과 재치로 자아를 확장해가는 능동적 대인처세로 공격형 개척자의 길을 무모하게 돌진한다.

 공간지향성(물질방향)으로 실리추구의 착실 전진형으로 감성이 풍부하고 기억력이 좋아 사물에 적응하는 순발력이 뛰어난다.

15.수상형

 태양선,인기선 발달

 엄지 손가락 발달,생명선 건강선 발달

 운명선 두뇌선 발달

 월구발달, 감정선 양호

16.재능

天時得音와 歷史전통의 來歷사무에 능하다.

人倫道德과 黨與를 잘 이끈다.

世會와 世時風俗에 밝고 交友를 잘함

地方인심과 山川地理에 적응하는 居處술에 능함.

17.SEX감정

 자기만족 중심 속전속결의 활화산형

 내면적 은근 끈기 본능충실 대화보다 몸으로 느낌

 외형적 기교추구 변화무쌍한 감각을 중시한다.

 낭만과 요염한 정감을 탐닉하는 분위기를 중시함

2.팔 다리 근육피부 감정법
 
①사지 팔다리의 뼈대와 골상 척수의 구조
 ②주름살 사마귀 점 모발 기타 각종 부위
 ③동작 언어 호흡 식사 걸음걸이 앉음새
 ④누운 자세 기타 일상생활의 여러 자태

제2장: 체형 체질 습성 기질 성격과 심성사고 세부 각론
 이제마 李濟馬(1838∼1900)는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 사람의 체질을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의 4가지 종류로 분류하여 체형 체질에 기초한 사람의 기질과 성격의 심성사고체제까지 분석하여 질병치료에 활용했다. 물론 수많은 사람들을 이 4가지 체질모형[체형]으로 정확하게 진단하고 치료법을 처방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더구나 사람의 능력과 자질을 분석하고 운명적 처방의 진로까지 제시하는 데는 음양오행의 동양철학 원리를 근본적으로 참조해야 인물감정을 더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인체의 체질을 바탕으로 나이가 먹어감에 따라 각 사람에게 고유한 습성이 함양되고 天地人의 三符印의 기공영향에 의한 기질이 생체적 사고 정신 작용과 결부되어 각 사람의 개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성격으로 형성되어 한 개인의 고유한 생리심리정신구조가 형성되어 전체적인 인간 운명의 방향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계절

四端

天機耳目
口鼻長技

운동방향

체형체질
장부특성

人事처세

성격기질
장 단점

심성 특성
사고 방향

소양인

인-측은지심仁-惻隱之心

목시세회
目視世會

발아분열

脾大腎小눈-가슴-어깨발달

交遇
經綸
威儀

사람을 잘 사귀는 심리기법을 잘 구사하나 이익에 따라 움직인다.

극대(極大)-자아 확충을 최대로 키운다.

태양인

 

여름

의-수오지심義-羞惡之心

이청천시耳聽天時

개화통일

肺大肝小귀-턱-머리발달

事務
籌策
識見

다방면의 업무능력이 능숙하나 배은망덕의 기질이 있다.

극탕(極蕩)-넓고 크게 흔들리며 뻗어간다

소음인

가을

지-시비지심智-是非之心

구미지방口未地方

수렴압축

腎大脾小입-단전-볼기발달

居處
度量
方略

땅과 생물의 거처 둥지를 잘 틀어 보금자리를 잘 지키나 사람을 차별한다.

극막(極邈)-자기 생각을 멀리까지 추구한다.

태음인

겨울

예-사양지심禮-辭讓之心

비후인륜鼻嗅人倫

저장양생

肝大肺小코-臍輪-허리발달

黨與
行檢
才幹

무리를 잘 지어 단체를 만드는 능력이 있으나 음흉한 권모술수가 내재한다.

극광(極廣)-자아 확충을 최대로 넓힌다.

1.사상체질인의 실천윤리 처세방향

(1)소양인
자신의 능력보다 과도한 욕망과 포부를 달성하기 위해 용기가 가상하지만 상대방을 흠집내거나 시기 비방 중상모략하는 비열한 행동을 저지르는 수가 있다. 뜻대로 되지 않을 때 자신을 비하시키고 자포자기하면서 막연히 무언가 잘될 것이라는 의뢰심(依賴心)이 발동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자만하거나 교언영색(巧言令色)하는 잔꾀를 부리기도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는 패륜적 기질이 있으니 자중하고 수양하여 교양을 쌓으면 결점이 보완된다. 변화에 민감하고 처세의 융통성이 있고 재주기예에 능해서 사업적인 방향에 대성할 소질이 있다.

(2)태양인
외형상 頭部가 크고 상체가 발달해서 자기가 잘났다는 아만심(我慢心)의 識見에 젖어 기고만장하거나 과시하는 버릇이 있다.  엉성한 이론이나 대충 대충하는 방략(方略)을 구사하여 세부적인 업무에 허실이 많다. 기량이 달릴 때는 남모르는 방책이나 비겁한 악수(惡手)를 두어 자신을 망치는 수가 있다. 항상 정도를 걷도록 하고 자기 역량에 알맞은 계획과 실천을 할 때 상당한 성공을 거둘 수가 있다.

(3)소음인
인체하부의 생산기능이 발달해 사무처리와 물질경영에 두각을 나타내어 자기 꾀에 자기가 속는 자충수(自充手)를 두는 수가 있다. 물욕이 方略이 강해서 남의 소유를 자기 것으로 탈취하고 빼앗는 암수(暗數)와 비천심(卑賤心)에 능하니 처음에는 성공하나 나중에 패가망신하는 수가 있다.  인생의 경륜과 명언 충고에 귀기울이는 자아수양이 겸비되면 자기포부의 희망을 무난하게 성취할 수 있다.

(4)태음인
하체가 발달하여 허리의 힘이 세고 근력이나 체력이 강해 체구를 믿고 큰소리치는 사치심(奢侈心)이 있어 주책없이 거들먹거리거나 으스대는 교만심이 있다. 억지로 위엄을 부리거나 무리한 권위를 내세워 남을 억누르는 위세를 부려서 타인의 미움을 살 염려가 있다. 성격이 밖으로 명쾌하지 못하고 음흉한 권모술수를 부리는 사람도 있으나 선한 방향으로 심성을 개발하여 인격수양을 한다든지 종교적인 수양을 많이 하여 덕성을 쌓으면 훌륭한 인품을 닦아 사회적인 지도자가 될 수 있다.  

2.성격 기질상으로 본 사상인의 장단점
(1)소양인
소양인은 지식과 경륜이 있어 세파(世波)의 흐름에 민감하게 대처하는 임기응변의 능력이 있지만 자신의 능력을 과신하고 자만하는 경박한 기질이 있다. 동작이 민첩하고 행동력이 빨라 밖으로 다니기를 좋아하고 몸에 열이 많아 화를 잘 내고 성격이 급하고 참을성이 부족하다.조금만 재주를 떠벌리고 일을 크게 벌리나 용두사미의 졸속이 있으니 성실하게 안분지족(安分知足)하는 안정성이 요구된다. 마음의 안정을 유지하고 심신의 균형을 잡아 심사숙고하면 실수를 방지하여 점차적으로 큰 일을 성취할 수 있다. 일이 잘될 때 자만하고 방종하는 혈기와 좌충우돌을 자제하고 차분하게 나아가면 별 무리없이 평생동안 분복(分福)을 누릴 수 있다.

(2)태양인
태양인은 주책(籌策)과 행검(行檢)을 갖추고 역발산으로 나아가는 용기가 있지만 너무 자신을 내세우고 뽐내는 허장성세의 과시욕이 있다. 성품의 특징은 사고력이 뛰어나고 진취적인 기상이 강하다. 영웅적 자존심이 강하여 깊이 생각해보지 않고 단순하게 좌충우돌하는 저돌적 만용을 부린다. 선악간에 의협심과 분노가 강하여 자신의 몸을 돌보지 않고 공격하다 일을 감당하지 못하는 실수를 저지르는 수가 많으니 항상 수양을 해서 신중하게 처신해야 한다.몸체와 체격이 큰 사람부터 평균치까지 다양한 용모로 도량이 넓고 경륜도 풍부하나 자기 역량에 과신하여 방자한 처세를 하여 낭패를 보는 수가 있다. 극과 극을 달리는 무원칙한 고집을 버리고 은인자중(隱忍自重)하는 신중성이 필요하다. 타고난 기질의 장단점도 후천적인 교육으로 개선할 수 있으나 뿌리깊은 습벽은 고치기 힘드니 항상 천성적 자질함얌에 힘써야 한다. 타인을 함부로 무시하고 깎아 내리는 증상만 아만심(增上滿 我慢心)을 경계해야 한다.

(3)소음인
소음인은 조용한 성품에 내성적이며 남자라도 여성적인 이미지가 많이 풍긴다. 감성이 풍부하여 예술이나 기예 요리 장식 도안에 취미와 소질이 많다. 생각이 깊은 것 같으나 소심하고 부끄러워하는 기질이 있다. 겉으로는 겸손한 척하지만 내면적으로 경륜을 감추고 실력도 있어 자부심이 대단하다. 은인자중하여 실리적으로 자기의 포부와 욕구를 성취시켜나가는 능력이 있으나 때로는 매정하게 뿌리치는 냉정함이 있어 타인으로부터 미움을 받거나 오해를 사기도 한다. 이상적 심미주의 심성으로 예술적 천분(天分)이 있지만 후천적 교양이나 체계적 학술이나 기예가 없으면 공상에 빠지기도 하여 적극적 행동력의 추진력이 약하다. 소규모의 일에 민감하게 대처하고 성실하게 절약하는 알뜰형으로 차분하게 일을 하여 실수가 적다. 한가지에 집착한다든지 안목과 식견이 좁아 활달한 면이 부족하고 자만심과 질투심도 강하다. 가정적이고 부드러운 성품에 아기자기한 면도 있고 자기분야에 정통한 전문가의 기질이 있으니 개방적인 다양성과 융통성이 부족하여 대인관계에 답답하고 짜증스런 처세를 하기도 한다.   

(4)태음인
태음인은 인내심과 포용심이 많으나 대로는 우둔한 것 같기도 하다. 변화와 개척보다는 보수적 전통을 답습하고 자기 주관을 묵묵히 지켜나가는 안정성은 있으니 사교적 친절성이 부족하여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인상을 준다거나 인상적이 느낌이 잘 들지 않는다. 태음인 중에서 지식이나 교양 학식이 부족하면 물질적 욕망이나 나쁜 습관에 빠져 음주 도박에 빠지는 사람도 있다. 안으로 생각하는 기질이 많아 감정의 변화가 외면에 잘 나타나지 않아 대인관계에 활동성이 모자란다. 근육이나 체력이 강해 중량급 운동에 타고난 힘이 있다. 여자로서 태음인은 애정적인 대화가 모자라고 섹스상의 기교도 부족하거나 감성도가 둔중하여 성적인 매력이 약하여 별 인기가 없으니 체질개선이나 성격개조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3.심성특성 사고방향으로 본 사상인의 생활태도 개선방안
(1)소양인
 사람사이의 교우관계 인간처세의 교제수완이 능란하여 집단을 움직이고 사물을 유통시키는 직업에 두각을 나타낸다. 경거망동하거나 자신을 과신하여 욕심을 부리다 실패하는 경향이 많으니 매사에 신중을 기하고 심사숙고하는 은인자중의 미덕을 닦아야 실수가 적다. 소화흡수를 주관하는 脾臟의 기능이 왕성하여 좌충우돌 일을 신속원활하게 추진하는 재치와 박력이 있다. 소양인은 현실적인 두뇌회전이 빠르고 행동이 민첩할 정도로 허리의 기능이 왕성하나 하단전 음기가 부족하여 끈질긴 지구력이 약하다. 이로 인해 요통이 발생할 경우가 위험이 있으니 항상 상하체 운동을 고루하여 허리와 다리의 힘을 강화하고 陰氣를 보양하는 섭생과 식이요법을 하는 것이 좋다.행동사물을 대국적으로 보지 못하고 좁은 안목에 그릇이 작은 소인의 行態가 있으니 폐장기능을 강화하여 멀리 크게 보는 안목을 키워서 참다운 소양인의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인내력과 포용심이 부족하고 경박한 면이 있으니 학문적 이론과 인격수양에 힘써서 자신을 더욱 크게 개발하는 다양성의 경륜이 필요하다.

(2)태양인
 역사적 현실을 인식하는 통찰의 능력이 탁월해서 해서 개인적 事務능력을 집단이나 국가 민족의식과 연결시키는 혁명의식이 있다. 항상 작은 것 보다 큰 것을 생각하고 악하고 탁하고 어지러운 것을 선하고 깨끗하고 정돈된 질서로 바꾸려는 개혁의지가 충만하나 세밀한 계획과 현실을 잘 간파하고 꼼꼼하게 추진하는 실천력이 없으면 한갓 꿈이나 공상으로 실패할 수가 있으니 자아의식을 투철히 반성하고 수립해야 성공할 수 있다.  
 가슴이 넓고 포부와 희망이 선선하게 교체되는 가스교환의 허파호흡을 잘해야 한다. 태양인의 先天之氣와 浩然之氣를 잘 기르나 독불장군이나 유아독존식으로 나아가면 역사의식을 잘못 해석하여 자신과 타인의 신세를 망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태양인은 다혈질 기질이 강하고 허리 하체부위가 약하여 무거운 상체를 지탱하는 데 힘이 든다. 고로 脾臟기능을 강화하여 몸과 마음에 중심을 잡고 많은 사람과 화합하고 어우르는 화합과 안정의 哲理를 터득해야 진정한 태양인의 기질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스스로 안정하고 분수를 지켜 조급한 성격을 조절하고 함부로 분노를 발하거나 성질을 부리지 않도록 절제해야 무병장수할 수 있다. 너무 신중하여 굴종적인 인내심으로 자신을 학대하고 처지를 비관하는 소극적 자세는 정신건강에 좋지 않다. 사회의 불합리와 비리에 대한 분노의 炎을 발하여 참다운 기개를 발휘할 운세일 때는 과감하게 나아가라. 자신을 무모하게 돌진시켜 주위로부터 업신여김을 받거나 왕따를 당할 수도 있느니 참다운 친구나 반려자 보조자가 필요하다.  맹목적인 돌진을 방지하기 위하여 학문이나 지식을 갈고 닦아 실력을 연마하고 심신을 수양하여 인격을 도야하며 정상적인 진격을 할 수 있도록 항상 切磋琢磨하는 군자 도인의 길을 걸어야 한다.

(3)소음인
 가정적으로 地方에 안주하여 편안함을 구하는 안일의 나약함을 경계하는 진취적 기상이 필요하다. 배설과 생식을 주관하는 신장의 기능이 탁월한 것이 소음인의 체질적 특성이다. 따라서 사람사이의 情과 물질을 잘 분배하고 생산적으로 처세하는 업무에 종사하면 성공할 가망이 많다. 간장기능을 강화하여 의기소침한 성격을 생기발랄한 활력을 얻도록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 그러면 내성적이고 우울한 성격에서 외향적 적극성이 함양되어 기쁨과 생기를 얻는 밝은 陽적인 면이 강화될 것이다. 신장의 기능이 강하여 다른 체질보다 요통이나 허리가 아플 확률이 낮다. 비위장 계통이 약하므로 복부 근육이 허약하고 소화흡수가 잘 안되는 경우가 있어 내장기능에 부조화의 위험이 있다. 소극적인 기질에 내성적인 성품이 강하므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기혈순행의 불일치로 우울증이나 신경증이 생길 수 있으니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밝고 명랑한 생활을 하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사리사욕을 극복하고 능히 대국적으로 자신을 컨트롤해야 대업을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물질위주의 이기적인 면이 강하기 때문에 정신적인 의미와 靈的인 수양을 많이 하여 물질을 초월하는 박애주의나 인류애 같은 넓은 우주적 세계를 알면 진정한 소음인이라 할 수 있다.  

(4)태음인
 인륜을 중시하고 黨與 집단을 꾸려서 지도하는 보스 기질이 능숙하다. 집단과 단체를 이끌어 가는 데는 조직적 규율과 질서를 창안하는 지도력을 터득해야한다. 해독과 저장축적을 주관하는 간장의 기능이 왕성한 태음인은 물질과 사람을 잘 다루어 재물을 모으는 재간이 있어 부자나 갑부 중에 태음인이 많다. 태음인은 하복부의 힘이 좋아서 적당한 운동으로 체중조절을 하게되면 강한 허리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탐식하여 비대증에 걸리거나 몸체가 둔중하지 않도록 고카로리(Calorie)나 살이 찌는 단백질 음식을 피해야 한다. 성품이 느긋하고 동작이 둔한 편이므로 몸이 무겁거나 비만증을 일으키는 영양식을 삼가하고 담백한 음식이나 과일 채소류를 자주 섭취하여 맑은 정신건강을 도모해야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무뚝뚝한 기질에 친절성이나 사교성이 부족하여 다정다감하고 가정적인 성품이 부족하니 대인관계 처세술에 신경을 써서 명랑 쾌활한 성격이 되도록 심신을 연마해야 한다. 무뚝뚝한 대인관계는 자칫 거만하거나 무례한 사람으로 오인받으니 仁慈으 덕망을 쌓아야 진정한 태음인이 될 수 있다. 큰 일을 하려면 자기의 큰 몸을 다스리고 조절하는 심신기공력을 단련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극기훈련을 하여 신체의 기민성을 높이고 느릿느릿한 동작을 신속하게 움직이는 체력단련을 해야만 자기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제3장: 체질 성격 기질론
1.수형학(手形學: Cheirognomy)과 4체액 기질론
수형학(手形學): Cheirognomy[k iragn mi]∼The judging science of reading person's fate and destiny including body, mind and character, habit after seeing the shape of the hand feature and finger's shape.
                                     ☆                    ☆                    ☆
수형학은 인간 생명유기체 몸체의 내장기관인 오장육부와 외형적인 사지백체의 머리 가슴 허리 다리 등의 상 하체 중에서 유일하게 상징적인 손의 형태와 모양 생김새 살결 근육과 살집의 강약과 단단하고 부드러운 피부상태를 종합적으로 관찰하고 감정하는 분야로써 주로 각 개인의 과거와 현재를 소급 추리하며 체격적인 특징과 가문 가계도 신체나 골상 등을 판단한다. 손의 생김새나 색깔을 종합하여 그 형태의 상징의미를 분석하고 판단하는 데는 4체액 기질론을 참조하면 피 감정인의 성격이나 기질 등을 미리 예단할 수 있다.

2.4체액(體液) 기질론(氣質論) 
사람의 피부색은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체액에 의해서 결정되고 그 체액의 색상이 혈액순환과 함께 살갗을 통해서 색소로 비쳐 나온다. 그런데 체액과 혈액이 음양조화로 비쳐 나오는 피부혈색은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살갗 피부색으로 보지만 운명적인 길흉을 판단하는 천지기운의 운기혈색(運氣穴色)과는 구별된다. 즉 運氣穴色은 각 개인의 체액적 혈색이 몸밖의 천지운기인 오운육기와 상호교신되어 나타나는 運氣色으로 皮膚氣血색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감안하여 운명감정의 예언에 임해야 한다. 사람의 氣血色은 장기적인 개인의 체액혈색이지만 運氣穴色은 천지오윤육기의 변동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된다고 보면 된다.

4체액형

혈색 기혈

기질 성격 개성의 징후

사상체질적 비고

 점액질
(粘液質)

붉은 색 계통의 기운이 많이 비친다.

정력이 왕성하고 다변으로 자기 자랑이나 과장 현시성이 강하다. 자기의 감정과 정서를 솔직하게 잘 드러내며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능동적 인간형

심장 혈액의 기운이 강한 소양인체질과 비슷하다. 상향적 적극적 성격이다.

다혈질
(多血質)

암색이나 납색기운이 나타남

침울하거나 비관적 염세적 성질이 강하며 소극적이거나 내성적이고 심하면 자폐증 노이로제 증상이 있다.

콩팥 생식선의 기운이 강하고 소음인의 체질에 가깝고 하향적 소극적이다.

담즙질
(膽汁質)

푸른색 계통의  기운이 감돌거나 창백하다.

침착하고 냉정하며 인내심이 강하다. 자아 집념성이 심해서 과대망상증이 있거나 고집불통으로 거만한 기질과 성격이 농후함.

폐장 호흡기가 발달하고담낭(쓸개)의  기운이 강하며 태양인과 비슷하고 진취적이고 확산적이다.

우울질
(憂鬱質)

황색기운 혹은 담홍색(淡紅色)

온후한 성품에 냉정 침착성을 유지하는 심사숙고형의 사색적 인간으로 행동하기에 앞서 여러 번 생각한다.

간장과 비장(지라)의 기운이 강한 태음인의 체질과 흡사하고 보수적 안정적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체액에 의해서 결정되고 그 체액의 색상이 혈액순환과 함께 살갗을 통해서 색소로 비쳐 나온다. 그런데 체액과 혈액이 음양조화로 비쳐 나오는 혈색은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피부색으로 보지만 운명적인 길흉을 판단하는 천지기운의 기혈색(氣穴色)과는 구별된다. 즉 기혈색은 각 개인의 체액적 혈색이 몸밖의 천지운기인 오운육기와 상호교신되어 나타나는 기색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감안하여 운명감정의 예언에 임해야 한다.

※오운육기(五運六氣) : 무극에서 태극이 배태되고 태극의 음양운동으로 오행이 생성되고 오행을 운동적 차원에서 파악하여 오운인 木火土金水라 하고 육기는 지구와 대기간의 자전 공전의 운동축의 변화에 따라 생겨나는 기후의 육차 변동인 溫暖寒熱燥濕의 온도차를 말한다. 또한 인간 영혼의 차원에서는 우주 靈氣의 에테르(Ether)색으로 챠크라(Chakra)와 같은 靈妙한 색채가 있는 데 그것은 고도로 영적인 수행을 이룬 사람의 靈眼 心眼(Mind's eye)에 무지개나 오로라(Aura)와 같은 현상으로 顯現한다. 이것은 심령투시의 심상감정법에 속하는 인물 감정법이다. 

3.인물의 성격파악과 기질 및 개성의 분석

(1)성격(Character)-①A person or the group of qualities that makes any person or thing different from others; any distinctive mark.② moral and mental nature③a person of some particular nature of the weak or strong point.
(2)기질(Temperament)-①One's nature or disposition of mood②the general character,esp.in regard to the feelings
(3)개성(Personality)-①the state, quality, or fact of being a person②the personal quality that makes one person to be different from others.

제4장: 체상 심상 종합판단법
1.사상체질의 천부적 품성바탕
2.사상체상 성격기질 심상분류 특징의 종합판단 감정법

제5장: 동양철학의 원리에 따른 사상체질 분류법
1.동양철학 원리 주역팔괘(周易八卦) 방위 원리도
2.사상체질의 12지 배치도
3.사상체질의 오행방위 배치도
4.사상체질 분류의 감정판단 기준법

(1)태양인
①용모 신체상의 특징②기질 성품 바탕의 성격③질병예방상 대체의학 건강요법
④사상체질로 분류한 유사오행 상생상극형 인물감정
   
★화성인형 ★목생화형 ★화극금형 ★
⑤사상체질과 유사오행 인물형 직업선택의 처세성공 진로방향

(2)태음인
①용모 신체상의 특징②기질 성품 바탕의 성격③질병예방상 대체의학 건강요법
④사상체질로 분류한 유사오행 상생상극형 인물감정
   ★토성인 ★화생토 ★토극수 ★수극화
⑤사상체질과 유사오행 인물형 직업선택의 처세성공 진로방향

(3)소양인
①용모 신체상의 특징②기질 성품 바탕의 성격③질병예방상 대체의학 건강요법
④사상체질로 분류한 유사오행 상생상극형 인물감정
   ★금성인 ★토생금 ★금생수 ★금극목
⑤사상체질과 유사오행 인물형 직업선택의 처세성공 진로방향

(4)소음인
①용모 신체상의 특징②기질 성품 바탕의 성격
③질병예방상 대체의학 건강요법④사상체질로 분류한 유사오행 상생상극형 인물감정
   ★수성인 ★목성인 ★수생목 ★목극토
⑤사상체질과 유사오행 인물형 직업선택의 처세성공 진로방향

 제四편: 심상의 성질과 개성으로 본 인물 감정법

  심상으로 본 인상판단과 인물감정법이란 인간의 몸과 마음을 바탕으로 외모로 나타난 얼굴이나 신체의 모습을 보고 정신적으로 내재된 마음의 세계에 대한 사람 됨됨이와 허실을 평가하는 심리(심령)적 인물감정 심사법이라 할 수 있다. 즉 유형적 외관을 보고 무형적 내관을 판단하고 감정하는 인간학(Humanics)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마음은 현재의식은 물론 잠재적 심층 심령의식의 영능력(靈能力)까지 포함하고 있으므로 넓고도 깊으며 복잡한 심리정신조직을 갖고 있다. 이 같이 복잡하고 다양한 심리정신조직을 갖고 있다. 이 같은 복잡하고 다양한 심리적 특성을 몇 마디 말로써 어떤 확증을 잡는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지만 자세하게 관찰하면 사람 마음의 활동 진행 방향은 심상을 통해 얼굴 표정이나 언어 및 신체의 행동으로 나타난다.

 심리적 유령으로 인물을 본다는 것은 이러한 마음의 심상을 표정이나 동작 언어 기색(氣色)등을 상호연관지어서 판단한다. 이후 설명하는 여러 가지 인물의 심리적 유형은 어디까지나 그 주된 방향을 예시하는 것으로 절대적 기준은 아니다. 왜냐하면 보통 사람들은 때와 장소의 처세환경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심리기제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몇 가지 유형이 혼합되어 있는데 이것은 인간의 마음과 정신조직이 변하고 바뀌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처세의 방향을 자기에게 유리한 심리기제를 때와 장소에 맞추어서 다양하게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기에게 이익을 주거나 친밀한 사람은 약점이나 비행이 있더라도 마치 동물이 새끼를 사랑하듯 단점이나 실수를 눈감아 주고 심하면 동호하고 감싼다. 한편 자기와 경쟁의 대상이 되거나 미워하는 사람들은 비록 조그마한 결점이 있더라도 침소봉대(針小棒大)하고 과장하며 심하면 중상모략하고 악선전한다. 이것은 인간의 이기적 동물성 때문이다. 심리적 유형의 심상감정을 할 때는 처음보는 사람에게는 좀 무리가 있으며 어느 정도 알고있는 사람으로부터 성격묘사를 청취한 후 판단하는 것이 적중율이 높다.

참고 : 용어해설

현재의식 ~ 현재 그 사람이 느끼고 생각하고 말하는 정신 상태로써 항상 잠재적 심층의식과 상호교류한다. 잠재적 심층 심령의식 ~ 인간 마음의 내부에 도사리고 잠재되어 있는 깊은 생각의 정신상태. 아직 밖으로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필요하면 언제든지 현재의식으로 바뀐다. 잠재적 심층의식 속에는 두뇌의 생각과 마음의 영적 의식이 혼합되어 있다.

심리기제 ~ 어떤 사람이 자기의 개성과 습관과 성격에 의해 그 사람 나름대로 생각하고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는 처세의 사고방법을 마치 복잡한 기계의 작동방식에 비유하여 표현한 것이다.

제1절: 「∼형」에 속하는 인물

1.사색추구형
  창조적 사고법으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골똘히 파고드는 끈질긴 집념가로 주로 발견 발명의 연구나 학문탐구와 자연과학적 정신세계를 탐구한다. 잠재의식의 심층구조나 심령의 본질에 대해 깊은 이해와 연구를 모색하고 우주의 현상과 자연 인문 사회 과학의 법칙에 대해 포괄적인 관찰력을 갖추어야만 진정한 사색을 할 수 있다. 사색형은 행동력이 결핍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유아독존적인 아집에 빠지지 않도록 항상 남과 대화하고 독서해서 독단적 사고에 빠지지 않도록 해야한다.

2.명상형
 현실적 희로애락이나 선악의 감정을 그대로 표현하지 않고 마음속으로 되씹고 삭이면서 사물의 현상을 대국적으로 관찰 이해하고 포용하는 사색가로 인생의 길은 안목을 가지고 있다. 명상형은 주로 종교 철학 문학 예술의 영역을 파고드는 형으로 자연 우주 시간과 영원 생사의 인생문제 영혼 등이 주 인식대상이 된다. 명상형은 얼굴은 눈이 그윽하고 우수 띈 애조가 서려 깊은 경우가 많고 귀족적 풍모를 갖고있는 편이다. 심령학적 명 깊은 심층인 영적세계를 심사숙고하며 인간영혼에 대해 깊이 묵상한다.

3.철학형
 매사를 이치에 비추어 꼬치꼬치 파고드는 형으로 다른 사람에게는 아무러치도 않는 일이 그 사람에게는 중대한 문제가 되기도 한다. 사색 명상형이 주로 철학적 인식대상을 깊이 생각하는 방면으로 발전한 것이다. 보통 얼굴이 깡마르고 몸도 양위며 뼈대가 불거진 사람에 많다. 애지자(愛知者로)서 글짓기나 지혜 진리를 사랑하는 학자 타입으로 현실적 오락이나 세속적 유행에는 별로 관심이 없다. 혼자 있기를 좋아하고 조용한 곳에서 명상하거나 독서에 열중하며 인간의 마음이나 사상에 대해 깊이 생각한다.  

4.종교형
현세보다는 내게, 물질보다는 정신, 땅의 일보다는 하늘의 일 등의 형이상학적인 분야에 더 관심을 가자는 신비적 초월적 기질이 농후하다. 종교형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서구적 세련미를 풍기를 매끄러운 처세를 하는 기독교형, 동양적 중용주의와 근엄한 선비적 기질을 갖춘 유교형, 중도중행이나 해탈과 현실초월의 공 사살을 부르짖는 불교형, 풍류기질의 도교 및 선도형, 기타 각종 무속적(巫俗的) 샤머니즘(Shamanism) 에 젖어있는 하의종교의 무당이나 점술가 등 여러 갈래이다. 어릴 때부터 종교에 젖은 사람도 있지만 실패와 불행을 당하고 난 후 인간의 무력함을 깨닫거나 세상의 덧없음을 느낀 후 나중에 종교적 절대자에게 귀의하거나 구원을 청하는 경우도 많다.

5.창조형
현실과 이상의 중간영역에서 자유로운 사상과 사색을 이용해서 사물을 창조적으로 개선 진보시키는 독창적 아이디어 발상가에 많다. 창조형은 복잡한 사상의 여러 요소들을 순서와 계통에 따라 만순 명쾌하게 치환하는 직관력과 추리판단력이 뛰어난다. 창조형태는 과학이나 기술의 발명을 목적으로 하는 지성적, 창조형과 심리감정을 위주로 하는 문학적 창조형, 또한 생활체험과 인생관 우주관등을 혼합발전시키는 예술적 종교적 창조형 대가가 있다.

6.지성형
지식이나 학문적 수양이 높은 사람으로 사물의 핵심을 꿰뚫어 볼 줄 아는 진리적 혜안을 갖추고 명상이나 사색을 즐기는 탐구형에 많다. 진정한 의미의 지성인은 광범한 지식이나 전문적 식견과 투철한 사명감이 뒷받침되어 가치있는 경험을 축적한사람이라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론 지식이 좀 많으면 지성가인 척 흉내내고 있는 실정이다. 지성형은 감정의 변화를 잘 컨트롤(Control) 하는 주체적 자아의식이 강하므로 이성과 상식의 판단을 중시하고 좀처럼 행동에 뛰어들거나 현실적 조류에 부화뇌동 경거망동을 하지 않는다.

7.감성형
복잡한 이론이나 고차원적 고등감정을 위주로 하는 지성파와는 달리 현실적 감각이나 본성의 느낌에 가치판단이 잘 좌우되는 사람이다. 마음에 느끼는 희비애락을 일상생활의 다양성에 비추어 예능적 오락성으로 잘 표현되는 사람에 많다. 감성형은 성격이 섬세하고 다정다감하며 기질상으로 관능적 감각에도 예민하다. 문화적 재질이 풍부하고 예술성도 강열하다. 이형은 경제적 생활력이 약한 편으로 시련이나 난관이 닥칠 때 세파와 고생을 이겨내는 용기와 박력이 모자라므로 냉정한 판단을 내려서 너무 감정에 휩싸이지 않도록 실용적인 문제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한다.

8.예술형
심미적 정서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예술가적 기질과 자질을 갖춘 사람들이다. 언행과 처세에 세련된 품위와 교양을 갖추고 있으면서 이것을 표현하는 데도 특별한 능력을 발휘한다. 여행이나 변화를 좋아하고 사교적 모임에도 자주 간다. 상상력이 풍부하여 공상적 로맨스(Romance)에도 잘 젖어든다. 예술형의 인간이 자질을 살려 힘껏 노력하고 영감을 받으면 상당한 인기를 모을 수 있다. 운세가 좋으면 대성공도 할 수 있다. 어느 정도의 예술적 재능을 갖춘 사람은 전문적 예술인이 못되더라도 사회문화사업이나 인기흥행업 대중접대 서비스업 등에 종사하면 발전의 가망이 많다.

9.공상가형
자연현상이나 물리 화학분야를 파고드는 과학적 탐구형이라기보다는 예술이나 문학방면의 감정 심리 정신분야에 더욱 상상력과 표현력이 우수하다. 비현실적인 공상으로써 너무 현실을 무시하면 헛된 망상에 빠질 염려가 있다. 공상은 그 아이디어의 발산을 어느 정도까지 현실에 실천시키느냐가 중요한 것인데 전설적인 공상은 잘 다듬고 연구하면 창조적 발상으로 연결되어 실행에 옮길 수 있다. 헛된 공상은 열등감이나 죄책감에 사로잡혀 자신의 감정과 이성을 조화롭게 통일하는 심정력(心定力)이 부족하다. 이것을 개선하자면 현실과 실용에 바탕을 둔 건전한 상상력으로 연결하는 심신수련이 필요하다.

10.심사숙고형
돌다리도 두드려가며 걷는 형으로 냉정 침착하고 빈틈이 없다. 몇 번이나 생각한 후 행동하는 타입으로 좀 침울한 성격도 있어 사색철학형에 가깝다. 일을 하는 데는 실수가 적으나 실천력이 모자라고 대인처세에 친절성과 다양성이 부족하고 활동무대도 좁아서 큰일을 할 때 애로점이 많다. 심사숙고형의 장점은 약속을 잘 지키고 언변과 이론에 조리가 있다. 화려한 것보다 실질적인 것을 쫓는다. 행동이 세련되고 의복도 단정하면 시간과 물질을 아껴 쓰는 절약형 주체적 인간이다.

11.과학형
과학형은 실증주의사상과 유물론적 우주관이나 자연현상의 원인결과에 관심이 많다. 자기의 눈으로 직접 보거나 실험을 거쳐 증명되지 않는 것은 좀처럼 믿지 않는다. 현대는 과학시술시대이므로 과학형이 추앙받지만 인생은 과학만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므로 과학적 사고방법도 중요하지만 종교 예술 등 사회인문 각종방면에도 관심을 가지면 가질수록 그만큼 폭 넓은 다정한 인간미가 부족하다. 과학에서 다루는 원인결과의 인과론도 넓은 의미의 상대적 인연법에 포함되므로 물질이나 정신의 하부구조에서 상호법칙이 다른 부분이 많지만 상부구조의 자연 우주 인생의 범주(Category)에서는 물질과 정신을 통합적으로 총괄하고 다스리는 동일한 법칙이나 원리에 따라 움직인다. 그 세계가 바로 영적인 심령세계의 영동적(靈動的) 원리인 영계(靈界)법칙인 것이다.

12.이론형
선악시비 나 식물의 현상에 대해 좀 주관적으로 열을 개어 따지는 형으로 학자 비평가 언론인등이 이에 속한다. 포괄적 지식이 없는 이론형의 인간은 남의 장점보다 약점을 잘 파헤치고 몰고 늘어지는 끈덕진 인간이다. 이런 사람들은 형식적 이론에는 밝지만 인생의 덕이나 자비심 사랑같은 온화한 마음씨는 희박하고 동정심이 부족하며 냉혹하기 조차하다. 건설적 의미의 이론형은 사물을 합리적으로 처리하는 공명정대한 명료성 과 책임감이 강하고 판단력과 논리수립에 남보다 뛰어난다.

13.경제형
현대는 돈 많은 사람이 행세하는 시대라서 금전 물욕이 자기를 분수를 넘어 지나치게 강한 사람을 가리켜 경제형이라 칭한다. 돈은 필요한 만큼 있어야 하겠지만 정신적인 가치는 무시하고 탐욕에 치우쳐 " 돈이면 무엇이든 다 된다." 는 이익추구의 정도가 심하면 황금숭배의 배금주의자가 된다. 생산적인 경제형은 금전을 다루는데 특출한 솜씨가 있고 상술과 대인처세에 사교가 좋아 " 돈벌이 " 하는데 두각을 나타낸다.

14.정열가형
자기가 하는 일에 일의전심(一意專心)으로 혼신을 쏟아 물불을 가리지 않고 일에 열중하는 타입으로 자기분야에서 성공하기 쉽다. 그러나 건전하고 생산적인 일에 정열을 쏟아야지 남을 이용하고 희생시켜 정도가 아닌 방법으로 정열을 쏟은 건 나중에 실패하고 하늘의 벌을 받는다. 건설적 정열가는 발견 발명 연구개발등 창조적 개척사업에 열성이 좋고 복잡한 일을 현실에 맞게 개혁하고 기획하는 솜씨가 있다. 정열적인 에너지를 발휘하는 사람이 자수성가하는 사람이 많으나 연애나 놀이 유흥 등에 정열을 낭비하는 경우 실리적인 면에 손해보는 수가 많다.

15.금욕형
종교적 수행이나 진리탐구의 구도 정신에 입각하여 본능을 억제하고 심신수도를 실천하여 고난의 길을 걸어가는 사명적 자각의 깨달음을 현실에 실천하는 인간으로 현대에는 별로 구경하기 힘든 인물형이다. 금욕형 수도가들의 목표는 도통달관 하여 진리를 깨우치는 것이다. 기독교적 청교도 정신의 금욕형은 십자가의 도를 깨쳐 하나님의 뜻을 알고 천국에 가는 것이고 불교적 참선 수행자들은 진각정도(眞覺正道)의 열반 해탈에 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기타 모든 종파의 구도자들이나 수행수도 금욕자들의 목적도 개안영통의 득도에 중점을 두고 있다. 현대에 와서는 금욕적 심신수행의 목적이 종교적 입장보다는 현실적 처세능력 획득과 심신단련의 조화를 모색하는 초능력 개발의 연구방향으로 발전했다. 절제하고 고행하는 금욕수도가들이 현실적 비활동가로 오인받는 수가 있으나 진정한 삶을 가치를 추구하고 올바른 자세로써 금욕적 수도생활 수행한 사람은 다른 일에서도 성공할 수 가 있다. 왜냐하면 금욕적 수행을 통해 얻어진 참다운 도력은 큰 일을 할 수 있는 잠재적 정신력의 숨은 능력이 초월적 영동력을 키우기 때문이다. 초월적 영동력은 모든 심신활동력의 원천인 에너지인 원기로서 소우주 인체와 대우주 자연이 상통하는 우주적 기운이므로 일단 개발되기만 하면 상상을 초월하는 큰 힘이 몸과 마음으로부터 끊임없이 솟아 나오기 때문이다.   

16.섹스형(SEX-形)
인간의 본능에 치중하는 한 부류 중 특히 성적충동이나 음담패설을 화제의 대상으로 삼길 좋아하거나 섹스를 즐기고 탐닉하는 육욕 관능적 인간들이다.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쾌락이나 순간적인 즐거움을 얻기 위해 다른 가치 있는 것을 희생하는 섹스광들도 있다. 육체적 감각적 만족을 위해 섹스의 오락과 유흥을 추구하지만 육체의 종말은 영원한 것이 아니므로 결국 허무로 끝난다. 음탕한 색정광은 젊은 시절에 너무 방탕하기 때문에 말년에 비참하게 타락하는 수가 많으니 절제있는 생활을 하도록 몸과 마음을 갖고 닦아 수양해야 한다.

18.귀족형
성격이 깔끔하고 취미도 고상하며 얼굴이나 몸매에 귀인적 풍모가 엿보인다. 피부색은 깨끗하고 윤택한 편이다. 말보다 표정이나 제스처로 의사를 나타내며 언어도 조용하고 세련된 대화를 사용한다. 인품이나 수양이 되지 않은 사람은 귀족흉내를 내라 오히려 천박하고 어색하며 큰 일을 다하면 허둥거린다. 한국적으론 군자 양반 선비 등으로 볼 수 있고 언행에 위엄이 있고 남의 흉을 보지 않고 속으로 생각하고 점잖게 행동한다.

19.서민형
자기 분수를 지키고 현실을 성실하게 받아들이고 부지런히 노력하며 장래의 소박한 소망을 위하여 열심히 살아가는 평범한 소시민. 성품이 소탈하고 구수하며 인정이 넘치는 전형적 한국인의 심성을 소유한다. 근검 착실하게 생활하나 때로는 강인한 기질과 저항정신으로 시련과 난관을 헤쳐가나 근본적으로 평화를 사랑하고 이웃을 도우는 동정심이 오붓하다.

20.권력형
권위주의에 아부하고 권력이나 세력을 잡으려고 남을 중상 모략하고 감언이설이나 음모를 다반사로 자행한다.이형에는 목재 및 전제 봉건적인 권력형과 책임과 권리 의무를 동반하는 민주주의(자유 시민적)권력형이 있다. 봉건적 권력형은 오만하고 고집불통으로 거드름을 피우며 약자에게 군림하나 강자에게는 아첨하고 거짓말로 상대방을 중상 비방하면서 자기지위를 굳히려 한다.

21.개척가형
다른 사람이 몰이해나 비난을 받으면서도 옳은 것은 끝까지 밀고 가는 진보주의적 인간이다. 개척형은 모험심이나 용기 추진력 같은 에너지가 있어야 하고 성공이나 실패의 결과보다 일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사명감이나 보람을 찾는 것이다. 개척형 심성의 주 경향은 초지일관하는 강력한 신념과 줄기찬  행동력으로 그칠 줄 모르는 정열과 끈질긴 인내심으로 자기목표를 향해 달려간다. 개화형이 강력하게 밀고 가는 정신의 내면에는 앞날을 투시관통 하는 정도의 우수한 직감이나 예언력을 소유하고 있다. 현재에 만족하지 않고 계속 향상 발전 진보하려는 분투노력가이므로 그에 상당하는 보상이나 대가를 받게 마련이다.

22.실무행정형
실용성을 위주로 하는 업무형을 현실적 합리성을 중시한다. 현실에 맞지 않는 상상이나 이론 등을 배격하는 스타일로 현재 여건을 기반으로 착실하게 전진하는 발전적 출세가들에게 많다. 그렇다고 너무 현실적 타산에 입각한 이기적 처세만 하여 희생적인 대발전의 창조나 모험심 상상력 등이 부족하면 크게 성공하지 못한다.재능이나 요행에 의지하기보다는 숙련된 기술이나 원하는 능력의 성실노력을 바탕으로 묵묵히 진보하면 상당한 수준까지 입신 할 수 있다. 인생행로에서 큰 파탄이나 변동이 없는 편이다.

23.투쟁형
따지고 물고늘어지며 다루는 데 유별난 인물에게 붙인 명칭이다. 자기 욕심이나 야망을 위해 물불을 가리지 않고 이익을 추구하는 이기주의자들이 있는 대신 건설적이고 희생적으로 남을 위해 불가피하게 투쟁하는 사람들도 있어 인간심리의 선악간 양면성을 보게된다. 악질적 투쟁형은 대인관계에서 보통 공격형이며 상대방의 약점이나 실수 등을 기화로 삼아 자기가 유리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 남을 헐뜯고 중상모략한다.투쟁형은 애정이나 정서면에서 포용성이 부족하고 감정문제도 계산하듯이 시비를 가려야 직성이 풀리는 경향이 있다. 좀 느긋하게 마음을 먹고 장기적 안목으로 일을 처리하면 원만해진다.

24.솔선수범형
자기의 이익손해에 구애받지 않고 대아를 위해 소아를 버리는 의인 열사 같은 희생적 봉사정신으로 앞장서 일하는 사람이다. 다른 사람을 의식하지 않고 진정 스스로 보람을 느끼고 활동하는 사람을 가리키지만 남에게 칭찬 받거나 지신의 입장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하는척하는 의지 솔선수범형도 있다.진실로 솔선수범으로 일한다면 처음에는 인정을 받지 못해도 점차로 신용을 얻어 나중에는 크게 보상받게 된다.

25.사회봉사형
자신보다 이웃이나 사회를 위해 앞장서 일하는 이타심의 소유자로서 남의 불행이나 어려움을 자신의 것으로 동병상련의 소유자로서 남의 불행이나 어려움을 자신의 것으로 동병상련하는 사랑과 자비의 희생적 실천가이다. 넓게는 국가와 민족을 위해 헌신 봉사하는 애국자도 포함된다.사회봉사형에는 종교적 신념이나 공의적 사명감이 투철한 사람이 많고 자기 몸을 돌보지 않고 남의 일을 해결해 주려고 노력한다. 가정적으로 좀 소홀한 경향이 많은 편이다.

26.자수성가형
이른바 입지전적인 인물로 빈털터리에서 출발하여 재산이나 명예 기술이나 예능방면 같은 데서 범인을 초월한 경지까지 상승 발전하는 억척같은 사람이다. 이형은 대개 남모르는 투지와 노력같은 백절불굴의 분발심이나 신앙 믿음 등을 갖고 있으며 인생의 밑바닥에서 최고의 경지까지 터득한 사람도 있다. 주로 고향을 떠나 타향이나 외국에서 성공한다. 자수성가의 기질이 있는 사람에게는 인생의 고난이나 실패가 오히려 충동적 자극을 주어 적극적 발전적 계기가 된다. 즉 고생이나 시련의 체험을 생산적으로 개척하는 강인한 투지를 갖고있으므로 노력 끝에 성공하는 대기만성의 운세를 가지고 있다.

27.융통형
습관과 전통의 고정관념이나 눈앞의 현실에 집착하는 좁은 안목에서 벗어나서 변화와 진보를 위해 타협하고 양보할 줄 아는 융통성이 많은 사람이다. 다양하고 포용력이 넓어 복잡한 것을 한데 묶어 통일시키는 능력이 뛰어난다. 사회적 상식이나 세태의 돌아가는 시국에도 지식이 많으며 남을 잘 설득하는 유모 위트(wit)도 풍부하다. 무엇이든 일이 터지면 잘 수습하여 팔방미인으로 통할 수 있으나 주체성이 부족하다든지 남을 위하다 자기가 손해보는 수가 허다하다.

28.오뚝이형
칠전팔기(七顚八起)나 백절불굴의 투지와 용기로 실패와 좌절을 딛고 일어서서 나중에 성공하는 사람의 별명이다. 이 형은 좌절을 딛고 일어서서 나중에 성공하는 사람의 별명이다. 이 형은 끈질긴 집념이나 맡은 일에 심취(心醉)하는 열심과 의욕을 뒷받침하는 무한한 정열을 갖고 있다. 객지에서 성공하는 사람에 오뚝이형이 많다. 부모의 덕이 없거나 가정적으로 빈곤한 사람이 천신만고(千辛萬苦)한 끝에 독립 자수성가한 사람에 이런 형이 많다.

29.천하태평형
자기 자신의 형편과 처지에 만족감을 느끼고 세상을 좋게 보는 낙천가(樂天家)이다. 정말 태평한 사람은 드물지만 자기 분수에 알맞게 살아가는 것도 태평의 비결이다. 이형은 보통 얼굴이 둥글고 몸집이 뚱뚱한 비만형에 많으며 현세적 쾌락에 관심이 많고 사교성이 풍부하다. 여행이나 변화를 좋아하고 자질구레한 의식주문제는 크게 신경 쓰지 않고 그날 그날의 유쾌하고 즐거운 기분을 추구하는 면이 강해 낭비벽이나 사치성이 심한 편이다. 한편 수양을 통해 인품이 함양되었거나 세상의 욕심을 초월하여 대자연의 도(道)를 즐기거나 신(神)이나 하늘의 법칙에 순응하므로 태평한 사람도 있다. 자기 것을 남에게 아낌없이 주어버리는 봉사형 인물은 희생과 동정을 통해 만족의 보람을 얻는 사랑의 실천가로 역시 천하태평형의 인간이라 할 수 있다.

30.자화자찬형(일명: 자기자랑형)
조금만 잘한 일이 있어도 만나는 사람마다 자기자랑을 하고 과대 선전한다. 남의 장점은 모른 체하고 결점을 잘 캐치(catch)한다. 말을 할 때 자기가 세상에서 가장 잘난 듯이 얘기하고 다른 사람의 충고나 조언은 무시하고 귓가로 흘려버리는 교만한 성질이 있다. 그러나 혼자 있을 때는 고심하고 후회한다.

31.생기발랄형
항상 밝고 명랑하게 신선한 감각을 풍기는 표정과 언행을 하는 낙천주의적 낭만주의자가 많다. 대인처세에도 자신만만한 적극성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미혼여성에게 많이 붙이는 애칭이다. 감각이 예민하고 직관이 발달한 편이며 지성적 바탕이 풍부하다. 용모나 건강 지식면에도 대체로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자연적으로 우러나오지 않고 억지로 발랄하게 보이는 것은 얼마 가지 못한다.

32.몰두형
자기가 추구하는 목표를 위해 쉴새없이 활동하고 맹렬하게 노력한다. 물론 건설적이고 보람있는 일에 몰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수성가형(26번 참조)에 몰두형의 기질을 지닌 사람이 많다. 한가지 일에 이상하리 만치 깊이 파고드는 취미와 능력을 가지고 있어 남의 비평이나 손가락질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일에 심취몰두 한다. 이런 사람은 처음에는 미미하지만 점차적으로 인정받고 발전하여 나중에는 대성하는 경우가 많다.

33.설교형
교훈이나 훈계로서 남을 타이르는 형이나 심하면 위선자적 속물(俗物)근성이 엿보인다. 주로 권선징악(勸善懲惡)적인 비유나 예화(例話)를 많이 사용한다. 설교형 중에는 진실하고 힘있게 타인을 지도 계몽할 인품을 갖춘 사람도 있지만 고리타분한 사상적 종교적 우월감이나 자만심에 젖어 자기 외에는 참다운 선인이나 양심적인 사람이 없는 것처럼 말하는 유아독존형도 있다. 이런 사람들은 잘 관찰해보면 밑천이 드러나 그 본 바탕을 알 수 있다. 배타적인 설교형은 자기 인생관이나 종교 철학 사상 주의 등을 맹목적으로 강요하면서도 남의 인생관이나 생각 사상 등을 백안시(白眼視)하는 좁은 심성(心性)의 소유자이다. 진실하고 감동 있는 설교를 하려면 폭넓은 지식과 교양을 쌓고 사랑과 자비가 충만한 언행일치의 인격이 되도록 수양할 필요가 있다.

34.설득권유형
자기 목적이나 속셈을 채우기 위해 타인을 자기 일에 끌어들이길 좋아하는 사람들이다. 여기에는 정도와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차이가 있다. 강제 반강제 좋은 일 나쁜 일 희망이나 억지에 의해 끌어들이는 데 옳은 일을 위해 권유하는 쪽과 나쁜 일을 작당(作黨)하기 위해 유혹하는 경우 등 천차만별이다.

35.책임전가형
공(功)이 있을 때는 자기가 나서고 잘못된 일이나 책망 받을 일이 생기면 자기책임을 살짝 혹은 억지로 다른 사람에게 전가시킨다. 심하면 조상 탓으로 돌리기도 하고 친구나 동료 이웃 등 주위 사람에게 애매하게 둘러  씌우고 자기는 쏙 빠진다. 보통 때는 잘 나타나지 않으나 어려운 일이 생기면 기를 쓰고 회피하는 아주 비겁한 사람도 있다. 책임전가형의 특징은 이유나 변명이 심하며 말을 잘 둘러대고 자기의 잘못은 좀체로 인정하지 않고 인색하고 냉정하며 동정심이 부족하다. 같이 친구로 삼거나 동업하면 큰 손해보니 주의해서 분별하라.

36.무사안일형
변화나 혁신 개조를 꺼리고 현상유지를 바라는 보수주의자로서 자기일신의 안정이나 편안을 우선으로 취급한다. 타인의 어려움이나 곤란을 모른 채하고 덮어두는 사람들로 진정한 용기의 참뜻을 모르는 자들이다. 자기에게 직접 피해를 주거나 손해나도록 건드리지 않으면 '나도 가만히 있는다'는 공격적 방어의 심리기제(心理機制)를 사용한다.

37.고집불통형: 일명 완고형
고루한 전통이나 고집 폐습(弊習)에 얽매여서 융통성이 없고 맹목적인 자기아집에 젖어있다. 겉으로는 남을 이해하는 척 하지만 내심으로는 자기중심적인 편벽성(偏僻性)을 갖고 있다. 관습이나 개인적 편견에 사로잡혀 시대적 진보나 개혁도 못마땅하게 생각한다. 건전하고 옳은 일을 주장하는 고집은 필요하지만 명분 없는 고집은 권위주의에 가깝고 도저히 남을 존중해주는 아량은 없다. 맹목적 고집형은 결국 타인으로부터 소외(疏外)당하고 늙으면 알아주고 도와줄 이 없어 쓸쓸하고 처량하게 된다.

38.억지형
자기욕심이나 야망을 달성하기 위해 억지로 남을 끌어들이거나 설득권유하는 견강부회(牽强附會)의 약삭빠른 얌체족들이다. 억지형은 융통성이 부족하고 시대감각이 둔해서 자기의 결점이나 허물은 생각지 않고 막무가내 고집을 피운다. 억지형의 사람은 한발 양보하고 자기 기분과 마찬가지로 남의 기분을 알아주고 사고의 다양성을 살리고 폭넓은 대인관계를 유지하면 많이 개선될 수 있다.

39.떠벌이형: 一名;자기과시형, 자기 자랑형
자기의 재능이나 지위 돈 용모 능력 등을 항상 떠벌리고 자랑하는 자기과시형의 인물이다. 자기에게 크게 자랑할 것이 없으면 자기 물건이나 가족 가문 조상까지 자랑하며 자기와 동일시하여 대리만족을 구하는 형이다.이 형은 과거 미래 지향으로 구별할 수 있으며 보통 명랑쾌활한 편으로 구질구질하게 걱정하지 않는다는 찰라적 향락주의 경향이 치게 소심하거나 의지가 박약하므로 일종의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다. 자신의 능력을 믿고 취미와 장점을 살려서 다른 사람과 정상적으로 교제하도록 대화술을 익히면 이런 증세를 제거할 수 있다. 누구든지 자기 생활에 근심걱정 없는 사람이 없겠지만 그 정도가 심하면 노이로제 신경증이 되는 것이니 평소에 심신건강의 통제력을 길러야 한다.한꺼번에 너무 많은 것을 이루려고 하지말고 능력에 맞게 차근차근 발전하도록 넓은 마음을 가져라. 자신의 문제를 비관적으로 생각하거나 열등감에서 탈피하라. 종교적 신앙을 가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43.새침데기형
남의 일에 유독 수다를 떨며 맞장구치고 상대방을 어루만져 위로하는 척 하지만 실제로는 자기의 우월감이나 심리적 만족을 채운다. 그 반면 자기의 약점이나 공개하기 거북한 문제가 화제의 대상이 되면 새침하게 토라져서 말문을 닫거나 엉뚱한 데로 화제를 돌리는 얌체형을 말한다.이런 사람들은 자기 나름대로 자만할 수 있는 가문 적 우월감이나 용모나 지식, 재능 등의 내적 교만 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람에게 속마음을 털어놓지 말라. 우울한 새침데기형은 평소에 자기가족이나 이웃 동료 및 주위환경에 불만이 있거나 자기 몸에 남에게 알리기 곤란한 병이 있을 경우에 새침하고 우울하다. 새침데기형은 인자한 마음씨와 남을 이해하고 사랑하는 관용심을 기르면 자기성격도 원만하게 된다.    

44.욕구불만형
개인적 열등감이나 수치심(羞恥心) 혹은 죄악감에 사로잡혀 정상적인 정신건강을 유지할 수 없는 형으로 심하면 사회제도나 관습에 저항하고 대인관계에 갈등을 일으키는 정서불안형이다. 욕구불만의 원인을 규명하고 마음의 갈등을 해소하는 데는 종교적 명상이나 심령치료 참선의 수행이나 단전호흡을 수련하면 좋다.

45.자기아집형
자기의 장점이나 재능을 은근히 내세우며 남을 갈아 뭉개고 높아지려는 배타적 독선주의자로 하찮은 권위라도 내세워 스스로 만족하는 인간이다. 자기아집형은 주로 과거에 집착하는 퇴보적 인간이 되기 쉽고 상대방의 장점은 좀처럼 인정하지 않는다. 성격적으로 파탄이 심하고 어릴 때의 성장과정에 문제점이 있다. 즉 우월감이나 열등감에 의해 기질과 성격 습관 개성 등이 불균형하게 비꼬인 사람이다.

46.히스테리·신경질형
현실에 대해 불평불만이 많고 세상을 비관적으로 보고 짜증스럽게 살아가는 사람으로 긍정적인 언어보다 부정적인 언어를 많이 사용한다. 주로 얼굴이 깡마르고 홀쭉하며 몸도 빼빼 하다. 눈은 무엇을 살피는 듯 빛나나 눈동자에 안정성이 없다. 심리적으로 고독하거나 가정환경의 부조화상태가 그 원인이 된다. 신경이 예민한 두뇌를 많이 사용하는 직업 이에게 많다.

47.눈치형
센 쪽이나 약한 쪽의 중간에서 양다리를 걸치는 소인잡배(小人雜輩)무리에 많이 발견되는 데 자기의 줏대는 없고 언제든지 유리한 쪽으로 기운다. 이런 사람과 함께 동지로 삼고 일할 수 없다. 주위사람의 분위기나 사태의 변화에 민감하고 겉으로는 태연한 척 하나 속으로는 안절부절못하여 요리조리 빠져나갈 궁리를 모색한다. 눈치형은 상대방을 이해하고 도와주는 척 하나 실은 정보를 얻어내고 비밀을 탐지하여 다른 쪽에 팔아먹는 간교한 인간으로 전락한다. 그러나 과감한 배짱과 모험이 없기 때문에 크게 상대방을 해치거나 악한 일은 꾸미지 않는다.

48.아첨간사형
남의 흉을 잘 보거나 없는 말을 지어내고 인 간질을 좋아하는 자로 강자에게는 약하고 약자에게는 주인처럼 행세하는 기회주의이다. 이 형은 이기주의적 인간에 많으며 턱없는 교만을 부리다가도 불리하면 비굴하게 아양을 떤다. 친구로 사귈 바 절대 못되는 인간이다. 이런 사람의 말로는 남을 꾀이려다 도리어 올무(함정)에 걸리고 결국 자기정체가 탄로되어 신용을 잃고 망신을 당한다

49.얌체형
남의 이익을 가로채고는 시침을 떼는 악질형 얌체족으로부터 남을 이용하여 자기목적을 달성하고 위급한 경우에는 살짝 빠지는 의리 없는 인간 등 그 종류가 천차만별이다. 얌체형은 상대방의 약점을 살피는 데 혈안이 되어 상대방의 실수나 허점이 생기면 그것을 미끼로 욕심을 채운다. 남이 어려운 경우를 당해도 모른척하고 인정을 베풀지 않는다.

50.고자질형
이른바 이중인격자에게 많다. 자기는 안 그런 척 혹은 그렇다고 거짓 긍정을 하여 상대방의 마을을 슬쩍 떠보거나 속마음을 털어놓도록 유도해서 고자질할 정보를 얻어서 필요한 사람에게 팔아먹고 자기의 입장을 강화한다. 이런 사람은 일시적으로 영달하지 몰라도 자기 꾀에 자기가 속는 것으로 말로가 좋지 않다 고자질형에는 그래도 양심을 가지고 윤리 도덕적으로 뉘우치는 회개형도 있지만 남을 팔아먹고도 오히려 당연한 것처럼 여기는 철면피(鐵面皮) 형도 있다.

51.조삼모사형(朝三暮四形)
중국 고사에서 나온 말로 변덕이 많고 줏대 없이 '이랬다 저랬다' 하는 경솔한 인간들의 처세방법에 비유한 것이다. 이런 사람들은 때와 장소에 따라 처세 방향을 자주 바꾸므로 친구로 사귈 수 없고 더구나 사업과 같은 큰 일은 도저히 함께 할 수 없다. 이형은 자기의 편의에 따라 주장을 이리 저리 둘러대어 종잡을 수 없고 말대꾸하는 변명의 술책도 능란하다. 근본적으로 양심과 더덕 예의 염치 의리 등을 벗어 던지고 현실적 이기주의에 입각해서 대인관계를 유지한다.

52.변덕형 : 一名 카멜레온형(chameleon:주위환경의 색깔에 따라 몸 빛깔을 변화시킨다는 동물)
 카멜레온처럼 옷이나 음식의 기호(嗜好) 마음의 생각이 자주 바뀌는 형으로 남이 신용할 수 있는 일정한 방향의 가치관이나 믿음이 없다. 그 심리의 바탕에는 현실적 타산이나 물질적 이해관계에 매여있어 인품이 천박하고 교양도 없다. 변덕형은 희로애락의 감정이 자주 바뀌므로 생각과 행동 정신과 육체사이의 조화점이 애매하고 모순점이 많다. 얌전하다가도 술을 먹으면 대담해진다든가 신중을 기하다가도 아무렇게나 팽개치기도 한다. 충동적 기질이 농후하여 연애도 상대도 자주 바뀌고 일관된 주의 주장이 없이 부화뇌동(附和雷同)한다.

53.촉새날라리형
다 된 밥에 재 뿌리고 다니는 사람으로 남이 공들여 쌓은 탑을 무너뜨리는 방정맞고 요망(妖妄)한인간이다. 주로 여자에게 해당하나 남자로 이런 인간들이 있다. 입이 너무 가벼워 중대한 기밀을 누설하여 남의 일을 망치게 하고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촉새처럼 지껄여서 다 된 일을 수포로 돌아가게 한다. 안 할 말 '털어 버리는 사람도 이 형에 속하는 데 다 큰 인물이 될 수 없다.

54.교만형 : (一名 자만형)
겉으로는 얌전하고 겸손한 척 하나 실은 가면을 쓰고 타인을 호도(糊塗)하고 이용한다. 특히 종교 신앙인이나 사회적 저명인사들 중 이런 형이 많다. 표면적으론 겸손과 양보의 미덕을 내세우나 속으로는 상대방을 멸시하고 깔본다. 자만형은 어떤 형태로든 자기를 높이고 은근히 과시한다든지 마음에 맞지 않으면 새침하게 토라진다. 자기를 과시하는데, 무언가 용모나 재능 학식 금전 등에 있어 남보다 낫다고, 우월감을 갖고 스스로 믿고 행동하는 사람이다. 마음이 좀 더 영악(獰惡)한 사람은 질투심이 강하고 다른 사람이 잘 되면 끌어내리는 등 마음속에 비수(匕首)를 갖고 있는 사람이다.

55.유아독존형(唯我獨尊型)
자기가 하는 일이나 전공분야 혹은 어떤 일에서 자기만이 똑똑하고 현명하다고 생각하거나 믿으며 다른 사람을 무시하고 깔본다. 권위주위에 젖어 고집불통의 성격을 갖고 있어 관용이나 아량이 없다. 이웃을 사랑하는 자비심도 없으며 있다고 해도 일시적 편리에 의하거나 자기의 욕심을 별도로 채우기 위해 가장하는 것이다. 옹고집적인 자존심이 강하여 조그만 장점이 있어도 자신을 내세우고 과대 선전한다. 남으로부터 미움을 당하고 배척을 받아도 수치를 모를 정도로 자기교만에 빠져있다. 자기의  경쟁자를 물리치기 위해 오만하고 무례하게 행동한다. 속으로는 걱정하고 당황하지만 겉으로는 빈껍데기 같은 자존심 때문에 태연한 척 한다. 유아독존형이 충동적 기분에 휩싸이면 턱없는 배짱을 부리고 권위를 내세우나 얼마가지 못해 본색이 드러나고 몰락하게 된다.

56.고백형(告白型)
 보고들은 것은 소문을 내지 않고는 못 배기는 형이다. 다른 사람의 하는 일이나 동태에 깊은 관심을 쏟고 자기가 하는 일과 입장 의견 등을 시시콜콜 고백하고 설명하여 다른 사람의 동조나 지지를 받으려고 애쓴다. 그러나 남들이 인정해 주지 않으면 소용없다. 고백형은 수다쟁이와 흡사한 데 상대방으로부터 들은 말이 귀로 들어가자 곧장 입으로 나온다. 설사 즉시전달하지 않더라도 얼마 못 가 적당한 분위기가 되면 털지 않고는 좀이 쑤셔서 안 되는 사람이니 이런 사람과 중대사를 의논할 수 없다.

57.비밀형(秘密型)
 침묵을 잘 지키고 쓸데없는 말은 함부로 하지 않는다. 입의 무게가 무거워 좀처럼 본심을 열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어떠한 비밀형일지라도 자기의 흉금(胸襟)을 허심탄회(虛心坦懷)하게 털어놓는 상대는 있다. 그 대상이 사람이 아니면 신이나 부처님 혹은 하나님이나 신령일 수가 있다. 좋은 일을 도모하는 비밀형의 사람은 신의 가있고 입이 무거워 함께 일할 만 하다. 이런 사람은 말 할 때하고 안 할 때는 안하며 처세가신중하다. 속으로 지혜가 있으며 큰일과 작은 일을 구분하여 빈틈없이 일한다.

58.능구렁이형
자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람을 은근히 감치고 돌면서 속셈을 감추고 흉계를 꾸미기도 하고 자기이익을 모색한다. 일단 알맹이를 뽑으면 상대방을 헌신짝처럼 버린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을 엉큼하게 감추고 남에게 눈치채지 않도록 교묘히 위장한다. 능구렁이형은 겉으론 어리석은 체하나 세상물정에 밝고 수완이 있으며 양심이 몇 개나 있을 정도로 좀처럼 본색을 드러내지 않는다. 능구렁이형이라 해서 전부 비양심적인 악인이라고는 할 수 없다.

59.철면피형(鐵面皮型)
 동정심이나 예의 양보 후회 반성같은 정신적 자질이 희박하거나 인간본성의 미덕을 갖추지 않아 부끄럼이나 수치를 당해도 그 것을 느끼지 못하거나 양심의 가책을 받지 않는다. 남을 곤경에 빠뜨리고도 태연하며 오히려 속으로 고소하게 생각하는 뻔뻔스러움을 가지고 있다. 철면피형은 가정교육에 문제점이 있거나 어릴 때부터의 성장 발달 과정에 심대한 결손을 당했거나 심한 사회적 냉대로 인해 생겨나는 이상 성격이다. 극단적 철면피형은 유아독존적인 자기아집이나 자기 나름의 인생관이나 처세술 같은 것이 굳어 있어 여간한 충고나 조언으로 교정하기 힘들다.

60.악질형(惡質型)
불쌍한 사람들의 피를 빨아먹는 거머리와 같은 인간으로 사회적 그늘에서 교묘한 수법으로 약자를 울린다. 타인의 허점이나 실수 약점만 골라가면서 은근히 골탕먹이고 협박하며 괴롭힌다. 지능적인 악질형은 법망(法網)을 교묘히 피해서 억울하게 사람을 이용해먹고 사리사욕을 채운다. 양심이나 도덕 예의 같은 것은 안중(眼中)에도 없고 오로지 자신을 위해 다른 사람을 등쳐먹는다. 이용 할 때는 이용하고 더 이상 이용가치가 없으면 철새같이 훌쩍 날아가고 그 상대를 헌신짝같이 버린다.

61.파렴치형
예의와 체면 염치를 모르고 안하무인으로 처신한다. 자라온 성장과정에서 정상적인 인격적 발달이 결여되어 부모의 사랑이나 가정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사람이 많다. 수치스러운 일을 당하고도 부끄러움을 모르는 무뢰한이다. 정말로 자기가 파렴치하다는 것조차 모를 정도로 도덕적 윤리의식이 전무(全無)한 사람도 있고 어느 정도 회개하고 반성하지만 오히려 태연한 척 가장(假裝)하는 사람도 있다.

62.후안무치형(厚顔無恥形)
파렴치형보다 더욱 낯짝 두꺼운 인간이다. 파렴치형은 원래 무식하거나 우발적으로 저지르는 행동인 경우가 많으나 후안무치형은 고의로 의도적으로 하는 계획성이 농후하다.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예의염치의 인륜(人倫)을 망각했으니 아무리 부끄러운 인을 범(犯)해도 반성할 줄 모른다. 쾌락과 정욕 방랑에 젖은 근친상간(近親相姦)을 하고도 오히려 뻔뻔히 도도(滔滔)하게 구는 짐승과 같은 섹스의 노예도 있다. 기타 사회의 구석구석에 이런 인간형이 어둠 속에 깔려있어 좀처럼 적발되지 않는다. 부정이나 사기 횡령을 해도 교묘하게 법망을 피하고 사람을 속이고도 뻔뻔스럽게 활개친다. 가짜이면서도 영 진짜처럼 행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사람은 결말이 좋지 않은데 비록 사람이 벌하지 않더라도 하늘의 벌을 받게된다.

 

제2절: 「∼주의자」로 분류된 인물

1.이상주의자
고답(高踏)주의를 지향하고 진실의 세계는 현실이 아니라 4차원적 영적(靈的)세계나 극락 천국 같은 내세(來世)라고 믿는 종교적 이상주의자들이 있는 반면 현실세계를 더 좋은 사회로 개조하기 위한 실천적 이상주의자들도 잇다. 여하튼 이상주의자는 초월적 비약(飛躍)정신을 갖고 마음속 이상적 꿈을 가꾸고 키우며 그의 포부와 희망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다. 실천가능 한 이상적 세계는 현실을 정확하게 관찰하고 분석하여 목표를 향해 계속 실천해야하므로 진정한 이상주의자는 현실주의자와 상통할 수 있다. 막연하게 불평 불만을 일삼는 사람은 진정한 이상주의를 건설하는 것이 아니라 일시적 현실도피나 공상으로 끝나는 것으로 허무한 것이다.

2,현실주의자
미래의 희망보다 현실적 이해에 기준을 두고 행동하는 실리가(實利家)이다. 건전한 현실주의자는 자기가 앞으로 가야할 인생의 목표와 방향을 분명하게 알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실천적 이상주의자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건전한 현실주의자는 드물고 보통 목전(目前)의 이익을 위해 양심이나 의리 절개 신조 등을 조변석개(朝變夕改)하는 얌체형 현실주의자가 많다. 보통 이런 인물들이 추구하는 인생가치들은 속세적 향락이나 오락 금전 물질 섹스 같은 것들로 요컨대 잘먹고 잘사는 현실주의 찰나(刹那)주의 인생관이라 할 수 있다. 종교나 철학 등 형이상학적 심신수행의 인격적 가치같은 지고지상(至高至上)의 덕성이나 진리 탐구 같은 것은 탁상공론에 불과하다고 본다. 즉 이념적 사상 같은 것은 인생을 즐기는 데 별 가치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3.중용주의자
매사에 양극단을 피하고 중도중행의 길로 가며 조화와 안정의 중간적 생활태도를 취한다. 잘못하면 중용에 선다는 명문아래 현실타협의 적당주의로 떨어질 위험이 있다. 진정한 의미의 중용은 보편타당성에 입각한 공명정대한 올바른 정법대도에 서는 것이다. 중용의 길이 형성되는 과정은 정반합(正反合)의 음양재합(陰痒再合)의 원리와 진보와 후퇴 보수와 혁신 등이 도전하고 응전(應戰)하여 상생상극으로 발전하는 단계에서 성립하는 것이지 막연히 양편의 중간입장에 선다고 중용이 되는 것이 아니다. 중용은 주관과 객관이 합리적으로 조화되는 점에서 환생하고 현실의 가능성을 이상으로 연결시키는 사다리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의 중용주의자는 드물고 보통 자기의 이익이나 편리에 입각한 임시방편의 중립을 주창(主唱)하는 사람들이 태반이다.

4.정신주의자
물질이나 사물의 외형적 가치보다는 인간 심성의 내면적 수양이나 정신적 미덕이나 가치에 인생의 중요성을 부여하는 사람이다. 행동보다 사색에 치중하여 나약하고 용기가 부족하며 처세에 어두운 사람같이 보이지만 진정한 정신적 가치에 확신을 둔 사람은 심사숙고 한 후 행동방향이 결정되면 끝까지 밀고 가는 의지가 강하다. 정신주의자들 중에는 물질을 강조하지 않는 것 같지만 실은 반대로 정신현상의 증거로 물질이나 돈을 내세우는 모순성을 내포하고 있는 바 그 정도의 차이가 문제인 것이다. 종교인들이 마음의 수양이나 내세의 극락이나 천국을 강조하며 일면 물질을 초월하는 듯이 영혼의 평안을 중시하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 신앙의 척도나 믿음의 현시성의 척도로써 헌금이나 시주 공양으로 재물이나 금전헌납을 강조하기도 한다. 이것은 인간성의 복합적 구조나 육체와 정신의 결합된 생명의 원리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는데서 가치전도(價値顚倒) 이중성을 보이는 것으로 진정한 종교의 참 뜻을 모르기 때문에 생기는 착각이다. 진정한 정신주의자들은 인격이나 정신 영혼의 고결성과 경건심 청빈성(淸貧性)을 실천하기 위해서 세속적 물욕을 멀리하고 현실의 부조리를 초월할 수 있는 초월의지가 있어야만 품위 있는 지덕영성체(智德靈聖體)의 참다운 인간의 경지에 진입할 수 있다.  

5.유물(물질)주의자
인생이나 사람의 가치를 물질이나 돈에 연결하여 현실적인 가치판단을 하는 인간들이다. 유물주의자들은 보이지 않거나 자기의 인식체계로 이해되지 않거나 납득할 수 없는 것은 믿지 않는 실증주의지적인 경향이 있다. 사물의 이치와 합리성에 비추어 자연과 사실을 탐구하는 과학자라기보다는 단순히 물질적 탐욕이나 금전에 관심을 많이 가지는 사람들을 일컬어 물질주의자라고 한다. 이러한 사람들은 신이나 부처 등 종교적 숭배대상과 학문 예술 등 고차원적인 정신작용에는 별 관심이 없고 경제적 수치나 금전적 계산에 밝은 사람으로 물질적 이익이 없으면 잘 움직이지 않는다. 생명이나 사물의 변화와 정신현상이 모두 물질의 이합집산(離合集散)이 그 원인이라고 본다. 그러나 유물주의자 들은 물질의 현상을 다루고 재물을 모으기 위한 방법으로 정신을 사용하여 사상의 확립에 주력하니 결국 간접적인 방법으로 정신의 작용과 마음의 세계를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6.황금(배금)주의자
현대와 같은 물질문명시대에 황금숭배나 배금주의자가 많으니 사람을 평가할 때 돈의 유무에 중점을 두고 심하면 '돈이면 무엇이든 다된다'는 사고방식에 젖어있다. '겉으로는 친절하고 남이든 다된다'는 사고방식에 젖어있다. 겉으로는 친절하고 남의 처지를 동정하는 척 하지만 속으로는 냉혹하기 그지없고 항상 금전이나 물질과 연관하여 사람을 사귀고 이용한다. 돈에 항상 금전적  이익과 연관하여 사람을 사귀고 이용한다. 돈에 좌우되어 처세하므로 동지와 적을 자주 바꾸고 양심도 속이고 친구도 팔아먹고 심하면 부모형제도 이용물이 된다.

7.합리주의자
 물질과 정신의 이원성을 조화 있게 합리적으로 활용하는 이성(理性)주의자이다. 유물론적 사고에 바탕을 둔 자연과학과 유심론적 인식에 바탕을 둔 심리 철학 종교 학문 등을 이치에 맞게 통합시키려는 절충적 사고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무엇이든 단계적으로 진보 발전시키려는 중용적 사상을 갖고 있다. 합리주의자는 보수적 성격이 짙으므로 무엇이든 급진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좋아하지 않는다. 사물의 이치와 원리에 신경을 쓰면서도 사회적 인간관계의 예의나 윤리 도덕성 및 정의를 중시하고 합리성을 추구하여 행동이 완만한 것 같으나 평화의 질서를 존중한다. 보편타당한 정당성을 추구하는 성품이랄 수 있다.

8.적당주의자(임시 변통형)
 원칙이나 근본적인 개혁보다 임시방편(임시변통)으로 적당하게 어물어물 넘어가는 눈치형이다. 건전한 의미에서 중용을 지켜 보편타당성에 입각한 적당주의는 드물고 대개는 자기편리와 아전인수로 진상을 호도(糊塗)하기 위한 방편으로 '적당하게 하고 적당하게 그만둔다.'는 약삭빠른 타입이다. 적당주의는 사람 좋다는 평을 듣지만 중대한 시국을 당해서는 책임을 회피하고 방관한다.

9.기회주의자
 진보와 보수, 변화와 정체(停滯)사이에서 주체적으로 상황을 판단하지 않고 세력이 강하거나 자기에게 유리한 쪽에 붙는 형으로 의리와 절조가 없다. 자기 나름의 원칙이나 주관이 있는 듯이 처신하지만 기실(其實)은 남에 의해 조종되는 인간이다. '최대다수 최대행복'혹은 '사람들이 그것을 원한다.'는 식으로 그럴듯한 구실이라 캐치프레이즈(catch phrase)를 걸고 남을 위해 앞장서는 흉내를 내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인간들은 시국의 형편에 따라 변장을 하므로 그 정체를 잘 파악할 수 없으니 자세히 관찰하면 근본적인 인생관이나 철학 종교 신앙 등이 없고 바람 부는 대로 처세한다. 이런 사람은 선악에 대한 판단력도 형편없으니 함께 일할 수 없다.

10.권의주의자
 권위주의에는 양면이 있는 데 합리적인 이성이나 도덕 양심인력 학문 등을 바탕으로 한 엄숙 위대 경진 명예 실력 등의 미덕과 위엄으로 명실상부하게 모범적 권위를 보여주는 정상적 권위주의가 있는 반면 막무가내 나이나 지위 권세 등을 내세우는 맹목적 비정상적 권위주의자가 있다. 정상적 권위주의는 바람직하나 비뚤어지거나 사술(邪術)에 의한 권위주의는 편협한 인간들이 자기합리의 아집이나 고집 억지에서 나온 것이니 한시바삐 위선이나 허위를 버리고 정상적으로 개조되어야 한다. 비정상적인 권위주의는 자기기만에 젖어 지배욕이나 권세욕의 노예가 되어 타인에게 아량이나 덕을 베풀지 않고 오로지 자기욕심을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왜곡된 권위주의자는 자기의 이익을 위해서 세력이 있는 강한 쪽에 붙어 굽실거리고 그 쪽 힘이 약해지면 옛날 동지를 외면하고 등을 돌리면 배신하고 심하면 은혜를 원수로 갚는다. 이런 사람의 종말은 나중에 다른 사람에게 버림받아 외롭게 되어도 찾아올 이가 없이 말년에 비참하게 된다.

11.절충주의자
진보와 보수 찬성과 반대의 양쪽을 하나의 중화된 방향으로 조화시키거나, 학설이나 연구방향 혹은 사회적 갈등을 일으키는 양쪽 주장의 양극단을 중용으로 조정 통일시키는 협상의 능력이 있다. 즉 양편의 장단점을 취사선택(取捨選擇)하여 더욱 좋게 발전시킬 줄 아는 사림의 진정한 의미의 절충주의자이다. 절충을 할 때는 양쪽의 특징을 빈틈없이 분석하고 종합하여 중용의 도리에 입각하여 조화 해결점을 찾는 것이 쌍 방을 건설적으로 살리는 길이다. 적당하게 혼합하여 어물쩍하게 맞추는 것은 "눈속임"에 불과하고 언젠가는 실상진실 이 탄로난다.  

12.낙천주의자
세상을 좋게 보며 웃으면서 유쾌하게 살아가는 기분파인생 이라 할 수 있다. 성격이 까다롭지 않고 소탈하며 소박한 기질로 자신보다 남의 입장을 먼저 생각한다. 솔직담백하고 봉사적이며 희생정신이 강하다. 슬픔이나 불행을 당해도 불평 없이 헤쳐나간다. 웬만한 고생은 즐겁게 감수하며 자신의 인생관에 따라 일로 매진한다.가망이 없는 것은 깨끗이 포기하고 과거에 집착하지 않으면 항상 장래의 희망을 바라보고, 충실히 살아가는 미래지향적 인물이다.

13.염세주의자
한평생 살아가는 것이 고생의 연속이라는 비판적 허무주의 인생관을 가지고 있다. 인생의 어두운 면을 많이 보고 긍정보다는 부정적인 면을 먼저 생각한다. 실패나 좌절 낙담과 후퇴의 소극적 상황에서 죽음이나 멸망 등 비극적인 결과를 잘 연상한다. 현재나 미래의 가능성보다는 과거의 불유쾌한 기분이나, 실패 후 회의 기억이나, 추억을 먼저 생각하여 불가능의 방면으로 생각이 기울어진다. 이런 사람은 적극적으로 자기운명을 개조하려는 능동적 처세법이 필요하다. 현실을 직시하고 미래의 희망을 향해 자신을 가지고 건설적으로 노력하는 것이 좋다. 계획을 세워서 계속적으로 끈기 있게 밀고 가라. 염세주의자는 인생의 밝은 면보다 어두운 면을 많이 생각하는 것이니 밝고 명랑한 성격의 소유자를 친구로 삼고 적극적으로 자아를 개조하려는 창조적 개혁정신이 필요하다.

14.비관주의자
자기의 출생신분 가정환경이나 사회적 위치에 대하여 항상 불만이 차있는 퇴폐좌절 형이다. 주로 가정환경의 불행이나 개인신상의 애로점에 묶여 자신을 학대하거나 열등감에 사로잡혀 정상적인 사회생활이나 건전한 대인관계를 유지하는 데 애로점이 많다. 이런 사람은 전문가에게 상담을 하거나 자신의 성격상 결함이나 정신적 모순점을 심신수련으로 올바르게 개조하면 정산으로 돌아올 수 있다.

15.이기주의자
물질적 탐욕가이거나 정신적 애고이스트로서 이의가 없으면 남을 도와주지 않는다. 가끔 남을 돕는데 그것은 더 큰 이익을 위해 임시적으로 희생하는 척 하나 본심은 딴 데 있다. 이런 사람은 남을 돕는 것이 진정 자신을 크게 위하는 것이라는 고차원적 처세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 이기주의자들이 일시적으로 성공하고 잘되는 것 같지만 본색이 탄로 나거나 인심을 잃으면 서서히 혹은 급격하게 몰락하는 데 이때 원조를 청해도 도와줄 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16.낭만주의자
문학에서 잘 쓰는 말인데 로맨틱 한 감상주의에 잘 빠지는 순수한 성품이다. 현실에 어둡거나 자기분수를 잘 몰라 손해를 보는 수가 있으나 심성이 고결하고 순진하다. 문학예술 방면에 정진하면 소질을 개발시킬 수 있다. 낭만주의자는 공상적 기질이 다분하고 상상력이 풍부하며 변화성이 많으나 실천적 행동력이 약하다. 누구나 젊은 시절 한번쯤 낭만성에 젖어 꿈과 이상을 키우지만 그것을 얼마나 현실에 실천하는가가 중요하다.

17.고전주의자
보수적이며 변화와 유행을 싫어하고 과거의 유물 유적이나 전통과 습관의 중시 혹은 문헌이나 옛 시대의 문화양식 등에 중요성을 부여한다. 고전주의란 말은 주로 문학상의 장르에 속하는 어휘다. 고전주의자는 인물형은 중후하고 뿌리깊은 전통과 역사의 향취가 있는 대신 시대적 변화에 둔감하여 현실적 처세능력이 부족하다.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을 살려 어떤 분야이건 옛날의 좋은 전통과 현대의 장점과 시대적 여건을 잘 감안하여 중용과 조화의 묘미(妙味)를 살리는 것이 더욱 좋다.

18.보수(전통)주의자
옛것을 지키고 가꾸면서 조상의 얼을 되살리고 민족문화의 전통을 찾자는 개조적 발전적 보수주의자가 있는 대신 막연하게 옛 것에 집착하는 구태의연한 보수주의자도 있다. 인류역사는 진보와 발전의 단계를 거쳐 항상 새로운 창조를 하지 않으면 쇠퇴하거나 퇴보하기 때문에 끊임없이 연구하여 시대의 발전에 뒤떨어져서는 안 된다. 세계화나 경쟁체제는 시대적인 과제이기 때문에 진정한 개혁을 하지 않으면 멸망하거나 낙오하게 된다. 융통성이 부족하고 고정적인 관념이나 유전적 인습이나 전근대적 폐습에 젖어 생활의 변화와 혁신을 별로 탐탁지 않게 여겨 자기 아집으로 보수에 집착하면 대세의 변화에 휩쓸려 떠내려가게 된다. 그러나 급변하는 현대문명의 병폐와 말세론적 징후에 염증을 느껴 옛 전통의 미덕을 되살리는 것은 새로운 전통의 창조적 생산적 개혁의 확립으로 볼 수 있어 좋은 현상이라 할 수 있다.

19.자연주의자
'기계적 문명은 싫다.' '자연으로 돌아가자.'고 주장하는 것처럼 인간이 무엇을 한다고 부르짖고 발버둥치지만 결국 인간은 자연으로 귀일하는 한계를 벗어날 수 없고 모든 존재가 자연의 질서와 법칙에 의해 지배된다고 믿는 사고가 근본이 되어있다. 자연주의는 문학적 유파의 하나이기도 하지만 현대는 기계문명의 병폐와 무지비한 환경파괴의 개발주의로 지구는 파멸되어 가고 있다. 자연을 훼손하고 법칙을 거스르면 오히려 자연의 보응을 받아 공해수질오염과 기상이변의 홍수와 가뭄으로 생존에 위험을 받으므로 자연의 법칙에 순응하고 자연을 가꾸고 환경을 보존하고 가꾸어서 대우주 자연의 원리와 법칙에 순응하는 것이 진정 인류의 살길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20.진보주의자
현실에 만족하지 않고 사회와 인류의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행동하며 미래의 희망을 성취하고자 사회와 국가와 인류의 갈등과 모순을 혁신하여 인류의 문명과 문화를 진보시키고자 하는 사람이다. 새로운 사상이나 유행에 민감하며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고 약점을 수시로 수정 보완하고 추진과정의 잘못된 점을 점검하고 발전시킨다. 환경이 좋지 않거나 현실의 여건이 괴롭고 힘들더라도 굴하지 않고 계속 자기의 뜻을 관철하려고 끈질긴 투쟁이나 경쟁을 한다. 늦게 성공하는 사람 중엔 이러한 유형의 사람이 많다. 학문이나 기술 종교 철학 분야 혹은 사회각계 각층의 활동분야에 창의적 생각과 연구에 관심이 많다.

21개혁·혁신주의자
진정한 개혁인이나 혁신주의자가 없다면 인류 역사 문화의 발전은 정지되거나 퇴보될 것이다. 진보는 보통적인 개선이나 개조라면 개혁이나 혁신은 적극적인 개조의 혁명적 진보라 할 수 있다. 시대정신에 맞고 인간성의 본성에 입각하여 보편타당하고 합리적인 진보의 전진은 반드시 개혁의 열매를 낳고 혁신의 수확을 거둔다.   

제3절: 「∼인간」으로 분류된 인물

1.이성적 인간
  사물의 합리성과 이치에 입각해서 이성적으로 신중하게 일을 처리하는 심사숙고형의 인간으로 도덕이나 윤리 또는 사회적 정의와 인간의 예의염치 일의 절차와 형식 등을 중시한다. 인간의 감정에서 발로된 경박(輕薄)한 행위를 싫어한다. 인품이 고상하고 행동이 단정하여 처세는 세련되었으며 동작은 여유가 있고 완만한 처신을 하는 편이다. 좀 냉정한 표정이고 사람을 사귀는 데 여러 가지 조건과 상황을 은밀히 내면적으로 파지므로 쉽게 친하기가 힘들다.

 2.감각적 인
  감정과 정서가 풍부하고 센스(sense)가 뛰어나지만 결제와 무게가 없는 편이고 표면적 치장(治裝)에 관심이 많다. 향락을 추구하는 쾌락주의 경향이 짙다. 학문과 기술을 바탕으로 노력하고 심신을 단련하여 수양이 되면 문학이나 예술 혹은 특정의 직업분야에 두각을 나타낼 수 있다. 딱딱하고 구속적인 속박을 싫어하고 변화를 좋아하고 유행에 민감하며 성격은 다정다감한 편이다

 3.영웅적 인간
  범인(凡人)의 경지를 초월한 인간으로 무한히 노력할 줄 아는 자질과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인생관이나 세계관이나 세계관등 사상의 폭이 넓고 사고(思考)에 깊이가 있으며 사물을 처리하는 특수능력과 일반능력이 높고 훌륭하며 모험심이 뛰어난다. 자기 희생을 감수하며 현실의 장애를 끝까지 돌파하려는 자유의지가 강하다 영웅적 기질과 면모(面貌)를 갖추었다 할지라도 후천적 노력으로 재능이 개발되지 않으면 큰 일을 성취할 수 없고 또 시대를 잘못하면 빛을 보지 못한다. 능력도 없는 사람이 영웅적 행동을 한답시고 분수와 위치를 벗어나서 무분별하게 처신하다가는 큰 실수를 저지른다. 그러므로 신중하게 처신하고 자신과 남을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냉정한 판단이 요구된다

4.소극적 인간
 열등감이나 패배감에 젖어 적극적으로 자신을 개발하고 자신있게 일을 처리하지 못하는 엉거주춤한 퇴보적 생각을 많이 하는 사람이다. 침울하고 나약(懦弱)하며 좋은 '일거리'가 생겨도 용기있게 달려들지 못하고 이것저것 남에게 물어보고 망설이다 찬스(chance)를 놓치고 만다. 그 원인으로 성장과정에 문제가 있었든지 신체가 허약하거나 건강에 자신도 없고 정신적으로 단련돼있지 않아 시련과 난관이 닥치면 실망하여 자포자기하는 수가 많다

 5. 적극적(능동적) 인간
 무엇이든 '하면 된다'고 믿고 적극적으로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고 창의적 생활을 추진하는 사람이다. 미래지향적 희망에 꽉 찬 생활성계를 하며 현재의 고통과 어려움을 달갑게 감수(甘受)하는 진보적 혁신주의자가 많다. 현대는 자기이미지(Self-image)를 스스로 창안하고 능력을 개발하는 '자기개조시대'이므로 적극적 능동적 자발적 참여 정신이 왕성한 사람이 환영받는다. 곤란과 어려움을 인내와 연단으로 극복하고 역경 속에서도 소망을 키우는 사람일수록 '자아혁신 자기개조'의식이 왕성한 적극적 인물이 될 가능성이 많고 나중에 큰 인물이 될 가망도 많은 것이다. 여하튼 자기성격을 재창조하고 운명적 악운을 행운으로 바꾸는 데는 능동적 자기(自己改造)에 적극적이며 항상 자기에게 닥친 문제를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방향으로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사람이다.

6. 내향적 인간
 처세의 융통성이나 다양성이 부족하고 환경이나 사회생활의 적응력이 부족하다. 자신의 병이나 정신적 신체적 좌절감이나 열등감에 사로잡혀 혼자서 근심걱정하고 고민하여 원활한 대인관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정상적 사람이라 할지라도 원칙에 매이고 과거의 경험이나 추억에 집착하는 주관적 가치관이 높거나 자아의식이 강하다. 현실을 어렵게 생각하는 심각파(深刻派)로서 좀체 자기 속을 남에게 내보이지 않는다. 학식이 있고 수양이 된 사람들 중에 내향적 인물이 많은 데 이런 사람들은 겉으로는 부드러우나 속으로는 투지가 만만한 내강외유의 인간이다. 그래서 보통 때는 평범하나 일단 중요한 일이 닥치면 자기주장을 관철하는데 강력하다

7.외향적 인간
 내향적 인간과 대칭되는 인물로 대인처세나 생활전선에 잘 적응하고 사교성이 풍부하다. 유행이나 현실의 변화에 민감하고 눈치가 빠르다. 자신과 남을 상호비교하는 객관적 가치판단이 뛰어나고 대화술이 좋으며 사람을 사귀는 활동의 범위가 넓다. 희로애락에 대한 감정표현이 다양하고 성격이 명랑쾌활한 개방적 기질을 갖고 있다. 내면적 수양이 되고 실력이 구비된 사람이 외향적 기질을 갖게되면 인기와 신용 명예 등을 쉽게 얻게되고 사업이나 예능 축재(畜財)에 큰 성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일시적 기분에 좌우되거나 외면적 가치에 미혹(迷혹)되면 사치와 허영에 빠지고 자기자랑을 일삼고 자만에 젖어 대인관계에 실용을 얻지 못한다. 즉 일은 무성하나 열매가 없는 인생과 흡사하다

제4절: 기타 유형의 인물

1.야심가
 자기의 포부와 야망을 달성하기 위해 수치와 모욕을 참고 견디는 끈질긴 집념의 소유자에게 볼 수 있다. 목표달성을 위한 투지와 감투정신이 왕성하며 생활력도 강인하다. 평소에는 어리숭한 것 같지만 출세와 성공의 기회포착에는 비상한 재능을 갖고 있다. 숨은 능력을 갖고 있는 실력자일 수가 많다. 선악간에 감정이 깊고 내면적 성격이 강하여 은혜도 원수도 철저히 갚는 성질이 있으므로 함부로 사귀기 힘든 사람이다. 남모르는 노력과 수련을 하는 사람으로 은밀한 계획과 꿈을 가지고 빈틈없이 추진하는 실행력을 갖고 있다.

2.실리(타산)가
 이익이 없으면 움직이지 않는 이기주의적 현실론자를 말한다. 안전베일주의에 입각한 방어형 처세를 주로 하며 치밀한 계획에 의해 일보일보 전진한다. 희생 봉사 정신이 거의 없고 인색하며 인간미가 없다. 실리를 추구하지만 활발한 처세와 모험심이 없으면 큰 성공을 거둘 수 없다. 장점으로 냉정하고 침착하며 친절성이 없고 이익을 탐하여 사람을 나쁘게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실리가는 타산적으로 이익을 추구하거나 공리공론에 빠지지 않고 실용적 편리에 입각하여 처신한다. 근면착실하게 재산을 모으는 데는 어느 정도 성공하나 남을 진정으로 돕지 않아 뚜렷한 명예나 신용을 얻지 못한다. 금전이나 물질에 너무 관심을 쏟지 말고 정신적 미덕과 가치를 좀 중시하는 것이 좋다.

3.고지식파
 전통과 인습에 묶여 개혁보다 보수를 고집한다. 자기 나름의 인생관이 굳어있어 좀처럼 남의 사상이나 생각 혹은 시대적 유행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성실하고 정직하여 고지식하게 보이는 사람dl다. 이런 사람은 성품이 순진하고 천진난만하여 '나이 먹은 어린이'처럼 순수하다. 고지식파는 자기전공이나 좁은 시야에만 묻혀있어 다른 분야에는 어둡기 때문에 다양하고 융통성있는 처세는 힘들다. 근시안적 안목을 가진 고집스런 고지식파들은 자기아집이나 마음의 폐쇄성을 떨쳐버리고 겸허한 마음으로 처세하여 넓은 교양을 쌓도록 개방함이 좋다.

4.기분파
 자유분방한 성격에 활달한 처세를 하며 매사에 기분을 많이 찾는다. 모든 업무의 상황과 조건을 건설적으로 처리하는 생산적 기분파도 있지만 일시적 기분에 들떠서 쾌락주의 찰라(刹那)적 향락을 즐기는 감각적 기분파도 있다. 건전한 의미의 기분파는 남의 처지나 입장을 잘 알아주고 동점심도 풍부하며 협조도

5. 아류어용파(亞流御用派)
 주로 학문계통의 지식층을 평할 때 쓰이는 용어로 뚜렷한 자기학설이나 철학도 없으면서 남의 학술이나 글을 도용하는 자기학설이나 철학도 없으면서 남의 학술이나 글을 도용하는 비정통파인데 종교에서는 사상적 이단(異端)이라고 한다. 이런 사람은 확고부동한 사상도 없으며 유행하는 시대적 조류나 권위주의적 권력의 그늘에 아부기생(阿附寄生)하는 소견머리 없는 자료 종말이 좋지 않다. 적당한 구실을 붙여 합리성을 가장 하나 근본적으로 자기충실의 양심이나 실력이 없기 때문이고, 진실한 학문이나 대인관계를 하는 것이 아니고 일시적 영달(英達)이나 자기편리를 위해서 처신한다.

6.심술쟁이
 '사촌이 논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식으로 남이 잘되면 시기하고 질투하여 상대방의 장점이나 업적을 격하시키는 속좁은 인간이다. 자기는 능력도 없으면서 상대방을 얕잡아보고 무시하는 교만형의 인간에 많다. 심술쟁이들 중에는 욕심쟁이가 많고 무식하고 일이 닥치면 당황하여 어쩔 줄 몰라 심술을 부리는 형태로 나타난다. 근본적으로 인간성의 본질이 좋지 않고 성품이 조야(粗野)한 데다가 자기 힘에 벅찬 처세를 하기 때문에 불균형한 행동이 어설프게 표현되면 심술로 바뀐다.

7.바보·멍청이·얼간이
 일반적으로 머리가 우둔하고 행동이 어리석은 사람을 바보라 하지만 똑똑한 사람도 가끔 바보스러울 때가 있다. 또한 속으로는 영리하면서 저 세상 일부러 바보짓을 해서 멍청한 것처럼 보여 자기 몸을 안전하게 지키는 바보 아닌 바보도 있다. 어떤 일에 몰두하다 보면 세상현실에 어두워 어리숭할 때가 있는 데 이런 사람은 진정한 바보라 할 수 없다. 태어날 때부터 멍청한 바보 얼간이는 어쩔 수 없지만 사랑과 정성을 가지고 지도하면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다.

8.얌전이
 여러 사람 앞에서 부끄러워하고 수줍음을 잘 타는 사람을 말한다. 자신보다 상대방을 먼저 생각해서 일보 양보하고 겸양하여 예의 염치를 지키다보니 얌전한 사람도 있지만 원래 남 앞에 나서는 것을 두려워하고 겁이 많아 소극적이며 자신을 강력히 주장을 못해 소심하기 때문에 얌전한 사람도 있다. 옛날에는 남자는 점잖고 여자는 얌전한 사람이 예의범절이 좋고 복 받는다고 했지만 현대와 같은 자기개방시대는 얌전한 사람보다 활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처세하는 사람들이 성공하는 수가 많다. 인력수양 상 얌전하게 은근한 미를 풍기는 기질도 좋지만 일이 생기면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활동성이 좋아야 한다.

9.수다쟁이
 남의 흉을 보거나 소문을 퍼뜨리고 다니면서 자기의 유식(有識)이나 천박한 지식을 과시하고 떠벌린다. 실지로는 자기 인격이나 떨어지는 것도 모르고 떠들고 돌아다니는 것이다. 간사하게 지껄이고 이간질하는 무리나 아첨하는 인간들과는 달리 수다쟁이는 별 악의(惡意)는 없다. 수다쟁이들은 사람을 사귀는 데 별 어려움이 없이 대화의 계기를 조성하고 재치있는 유모어나 위트(wit)를 구사하여 사람들을 즐겁게 하는 재능이 있어 말은 많으나 남에게 크게 미움은 받지 않는다. 그러나 자기의 분수나 위치를 모르고 주제넘게 떠벌리는 수다쟁이는 쓸개빠진 주책없는 사람으로 남에게 비웃음을 당한다.

10.돌팔이(엉터리)
 어설프게 전문가의 흉내를 내는 '반 풍수 집안 망치는 사람'이다. 엉터리 실력으로 대가(大家)나 진짜의 흉내를 내는 꼴불견의 사람을 가리킨다. 사회 각 분야 어느 방면에도 돌팔이들은 있다고 볼 수 있다. 지식이나 학문 경험 기술 자격 등의 위조 과대선전으로 돌팔이들이 일시적으로 득세하거나 행세할 수 있으나 얼마 안가 탄로 나고 몰락한다.

11.이중인격자
 간사하고 아첨하여 으쓱대는 인간들은 혼자 있을 때는 고민하고 몸부림치는 이중인격의 인간들이다. 이중인격자들은 탐욕이나 명예욕에 휩싸이고 물질에 눈이 어두워 자기의 양심까지 팔아먹고 사람을 속이려 한다. 꼬리가 잡히면 변명하고 둘러대나 결국 이중의 탈을 쓴 소인잡배에 불과하다. 실제로는 이중인격자가 아닌데도 다른 사람에게 그렇게 보일 경우가 있는데 이런 사람은 재능이 다양하고 심령(心靈)이 복잡해서 좀처럼 그 본심이 잘 나타나지 않기 때문인데 자기 나름의 중심은 잡고 있다. 즉 사상과 취미가 다양하여 그렇게 보일 뿐이고 특히 남을 이용하고 간사를 부리는 악질적 이중인격자들과는 질적으로 다르다.

12.숙맥
 어른인데도 어른으로서의 정신연령과 경험이 부족하며 특히 남녀관계의 성적(性的)인 성숙도(成熟度)가 모자라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눈치가 느리고 말주변도 없어 얼간이 취급을 당하기도 한다. 이성관계의 감정교류에서 일어나는 미묘한 정서적(情緖的) 감각이 둔하여 대화를 해보면 답답하다. 이런 사람은 시청각 교육을 많이 받거나 독서에 치중하여 감각과 감정 정서와 정조(情操)의 느낌이 분화(分化)되고 발달하도록 지성을 연마해야 한다.

13.다혈질
 성격이 거세고 괄괄하여 호기심도 많고 감정의 변화도 빠르다. 흥분을 잘 하기도 하나 가라앉을 때도 빠르다. 기질은 의기양양한 편이며 사람을 잘 사귀고 명랑하고 친절하며 온정적이다. 조울적 성격변화가 엿보이는데 기쁨과 슬픔 유쾌와 불 유쾌 등 상대적 감정변화가 산발적으로 나타나고 때로는 감정상태가 극단으로 치닫는다.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로써 기고만장하다가도 조그만 걱정거리가 생기면 슬퍼하고 심하면 충격을 받아 비탄과 절망에 빠지는 것이 조울증 기질의 특성이다. 다혈질과 조울증은 차이가 있지만 비슷한 점도 많다. 다혈질은 용기와 정열같은 것은 풍부하므로 차분하게 수련하여 개성적 창의성을 살려나가면 예능방면이나 인기직업에 성공할 수 있고 선전이나 운동방면에 진출해도 좋다.

14.우울질
 해보지도 않고 어렵게 생각하고 근심 걱정하는 기우(杞憂)가 많은 비극적 불안의 염세주의자다. 인생과 세계를 불안과 어둠 속에서 우울하게 보며 생활을 창조적으로 이끌지 못한다. 모든 실패의 이유를 '내가 못난 놈이기 때문이다'라고 결론 지우기도 한다. 열등감에 젖어 행동이 소극적이고 특히 언어 발표력이 빈약하다. 사랑의 고백같은 것은 엄두도 못 내며 가족이나 친한 사람에게조차 자기 속을 말하지 못한다. 우울질은 심리적으로 이상성격에 속하며 성장과정이나 가족관계에 문제점이 있어 대인관계의 부조화 성격으로 연장된다.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성격으로 변모되도록 꾸준한 자아혁신의 성격개조가 요구된다.

15.점액질
 감수성이 둔하고 활기가 부족하며 소심하고 답답하다. 매사를 꼬치꼬치 따지나 다른 사람을 괴롭히기보다 자기 자신과 싸우는 내향적 기질이다. 성격형성과정에서 부정적 관념이 많은 과거경험을 가지고 있고 미래를 어둡고 침울하게 본다. 이런 사람은 밝고 명랑하고 낙천적 기질을 가진 사람을 친구로 삼아 긍정적이고 능동적인 외향적 기질을 양성하여 심신의 조화적 정신위생에 힘쓰면 성격의 모순점이 많이 개선될 수 있다.

16.깐돌이
 알밤을 까놓은 듯이 빤지르르하고 매끄러운 언행의 도시형 청소년들에게 붙이는 별명으로 쓰인다. 나이에 걸맞지 않게 숙성하여 어린이다운 천진난만성(天眞爛漫性)이 결핍된 '까불이'행세를 대하다보면 얼마안가 싫증이 난다. 좀 나이를 먹은 사람 중에서 깐돌이형의 기질을 가진 사람은 남을 도와주는 척 하다가 실상은 자기욕심을 재빨리 채우고 시침을 떼며 혹은 남의 흉을 잘 보고 약을 올린다. 너무 발랑 천방지축으로 까진 형은 교정하기 힘드니 특별지도나 수양을 시키든지 가정교육의 충실로 원만한 성품이 되도록 교육해야 한다.

: 동물형에 의한 물형비유 인물 감정법

 

 

 

 

 

 

 

 

 

 

 

 

 

 

 

 

 

 

 

 

기본인물형 모델(Model)제시의 역사적 인물 실례 자료 참조: 동아도서 출판 한국 역사 인물집京和社 제작 역사 연대 중요 인물표를 참조했으며 그 얼굴모양을 기본오행과 상생상극형의 15가지 형에 비교해서 분류했으니 독자들 나름대로 역사적 인물유형을 도출하여 심화 연구하시기 바람.

 

 

 

 

 

 

 

 

 

 

 

 

 

 

 

 

 

 

 

 

 

                                              머 리 말

동물의 모양이나 형상(形相)을 유상(有相)으로 포착하고, 그 동물의 생활습성 생태 특징을 무상(無相)으로 영현은유(靈顯隱喩)하여, 유무형(有無形)의 통합된 상징비유법(象徵比喩法)으로 해석하여 그에 대비되는, 인간의 모습이나 습관 행동 그리고 개인의 성격이나 마음의 상()을 이해하고 설명한다는 것이 무리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예로부터 어떤 사람의 특징이나 인간성을 파악할 때 종종 동물의 생김새나 성질에 비교하여 사람의 특징을 자주 적절하게 해석해왔다. 동물의 物形에 비교하여 사람을 상징적으로 비유 설명하는 연유(緣由)는 간단한데 인간은 만물의 영장으로 모든 동물의 생태적 속성을 공유인자로 구유한다고 보아 복잡한 사람의 심성에 관한 심리기제(心理機制)를 파악하기 힘들므로 한 인물의 개성적 특징과 성질을 직관적으로 순식간에 묘사하는 데는 그와 비슷한 동물형에 유추하여 설명하면 이해하기가 쉽기 때문이다.

동물형에 비유한 인상판단 인물감정법이란 어떤 인물의 얼굴모양과 신체적 특징이나 골격을 바탕으로 개인의 행동이나 마음 씀씀이를 관찰하여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기질과 성품을 파악하고, 잠재적 능력이나 가능성을 검토하여, 장래의 직업선택이나 운명개척에 대한 안내와 방향을 지도하는 종합적인 인물 감정법이다. 한 인물의 본성이나 성격과 기질 개성의 가능성을 통찰하여 현재 그 사람이 처해있는 실상(實相)의 본질을 정확하게 캐치(Catch)하려면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직접적으로 관찰하거나 판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인간과 동물이 다 같이 자연 속의 생물로써 흡사한 점이 많으므로, 상호 비슷한 행동모형을 분석해서 인간이해와 인물판단의 근거로 삼아 개인의 직업선택과 지로지도를 예측하고 적성발견과 능력개발 및 생활개조와 운명개척의 자료로 삼는 것은 유익하고 흥미있는 일이다. 이와 같이 동물과 인간의 습성과 행동유형을 상호비교하고 같은 점과 다른 점을 서로 검토하여 인물을 감정하고 인상을 판단하는 법을 물형론(物形論)이라고 한다.

아득한 옛날 인류의 조상들은 동물들과 별 다름 없는 원시생활을 한 적이 있었지만 역사의 발전에 따라 지혜와 문화의 발달로 고차적인 지능을 사용함에 따라 원시적인 본능이 많이 소멸되어 동물적 야만성이나 미개한 습성이 많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인간의 심성기저(心性基底)에는 동물적 근성의 야만성이나 난폭한 공격성이 심층의식에 도사리고 있다가 특수한 상황에서는 그 잠재적 돌발성이 갑자기 나타나기도 한다. 그래서 이러한 현시성(顯示性)의 돌출행동이나 심신언행의 표출현상을 발견하여 어떤 사람의 성격이나 용모 습관 기질 등을 그에 유사한 동물의 모습이나 습성 성질 등에 비유하면 영락없이 그 사람의 성품이나 개성 기질 체격(체질)에 바탕을 둔 인격의 사람 됨됨이를 정확하게 예측하거나 비슷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동물세계에서 벌어지는 약육강식에 의한 생존경쟁 먹이사슬의 연쇄적 고리를 살펴보면 마치 인간사회의 사회생활 직업세계에서 벌어지는 인간관계의 복잡한 의식주 경제활동과 흡사하다. 단지 다른 점이 있다면 인간사회는 윤리도덕심에 기초한 인의(仁義)의 덕목이 정의적 귀감의 룰(Rule)로 작용하는 면이 강하지만 동물세계는 오로지 힘과 기술과 꾀와 지모(智謀)에 의한 무력의 세계가 일방적으로 펼쳐지기는 하지만 여러 가지 처세술에서 동물과 인간의 생존경쟁 대응방식이 비슷한 점이 많다.

자고(自古)로 인간을 만물의 영장(靈長)이라 불려져 온 이유는 사람이 만물 중에서 가장 뛰어난 영지(靈智)적 존재로써, 하늘로부터 영묘(靈妙)한 능력을 품수(稟受)받아, 모든 다른 동물을 다스리고 또한 식물은 물론 대자연의 천지만물을 주관하여 총섭(總攝)해왔기 때문이다. 종교적 해석에 의하면[기독교 성경: 창세기 126]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에 따라 지음을 받고 하나님의 권능으로 위임을 받아 삼라만상(森羅萬象)에 존재하는 천지만물을 다스리고 관리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즉 사람으로 불려지는 인간(The Human Being)은 우주 천지만물 중에서 다른 어떤 동물보다 대자연의 기운을 많이 받은 영지적(靈智的:Spiritual Wisdom) 존재로써 다른 동물보다 상위계층의 知的활동을 하는 영장류(靈長類)로써 확고한 생존체계를 갖춘 최고의 동물이란 뜻이다. 여기서 우리가 유념해야 할 것은 사람마다 용모나 능력이 다르다는 것이다. 사람은 태어날 때 부모로부터 받은 선천적 능력에다 자라고 성장하면서 체득되는 후천적 능력이 통합하여 각자의 삶이 정해지고 운명이 결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들은 다른 사람의 태도나 생각 성격 등을 파악하여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데 이러한 동물세계의 생태적 특성을 잘 살펴서 관찰하면, 어떤 사람의 심성과 행동의 운동방향을 동물적 행위나 사고체계를 파악하여 비유 해석하면, 그 사람의 본성과 성격 태도 처세방향 등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사람을 앞으로 어떻게 대처하고 다루어나가는 것이 나에게 유리하고 현명한 처세술이 되는가하는 경우에, 동물에 비유한 인물판단법이 아주 유용한 생활철학의 처세사교기법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동물비유법의 인물감정법을 토대로 대인처세의 방향과 사교술을 터득할 수가 있고 사회생활 인간관계의 여러 장면에서 인상판단법의 사람 보는 법을 활용하면 대인처세에 많은 유익과 효과를 볼 수가 있으며 또한 학문적으로 인간과 자연, 동식물의 생태학과 환경친화론에 흥미있는 주제가 된다. 동물과 식물 곤충과 벌레 미생물에 이르기까지 지상과 공중과 海水에 존재하는 만물을 총체적으로 분류하고 나열해서 검토해보면 마치 인간세계의 모든 群像들을 이러한 만물에 비교 비유해서 설명하면 모든 사람의 형상과 성질과 특징을 확실하게 이해하여 앞으로의 미래를 예측하고 장래의 결과를 예언하는데 많은 참고가 된다.

동물형에 비유한 관상판단과 인물감정법의 근본원리

 

 

 

 

 

 

 

 

 

 

 

 

 

 

 

 

 

 

동물에 대한 관상감정이 인물판단의 절대적 기준 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사자형의 얼굴을 가진 사람이라도 풍채(風采)나 행동은 늑대나 사슴 정도밖에 안되며 마음 씀씀이나 성격은 여우와 흡사한 사람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물을 판단할 때는 얼굴 신체 골격 성품 기질 등에서 어느 것이 어떤 동물의 어디에 해당하여 얼마나 어떻게 닮았는가?’를 심사숙고 한 후 판단하는 것이 인물감정의 핵심과 열쇠가 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사물의 근본원리와 이치에 입각하여 실상본질과 변화허상(變化虛相)의 참된 묘수비의(妙數秘意)를 정확하게 관찰하고 명상관조(瞑想觀照)하여 정확한 판단을 하도록 정밀(靜謐)하고 자세하게 살피는 감식안(鑑識眼)이 필요하다.

이 책에서 서술한 동물형의 인물묘사의 인상착의(印象着意)들 중에서 여러 가지 해석이 실제로 감정하는 인물들의 관찰과 그 해설이 맞아떨어지는 경우도 있고 혹은 긍정이나 부정의 서술이 그와 비슷하게 근접하기도 하며 간혹 반대로 해석해도 맞는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동물과 사람의 성질과 형상 생태 습성 등의 중요한 특징을 잡아 묘사했으므로 전부 다 적중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수천 수십만 명의 인간들이 신체적 정신적 모든 조건에서 같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극()과 극이 통하기도 음양이 서로 반대이기는 하나 때에 따라서는 서로 공통점이 있다는 심령철학의 대전제(大前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십중팔구는 본서의 해설대로 적중한다. 즉 보편성 일반성에서 개별적 구체성을 심령 철학적으로 상징 비유하여 그 진수정핵(眞髓精核)을 뽑아서 현실적[경험 통계 면담 조사 관찰 연구 검증]으로 실지입증의 단계를 거쳐 확인된 것이다. 그렇지마는 세상에서는 완전무결한 실험이나 이론은 거의 없을 것이므로 독자들은 읽는 도중에 모순점이나 틀린 점이 있거든 독자의 인생경험이나 체험연구에서 보충해서 해석하는 지혜를 발해주길 바라며 부족한 점이 발견되면 저자에게 연락해서 고쳐주면 학문적 견해나 지식이 상호 발전할 것이다. 오직 현명한 독자제위들의 식견과 판단을 잘 검토하고 좋은 해석으로 보충하여 해석하면 더욱 알찬 인생의 깨달음을 얻을 수가 있을 것이다.

생존경쟁의 인생무대에서 자기 목표를 달성하고 성공의 발판을 굳히자면 우선 살아가는 대인처세의 방법이 좋아야 한다. 각종 사업과 시험공부와 취직시험과 취미와 특기의 일에서 성공하려면 빈틈없는 계획과 탁월한 실천력이 필요한 데 이 모든 것을 추진하려면 여러 가지 자료와 정보가 필요하고 근본적으로 자기의 뜻에 맞는 사람을 잘 사귀어야 한다. 사람을 잘 사귀는 데는 교제하는 인물의 특징과 성격, 처세수완의 장단점, 인간성의 성실함과 능력 등을 잘 파악해야 한다. 이 같은 대인처세의 사교술이 원만하다면 추진하는 모든 일의 절반이 성공한 셈이다. 본 저서에서는 대인처세의 기본방향과 인물판단의 토대가 되는 기본지식과 원리를 현대적 인간실존에 비추어 해설하니 적절히 참고하면 운명개척과 필생의 과업달성의 목표도달에 큰 도움이 된다. 그러자면 먼저 남을 알기 전에 나 자신의 운명의 진행코스과 처세의 기본 패턴(Pattern)을 잘 파악해야 한다.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의 마음속은 모른다.’는 말처럼 사람을 판단하는 일은 쉽고도 어렵다. 왜냐하면 인간은 육체적 생물적 차원을 넘어 우주심과 통하는 영적 존재이며 이성과 감성을 가지고 그 위에 차원적 영혼을 소유한 불가사의한 신비를 내포한 靈物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어떤 사람을 정확하게 판단하려면 인간 본성은 물론 자연과 사회 및 문화전반과 우주 만물에 두루 통해야 한다. 또는 모든 사물의 이치와 그 변화발전과 쇠퇴과정을 한 눈에 꿰뚫어 보는 진리의 혜안을 갖추어야만 인상법을 달통하여 인물감정법을 통달할 수 있다.

동물형비유 관상판단 인물감정법

 

 

 

 

 

 

 

 

 

 

 

 

 

 

 

 

 

 

 

 

동물형 인상판단과 실제관상의 인물감정법상 유의할 점

여기에 나오는 인물형의 인상도형과 해설은 사물의 보편적 일반성에서 개별적 특수성을 靈動的 心相鑑定法心靈透視術에 의해 그 중요한 특징을 추출(抽出)한 것으로 절대적인 분류는 아니지만 저자의 오랜 현장감정경험에 바탕을 두고 창저(創著)한 것이니 적중률이 상당히 높다.

각 동물형에 나오는 얼굴모양은 그 동물에 속하는 인물유형(人物類型)을 대체적으로 알기 쉽게 표준화시킨 것이다 동물형에 명확한 우선순위가 있는 것도 아니고 좋은 동물과 나쁜 동물을 뚜렷이 구별지을 수가 있는 바도 아니다. 단지 사람의 특징과 물형을 가급적 정확하게 표출(表出)하여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인간적인 본성의 행동유형과 성격 인품 등을 정확하게 관찰하여 판단하는 데 기본 방향의 모형을 제시한 것이다.

각 동물마다 장단점이 있으며 어떤 인물의 자질과 적성 능력 성격 등의 정체성(正體性: Identity)과 변화성의 관계를 용모나 신체 및 골격조건들을 비교 검토한다. 또한 그에 비유되는 동물의 상징성의 표준을 제시하여 개성적인 기질과 품성 마음상태 등이 비교하고자 하는 동물의 어떤 부문 어떤 점에서 유사하거나 같은 점의 공통점과 相異점을 발견하여 얼마나 적합하게 특징을 잡아 해석하는 게 중요하다. 동물의 인물형 그림은 각 동물에 흡사한 표준형을 선정하고 그 신체적 용모자태의 유사성을 추출(抽出)하여 대표적 모형을 그린 것이니 세부적으로 닮지 않아 판단하는 것이 애매모호(曖昧模糊)한 것이 있어 초보자는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실제 인물을 접하여 감정을 해보면 여러 가지의 변형된 얼굴이 많으니 세밀히 관찰해야 한다.

기질(氣質)사람의 심신을 구성하는 오장육부와 사지백체의 총체적인 요소의 특별한 경향성을 파악하는 성격이나 행동유형의 특징으로 氣運을 말하는데 하늘로부터 품수하는 원기이고, 質料를 말하는 데, 心身을 형성하는 요소로 땅으로부터 몸속에 흡수되는 萬物素質로 물질적인 원소(원자)나 분자의 합성물이다.

제1장:육지동물형
 1.육지동물형

(1)호랑이형: 호랑이형은 다음과 같이 학문교육형, 정치관직형, 사업가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호랑이 형의 일반적인 인상특징] ; 이마가 두텁고 모가 났으나 전체적으로는 둥그스름하다. 입은 오므리면 적으나 말할 때나 웃을 때 등 벌리면 보통사람보다 훨씬 크다. 음성이 굵직하고 장중하며 큰 편의 반주음(伴奏音)이 울리는 듯하다. 잇발이 잘 생겼으며 색깔도 좋다. 입술이 홍자색으로 빛이 난다. 눈이 크고 안광에서 위엄스런 형안(炯眼)이다. 걸음걸이나 행보에 무게가 있고 풍채가 훤칠하여 단연 보통사람을 압도하는 체취가 풍긴다. 호랑이형은 남녀 공히 문무겸전의 능력을 갖추고 단체나 집단의 우두머리나 지도자가 될 운세를 가지고 있으나 현대사회에서는 몸체가 호랑이 상이라 해도 실제적인 전문지식이 없으면 출세를 하기 힘들다. 여자 호랑이상은 사회적 활동을 많이 하고 외향성이고 극부형(克夫形)이면 얌전한 남자들은 결혼대상으로 심사숙고해야 한다.

 

 

호랑이 학문교육형
학술이나 지식 연구 교육 훈련계통의 정신적 능력과 신체적 특징이 겸비된 계통의 업무와 일을 추진하거나 실행하는 데 알맞다
.
[
얼굴모양] ; 이마가 둥글고 양옆으로 훤하게 퍼졌으며 얼굴 기색에 윤이 나며 담화하거나 웃을 때 주름의 흔적이 나타난다. 눈썹이 쭉 뻗고 짙은 편이나 중간에 약간의 굴곡이 있다. 얼굴 전체에서 위엄이 풍기고 눈길이 그윽하나 눈 꼬리는 매섭고 날카로운 예기(銳氣)가 비친다. 혹 눈두덩의 근육 살집이 불룩하다. 법령(法令)과 관골(觀骨)이 발달했고 입술은 단아(端雅)하면서 약간 두툼하며 색깔은 홍자색(紅紫色) 계통이다. 눈길 : 눈동자에서 풍기는 기풍(氣風)의 시선 방향. 법령: 코 양옆에서 뻗어 내린 입 위의 주름 굴곡선. 관골: 광대뼈 주위에서 아래턱까지 옆 볼을 말함.

[신체 및 골격] ; 온화한 인상이나 풍채에 위엄과 기풍이 서려 있으며 어깨는 둥그스름하고 등어리와 허리는 유연하다. 목이 알맞게 굵고 행동은 천천히 하며 키는 중키 정도가 많다.

[기질 및 성품] ; 성격이 대범하여 호인적(好人的) 기질을 갖고 있지만 희로애락의 감정을 뱃속 깊이 감추고 있다. 일을 할 때는 남 보기에는 대충하는 것 같지만 내심으로 꼼꼼하고 세밀하게 처리한다. 사람 됨됨이 그릇의 크기에 따라 차이가 나겠지만 국가적 대사를 논할 만큼 배포와 경륜이 크고 담대하다. 장기적 안목의 포부가 커서 나아갈 때 전진하고, 물러 설 때 후퇴하는 진퇴(進退)의 묘미(妙味)를 알고 있다. 실제 호랑이는 무섭지만 사람 호랑이 형은 친근감이 느껴져야 좋은 호랑이 상이라 하겠다. [진로 및 직업] ; 지식욕이 왕성하고 탐구심이 강하고 사회성이 발달하여 학문이나 예술0 철학 종교 등에 관심이 많고 재능도 있다. 학술연구나 교육계에 진출함이 좋고 문화사업이나 출판 언론 행정업무에도 종사한다.

 

 

 

호랑이 정치 관직형

정치방면이나 국가 공공기관, 반관반민(半官半民) 단체의 관리행정직, 공무원 계통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다. 사람을 관리하는 지도자적 자질을 갖추고 사람이나 물건을 다루는 데 자질과 능력이 있으며 사업적인 수완에도 능력이 있다.

[얼굴모양] : 얼굴 전체 윤곽은 대체로 둥글면서 상하로 약간 길쭉한 편이며 특히 머리 상부가 발달했다. 이마가 앞으로 돌출한 사람도 있으며 안광(眼光)이 형형(熒熒)하게 빛난다. 입은 힘있게 뻗었으며 입꼬리가 약간 밑으로 쳐졌으며 법령이 분명하거나 이중선이다.

이중선(二重線): 법령이 상하 혹은 안팎으로 겹치거나 두 줄이 뻗어 내린 것.

[신체 및 골격] : 몸집이 풍만하면서도 근육이 단련되었다. 팔은 짧은 듯하나 완력(腕力)이 세다. 허리 및 하복부는 유연하고 다리는 자기 몸에 비해서 긴 편이다. 동작이 부드러운 것 같지만 일단 정신을 집중하여 기공(氣功)을 모으면 정신적 육체적으로 큰 힘을 발휘한다. 이것은 정력이 강하고 용기와 신념 배짱 등의 심령적 힘을 몸속에 깊이 감추고 있다 필요한 경우 발휘하기 때문이다.

[기질 및 성품] : 평소에 부드러운 언행과 처세를 하나 속으로 계산이 빠르고 항상 도약과 발전의 기회를 노린다. 양보와 협상 공격과 방어에 능하고, 인간과 물질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수완이 있으며, 업무추진에 변화의 기회를 포착하고 추진하는 변통성이 뛰어나다. 여자가 이런 상이면 남편을 이기거나 리드(leader)할 상이고 가정보다 사회활동에 관심이 많고 능력이 있다.

[진로 및 직업] : 정치나 공공기관의 경영관리 능력이 뛰어나고 문무겸전(文武兼全)한 수가 많다. 인력을 관리하는 수완이 좋으며 크게 발분(發憤)하면 국가 사회단체 최상위 지위까지 출세할 소질이 있다. 진로방향은 정치가 국회의원 입법 사법 행정의 정부 고위 관리직에 진출하고 중등급의 인사는 중간 관리직에 도달한다.

 

 

호랑이 사업가형

물질이나 돈 사물을 다루는 데 솜씨가 있으며 사람을 부리는 수완도 상당하다.

[얼굴모양] : 이마 중앙이 발달되어 혈색이 홍자색(紅紫色)이고 윤이 나며 살집도 풍만하고 시원한 인상이다. 눈이 위쪽으로 뻗었고 눈썹은 위로 치켜 올라가서 다시 둥글게 휘어내려 온 편이다. 관골과 노복궁(奴僕宮;아래턱 주위)이 불룩하게 발달했으며 입술과 코 주위가 불그스름한 화색(花色)이 돈다.

[신체 및 골격] : 목이 굵고 짧은 편이나 어깨는 튼튼하고 뼈대와 근육이 견고하고 잘 발달했다. 위엄과 관용이 조화된 풍채다. 점잖은 표정이나 얼굴표정 기색을 자세히 살피면 예리하고 눈매가 날카롭다. 몸은 보통의 체격이나 평균이상 큰 사람도 종종 있다.

[기질 및 성품] : 좀 무섭게 보이나 사귀어 보면 온후독실(溫厚篤實)하고 아량이 넓다. 긴장을 풀고 휴식을 취할 때는 태평스럽게 유유자적(悠悠自適)하는 것 같으나 마음(머리)속으로는 굉장한 계획을 꿈꾸고 구상하며 때와 여건이 되면 신속히 일에 착수한다.

[진로 및 직업] : 반관반민의 공사(公私) 기업이나 회사 경영에 진출하거나 각종 사회사업에 열성적으로 종사한다. 회장 사장 대표 중역 은행 금융 관리직에 진출하면 전도가 유망하다.

 

재규어형

재규어(Jaguar): 中南美산 표범으로 호랑이와 모습이 비슷하다. 호랑이형 해석을 참조하면 유추할 수 있다.

재규어 (Jaguar/Panthera onca)

식육목 고양이과에 속하는 동물. 몸길이 11.8m, 꼬리길이 4575, 몸무게 70150. 몸색깔은 검은색 또는 흰색인 것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황갈색이고 배 부분은 흰색이다. 표범과 비슷한 검은 반점이 몸에 있으나, 그 무늬는 크고 가운데에 작은 흑점이 있다. 단독으로 생활하고 주로 야행성이며 수영이나 나무오르기를 잘한다. 일정한 세력권을 만드는데 먹이가 풍부한 곳에서는 그 지름이 525나 된다. 먹이는 소형 설치류에서부터 사슴·원숭이까지 다양하다. 북쪽에 서식하는 것들은 임신기간이 93110일이고 1월에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데, 열대지방에 서식하는 것들은 출산기간이 일정하지 않다. 새끼는 2년간 어미와 함께 지내고 3살이면 성적으로 성숙한다. 수명은 사육하는 경우 22년 정도이다. 건조지대에는 살지 않고 물가나 하천·늪지가 가까운 밀림에서 서식한다. 미국 남서부에서 중앙아메리카를 거쳐 아르헨티나 북부까지 분포한다.

 

 

 

 

 

 

호랑이 선비 학자형--추가 인물형[20151114일 추가]

농암의 초상화.경상도 관찰사 재직 시절 동화사 주지 옥준상인이 그림

(안동시청 제공) 국제신문 20151112() 20면 게재

聾巖 李賢輔[14671555]: 이조 선조[15221592]때 유교선비 관리로 경상도 관찰사 재직 중 71세 때 그린 초상화--관직 은퇴 후 退溪 李滉(15011570)과 시와 자연과 풍류를 즐기며 교분이 두터웠다는 기록이 전함

 

 

 

(2)사자형: 사자형은 정치, 학문 사업형과 사법관 경찰형, 공무원 관리 군인형으로 나눌 수 있으나 서로 유사한 점이 많아 뚜렷하게 구분하기 힘드나 자세히 보면 얼굴의 청수귀천(淸秀貴賤)이나 가문의 배경 후천적 교육이나 개인적 수양의 정도에 따라 구별할 수 있다. 얼굴이 돈후(敦厚)하고 코허리는 준수하며 코 잔등이 풍륭(豊隆)하며 코끝이 약간 뭉텅하고 윗수염이 적으나 구레나룻[귀밑에서 턱까지 난 수염]와 턱 수염이 많은 자를 사자상이라 한다.

사자 정치 학문 사업형

학문과 지식과 사회적 경험을 바탕으로 정치나 사업 방면에 활동하고 두각을 나타내며 많은 사람과 물질을 거느리고 다스리는 역량과 재능이 있다.

[얼굴모양] : 다른 사자형 얼굴과 특징이 비슷하나 양 이마가 번듯하며 코끝이 좀 뭉텅하고 콧대가 짧아 단아한 사자코 형상이다. 이마의 살결이 찰지고 윤색이 나며 훤하게 틔었고 눈은 깊숙하고 그윽하다. 눈썹은 감색(紺色)계통으로 짙고 굵으나 부드러운 편이고 중간 이후부터 넓게 펴졌고 털에 은은한 윤기가 난다. 광대뼈가 솟았으나 살집이 풍만하여 모가 나지 않으며 엄숙하나 포근한 분위기가 퍼진다.

[신체 및 골격] : 어깨가 떡 벌어지고 체격이 중후하고 언행에 무게가 있으며 위엄이 풍기나 어딘가 믿음직해 보인다. 키가 보통이거나 뚱뚱하며 작은 사람도 있다.

[기질 및 성품] : 언행이 단정하고 위엄의 기풍과 관용과 아량의 미덕이 풍긴다. 자유분방하고 호탕(浩蕩)한 성격에 변화무쌍한 융통성에 모험심을 발휘한다. 창의적 사고력과 진취적 업무 추진력과 개척정신이 풍부하다. 단 학문형은 인자한 것 같으면서도 고지식한 면이 엿보이나 이것은 어리석은 것 같으며 현명한 성품인 것과 흡사하다. 자유분방한 성격보다 보수 근엄성(謹嚴性)이 농후하다.

[진로 및 직업] : 정부 고위관리, 국회의원, 교육행정가(총장 학장 교장), 교수, 고급 연구직, 외교 문화관광 사업가, 각종 공공사업 단체의 홍보직 진출이 유망하다.

 

 

사자 사법관 경찰형

사법관이나 입법부 계통 국회의원, 판사 변호사 검사 등 주로 판결이나 법률 해석분야 감정사 등의 진출에 유망하고 경찰이나 치안활동에도 소질이 있다.

[얼굴모양] : 옆 이마나 귀 옆 광대뼈 근육의 살집 등이 좌우로 불거져 나온 경우가 많다. 안광이 날카롭고 가늘게 뻗은 눈초리가 특이하게 발달하여 위엄과 예민성 두려움 예기가 풍겨 나온다. 구레나룻 수염이 종종 있으나 현대인은 수염을 깎아 날씬함과 세련미를 보이려고 애쓴다.

[신체 및 골격] : 얼굴이 좀 마르고 야윈 느낌이 들고 뼈대 근육이 보통사람보다 많이 불거져 나온 경향이 많으며 관골이 훌쭉하다. 동작이 민첩하고 키가 늘씬하고 크다. 룰론 키가 보통이거나 작으며 뚱뚱한 사람이 없는 것은 아니다.

[기질 및 성품] : 냉정침착하고 민완성(敏腕性)과 경건 위엄 엄숙함을 풍긴다. 종교나 철학적으로 수양된 사람은 고결(高潔)한 청백성이 은연(隱然)중에 나타난다. 이 유형의 사람은 평소 공적인 사무를 많이 취급하므로 체질상 냉정함이 몸에 베여 딱딱한 인상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가정에서 화목하고 대인관계에 친절성이 나타나도록 부드러운 몸가짐에 융통성을 베풀 필요가 있다.

[진로 및 직업] : 입법이나 사법계통의 치안이나 수사 정보 분야에 필요한 치밀한 추리력과 엄격한 공정성을 유지하고 사물을 다각적으로 분석종합하는 두뇌작용이 능통해야 두각을 나타낼 수 있다. 역시 각종 통계나 검사 실험 관찰의 처리능력이 있어야 자기 분야에서 성공할 수 있다.

 

 

사자 공무원 관리 군인형

국가 공무원이나 공사기관의 관리자 장성이나 직업군인 수사기관에 근무하는 등 주로 제복을 많이 착용하는 직업의 분야이다.

[얼굴모양] : 눈썹은 짙으나 가는 편으로 위로 쭉 휘었다 아래로 내리 뻗은 그림모양이고 눈초리[눈꼬리 魚尾]도 위로 날카롭게 생겼다. 눈 주위 살집근육이 불룩하다. 좌우 광대뼈와 관골과 옆 이마가 불룩하다. 입술은 붉으며 긴장감이 감돌고 굳센 기상이다. 입은 벌리면 크고 닫으면 작다.

[신체 및 골격] : 목이 곧고 굵으며 쭉 빠졌다. 어깨가 떡 벌어지고 등어리가 듬직하다. 상체가 우람하게 발달했으며 복부(腹部) 및 허리 다리 부분의 근육 힘도 세다. 위엄이 있고 엄숙단정하나 언행이 딱딱하며 친절미가 희박하고 사교성도 부족하기 쉬우니 이 분야의 부족한 점을 보강해야 한다.

[기질 및 성품] : 무뚝뚝하면서도 세련된 태도와 말씨는 규율과 행정의 일관성을 위주로 하는 공무원적 충성심을 나타낸다. 간단명료하고 사리 분명한 대화와 처세를 한다. 희로애락의 감정표현이 얼굴에 잘 나타나지 않아 깊은 속을 알기 힘들어 다른 사람에게 권모술수에 능한 사람으로 오해받기 쉽다. 작은 일보다 큰일에 관심이 많고 검소하고 솔직담백하다.

[진로 및 직업] :전형적 관리 공무원, 군인 경찰 경비원, 감정 세무원, 군인 경찰, 중견 간부 관리 감독관, 사무직보다 현자위주의 경비 등 주로 반복 규칙적인 업무종사, 민간 개인 사업이라도 공적인 분야의 일에 종사한다.

퓨마형 퓨마(Puma): 아메리카 라이온(Lion)으로 일명 사자로 불려진다.

 

(3)코끼리형: 코끼리형은 다음과 같이 학문 및 언론형과 정치 관리 사업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나 서로 비슷한 점이 많아 뚜렷이 구별하기 힘들므로 세밀하게 얼굴의 특징을 잡아 구별해야 한다. 코끼리형는 호랑이나 사자형만큼 富貴 大吉할 운세이나 물론 본인의 끊임없는 정신개발과 실력연마가 수반되어야 한다.

코끼리 학문 및 언론 교육형

[얼굴모양] : 이마가 넓고 윤기가 나며 오관의 형상이 굵고 얼굴의 윤곽선도 큼직하며 전체의 인상이 돈후(敦厚)하다. 코가 크고 길며 특히 콧대가 높고 쭉 곧게 뻗었다. 눈도 큼직하고 둥글며 검푸른 기색의 윤기가 난다. 이마와 귀가 위로 솟아 오른 편이다.

[신체 및 골격] : 키와 몸집이 장대하고 때로는 비대(肥大)하며 행동은 여유가 있고 느릿느릿하나 생각은 넓고 깊은 심사숙고형이다. 처세생활에 여유를 보여 게으른 것 같지만 일을 할 때는 몸을 아끼지 않고 열심히 한다.

[기질 및 성품] : 보통 언행이 점잖고 느리나 사고 작용은 빠르며 지식과 학문이 풍부하고 숨은 실력이 있다. 말은 천천히 은근하게 저음(低音)으로 하는 편이고 예의범절을 잘 지키고 신중하게 처세한다. 풍채가 장중하거나 위엄이 있고 경건한 처신을 하고 威儀之像이다. 이상이 높고 사색을 즐기며 취미와 오락도 고상한 것을 추구한다. 언변에 숨은 재능이 있고 사물을 다르고 업무를 추진하는 구상력(構想力)과 계획성의 스케일(Scale)이 크다.

[진로 및 직업] : 사상이나 종교 철학 심리 언론 등 지식과 학문분야의 정신적 능력을 결합하는 사업의 진로와 방향을 택함이 좋다. 문필가 저술 출판업 언론(방송) 통신 분야, 교수 학자 종교인 교육사업가의 직업방향에 유망하다.

 

 

 

 

코끼리 정치 관리 사업형

[얼굴모양] : 학문 언론형보다 옆 이마가 더 발달하고 중앙부위도 많이 벗겨져 있다. 코끝이 굵고 전방으로 돌출했다. 기색도 검푸른 바탕에 붉은 기운이 감돌고 살갗 피부도 두텁다.

[신체 및 골격] : 목이 굵고 어깨가 견고하고 허리도 튼튼하다. 팔다리가 중대형(中大形)이며 키도 큰 편이다. 혹은 몸집이 통통한 중키 정도의 사람도 있다. 대체로 피부가 두텁고 살집이 차지다.

[기질 및 성품] : 보통 때는 평범하게 유유자적(悠悠自適)하며 대범한 기질이나 한 번 마음먹은 일은 끝까지 추진하는 끈질긴 집념의 소유자형이다. 관리직업의식이 몸에 벤 사람은 격식에 젖어 행동양식이 딱딱하고 부드러운 유연성이 부족하다. 잠잠하다가도 일단 일거리가 생기면 물불을 가리지 않고 용맹심을 발하여 정열적으로 추진한다.

[진로 및 직업] : 정치관리방면 공무원계통으로 유망하고 공사기업의 중견간부 경찰 군인 토목 건축 운수 창고 보관사업 감독관 경비원 등의 근육과 힘을 많이 쓰는 직업에 적합하다.

4.곰형.
  ①곰 일반형  ②백곰형  ③흑곰형  ④재주 곰형  ⑤운동 곰형
5.표범형
  
①표범 일반형  ②표범 정치 관직 교육형  ③표범 예능 실무형  ④표범 운동 스포츠형
6.기린형          
7.낙타형
 
 ①낙타 정치 관리 사업형  ②낙타 교육 학문 연구형
8.고릴라형
9.원숭이형
10.성성이(猩猩-)형
  
①성성이 남자형  ②성성이 여자형
11.사슴형
12.노루형
13.늑대형
  
①늑대 일반형  ②늑대 관리형  ③늑대 실무행정형  ④늑대 체육운동형
14.이리형
15.하이에나형
16.여우형
  
①여우 일반형  ②여우형 과학 연구직  ③여우형 기능 기술직  ④여우형 인기 연예직
17.너구리형
18.족제비형
19.오소리형
20.다람쥐형  21.고슴도치형  22.두더지형  23.소형  24.말형     25.돼지형
26.개형        27.양형            28.염소형     29.닭형  30.토끼형  31.고양이형
32.쥐형

제2장:수중동물형
1.고래형  2.하마형  3.물개형  4.펭귄형  5.잉어형
6.금붕어형  7.가물치형  8.뱀장어·미꾸라지형  9.두꺼비형

제3장:수륙 양서류형(兩棲類形)-파충류(爬蟲類)
1.용형
2.뱀형 일반
  ①독사형  ②코브라(Cobra)형  ③인도 왕뱀(Indian python)  ④능구렁이형  ⑤아나콘다(Anaconda)형
3.거북이형
4.악어형
5.카멜레온(Chameleon)형

제4장:공중동물  조류형(鳥類形)
1.독수리형 2.매형  3.솔개형 4.올빼미형 5.박쥐형
6.봉황형    7.공작형   8.앵무형  9.제비형  10.카나리아형
11.참새형  12.학·두루미형  13.백로·해오라기형  14.황새형  15.기러기형
16.오리형  17.타조형         18.칠면조형             19.까치형   20.까마귀형

제5장:12지 동물 띠로 판단하는 인물 판단법(Animal sign of birth destiny and Sajupalja)
1.자(子: 쥐)  2.축(丑:소)  3.인(寅:범)        4.묘(卯:토끼) 5.진(辰:뱀)   6.사(巳:뱀)   
7.오(午:말)   8.미(未:양)  9.신(申:원숭이)  10.유(酉:닭)  11.술(戌:개)  12.해(亥:돼지)

제五편: 음양오행으로 본 관상판단법과 인물 감정법

제1장: 우주 만물의 음양운동
1. 오행(五行)으로 보는 관상법과 인상판단 인물감정법(人物鑑定法)
  오행으로 본 인물감정에 의한 인상판단법이란 사람 얼굴 모양의 외관(外觀) 표정을 관찰하고 기색(氣色)을 살피는 찰색법(察色法)의 감정기술로, 인물의 됨됨이와 잠재능력을 판단하여, 앞으로 일어날 일의 변동가능성을 보는 방법으로 모두가 동양철학의 기초가 되는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에 의하여 판단한다는 것이다. 천지음양오행을 사람의 성격이나 인간본성의 마음에 비유하여 설명할 때는 오성(五性)이라 하기도 한다. 천지는 해와 달을 상징하고 오행은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의 태양계 오행성(五行星)을 나타낸다.    얼굴형을 보고 인상을 감정할 때 기본 인물형을 숙지(熟知)하여, 그 사람의 얼굴모양이나 신체 골격이나 기색을 심령투시(心靈透視:Mind Reading)하고 오관(五官)의 형태 및 피부 색깔을 잘 살피고, 기질과 성품까지 꿰뚫어 관찰하고 심상(心相)까지 보아야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때는 정신무술의 경지가 필요한데 화랑단법(花郞丹法)을 연단수행(煉丹修行)을 하면 어느 정도까지 득도(得道)할 수 있다. 얼굴의 기색을 살피고 찰색법을 동원하여 보이지 않는 마음의 心相까지 포착하여 그 상징이미지(象徵:Image)를 영적(靈的)으로 파악한 후 어떤 사람이 어떠한 인물형에 속하는지 정확하게 판단하여야 한다. 함부로 성급하게 말하지 말고 재삼(再三) 심사숙고한 후 진실한 마음의 진인지성(眞人之性)으로 성실하게 감정해야 한다.
   감정의 비법은 보이는 유형(有形)의 形相에서 보이지 않는 무형(無形)의 실상(實相)을 읽고(관찰하고) 또 반대로 무형의 추상(抽相)을 MIND SCREEN의 심상(心相: Mind Symbol, Mind Screen)으로 心像(Mind net image)에 비춰보는 유무형의 허실(虛實)을 심령투시(心靈透視:Clairvoyance)의 혜안(慧眼: Mind's Eye, Wise Eye)으로 판단하면 거의 틀림없이 적중할 수 있다.  

2. 오행오성의 상생 상극형 음양조합에 따른 얼굴모양 분류모델
3. 사상체질과 오행을 바탕으로 한 상생상극 인물형의 15가지 결합 유형모델

제2장: 기본 오행으로 본 관상판단 인물감정
1.목성인(木性人)
2.화성인(火性人)
3.토성인(土性人)
4.금성인(金性人)
5.수성인(水性人)

제3장: 오행의 상생 상극형으로 본 인상판단 인물감정
6.수생목형(水生木形)
7.목생화형(木生火形)
8.화생토형(火生土形)
9.토생금형(土生金形)
10.금생수형(金生水形)
11.금극목형(金克木形)
12.수극화형(水克火形)
13.목극토형(木克土形)
14.화극금형(火克金形)
15.토극수형(土克水形)

 

제六편: 인체기공 잠재능력과 심령투시술의 인물 감정법

제1장: 동양철학과 음양오행의 이기론 ? What is Oriental philosophy ?
1.음과 양 : Eum and Yang
2.오행[오성] : 본질 에너지의 오대 원소 The five elements of Substance Energy
3.인생의 동반자 : Life Companion

제2장 :심신수행으로 체득되는 우주력의 영동에너지
1.심신수행으로 체득되는 생명자기 인체기공
2.인체기공 잠재능력 발굴비법
3.우주영기의 인체유입 오로라 현상

제3장:인체기공에 의한 기색 운기론
1.찰색운기 기색판단법(察色運氣 氣色判斷法)
  찰색으로 판단하는 인물감정 비법오의(秘法奧義)
♣색상에 대한 미술 과학적 지식
3원색(三原色: Three primary colors)에는 색료(色料)의 3원색과 색광(色光)의 3원색이 있다.
◈색료(色料)의 3원색∼모든 색에 대하여 서로 보색관계에 있는 빨강 파랑 노랑을 색료의 3원색이라 한다. 이것들을 섞어 보색을 만드는 과정을 감산혼합이라 한다. 보색(補色)이란 서로 다른 색을 혼합했을 때 무채색(無彩色)이 되는 두 색의 상호관계를 말한다. (예): 빨강과 청록(靑綠), 보라와 황록(黃錄). 색료의 3원색을 계속 혼합하면 검정색이 된다.
◈색광(色光)의 3원색∼빨강 녹색 청색을 색광의 3원색이라 하는 데 서로 혼합하면서 생기는 변화색을 가산혼합(加算混合)이라 한다. 색광의 3원색을 계속 혼합하면 하얀색으로 변한다.
이상에서 색료와 색광의 3원색을 연구하는 목적은 수상이나 관상을 볼 때 피감정자의 안색이나 피부 색깔을 보고 그 사람의 현재 운세가 길흉의 어디에 속하는가를 판단하기 위해서다. 무릇 만물은 색과 소리로써 자신의 고유한 정체를 미리 나타내고 암시하기 때문이다. 즉 마음의 길흉과 운세의 강약이 빛과 소리로써 나타나고 사람의 빈부귀천이 색으로써 그 상태를 미리 징조로써 이미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앞날의 예언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1).사상의학(체질)을 바탕으로 한 인물감정 찰색기법(察色氣法)

 사상의학적으로 어떤 인물의 체격이나 체질을 관찰하고 그 잠재적 능력을 측정하여, 그 사람의 성품이나 기질 심성 등을 파악하고, 그 인물의 장래 운명이나 직업선택의 진로를 모색하고 여러 가지 인생과업 달성의 진로지도를 하기 위하여 피상적(皮相的)인 얼굴모양이나 신체상태를 보아서는 확실한 판단을 할 수 없다. 그 사람이 현재 처하고 있는 현실조건의 정확한 진단과 감정을 통하여, 미래상태의 운명의 변화를 예언하기 위하여, 얼굴모양이나 오관(五官:The five sense organ of body)의 구성배치와 상·하체 체격이나 체질 근육피부 상태의 모양이나 색깔을 살피는 자세한 관찰과 검토가 필요하며, 그 사람이 겪어온 인생여정의 과거 현재 미래의 변화상과 불변상의 심상을 영적으로 관통 투시해야 확실한 처방과 해결책을 낼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꼭 필요한 것이 그 사람의 몸 전체 특히 얼굴부위에서 풍겨져 나오는 기색을 살피고 은은하게 비치거나 뿜어져 나오는 피부살갗의 색상을 세밀히 관찰하여 인체기공영단심상(人體氣功靈丹心相)의 이미지(Image)의 형상(形象)으로 분석하여 가상현실(假想現實:Virtual Reality)적으로 예언하는 데 이것을 '인물감정의 찰색기법'이라 한다.
   피부근육의 찰색이나 얼굴의 기색을 살피는 데 우선 빛으로 반사되는 색상(色相)을 분석하여, 그 색이 가지고 있는 생체기공학상(生體氣功學上)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여, 인물의 잠재적 가능성을 짐작하고 현재상태를 판단하여 미래변화의 예상되는 심상(心相:Mind symbol image)의 미래상을 탐구 추론 예언 진단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감정가는 빛이나 색상에 관한 기본적 상식이나 물리적 현상에 대한 과학적 소견이 있어야 예측 예언 판단의 적중률을 높이고 더욱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
  빛의 본질이 "알갱이냐?" "입자냐?"하는 문제는 고전물리학에서부터 끊임없는 논쟁을 하여 왔다. 현대 물리학에서는 빛이 입자적(粒子的) 성질과 파동현상의 이중성을 동시에 가진다는 해석에 대체로 일치되고 있다. 빛을 입자로 볼 때는 광자(photon),로 불리며 파동(波動:wave)으로 인식될 때는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로 부른다. 그래서 빛도 소리의 전달현상처럼 파동적 현상으로 설명해도 문제가 없다고 보겠다.
★☆ ■ 사상의학(四象醫學)--조선시대 말기, 이제마(李濟馬:1838∼1900)가 주장한 한의학의 한 학설로 종래의 전통적인 한의학의 진단과 처방인 같은 병증엔 같은 처방이라는 진료방법에서 한 단계 진전하여 사람의 체질에 따라 ①태양인 ②태음인 ③소양인 ④소음인으로 분류하여 같은 병이라도 체질에 따라 다른 처방의 약재와 치료를 해야한다는 한의학의 학설을 말한다.       
(2)빛의 파장 종류와 색삼원(色三元)에 관한 도표                      
  모든 파동은[그림1]처럼 파장(波長)이 정의된다. 파장은 파동의 성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데 예를 들어 음파의 경우는 파장이 짧으면 짧을수록 음의 높이는 높아지고 반대로 파장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음의 높이는 낮아진다. 파장(波長)은 또 진폭(振幅)과 관계가 있는 데 진폭이 넓으면(높으면) 센음(강한 음)이고, 좁으면(낮으면) 여린음(약한 음)이 된다. 파장은 또한 진동수와 관계가 있어 일정한 시간에 진동수가 많으면 높은 음(파장)이 되고, 진동수가 적으면 낮은 음(파장) 된다. 빛도 음파처럼 파동으로 이해하면 마찬가지로 파장에 따라 나누어 빛의 종류와 진동현상을 생각할 수 있다. 빛의 파장이 짧은 것에서부터 긴 것 순서로 나열하면 [그림2]에서와 같이
γ선 Χ선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마이크로웨이브 전파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현대 물리학에서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즉 진동수가 많을수록 높은 에너지를 갖게된다. 그래서 파장이 짧은 γ선 Χ선 등은 강력한 투과력을 갖게된다.
  기공수련에서도 수행의 단계가 높아지면 靈丹心相의 인체자기 생체에너지의 生命磁氣 AURA 光輪도 하단전에서 상단전으로 올라가면서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색의 MIND SCREEN 心相氣色의 IMAGE SYMBOL VISION이 念射噴出되는 데 파장이 가장 짧은 보라색이 상단전에 위치하면서 가장 강력한 빛의 에너지를 발산시키는 최고로 단련된 고급화(고도로 정화된)된 靈丹氣色이다. 고전 물리학에서는 음파(音波)와 광파(光波)가 서로 다른 매질(媒質)의 전달체로 이해됐지만 현대에 와서는 음파와 광파가 서로 공통점이 있다는 점이 인식되고 있다. 우리 몸에 감각으로 수용되는 음파의 청각자극과 광파의 시각자극이 서로 다른 감각기관으로 반응되지만 결국 두뇌의 신경회로에서는 같은 생체자기 반응[腦下垂體 HORMONE의 인식작용]을 일으켜 동일한 생리심리정신작용(뇌파의 작동현상)을 일으키는 현상을 볼 때 음파와 광파 에너지는 궁극적으로 같은 동질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증명된다.    
  빛에는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해로운 빛과 신체에 무해한 빛이 있다. 병원에서 환자의 신체촬영에 쓰이는Χ선
γ선 등은 방사선의 일종이고 눈에 보이는 可視光線은 시각의 매체가 된다. 그리고 모든 운명판단예언이나 인물감정의 인상법 진단에는 빛이나 색에 대한, 삼원색법과 오색법 칠색법등의 과학적 물리적 기본지식의, 상식의 기본을 바탕으로 사람을 판단하고 단순한 물리화학적인 관찰 위에 더욱, 人體氣功 靈動심리정신적으로 해석해서, 고차원적인 人間心靈을 이해하는 경지에서 각 사람의 운명의 변화진로를 예측하고 안내하며 지도 교육하여 올바른 길로 이끌어야 한다.
(3)안면찰색(顔面察色) 기색론(氣色論)  
  
얼굴이나 피부 살결의 색깔을 살펴보고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기색의 운기(運氣)를 측정하여 장래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미리 점지(點指)하여 凶한 일을 吉한 일로 변동시키거나, 화(禍)를 바꾸어 복(福)으로 변화시켜, 사전(事前)에 불행을 막고 액운(厄運)을 피해서 행운으로 이끌도록 처방하는 운명개조의 고차원적 판단감정의 목적으로 안면찰색 기색론이 활용된다.
  PHANTASM PANORAMA OF MIND SCREEN의 心靈透視術에 나타나는 三四圓의 靈像眞理에서 모든 만물은 天地人을 상징하는 원형과 사각형과 삼각형의 영상진리가 상호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체를 나타내고 있다. 사물의 본바탕에서 근본 영상의 IMAGE SYMBOL VISION을 도출(導出)하여 一意之貫 靈動念射 透視之力으로 인물을 감정하면 존재하는 有相의 形相과 理念 속에 존재하는 無形의 象徵相을 상생 상극으로 음양재합하면 그 본체의 實相을 透視貫通하여 진정한 참 모습을 假想現實적으로 적중시킬 수가 있다.
☞ 인물감정 적중 예언법=기본오행얼굴형+상생상극형 10가지형+물형론+복합형 결합유무판단+전통적 관상법+심상론→삼사원의 영상진리
얼굴 顔面은 밖으로 형체가 나타났으니 인물투시형을 이용한 陽動形體요 정신심령은 안으로 잠재돼 있어 형체가 보이지 않으니 陰靜象徵에 해당한다.
 
THE PHILOSOPHY OF COLOR IMAGE(色相哲學)
Blue : The color of water and sky which represents human spirit in Mind and Spirit.
Yellow : The color of soil symbolizing the human Body, Muscle, Skin and Bone.
The symbol of Red color : Red color is the symbol of blood of Heart and the Image of passion, fire of     Love, Idea and Thought.   
 --자료참조: 2000년 시사영어 잡지 1월호 Domestic News에서 발췌 인용첨가
2.삼원 오색 칠색 운기판단법

 

 

 

 

 

 

 

 

 

 

 

(1)삼원색법(三原色法)
  모든 빛깔이나 색상을 재현(再現)할 수 있는 기본적인 세 가지 원천적인 우주만상의 근원색(根源色)으로 색삼원과 빛삼원으로 구별된다.
 ◎그림 물감 색깔의 삼원색--빨강[赤] 파랑[靑] 노랑[黃]으로 서로 배합하면 모든 색을 만들 수 있다.  
 빨간색은 氣血이 감도는 육신을 상징하고 파랑색은 정신 의 변화와 희망의 심령을 나타내고 노랑색은 피부와 몸체를 상징하니 감정할 시는 심령변화 연상법을 동원하여 감정한다.  
 ◎빛의 삼원색--빨강 파랑 녹색[綠]으로 태양의 가시광선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색이다.
빨강은 태양의 광명 빛을 상징하고 파랑은 우주 창공(蒼空)의 검푸르고 울울(鬱鬱)한 우주심령을 나타내고 녹색은 천지만물의 생명의 푸름을 상징하는 강이나 바다의 색깔이 변동하는 변화상을 말한다.

(2)오색법(五色法)
 천지에 가장 뚜렷한 5가지 오행색깔로 빨강[赤] 파랑[靑] 노랑[黃] 하양[白] 검정[黑]으로 동양철학에서 오행사상과 가장 중요한 색상의 기본으로 분류한다.
(3)칠색법(七色法)
  무지개의 가시광선(可視光線)에서 나타나는 7색을 본체로 비유한 빨강[赤] 주황[朱黃] 노랑[黃] 초록[綠] 파랑[靑] 남색[藍] 보라색이다.
※남색은--파랑과 보라의 중간색으로 남빛 쪽빛으로 부른다. 변화할 징조를 갖춘 내면적 암색(暗色)이다.
  보라는--빨강과 파랑을 혼합한 중간색으로 단법(丹法)이나 기공(氣孔)수련에서 상당히 높은 정신적 차원을 나타내는 색깔이다.
※紅潤色--피부[살결]에 화색(和色;花色)이 돌고 불그스름한 윤기(潤氣)가 나면 홍윤색으로 본다. 홍윤색은 흉조(凶兆)에서 길조(吉兆)로 변하는 화색(和色)의 일종으로 얼굴이나 피부 몸체에 피어오르면 좋은 일이 생길 징조로 본다.
프리즘에 의한 빛의 분산(分散)과 집광(集光)
백색광의 빛의 스펙트럼을 프리즘을 통하여 투과시켜보면 7개의 구분이 나타나고 아래 그림에서는 분산된 단색광을 다시 프리즘에 집광시켜 2차 통과한 것이다.

3.오운 육기 우주영기 판단법
 

 

 

 

 

 

 

 

 

 

 

 

 

 

 

 

 

 

 

 사람의 얼굴이나 몸체에서 풍기는 기색의 진동파장과 천지운기와 교감하는 광윤상태가 피부에 현현(顯現)하는 미묘한 기운을 살펴서 그 사람의 운기의 길흉화복을 판단하는 법을 찰색 운기 기색판단법이라 한다. 찰색 운기 기색판단법을 줄여서 찰색법 혹은 기색법이라 한다. 찰색법에는 삼색법 오색법 칠색법 오운육기법 우주영기판단법 등이 있다.   얼굴의 기색을 다른 신체 피부색과 종합적으로 상호대조하여 찰색을 감정하며 피감정자의 현재상태 빈부귀천(貧富貴賤)과 학력이나 사회경력 등이 '어느 정도인가?' 한 번 암시 상상해본 후 상대방의 정신적 육체적인 능력의 정도를 가늠해본다. 이 때 직업이나 특기 기질 성격 등도 예단적(豫斷的)으로 판단해본다.
 얼굴색을 한번 슬쩍 일별(一瞥)한 후 피감정자의 手背나 手掌의 색깔 선명도를 면밀히 관찰하고 수선(手線:손금)의 長短厚薄(長短厚薄)을 참조하고 선 색깔의 광륜도(光潤度)등을 관건으로 삼아 판단한 후 몸체와 사지백체의 피부 기색과 종합적으로 살펴본 후 상대방을 감정한다. 색깔의 광륜도에는 삼원색법 오색법 칠색법 등을 적용하여 판단한다. 사람의 피부색에 빨간색이라고 비유하여 말한 것은 색상기색을 상징적으로 말한 것이니 실지로 감정할 때는 빨간색을 심상에 떠올리되 말 그대로 빨간색은 없으므로 홍윤색(紅潤色)이 은은(隱隱)하게 비치면 빨간색으로 간주(看做)하여 판단한다.

제4장:심령투시술에 의한 인상판단의 심상투시 인물감정법 

 

 

 

 

 

 

 

 

 

 

 

 

 

 

 

 

 

 

 

 

 

 

 

 

 

 우주의 파동과 음악과 생체기공리듬(The psychic Bio-rhythm of the bionics)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密多心經:pannaparamita)은 흔히 우주 일체 만물의 실상(實相:The real aspect of the every existence in the Universe) 을 남김없이 비쳐보는 지혜를 상징하는 경전으로 거론대어, 생사해탈의 고해바다를 건너 열반(涅槃: Nirvana, the supreme level of enlightment wisdom, Heaven of God)에 이르는, 마음 닦는 수심결(修心訣)의 신비오묘(神秘奧妙)한 경전이라고 알려져 있다. 팔만대장경의 핵심진수로 가장 간결하게 요약된 262자로 구성된, 우주 시공율려(時空律呂:The harmonious sound wave of time and space of the Cosmos)를 꿰뚫는 지혜의 경전으로, 종교적인 의미를 초월하여 우주 대자연의 신비한 섭리(攝理:The divine Providence)를 말하고 있다. 반야(바라밀다)심경의 핵심요체는 『색즉시공(色卽是空) 공즉시색( 空卽是色)이라는 한마디로 압축되는데 이 말은 우주의 진리의 존재양식을 설파한 말이다. 현대적인 용어로 해석하면 만물은 입자요 에너지이고, 입자와 파동은 만물의 근원이라는 우주삼라만상 대자연의 진리를 달관하는 심학(心學)과 과학이 우주시공에서 서로 만나 상호일치 한다는 우주인식관을 말하고 있다. 물론 우주 속의 인간 존재인  인체내부에 순환하는 생체기공리듬(The psychic Bio-rhythm)의 진상(眞相: The real symbol image)도 포함되는 것이다.
  막스 프랑크(Max Pnanck:1858-1947)의 광량자설이나 프랑크(J,Franck:1882-)의 흑체복사(黑體輻射)이론이나 닐스 보어의 소립자 및 양자이론과 파이만의 진공도식도 뉴톤의 만유인력의 법칙이나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호이겐스의 빛의 파동원리, 하이젠베르그의 입자와 파동에 의한 불학정설의 원리 등 모든 과학적 관찰현상도 모두가 반야심경의 사유 속에포함된다. 몇 천년전의 선각자들이 순수한 관념적 사유와 초월적 명상에 의해 삼라만상의 진리를 체험적으로 깨달은 내용이 현대적 과학이나 학문적인 결과와 하나도 상충되지 않는다. 즉 파동과 입자에 의한 우주적 현상이 우주와 자연 인간의 모든 존재를 총괄하는 기본개념으로 진리를 탐구하고 파악하는 최고의 방법이 되는 것이다.
  음악 역시 인간 문명과 문화의 한 분야인 이상 이 진리인식의 체계를 벗어날 수 없다. 음악의 율동적 파동이 모태에 있는 태아의 지능지수를 높이고 동식물의 성장에 영향을 끼친다는 실험결과는 어쩌면 우주의 파동과 기공(氣空: The psychic spirit of ether)에너지가 깊이 연관된 각성(覺性:The realization of wisdom)현상을 현대의 정신심리 생체이론이나 과학적 설명으로 풀이한 것이다.
  항상 경쾌한 음조로 우리의 흥이나 신명을 돋구는 바로크 음악의 기본적 빠르기는 분당 144정도의 율려박동이다. 인간의 생체리듬에 조화되는 맥박의 횟수는 그 반인 72회 정도이고 체온은 이의 절반수치인 36도 가량이다. 호흡은 또 이것의 반인 분당 18회의 율려(Sound rhythm harmony)의 리듬을 유지하고 있다. 체온과 맥박과 호흡은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와 파동현상의 생체 유기기공(有機氣功)작동의 결합체인 것이다. 이와 같이 생체의 근본적인 바이오리듬과 음악의 리듬이 깊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은 우연이 아니고 우주론적 입자와 에너지의 파동현상이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이미 몇 천년전의 선각자들은 마음과 몸에 접촉되는 감각의 느낌으로 파악했던 것이다. 그것을 말하는 것이 반야심경의 참된 경지인 것이다. 음악을 통해 파동과 에너지의 아름다움과 생명감의 의욕을 느끼고 인생의 지혜를 관조하고 우주자아에 대한 참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음악적인 감각과 활동을 통해 생활의 활력소를 증대시키고 새로운 감각세계에 나의 마음이 활짝 열림으로서 창조적인 세계를 개척할 수 있는 것이다. 음악 속에는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카타르시스(catharsis)를 얻을 수 있고 인생을 관조하고 대우주 삼라만상의 초월적 시공세계로 통하는 지혜의 문이 인체신비의 기공도법(氣功道法)으로 열려있다.

이상 참조 문헌: 1996년 1월 22일자 국제신문 <가람화요음악회대표:허효길>의 칼럼『파동과 음악 그리고 우주』에서 발췌 인용한 부분이 있음

1.인상법에 의한 인물감정학의 학문적 계통
2.심상판단 영상판독(靈相判讀) 심령투시술(心靈透視術)의 인물감정
 
※인생운명 진로변화의 연령구분 시기판정
3.운명철학 인물감정 5대 감정분야의 구조대응비(構造對應比)
4.인체기공력의 잠재능력개발과 심령투시 미래돌파  

 

 

 

 

 

 

 

 

 

 

 

 

 

 

 

 

 

 

 

 

 

 

 

 

(1)인상법(人相法)과 인물감정학(人物鑑定學)의 학문적 통일성의 해석판단
  ♣인체영동수리철학--인물감정 심상판단 심령투시술--운명철학 영통비서♣
제5장:창조적 인생개척과 운명개조론
 
◎ 지능지수(IQ)와 직업적성의 판정 분류도

심령투시 관상법과 인상감정 인물학 ☞人間學(HUMANICS) 珍奇道學秘書

대인처세 인물판단 및 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잠재능력 발굴을 위한
구성운 인체기공 심령투시 관상학(九星運 人體氣功  心靈透視 觀相學)
NINE PLANETS PHYSIOGNOMY OF THE SOUL
BODY ETHER IN SPIRITUAL CLAIRVOYANCE

 

 

 

 

 

 

 

 

 

 

 

 

 

 

 

 

 

 

 

 

 

 

 

 

 

태극운동으로 움직이는 태풍진로

주역 팔괘의 靈動數理 음양상호 작용도

▲음양운동이 확대발전하는 주역팔괘의 우주만물 삼사원 영상진리 기본운동도

 

 

 

 

 

 

2.관상의 유상(有相)․무상(無相)으로 보는 운명의 굴곡과 성쇠(盛衰)(구성운 증보판 인용 338페지))

  관상학[Physiognomy, Phrenology(골상학)]은 운명감정의 방술(方術:Method, technique) 중에서 사람의 얼굴이나 용모를 1차적으로 관찰하고 그 사람의 체격이나 골상 풍채(風采:Appearance) 등을 2차적으로 살펴본 후 3차적으로 보이지 않는 무형의 상(相: Image, Vision, Symbol)을 心眼으로 점검한 후 피 감정자의 평생운수와 현재의 길흉화복의 운세를 합리적으로, 미래학적인 학술적 지식을 참조하여, 예언적 앞길을 제시하고 상담하는 방법이다. 이 때 더욱 정확한 예언이나 인생상담의 조언을 하기 위해서는 관상만 보는 것이 아니고 수상으로 현재의 운세를 인과론적으로 살펴보고 성명학으로 대인처세의 음양오행법을 분석종합한 후 감정한다. 일반적인 중요한 운세의 감정이 끝난 후 장기적인 안목이나 먼 장래의 불확실한 추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사주의 점성술을 가미하여 경험론적 처방을 진단하여 궁금증을 해소하거나 질의응답에 납득이 가도록 해결책을 제시하면 훌륭한 감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관상법은 원래 전통적으로 사람을 판단하고 채용하는 인물감정의 면접법에서 비롯되었다.

사람을 관찰하고 판단하는 방법에 신언서판의 감정기준이 있었다. 신·언·서·판(身·言·書·判)은 오랜 세월 동안 전통적으로 인물을 평가할 때 적용하던 기준이다. 신(身)이란 관상(觀相)을 일컫는다. 남자의 관상을 볼 때 포인트는 눈이다. 정기(精氣)는 눈에서 표출된다고 본다. 눈빛이 형형하게 빛나면 聰氣가 있어 지혜롭다고 판정한다. 도교의 隱身術을 연마하는 내단학(內丹學)에서 인체의 3가지 보물(三寶)은 하단전(下丹田)의 에너지인 정(精)과, 중(中)단전의 에너지인 기(氣), 그리고 상(上)단전의 에너지인 신(神)이다. 눈빛에서 나오는 총기는 神에서 나오는 것이다. 神은 氣에서 나오는 것이고, 氣는 다시 精에서 생산되는 것이므로, 신을 많이 소비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하단전의 정과 중단전의 기도 이에 비례해 빨리 고갈되게 마련이다.

관상을 볼 때 또 하나의 포인트가 찰색(察色)이다. 찰색법은 얼굴의 색깔인 기색(氣色)을 관찰하여 보는 일이다. 얼굴 생김새와 윤곽은 선천적으로 타고나지만, 얼굴색은 그때그때 상황의 변화에 따라 수시로 변한다. 찰색을 일명 ‘기찰’(氣察)이라고도 부른다. 사람의 장기 운세는 관형(觀形)을 가지고 판단하지만, 눈앞에 직면한 단기적인 운세의 판단은 찰색을 보고 예감한다. 예를 들어 이마에서 빛이 나면 관운이나 승진운이 있다고 판단하고, 양쪽 눈 중간의 콧대 부분이 시커멓게 보이면 질병이나 근심걱정이 있고 죽음의 사신이 찾아올 수도 있다.

사주를 보려면 생년월일시를 만세력(萬歲曆)에서 찾아 십간십이지의 복잡한 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과정이 필수적이지만, 관상은 상대방의 얼굴을 한눈에 판단할 수 있으므로 사주에 비해 신속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필자는 관상을 돈오(頓悟:한순간의 깨달음)에 비유하고 사주는 점수(漸修:점진적으로 닦음)에 비유하곤 한다. 관상을 제대로 마스터하려면 의학까지 공부해야만 하고 최소한 1만명 정도의 임상실험을 거쳐야 경지에 들어설 수 있다고 한다. 내공(內功)의 힘은 이론만 가지고 되는 것이 아니라 임상실험의 횟수에 비례한다. 경험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따라서 관상의 대가는 하루아침에 배출될 수 없다. 20~30년의 누적된 투자가 필요한 것이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우리 사회에는 관상의 고수들이 많이 있었지만, 관상가들이 정통적인 지식인으로로 인정받지 못한 직업으로 白眼視 당해 후진 양성의 명맥이 끊겨있는 상태이다.

서(書)는 글씨다. 좁은 의미로는 글씨체를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문장력을 말한다. 요즘이야 붓이나 펜보다는 컴퓨터를 통해 글을 쓰는 세상이어서 글씨체나 문장력이 과소평가되고 있다. 대신 문장력은 여전히 힘을 발휘한다. 현대사회의 여론은 여전히 글을 쓰는 칼럼니스트, 신문기자, 논객, 작가들이 영향력을 행사한다. 그런 만큼 글을 잘 쓴다는 것은 상당한 능력이다. 자기 생각의 50%만 말로 표현할 수 있어도 그 사람은 웅변가라고 할 수 있고, 자기 말의 50%만 글로 전달할 수 있어도 그 사람은 대단한 문장가에 속한다.

‘판’(判)은 무엇인가. 판단력이다. 신과 언과 서를 보는 이유는 최종적으로 판단력을 보기 위해서다. 결국 판단력에서 인간의 능력은 결판난다. 인생사는‘Yes’냐 ‘No’냐 하는 선택과 판단의 연속이다. 결정적인 순간에 판단 한번 잘못 내리면 만사가 끝장날 수 있다. 지도자의 자질 가운데 가장 중요한 첫번째 능력 역시 판단력이다. 그런 만큼 신언서판 중에서 필자는 판단력이 가장 중요한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판단에는 두 가지 차원이 있다. 하나는 이판(理判)이고 다른 하나는 사판(事判)이다. 이 둘을 합쳐 흔히 ‘이판사판’이라고 한다. 이판사판의 어원은 불교의 ‘화엄경’에서 유래하였다. 불교 경전 중에서 최고의 경전이라고 일컬어지는 ‘화엄경’에서는 인간사의 범주를 이(理)와 사(事)로 파악한다. 이는 본체의 세계이고 사는 현상의 세계이다. 이는 눈에 안 보이는 형이상(形而上)의 세계이고 사는 눈에 보이는 형이하(形而下)의 세계이기도 하다.

색즉시공(色卽是空)이라고 할 때 이는 공(空)의 세계이고, 사는 색(色)의 세계와 같다. 양자는 마치 동전의 양면처럼 서로 같으면서도 다른 관계에 있다. 같으면서도 다르다는 점이 사람을 헷갈리게 만든다. ‘화엄경’에서 추구하는 이상적인 인격은 이판과 사판에 모두 걸림이 없는 경지의 인격이다. 대체적으로 사판은 데이터를 분석 종합하여 내리는 합리적인 판단이고, 이판은 직관적이고 영적인 차원에서 내리는 판단이다. 예를 들어 처녀 총각을 중매할 때 신랑의 학벌·직업·외모·집안을 따지는 것은 사판에 속한다. 그러나 조건이 좋다고 해도 둘이 만나 백년해로할 것인가는 100% 장담할 수 없다. 조건이 좋다고 무조건 잘 사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두 사람의 생년월일시를 놓고 사주와 궁합을 본다. 사주와 궁합을 보는 작업이 이판에 속한다. 사판 능력은 인생경험에 비례해 증가하지만, 이판능력은 경험세계와 데이터를 초월한 영역이므로 이 분야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이판과 사판이 모두 좋게 나오면 일은 거의 성사된다. 이판사판이면 더 이상 생각할 필요 없이 결과가 좋을 것이라고 예측하여 추진한다는 뜻으로“에라, 이제부터 이판사판이다”결과는 하늘에 맡기고 밀고가자 라는 말이 나왔다. 여기서 유의할 대목은 무턱대고 사주·궁합부터 볼 일은 아니라는 점이다. 먼저 사판을 충분히 검토하고 그 다음에 이판을 보는 것이 순서다. 합리적인 과정을 한번 거쳐 신비적인 영역으로 들어가는 수순이 지혜로운 자의 태도다. 이름하여 ‘선사판(先事判) 후이판(後理判)’이다. 주자성리학(朱子性理學)의 창시자인 중국의 주자(朱子)도 인생 후반부에는 사판을 거친 다음 이판을 내린 사례가 발견된다.

신(身) 다음에는 언(言)이다. 언어란 그 사람이 말을 얼마나 조리있게 하는가를 보는 일이다. 언을 조금 깊게 들어가면 목소리의 색깔(voice color)을 분석해 보는 일이 중요하다. 어떤 사람은 보이스 컬러를 가리켜 성문(聲紋)이라고도 표현한다. 사람마다 지문(指紋)이 다르듯 목소리의 결인 성문도 각기 다르다는 것이다. ‘관상(觀相)이 불여음상(不如音相)’이라는 말은 관상보다 음상이 더 중요하다는 뜻이다. 이런 말이 있을 만큼 목소리는 인물 됨됨이를 판단할 때 근본적인 자료로 활용된다. 사람마다 각기 목소리가 다른 이유는 인체 내의 오장육부(五臟六腑)의 大小크기와 기능의 强弱이 각기 다른 데서 연유하는 데 그런 것을 의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사상의학의 체질기질론이다. 목소리는 허파에서 氣孔세포 진동에 따라 기관지 聲門의 동굴을 거쳐 사람마다 독특한 VOICE COLOR를 내는데 동시에 오장육부의 氣孔穴의 경락유통과 血脈과 脈搏의 자극반응 운동에도 영향을 주어, 사람마다 장기의 크기와 강약이 다르므로 목소리의 컬러도 각기 달라 개성에 따라 독특한 품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목소리로써 그 사람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運氣측정이 가능하다.

================================================================================================

             차    례

관상인물 투시원리 인상판단 기초상법(基礎相法)

제一편: 전통적 관상법에 의한 인상 판단법과 인물감정학 

제1장.:관상의 원리와 총론
1.기본인상
⊙얼굴 총론 ; 얼굴은 양이요 몸체는 음이 된다.
(1)삼재(三才): 天地人의 三才
(2)삼정(三停): 面相 얼굴의 상중하 삼부위
(3)얼굴 오악(五嶽)
(4)얼굴 사독(四瀆)
2.오관투시 인상 판단 인물감정법
(1)눈-눈썹 (2)코   (3)귀 (4)입-입술-이
(5)인중(人中)을 보는 법
(6)상모면상(相貌面相) 머리전체 종합인상-  머리-이마-머리털(상모)
3.삼정론(三停論)
4.사관(四官)의 형상 특징과 종류
5.육부론
6.십이학당
 (1)4학당  (2)8학당  

제2장 : 오관 및 사지백체 내장기관 세포조직 세부상설
1.근육-피부-살결
2.몸체-외형-미추(美醜)

(1)한국의 전통미인 조건
(2)현대적인 미인 조건

3.사지백체 신체골격 인체형상 체형감정
(1)남자의 체형감정
(2)여자의 체형감정
4.내장기관 세포조직 유전인자
5.얼굴로 보는 오장육부 내장기관 건강상태 감정법
(1)네모형▩ 혹은 마름모형 얼굴
(2)둥근형
 얼굴
(3)삼각형
얼굴 혹은 역삼각형  얼굴
(4)타원형
0 얼굴

제3장 : 전통 관상법의 십이궁 관찰과 인물감정법
1.관록궁(官祿宮)  2.명궁(命宮)  3.재백궁(財帛宮)
4.천이궁(遷移宮)  5.부모궁(父母宮)  6.형제자매궁(兄弟姉妹宮)
7.복덕궁(福德宮)  8.처첩궁(妻妾宮: 一名; 夫婦宮)
9.전택궁(田宅宮)  10.자손궁(子孫宮)  11.질액궁(疾厄宮)
12.노복궁(奴僕宮: 일명 부하궁)

제4장 : 십이궁관찰과 인물판단의 상세한 해설법
1.관록궁(官祿宮)  2.명궁(命宮)  3.재백궁(財帛宮)
4.천이궁(遷移宮)  5.부모궁(父母宮)  6.형제자매궁(兄弟姉妹宮)
7.복덕궁(福德宮)  8.처첩궁(妻妾宮: 一名: 夫婦宮)
9.전택궁(田宅宮)  10.자손궁(子孫宮)  11.질액궁(疾厄宮)
12.노복궁(奴僕宮: 일명 부하궁)
 

제二편: 사상체질에 의한 인물 감정법
제1장: 체격 체형 체질 총론
1.사상체질의 습성 기질 성격의 개성적 특징
 
(1)태양인   (2)태음인  (3)소양인  (4)소음인
2.팔 다리 근육피부 감정법
 
①사지 팔다리의 뼈대와 골상 척수의 구조
 ②주름살 사마귀 점 모발 기타 각종 부위
 ③동작 언어 호흡 식사 걸음걸이 앉음새
 ④누운 자세 기타 일상생활의 여러 자태

제2장: 체형 체질 성격 기질과 심성 사고 세부 각론
1.사상체질인의 실천윤리 처세방향
  
(1)소양인  (2)  태양인  (3)소음인  (4)태음인

2.성격 기질상으로 본 사상인의 장단점
  
(1)소양인  (2)  태양인  (3)소음인  (4)태음인

3.심성특성 사고방향으로 본 사상인의 생활태도 개선방안
  
(1)소양인  (2)  태양인  (3)소음인  (4)태음인

제3장: 체질 성격 기질론
1.수형학(手形學: Cheirognomy)과 4체액 기질론
2.4체액(體液) 기질론(氣質論)
3.인물의 성격파악과 기질 및 개성의 분석
(1)성격(Character)  (2)기질(Temperament)  (3)개성(Personality)

제4장: 체상 심상 종합판단법
1.사상체질의 천부적 품성바탕
2.사상체상 성격기질 심상분류 특징의 종합판단 감정법

제5장: 동양철학의 원리에 따른 사상체질 분류법
1.동양철학 원리 주역팔괘(周易八卦) 방위 원리도
2.사상체질의 12지 배치도
3.사상체질의 오행방위 배치도
4.사상체질 분류의 감정판단 기준법

(1)태양인
①용모 신체상의 특징②기질 성품 바탕의 성격③질병예방상 대체의학 건강요법
④사상체질로 분류한 유사오행 상생상극형 인물감정
   
★화성인형 ★화생토형 ★화극금형 ★
⑤사상체질과 유사오행 인물형 직업선택의 처세성공 진로방향

(2)태음인
①용모 신체상의 특징②기질 성품 바탕의 성격③질병예방상 대체의학 건강요법
④사상체질로 분류한 유사오행 상생상극형 인물감정
   ★수성인형 ★수생목 ★수극화 ★土性亞人 ★토극수[土로 막힌 물]
⑤사상체질과 유사오행 인물형 직업선택의 처세성공 진로방향

(3)소양인
①용모 신체상의 특징②기질 성품 바탕의 성격③질병예방상 대체의학 건강요법
④사상체질로 분류한 유사오행 상생상극형 인물감정
   ★목성인형 ★목생화 ★목극토
⑤사상체질과 유사오행 인물형 직업선택의 처세성공 진로방향

(4)소음인
①용모 신체상의 특징②기질 성품 바탕의 성격
③질병예방상 대체의학 건강요법④사상체질로 분류한 유사오행 상생상극형 인물감정
   ★금성인형 ★금생수 ★금극목 ★토생금
⑤사상체질과 유사오행 인물형 직업선택의 처세성공 진로방향


제三편: 심상의 성질과 개성으로 본 인물 감정법

제1장: 「∼형」에 속하는 인물
1.사색추구형 2.명상형 3.철학형 4.종교형 5.창조형
6.지성형 7.감성형 8.예술형 9.공상가형 10.심사숙고형
11.과학형 12.이론형 13.경제형 14.정열까형 15.금욕형
16.섹스형(SEX-形) 18.귀족형 19.서민형 20.권력형}
21.개척가형 22.실무행정형 23.투쟁형 24.솔선수범형 25.사회봉사형
26.자수성가형 27.융통형 28.오뚝이형 29.천하태평형 30.자화자찬형
31.생기발랄형 32.몰두형 33.설교형 34.설득권유형 35.책임전가형
36.무사안일형 37.고집불통형 38.억지형 39.떠 버리형 40.자포자기형
41.과대망상형 42.근심 걱정 불안형 43.새침데기형 44.욕구불만형 45.자기아집형
46.히스테리·신경질형 47.눈치형 48.아첨간사형 49.얌체형 50.고자질형
51.조삼모사형 52.변덕형 53.촉새날라리형 54.교만형 55.유아독존형
56.고백형 57.비밀형 58.능구렁이형 59.철면피형 60.악질형 61.파렴치형 62.후안무치형(厚顔無恥形)

제2장: 「∼주의자」로 분류된 인물
1.이상주의자 2,현실주의자 3.중용주의자 4.정신주의자 5.유물(물질)주의자
6.황금(배금)주의자 7.합리주의자 8.적당주의자 9.기회주의자 10.권의주의자
11.절충주의자 12.낙천주의자 13.염세주의자 14.비관주의자 15.이기주의자
16.낭만주의자 17.고전주의자 18.보수(전통)주의자 19.자연주의자 20.진보주의자 21개혁·혁신주의자

제3장: 「∼인간」으로 분류된 인물
1.이성적 인간 2.감각적 인간 3.영웅적 인간 4.소극적 인간 5.적극적(능동적) 인간
6.내향적 인간 7.외향적 인간 제4절: 기타 유형의 인물

제4장: 기타 유형으로 분류된 인물
1.야심가 2.실리(타산)가 3.고지식파 4.기분파 5.아류어용파(亞流御用派)
6.심술쟁이 7.바보·멍청이·얼간이 8.얌전이 9.수다쟁이 10.돌팔이(엉터리)
11.이중인격자 12.숙맥 13.다혈질 14.우울질 15.점액질 16.깐돌이

제四편: 음양오행으로 본 관상판단법과 인물 감정법

제1장: 우주 만물의 음양운동
1. 오행(五行)으로 보는 인상판단법과 인물감정법(人物鑑定法)의 해설
2. 오행오성의 상생 상극형 음양조합에 따른 얼굴모양 분류모델
3. 사상체질과 오행을 바탕으로 한 상생상극 인물형의 15가지 결합 유형모델

제2장: 기본 오행으로 본 관상판단 인물감정
1.목성인(木性人)  2.화성인(火性人)  3.토성인(土性人)
4.금성인(金性人)  5.수성인(水性人)

제3장: 오행의 상생 상극형으로 본 인상판단 인물감정
6.수생목형(水生木形)  7.목생화형(木生火形)  8.화생토형(火生土形)
9.토생금형(土生金形)  10.금생수형(金生水形)  11.금극목형(金克木形)
12.수극화형(水克火形)  13.목극토형(木克土形)  14.화극금형(火克金形)
15.토극수형(土克水形)

제五편: 동물형에 의한 물형비유 인물 감정법
동물형에 비유한 인상판단 인물감정법의 원리와 실제
 
동물형 인물감정과 실제 인상판단의 유의할 점
제1장:육지동물형
1.호랑이형
  
 ①호랑이 학문교육형   ②호랑이 정치 관직형    ③호랑이 사업가형
    재규어형
    ※재규어(Jaguar): 中南美산 표범으로 호랑이와 모습이 비슷하다.

2.사자형
 
 ①사자 정치 학문 사업형  ②사자 사법관 경찰형  ③사자 공무원 관리 군인형
   퓨마형
   ※퓨마(Puma): 아메리카 라이온(Lion)으로 일명 山사자로 불린다

3.코끼리형
  
①코끼리 학문 및 언론 교육형  ②코끼리 정치 관리 사업형
4.곰형.
  ①곰 일반형  ②백곰형  ③흑곰형  ④재주 곰형  ⑤운동 곰형
5.표범형
  
①표범 일반형  ②표범 정치 관직 교육형  ③표범 예능 실무형  ④표범 운동 스포츠형
6.기린형          
7.낙타형
 
 ①낙타 정치 관리 사업형  ②낙타 교육 학문 연구형
8.고릴라형  9.원숭이형
10.성성이(猩猩-)형
  
①성성이 남자형  ②성성이 여자형
11.사슴형  12.노루형  13.늑대형
  
①늑대 일반형  ②늑대 관리형  ③늑대 실무행정형  ④늑대 체육운동형
14.이리형  15.하이에나형  
16.여우형
  
①여우 일반형  ②여우형 과학 연구직  ③여우형 기능 기술직  ④여우형 인기 연예직
17.너구리형   18.족제비형  19.오소리형
20.다람쥐형  21.고슴도치형  22.두더지형  23.소형  24.말형     25.돼지형
26.개형        27.양형            28.염소형     29.닭형  30.토끼형  31.고양이형
32.쥐형
제2장:수중동물형
1.고래형  2.하마형  3.물개형  4.펭귄형  5.잉어형
6.금붕어형  7.가물치형  8.뱀장어·미꾸라지형  9.두꺼비형
제3장:수륙 양서류형(兩棲類形)-파충류(爬蟲類)
1.용형
2.뱀형 일반
  ①독사형  ②코브라(Cobra)형  ③인도 왕뱀(Indian python)  ④능구렁이형  ⑤아나콘다(Anaconda)형
3.거북이형  4.악어형  5.카멜레온(Chameleon)형
제4장:공중동물  조류형(鳥類形)
1.독수리형 2.매형  3.솔개형 4.올빼미형 5.박쥐형
6.봉황형    7.공작형   8.앵무형  9.제비형  10.카나리아형
11.참새형  12.학·두루미형  13.백로·해오라기형  14.황새형  15.기러기형
16.오리형  17.타조형         18.칠면조형             19.까치형   20.까마귀형

제5장:12지 동물 띠로 판단하는 인물 판단법(Animal sign of birth destiny and Sajupalja)
1.자(子: 쥐)  2.축(丑:소)  3.인(寅:범)  4.묘(卯:토끼) 5.진(辰:뱀)   6.사(巳:뱀) 7.오(午:말) 8.미(未:양)  9.신(申:원숭이)  10.유(酉:닭)  11.술(戌:개)  12.해(亥:돼지)

제六편: 인체기공 잠재능력과 심령투시술의 인물 감정법

제1장: 동양철학과 음양오행의 이기론 ? What is Oriental philosophy ?
1.음과 양 : Eum and Yang
2.오행[오성] : 본질 에너지의 오대 원소
The five elements of Substance Energy
3.인생의 동반자 :
Life Companion

제2장 :심신수행으로 체득되는 우주력의 영동에너지
1.심신수행으로 체득되는 생명자기 인체기공
2.인체기공 잠재능력 발굴비법
3.우주영기의 인체유입 오로라 현상

제3장:인체기공에 의한 기색 운기론
1.察色 運氣 氣色판단법
2.삼원 오색 운기판단법
3.오운 육기 우주영기 판단법
제3장:인체기공에 의한 기색 운기론
1.찰색운기 기색판단법(察色運氣 氣色判斷法)
(1)사상의학(체질)을 바탕으로 한 인물감정 찰색기법(察色氣法)
(2)빛의 파장 종류와 색삼원(色三元)에 관한 도표   
                   
(3)안면찰색(顔面察色) 기색론(氣色論)
2.삼원 오색 칠색 운기판단법
(1)삼원색법(三原色法)
  
(2)오색법(五色法) 
3.오운 육기 우주영기 판단법

제4장:심령투시술에 의한 인상판단의 심상투시 인물감정법
☜ 面相 五運六氣五官 對應 人體 五臟六腑器官과 四肢百體 靈動鑑定 觀相  心靈透視 部位圖
1.인상법에 의한 인물감정학의 학문적 계통
2.심상판단 영상판독(靈相判讀) 심령투시술(心靈透視術)의 인물감정
 
※인생운명 진로변화의 연령구분 시기판정
3.운명철학 인물감정 5대 감정분야의 구조대응비(構造對應比)
4.인체기공력의 잠재능력개발과 심령투시 미래돌파
 
(1)인상법(人相法)과 인물감정학(人物鑑定學)의 학문적 통일성의 해석판단
  ♣인체영동수리철학--인물감정 심상판단 심령투시술--운명철학 영통비서♣
제5장:창조적 인생개척과 운명개조론
 
◎ 지능지수(IQ)와 직업적성의 판정 분류도

관상인물 투시원리 인상판단 기본상법(基本相法)
구성운 인체기공 심령투시 인물감정학
PHYSIOGNOMY OF SPIRITUAL CLAIRVOYANCE

 

 

 

 

 

 

 

 

 

 

 

 

 

 

 

 

 

 

                   
                               
靑空(BLUE SPACE): 安 鍾 哲 創著

                      韓國 仙道花郞丹法 心靈哲學 修道會
 KOREAN HUMANICS RESEARCH INSTITUTE

모사(某事)는 재인(在人)이요 성사(成事)는 재천(在天)이라.
'일을 도모(圖謀:계획)하는 것은 사람이요,'
'그것을 성공시키는 것은 하늘의 뜻에 달려있다.'

           
 
人體靈動 數理鑑定 心靈透視 觀相部位圖
  面相 五運六氣 對應 五臟六腑 四肢百體

觀世音 光自在 心靈透視 靈覺靈視靈聽圖

 관상 수상 심상 심령투시 얼굴 부위도

 

 

 

        

  

天地運氣 五運六氣 人體氣功 透視感應圖

 面上察色 人體氣功 心靈透視 觀透圖

심령투시 관상학(心靈透視 觀相學)
PHYSIOGNOMY OF SPIRITUAL CLAIRVOYANCE   
觀相法 人物鑑定 細部 面相部位 名稱圖解
 EVERY JUDGING PART OF THE FORTUNE TELLING IN PHYSIOGNOMY
 

 

 

 

 

 

 

 

 

 

 

 

 

 

 

 

 

 

 

 

 

 대인처세 인물판단 및 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잠재능력 발굴을 위한

인상법인물투시감정학 

   

 

 

 

 

 

 

 

 

 

 

 

 

 

 

 

 

 

      

 

 

 

 

 

 

 

 

 

 

 

 

  '創造的 運命開拓 人生妙言'
姓名之 不如四柱 運命   手相之 不如觀相 頭腦 觀相之 不如心相 透視   心相之 不如實踐 躬行이름이 아무리 좋아도 사주 운명의 예시를 초월할 수 없고 수상이 아무리 좋아도 관상 두뇌의 범위 안에 존재하고 관상이 아무리 좋아도 심상으로 꿰뚫는 예언투시만큼 못하고심상이 아무리 좋아도 (지금 목표를 향해)몸소 실천함만 못하니라.

 

 

 

                                 본편 시작

 

제一편: 전통적 관상법에 의한 인상 판단법과 인물감정학

                                             머 리 말    

 현대는 고도의 정보 통신 기계문명이 발달하고 황금만능주의와 물질에 대한 탐욕이 팽배하여 인간본성에 대한 인격적 가치와 정신문화의 전통적 가치관이 흔들리고 경시(輕視)되는 시대이다. 현 시대의 특성인 급속한 사회변혁과 무분별한 서양문물의 유입으로 옛부터 내려오던 동양적(특히 한국적)  미풍양속이나 관습 및 도덕 윤리 또는 전통적 사상이나 인생관 등이 현대의 시대풍조나 사회생활 양식에 맞지 않게끔 되었다. 말하자면 구시대와 신시대의 모든 문화체계가 복잡다기(複雜多岐)하게  충돌하고 혼효(混淆)하는 혼란과 단절과 배역(背逆)의 시대이다.

  이와 같은 복잡한 세기말(世紀末)과 세기초의 변혁과 다양성의 시대에도 우리 인생은 삶을 영위해야 하고 내일의 계획과 미래의 희망과 포부를 향해 달려야 하는 것이 인간의 운명이고 갈 길이다. 자신의 진로와 갈 길 운명이 이러한 사회적 현실과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우리는 매일 매일의 생활을 의미심장하게 음미(吟味)하고 대처하지 않으면 생존경쟁에서 낙오하거나 실패하기 때문에 더욱 자신을 살펴보고 철학적으로 인생을 설계하고 나아가야 한다.

  필자는 이러한 시대적 여건의 변화를 합리적으로 이해하고 인생의 진로에서 자신의 인생좌표를 확실히 설정하여 참되고 진실하며 보람있는 가치관을 확립하고자 노력한 결과로, 옛 선현들의 문헌을 토대로 현대의 제 사상과 학문 종교 철학 교육 심리 등을 종합적으로 통합하고 정신 및 물질세계와의 상호 유기적인 연관성을 분석종합하고 창조적으로 인생문제 해결의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하는 취지와 목적으로 '대인처세와 인물판단 및 직업의 진로선택과 능력개발을 위한' 전인적 평생교육의 지침서로 본 저서를 펴내게 되었다.

  본 저서는 단전호흡법의 심신수도와 선도화랑단법의 정신무술을 바탕으로 한 심령투시철학에 입각하여 각 개인의 직업선택에 실용적 도움을 주는 인상법과 장래의 성공적 인생을 목표로 한 진로지도와 능력개발을 위한 인재양성의 인물학에 관한 안내지도서로써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가 있다. 내용적으로 심령학적 사고방법과 오랜 수도생활의 체험에서 우러나온 예지적 지혜로서 자타가 인정하는 적중률에 의한 경험적 통계로 사실 검증된 자료를 학문적으로 정리하여 저술하였다. 동양철학의 전통적 우수성과 현대적 제(諸) 학문의 과학적 탐구방법을 동원하여 논리적으로 해설하는 종합적 체계를 밟아 모든 사람의 인생행로에서 바른 길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지도 조언의 충실한 안내서로써 인물감정의 심상투시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자신의 장단점을 발견하고 장점은 보강 발전시키고 단점은 수정 보완하는 처방과 대책을 수립하여 누구든지 자기의 소망을 달성하는 인생생활의 탁월한 지침서 구실을 할 수 있다.

★관상학(觀相學: Physiognomy)의 기원과 유래
Physiognomy : The art of judging human character from facial feature

  고래(古來)로부터 사람의 인상을 관찰하고 기색을 살펴서 그 사람의 장래 운명을 미리 예측하여 추론하고 탐색한 결론을 가지고 피흉추길(避凶趨吉)하는 방법을 찾아서 불행이나 나쁜 길을 피하고 행복이나 좋은 길을 찾는 지식탐구나 학문의 방법이다. 관상학은 현실을 바탕으로 경험론적 통계와 확률에 근거하여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신체적 정신적 조건을 검토하여 장래의 가능성을 판단하기 때문에 민간에서 전해오는 주술적인 점술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참고문헌과 경험을 토대로 관상학을 보기 때문에 즉흥적으로 보는 상식적이거나 피상적인 인물관찰법과는 질적으로 다르다. 심령투시술에 의거하여 심상을 겸하는 인상법으로 관상학으로 감정하면 정확도가 우수하다.

  동양적 관상학의 유래는 원래 중국에서 발생하였다. 춘추시대 진(晉)나라 사람 고포자경(姑布子卿)이 공자의 상을 보고 장차 대성인이 될 것을 예언하였으며, 전국시대에 위나라 사람 당거(唐擧)도 상술로 이름이 높았으나 후세에 책으로 남긴 것은 없다. 남북조시대에 남인도 출신의 달마(達磨)가 중국에 들어와서 불교의 선종(禪宗)을 일으키는 동시에 '달마상법'을 후세에 전하였다. 그 후에 송나라 초기에 마의도사(麻衣道士)가 '마의상법'을 남겼는데 지금 책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때부터 관상학 중의 면상학(面相學)이 체계적으로 확립되었다. '달마상법'과 '마의상법'은 관상학의 쌍벽을 이룬다. 관상학이 한국에 들어온 때는 신라시대라 하며, 고려시대에는 혜징(惠澄)이 유명했으며 조선시대에도 상술이 이어져 내려와 현대에 이르고 있다.

달마(Bodhidharma/?∼528?)상법(相法)
  중국 남북조시대의 선승(禪僧)인 보리달마(菩提達磨: 梵語로 보디다르마)는 원래는 남인도 향지국(香至國:일설에는 페르시아)의 셋째 왕자로 불교(불법)을 전하기 위하여 중국에 들어와서 포교활동을 한 후 중국대승불교 선종의 창시자가 되었다. 520년경 중국의 북위(北魏)의 낙양(洛陽)에서 활동하다 동쪽의 쑹산(嵩山) 소림사(少林寺)에서 9년간 좌선묵상(坐禪默想) 면벽수행(面壁修行)을 한 후 득도의 과정을 거쳐 선법에 통달하고 소림무술을 창안하고 선법을 창시하여 제자 혜가(惠可)에게 전수하였다. 그는 인도 불교의 28대 조사이나 중국불교의 선법을 창안한 후 1대 초조(初祖)가 되었다. 달마는 사람의 마음이 본래 淸淨無垢하나 세속의 雜事煩惱로 마음이 둔탁하고 혼미해졌으니 참선을 수행을 통하여 마음을 닦으면 본 바탕의 참마음 진면목을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하여 많은 제자를 길러내어 중국 대승 불교의 터전을 마련했다.

  원래 종교적이고 사변적인 명상법에 치중한 인도 불교의 난해한 점이 현실적인(무술이나 전쟁에 관심이 많은) 중국 사람들이 잘 받아들이지 않으므로 불법의 효과적인 포교활동을 위해서 소림사에서 선법을 활용한 선무술을 창안하고 관심법을 응용하여 자연 관상법같은 인물판단 인상법이 개발됐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달마가 창안한 달마상법이 태동하게 되었다. 그 당시에는 인도에서 전파된 불법의 보급방법인 사찰위주의 伽藍불교의 儀式적인 불교나 講說불교와는 다른 교육방법인 좌선 묵좌(默坐)나 명상법의 참선형태의 불교를 창시하여 널리 유명하여 진 결과 발전이 된 것이다.

관상법의 종류-인상법과 인물판단 감정법의 종류
★사주학: 주역이나 동양철학의 우주대원리를 인간의 운명감정에 비유한 발상법은 좋으나 상당히 어렵고 많은 공부와 경험이 필요하고, 설명이 애매모호(曖昧模糊)하고 막연한 해설로 추상적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적중시키기가 힘들다. 단 역사성이 뛰어나고 경험적 통계에 근거하여 예언감정하며 실력이 있는 사람은 적중률이 높다.
★관상학: 직관적 추리와 mind reading의 독심술을 사용한다.
★성명학: 음양 오행 靈動數理學에 기초하여 성명漢字의 획수풀이나 한글 오행의 상생상극의 음양재합성을 검토하나 과학적 객관성이 좀 결여되고 있으나 운명감정가의 경험과 성명학의 원리에 따라, 전통적 방법과 현대적 해석을 병용하여 개인의 운세풀이에 적용하여 어느 정도의 적중을 하나 평생운수를 종합적으로 해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수상학: 구체적 형상물을 보고 사실적 관찰과 경험적인 감정법을 동원하여 판단하며 적중률이 높다.

◆인상학 골상학 관상법의 영어 풀이
Phrenology(derived from original Greek word of phn ;mind, phren; organic)
The study of the shape and irregularities of the human skull, based on the now discredited belief that they reveal character and mental capacity.
Physiognomy: The art of judging human character from facial feature   

제1장 : 관상의 원리와 총론

1.기본인상
   三才 三停 六府 얼굴 부위도 
⊙얼굴 총론 : 얼굴은 양이요 몸체는 음이 된다.
(1)삼재(三才): 天地人의 三才
얼굴의 본래 어원은 "사람의 얼[마음의 본 뿌리로 혼에 해당]이 들어 있는 동굴"이란 뜻이니 사람의 얼굴면상을 관찰하여 관상을 본다는 것은 그 사람의 마음의 뿌리가 박힌 동굴을 살피고 혼백(魂魄)의 유무형상과 얼굴형체를 살펴서 각 사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개성의 인간 됨됨이의 원래 본 모습을 캐내어 밝히고 감정하여 정말 진짜 「참 마음 동굴」의 진상(眞相)을 알아낸다는 의미가 있다. 사람을 보는 데 기본 인상법으로 천지인으로 삼분하니 머리는 둥글고 하늘을 상징하는 天이요, 상체는 오장육부를 감쌓는 장기(臟器)의 본체로 자기의 몸을 주관하는 人이요, 하체는 상체를 떠받치는 신체의 바탕이 되므로 地가 된다. 머리와 상체와 하체를 삼등분하여 전체적인 얼굴의 윤곽과 신체의 형상에서 풍겨나오는 기색과 풍채와 체취로 느낀 인상을 종합하여 그 사람의 길흉행복의 운수를 암산하여 예언 판정한다.

(2)삼정(三停): 面相 얼굴의 상중하 삼부위
①상정(上停)∼ 상정은 天停으로 불리면 얼굴의 상부로 髮際부위서 눈썹 위까지로 초년운세를 관찰하는 부위로 부모의 유덕이나 조상의 운기를 측정하는 부위로 이 곳이 豊隆하고 明潤하게 잘 생기고 찰색도 光潤하면 그에 상응하여 인생 초년의 부모복이 많은 것이다. 상정이 못 생겼으면 그에 상응하여 초년의 운세에 굴곡이 심하고 고생이 있으면 팔자가 기박할 수도 있다.
②중정(中停)∼ 중정은 人停으로 불리면 얼굴의 중부로 눈썹과 上耳 언저리부터 準頭 말단 人中 交點에서 下耳 언저리 경계까지로 중년운세를 관찰하는 부위로 형제자매나 세상에서 교제하는 친구나 동료 이웃사람 등과의 사회생활에서 발생하는 運氣를 측정하는 부위로 각 부분의 얼굴 판단요소에 따라 形相格局의 상태가 좋고 나쁨에 따라 중년운세의 길흉화복이 예측된다.
③하정(下停)∼ 하정은 地停으로 불리면 얼굴의 하부로 인중에서 아래턱 언저리까지로 말년운세를 관찰하는 부위로 직계자녀와 방계자손 및 자기가 부리는 부하나 아랫사람과 재물과 전토 산림까지의 명예와 富를 運勢를 측정하는 부위로 잘 생기고 못생긴 데에 상응하여 말년운세의 행복과 불행이 결정된다.
 

(3)얼굴 오악(五嶽)
   
五行性 五嶽 四瀆 얼굴 부위도 
얼굴의 이목구비(耳目口鼻)를 자연과 산천강하(山川江河)에 비유하며 해석하고 설명하여 사람의 인품과 성격과 장래 직업과 처세의 방향을 가늠하고 관찰하여 인물을 감정하고 판단한다. 코는 얼굴의 중심에 우뚝 솟아 자리 잡았으니 한국인에게는 백두대간에 해당한다.
①좌관골(左觀骨)은 중국에서는 동악태산(東岳泰山)에 해당하나 한국사람에게는 동악은 오대산에 해당한다.
②우관골(右觀骨)은 중국에서는 서악태산(西岳華山)에 해당하나 한국사람에게는 서악은 마니산(摩尼山)에 해당한다.
③턱은 중국에서는 북악환산(北岳桓山)에 해당하나 한국사람에게는 북악은 백두산에 해당한다.
④이마는 중국에서는 남악형산(南岳衡山)에 해당하나 한국사람에게는 남악은 남해 금산에 해당한다.
⑤코는 얼굴의 중심으로 중악숭산(中岳嵩山)에 해당하나 한국사람에게는 서울에서는 중앙토로 북한산에 해당하고 남한면적 전체에서는 속리산에 해당한다.

오악에 해당하는 좌우 관골과 턱은 서로 바라보듯 웅크리고 있는 형상이 좋다. 동서악 좌우 관골은 살집이 얼굴의 크기에 알맞게 불룩하게 벌어지고 살집이 두둑하면 좋고, 좌우 관골의 균형이 틀어지거나 성격이 원만하지 못하고 인정과 동정심이나 포용심이 부족하다. 북악인 턱이 뾰족하고 찌그러지면 말년에 평안하지 못하고 남악인 이마가 넓고 풍륭(豊隆)하지 못하고 좌우 균형이 어그러지면 평생의 신수가 원만하지 못하다. 되로 자빠진 듯 너무 벗어지면 가세가 융성하지 못하다. 중악인 코는 두둑하고 힘있게 뻗친 것이 좋다. 코가 낮거나 얼굴과의 조화미가 없으면 다른 사악의 주인이 없는 것과 같아 심신의 활동과 사고력의 중심이 잡히지 않아 인생의 진로에 부침이 많다. 코가 너무 적거나 못생기고 인중이 짧으면 수명이 길지 못하고 평생에 질고(疾苦)가 많다. 코가 뾰족하고 살이 없으면 인생의 계획이나 목적 달성이 어렵고 재산이 잘 모이지 않으며 수입은 적으나 지출이 많다.

(4)얼굴 사독(四瀆)
인체는 기공(氣孔) 주머니와 같은 것으로 몸 안팎이 기통(氣通)으로 운영된다. 사독을 통하여 신체 내외의 우주 원기가 출입 통관(通貫)하니 상호 밀집되지 않고 알맞은 위치에 조화롭게 배치된 것이 상등이고 선이 분명하며 깊게 뚫린 것이 좋다.

①귀를 강해독(江海瀆)이라 하니 귓바퀴의 천륜 인륜 지륜이 서로 감싸듯이 어우러져 분명하게 배치되면 한 평생 정신적인 평안을 누릴 수다. 또한 귀의 살집이 부드럽고 풍륭하면서 단단하면 식견이 넓고 이해심이 깊어 항상 남을 지도하는 포용심이 원만하다. 재물도 풍부하여 남에게 빌려줄지언정 빚을 지지 않고 살 운수다.
②눈을 하독(河瀆)이라 하니 깊고 선명하여 광채가 있으면 지혜가 있으며 기억력이 뛰어난다. 눈은 얼굴에 비해 크지도 작지도 않으면서 중용의 크기에 눈동자가 빛나고 흰창과 검은 창이 분명하면 성격이 담백하고 대인관계가 원만하면 사물의 허실을 잘 구분하며 정의롭게 인생을 살아간다.
③입을 회독(淮瀆)이라 하니 알맞게 모[方]가 나며 입끝이 위로 뻗고 잇발을 잘 덮으며 상하 입술이 긴장되고 붉은 빛이 나는 홍윤색(紅潤色)이면 언변이 유창하고 설득력이 있으며 또한 재물을 많이 모으고 건강의 축복이 있다.
④코를 제독(濟瀆)이라하니 두툼하고 쭉 곧으며 흠이 없고 색상이 좋으면 이상이 높고 의지가 강하고 금전에 여유가 있으며 사회생활에 중심인물이 될 수 있다.

2.오관투시 인상판단 인물감정법
 오관이란 이목구비(耳目口鼻)와 신체 일반을 말하는 데 신체는 머리 몸통 팔다리로 구성되어 있고 백체란 오장육부를 통칭하여 주로 인체 내부기관을 가리킨다. 결국 오관 사지백체란 몸과 마음으로 이루어진 몸체를 바탕으로 우선 외관으로 구별하기 쉽고 뚜렷한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 인체기관을 특별하게 가리키는 말이다.
(1)눈-눈썹
눈을 감찰관(監察官)이라 하여 사물의 대소 장단 크기 모양을 보고 거리의 원근(遠近)을 살펴서 모든 광파의 변화와 흐름을 식별하는 시각을 담당하여 두뇌가 정확한 판단을 하도록 시각정보를 제공한다.

①좌우 눈은 일월로 상징되고, 눈동자와 수정체 전부를 보통 눈이라 부르며 정신과 연결하여 마음의 창이라 한다. 눈썹을 보수관(保壽官)이라 한다. 눈썹은 腎氣의 餘分이고, 肝에서 나오는 미세한 경락이 눈썹과 연결돼있어 눈썹은 건강과 감정의 기미(機微)를 나타낸다.  사람이 깊이 생각하거나 사색을 할 때 눈두덩이나 언저리를 움직여서 느낌을 수용하고 감정의 동요를 정서(情緖)로 반응한다. 또한 눈썹은 몸밖에 있는 사물의 움직이는 율동과 파장의 진동이 신체내부로 전달되는 전기적 반사를 일으키니 마음과 물체가 접촉하는 Telepathy 交信器 역할을 한다.
②눈동자 수정체가 너무 쑥 들어가지도 않고 앞으로 불거지지도 않으면서, 흑백이 분명하고 동공(瞳孔)에서 빛[정기]이 뿜어 나오는 듯 광채가 나며, 눈 전체가 버들잎처럼 가늘고 길면 감찰관이 잘 되었다 하면 총명예지(聰明叡智)하다. 눈동자가 희미하거나 붉은 빛이 충혈된 느낌이 들면 현재 건강상태가 좋지 않고 항상 그런 상태면 우둔하거나 생각이 어리석다.
③눈의 형태가 둥근 사람은 감수성이 예민하나 깊은 사고력은 부족하고 모지거나 가는 버들잎의 눈은 관찰력이 날카롭고 생각이 깊으나 선악간에 술수를 발휘한다.
④눈과 눈 사이가 상대적으로 넓은 사람은 융통성이 있으며 多方面에 활동력이 왕성하고 실리적이다. 눈이 얼굴에 비해 작은 사람은 질투심이 있고 의심이 많다.
⑤남자의 눈썹은 좀 짙고 힘차게 상부로 뻗고 길게 눈 위를 덮어주어 좌우 눈썹의 균형이 맞고 淸秀한 느낌이 들면 좋다. 눈썹이 길고 부드러우면 지혜가 있으며 눈썰미나 손재주가 있다.
눈썹이 위로 솟구쳤거나 너무 짙거나 엷으며 좌우 눈썹이 바짝 붙어 인당의 부위가 너무 좁은 것 같은 것은 다 흉상에 속한다. 눈썹이 어지럽게 흩어졌거나 옅은 사람은 약삭빠르거나 인정이 희박하다.
⑥여자는 눈썹이 초생달처럼 곱고 단아하며 하부로 내려 뻗어 아리따운 분위기가 들면 보수관이 잘 되었다 하며 남편에 순종적이고 자녀에 인자한 현모양처형이다.

(4)입-입술-이
입을 출납관(出納官)이라 하여 입 속으로 들어오는 음식물을 씹고 저작(詛嚼)하여 입술 혀 치아 등과 함께 미각정보를 수행한다. 입은 몸을 보양하는 음식이 들어가는 출입문이고 생각과 느낌을 음성으로 표현하는 중요한 기관이니 출납관이라 한다. 입술의 모양은 활[弓]과 같은 형상으로 경계선이 분명하여 단정하고 긴장감이 돌고 색깔이 홍자색(紅紫色)을 띠면 좋다. 입을 벌리면 크고 둥글게 모난 방원(方圓)형으로 입안의 동굴이 깊고 그윽하며 오므리면 작은 모양이며 이는 희고 가지런한 배열로 아름다우면 출납관이 좋다고 할 수 있다.

⊙입술이 엷고 뾰족하며 긴장미가 없고 색깔이 검거나 푸르고 헤벌레하면 정신의 수양이 부족하고 매사에 의지력이 모자라고 각오와 결심이 없어 자기의 인생목표를 달성하기 힘들다.

(2)코
코를 변심관(辨審官)이라 하고 모든 냄새와 향기를 분변심판(分辨審判)하는 후각을 담당하여 신경세포가 두뇌로 하여금 올바른 냄새를 맡도록 하도록 하는 안내자이다. 코는 넓은 인당(印堂)에서 쭉 곧게 뻗어내려 山根이 죽지 않고 콧등 중간에 주름이나 흠이 없고 또 굴곡이 안 생겨야 상등급이다. 준두(準頭)가 풍융(豊隆)하고 난대(蘭臺) 정위(廷尉)가 원만하여 마치 쓸개를 매단 것처럼 얼굴 중앙에 가볍게 붙고 양옆 밑바탕의 左身 右身의 색깔이 좋은 것이 변심관이 잘되었다고 한다. 
⊙코의 살집이 엷고 콧대가 낮거나[낮아도 얼굴과의 조화가 이룬 것은 제외]콧구멍이 훤히 보이는 것은 사람은 마음을 안으로 단속하는 통제력이 부족하다.
⊙남자의 코가 크고 잘 생기고 여자는 아담하게 오뚝하여 보기가 좋으면 인물이 잘 생겨 운이 좋고 잘 산다는 俗說이 있으나 고대나 근대사회의 身言書判 위주의 인물감정시대는 대체로 적중했으나 현대에 첨단기계와 컴퓨터 정보화의 기술발전시대에 와서는 개인의 정신적 능력이나 후천적 학문지식이나 경험에 의해 많이 좌우되므로 코가 못생겨도 출세하는 사람이 많다.  

(3)귀
  
귀를 채청관(採聽官)이라 하고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모든 소리 음파를 분별하는 청각정보를 관장하여 두뇌가 올바른 판단을 하도록 한다. 귀는 눈썹보다 약간 높이 솟고 귓불 언저리와 명문(命門: 風門:귓구멍 주위의 골)이 광윤(光閏)하고, 外輪 內輪의 귀 갓이 분명하고 귀뿌리의 이수(耳垂; 혹은 耳朶)가 알맞게 두툼하고 뒤로 약간 젖혀진 듯한 것이 최상이다. 또한 혈색이나 기색이 선명하면 채청관이 잘되었다 하여 총명다재하고 이해력이 깊고 넓어 사회계층의 상위에 진출할 운세다. 
  귀의 살집이 너무 엷거나 갈퀴나 짐승귀처럼 생겼으면 우선 흉상에 속한다. 귀를 채청관(採聽官)이라 하고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모든 소리 음파를 분별하는 청각정보를 관장하여 두뇌가 올바른 판단을 하도록 한다. 귀는 눈썹보다 약간 높이 솟고 귓불[귀의 하단부 지륜 불룩하게 처진 부분] 언저리와 명문(命門: 風門:귓구멍 주위의 골)이 광윤(光閏)하고, 外輪 內輪의 귀 갓이 분명하고 귀뿌리의 이수(耳垂) 혹은 L이타(耳朶)가 알맞게 두툼하고 뒤로 약간 젖혀진 듯한 것이 최상이다. 또한 혈색이나 기색이 선명하면 채청관이 잘되었다 하여 총명다재(聰明多才)하고 이해력이 깊고 넓어 사회계층의 상위에 진출할 운세다.

⊙귀는 인체생명 기공학상(氣功學上) 신장[콩팥]과 대응하여 음양상호작용을 한다. 그래서 귓불의 색깔로 건강상태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귓불 주위가 거무칙칙하고 윤기가 없으면 신장계통의 기능이 약해져 과로했거나 수면부족 피로가 쌓인 것으로 판단하다.

⊙귀의 전체 색깔이 불그스름하고 紅紫색의 광윤이 나면 혈액순환이 좋고 내장기관이 건강하다. 귀가 파란색의 기운이 감돌거나 하얗게 변색되면 빈혈증의 우려가 있다.
⊙귀의 빛깔로 물질금전의 운세도 보는 데 불그스레한 홍윤색이면 활기가 넘쳐 금전의 수입과 지출이 왕성하고 부유해진다는 증거이고 검거나 赤黃색의 칙칙한 빛깔이 많으면 금전운이 좋지 않고 노력을 많이 해도 금전의 수입은 적다.
⊙귀의 색깔이 검거나 흑색이나 마른 낙엽처럼 부실 부실하게 깡마른 느낌이 들거나 검푸른 빛이 충일하면 직업이 없거나 건강이 허약해 일을 하지 못해 돈벌이를 못한다는 형색이다.
⊙귀의 천륜 지륜 인륜의 윤곽이 완만한 곡선으로 부드럽지 못하고 울퉁불퉁하거나 구겨진 느낌이 들고 좌측 귀와 우측 귀 모양이 비대칭으로 불균형이 심하면 어렸을 때부터 부모의 혜택이 적고 운세가 유동적이라 매사에 어려움이 많고 객지에서 고생할 운수이다.
⊙귀의 살집이 너무 엷거나 갈퀴나 짐승귀처럼 생겼으면 우선 흉상에 속한다.
⊙ 귀의 형상이 뒤집힌 듯 발랑 까졌으면 육친골육의 정이 얇아 천지의 복이 희박하거나 없어 부지런히 노력하나 재물과 食祿이 부족하다. 배우자의 운도 없으면 한평생 가난하고 단명할 수이다.
⊙귀가 잘 생긴 길상이라도 좋은 눈과 코와 입의 상응된 운세가 약하면 전체적인 인생의 운은 약하다.
 古傳 觀相詩에 귀의 윤곽이 분명하고 귓불이 두툼하면 仁義의 덕망이 있고 두 귀가 우뚝 솟아 힘이 있고 기색이 양호하면 光德의 학문이 밝아 그 이름이 사해에 떨쳐 한 평생 부귀와 총명이 넘친다고 전해온다.
(4)입-입술-이
입을 출납관(出納官)이라 하여 입 속으로 들어오는 음식물을 씹고 저작(詛嚼)하여 입술 혀 치아 등과 함께 미각정보를 수행한다. 입은 몸을 보양하는 음식이 들어가는 출입문이고 생각과 느낌을 음성으로 표현하는 중요한 기관이니 출납관이라 한다. 입술의 모양은 활[弓]과 같은 형상으로 경계선이 분명하여 단정하고 긴장감이 돌고 색깔이 홍자색(紅紫色)을 띠면 좋다. 입을 벌리면 크고 둥글게 모난 방원(方圓)형으로 입안의 동굴이 깊고 그윽하며 오므리면 작은 모양이며 이는 희고 가지런한 배열로 아름다우면 출납관이 좋다고 할 수 있다.

⊙입술이 엷고 뾰족하며 긴장미가 없고 색깔이 검거나 푸르고 헤벌레하면 정신의 수양이 부족하고 매사에 의지력이 모자라고 각오와 결심이 없어 자기의 인생목표를 달성하기 힘들다.

(5)인중을 보는 법
 코 아래 윗입술 사이 골이 진 곳을 인중(人中)이라 한다. 인중은 정기와 수명 인내력 자손유무과다와 정신력의 흐름을 본다.  사람은 만물의 靈長으로 우주의 五運六氣를 받고 정신은 마음의 바다에 비유되어 六大洋의 水氣와 연결되고 골육은 山川江河오 연결되어 있어 인중은 신체의 강하를 상징하고 있다.

①인중의 상부는 좁으면서 하부로 넓게 깊게 쭉 뻗은 것이 상등이다. 직사각형이나 기둥형으로 뻗은 것은 中吉이고 역 사다리꼴로 엷게 퍼진 것은 하등이다.
②골 파인 것이 뚜렷하고 깊으면 재물의 출입이 빈다(頻多)하고 자손도 융성하고 정욕도 왕성하다.
③인중 사이에 가로금이 있거나 굽었거나 짧고 옅으면 운세가 잘 풀리지 않고 하는 일이 지지부진하다.

(6)상모면상(相貌面相) 머리전체 종합 - 머리-이마-머리털(상모)
오관 중에서 이목구비는 외부적으로 뚜렷한 특징의 기관으로 표출되어 분별하기 쉽지만 피부로 감지되는 촉각은 본인의 감각기관의 신경조직으로 접수되니 그 장단점에 대해서 알기 어렵다. 다만 살갗의 윤기나 색깔 등으로 구별하여 그 사람의 신체전반의 체격이나 체질을 참조하여 인상판단의 자료로 삼는다. 상모면상(相貌面相)의 머리전체를 종합하여 관상감정(觀相鑑定)하는 것이 얼굴 총론에 해당한다. 신체는 옷속에 감추었으므로 양이 되고 얼굴은 밖으로 드러나서 그 형체가 밝은 빛에 나타나므로 양이 된다. 그러므로 얼굴을 보고 보이지 않은 신체와 오장육부를 인체 대응 투시법으로 감정한다. 우주 천지만물이 전부 상대적으로 존재하는 대응의 법칙이 있으니 밖으로 나타난 얼굴을 보고 보이지 않는 심신의 잠재적 세계까지 천지자연의 도리에 비추어 그 원인과 결과를 소급하고 유추하여 사물의 오묘한 이치를 밝히는 것이 인상법과 인물감정법의 신비한 요체가 된다. 사람을 보는 데 우선 오관(眼耳鼻舌身)을 중심한 신체의 상부를 보고 다음 신체의 주요한 기관인 머리 및 상모와 눈, 코, 귀, 입 치아 피부 등을 비롯한 신체전체를 관찰하는 법을 기본으로 인상을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이상 오관이 모두 잘 생겼으면 평생 富貴兼全하고 사회적으로 상위 계층으로 상승할 확률이 높다. 오관이 다 잘 생긴 사람은 드물고 이중에 1-2관 3-4관이 잘 생긴 비율에 따라 10-20년 운은 족히 잘 풀려나간다. 오관 중 3관가지만 잘 갖추면 吉相에 속하며 후천적인 노력으로 평생에 부족함이 없이 보내고 시운을 잘 타면 대귀 대성할 수 있다. 나쁜 관상도 어느정도 수양하고 심상으로 노력하면 결점을 보완할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 운명을 바꾸기는 힘들다. 특별한 수행이나 능력을 개발하면 정신적으로 어느정도 보상이 가능하다. 정형수술이나 미용 화장 등으로 얼굴 모습을 고쳐도 근본적으로 자기운명을 개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3.삼정론
 얼굴의 상중하를 삼등분하는 삼정법(三停法)을 중심으로 판단하는 삼정론이 있다. 삼정은 얼굴을 횡으로 평균하여 삼등분하여 상부 중부 하부로 나누어 관찰하는 것이다.

①상부를 상정(上停) 혹은 천정(天停) 이라 하여 머리털이 난 발제(髮際) 부위를 경계로 이마를 포함하고 인당까지니 초년 운 부모의 슬하에 있는 기간을 지배하고 상정이 넓고 둥글고 불룩하게 나왔으면 어릴 때부터 총명하며 공부를 잘한다. 상정이 잘 생겼으면 부모와 상사의 덕이 있고 천혜(天惠)를 받을 수다.
②중부를 중정(中停) 혹은 인정(人停) 이라 하여 코뿌리가 시작하는 산근에서 준두(準頭:코끝)까지니 중년운을 지배하고 중정이 바르고 우뚝 솟았고 살집이 좋으면 중년에 부귀를 누리고 사업과 가정이 번창할 운세이다. 중정이 좋으면 형제자매와 친구 동료들의 원조와 도움이 많아 세상의 덕이 많다.
③하부를 하정(下停) 혹은 지정(地停) 이라 하여 코밑의 인중에서 지각(地閣)까지니 말년운을 지배한다. 하정이 모지고[떡 벌어지고] 두터우면 만년에 명성을 날리고 대성한다. 하정이 쑥 빼어났으면 자녀의 복과 손아래 부하나 후배 제자들의 도움이 많아 음덕(陰德)이 있다 한다.

4.사관(四官)의 형상 특징과 종류
사람의 얼굴을 보통 오관이라 하는 데 눈 코 입이 상하로 배열되고 좌우에 양 귀가 배치되어 사관이라 하고 오관은 얼굴전체의 형상과 감각의 수용체로 통합하여 면상(面相)으로 보아 오관이 된다. 그러나 眼鼻口耳가 뚜렷하게 면상에 배치되어 관상을 보는 데는 아주 중요하고 다시 그것을 통합하여 얼굴전체의 오관으로 보는 것이 관상감정의 중요한 포인터(Point)가 된다.

(1)눈의 형상특징과 종류 

 「눈은 마음의 창」이라 하는 말이 있어 그 사람의 생각과 느낌과 감정이 어우러진 精氣神의 통합체로서의 마음이 몸밖으로 비쳐지는 심상체(心象體)의 통로로 눈이 된다. 잘 생긴 눈은 동공(瞳孔:눈동자)이 선명하고 검은 창과 흰 창이 분명하면 우선 외관적 상태가 양호하다. 충혈되거나 피로한 기색이 없이 맑은 느낌과 선량한 감각이 풍겨오면 善人의 상이라 할 수 있다. 눈에서 정기가 번뜩이며 안광에 빛이 나면 범인의 경지를 뛰어넘는 기백이 있고 흉중(胸中)에 대모(大謀)를 품고 있다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사람의 풍채와 언행이 장래에 선인으로 화할지 악인으로 화할지는 자기의 의지와 결심과 노력에 의한 심상에 따라 나타날 것이다.

[눈의 각부 명칭]
①안두(眼頭) : 눈 머리로 코의 山根 옆이다.
②용궁(龍宮) : 눈 머리의 흰창에 있는 불그스름한 부분이다.
③청(晴) : 검거나 푸른색 기운을 띄는 창이다.
④동공(瞳孔) : 검은 창 속의 작은 눈동자와 중심핵을 말한다.
⑤차륜(車輪) : 눈동자 안에 실같은 선이 바퀴모양의 형체를 띈 부분.
⑥황사(黃沙) : 검은 창 속에 비치는 모래알 같은 누른 점들의 모양.
⑦적근(赤筋) : 흰창 속에 비치는 붉은 힘줄의 모양.
⑧상파(上波) : 눈 뚜껑에 해당하는 윗 눈꺼풀의 접어지는 파도모양의 선
⑨하파(下波) : 아래 눈꺼풀의 접어지는 파도모양의 뚜껑
⑩안미(眼尾) : 눈 안 창의 꼬리부분
⑪어미(魚尾) : 눈꺼풀이 고기의 꼬리모양으로 주름지는 곳
⑫분심문(芬心紋) : 아래 눈꺼풀 하파에서 횡으로 주름지는 부분

 눈썹은 피(Blood)의 여분(餘分)으로 몸 속의 혈액기운이 밖으로 뻗어 나온 고체형상이므로 눈썹이 짙은 사람은 혈기가 세고 눈썹이 부드럽고 옅은 사람은 성정이 순한 사람으로 보면 대체로 성격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다. 성정(性情)이 거세고 성격이 과격한 사람이 후천적인 수양을 한다고 해도 성질의 본성은 변하지 않는다.눈썹이 짙고 길며 수술이 많으면 형제자매가 많고 성격도 다혈질이고 열정이 많아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처세를 하나 신중하지 못하고 인내심이 부족해 실수를 많이 한다. 눈썹이 곡선이 부드럽고 색깔도 연하면 성정이 온순하고 인정과 자비심이 많아 종교성이 풍부하다.       

[눈썹의 각부 명칭]
①미두(眉頭) : 인당의 옆 눈썹의 뿌리에 해당한다.
②미신(眉身) : 눈썹의 몸체나 허리에 해당한다.
③미각(眉角) : 눈썹의 위로 치켜 올라가다 아래로 살짝 각이 진 곳
④미미(眉尾) : 미각에서 눈썹이 마무리가 지는 꼬리에 해당한다.

(2)코의 형상특징과 종류

코를 말하며 코는 얼굴의 중앙에 위치하여 오행상 中央土에 해당하며 재백궁(財帛宮)이라 하여 금전이나 재산의 과다 유무를 판단한다. 남녀를 불문하고 美醜의 조건에서 코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하다. 코가 잘 생기고 복이 있으면 얼굴전체 돋보이는 경우가 많으나 반드시 코 하나만 보고 인상을 감정하는 것은 그릇 판단할 위험이 있다. 코의 생김새와 굴곡의 정도와 형상을 보고 그 사람 자신의 의지나 신념 용기와 자신감을 측정하고 담력이나 배짱의 유무를 측정하기도 한다. 또한 남녀 공히 미추(美醜)의 기준을 삼는 데 코는 중요한 포인터(Point)가 되고 평생 운수의 幸不幸의 변화를 관찰하고 질병유무의 기색도 살피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코는 얼굴의 중앙에 배치되어 오행상 黃土에 해당하여 내장기관의 脾胃와 상응하여 통기하고, 면상의 몸體가 되나 용법상으로 호흡기인 폐장과 氣通하여 西方金과 상호 土生金하는 이치로 비위와 코와 허파가 좋으면 무병장수할 상이다.  

①산근(山根) : 두눈 사이 인당에서 코잔등의 뿌리가 시작되는 곳
②년상(年上) : 산근 바로 밑의 콧등[비량:鼻樑]의 가는 부분
③년수(年壽) : 연상 바로 밑의 콧등[비량:鼻樑]의 굵은 부분
④준두(準頭) : 연수 바로 밑의 코끝[비단:鼻端] 뭉텅한 곳
⑤좌신(左身) : 코 잔등의 좌측 경사진 부분으로 右肺의 기능과 상응한다.
⑥우신(右身) : 코 잔등의 좌측 경사진 부분으로 左肺의 기능과 상응한다.
⑦난대(蘭臺) : 준두의 왼쪽 콧구멍 뚜껑에 해당하는 부분.
⑧정위(廷尉) : 준두의 오른 쪽 콧구멍 뚜껑에 해당하는 부분.

(3)입의 형상특징과 종류
얼굴전체가 혼백영체(魂魄靈體)가 한데 어우러진 「마음의 동굴」이라면 입은 오장육부가 몸체로 변전된 「육신의 동굴」이라 할 수 있다. 즉 입과 입술 혀의 상태로 육신의 내면에 감추어진 내장의 건강상태와 언어와 대화의 상징인 정신의 능력을 감정할 수 있다. 상하입술의 균형이 잡혀있고 다른 3관의 눈과 코와 귀와 조화를 이루어 얼굴 전체의 모양에 진선미(眞善美)적 감각을 풍기며 좋은 인상을 주면 잘 생긴 입이라 할 수 있다.

①인중(人中) : 코밑에서 윗입술 중앙까지 쭉 골이진 구(溝)배진 길이다.
②상순(上脣) : 윗입술을 말한다.
③하순(下脣) : 아랫입술을 말한다.
④구가(口角) : 윗입술의 끝 부분 경계선
⑤해각(海角) : 아랫입술의 끝 부분 경계선

(4)귀의 형상특징과 종류

 귀의 각 부분 명칭과 인상학적 의미 해석
천륜(天輪) : 귀의 바깥 外輪으로 천지자연의 혜택과 조상의 가문 내력이나 시공적 잠재능력을 판단한다.

보통 귓바퀴로 이해되며 귀를 제일 밖에서 보호하니 天地의 天에 해당한다.

②인륜(人輪) : 속귀 안쪽에 불거진 內輪으로 中輪에 해당하며 각 개인의 심신능력과 주체성 용기 자신감 행동력을 판단한다. 귓속과 접속하여 사람의 청력과 이해력을 담당한다.

③지륜(地輪) : 귀바퀴 안쪽의 움푹 파인 하부에서 밑으로 불거진 귓밥과 연결된 下輪으로 주거환경이나 가까운 친척 가족의 조건 영향을 감정한다. 귓바퀴의 아래쪽으로 天地의 地에 해당한다. 땅이 두툼한 것처럼 귓밥 부위에 해당하니 귓전[귀의 전각(殿閣)]이나 난간(欄干)에 해당한다.

④이현(耳弦) : 관골에서 뻗어 나와 귓구멍을 덮고 있는 반달모양의 불거진 살집으로 개인의 자부심이나 자아적 고집이나 건강상태를 판단한다. 귓불이라고도 하는 데 인륜과 서로 상응하여 개인의 주체성과 의지력의 대소강약을 판단한다.

⑤명문(命門) : 귓구멍의 동굴을 지칭하며 사람의 수명과 청력상태 사상과 감정의 깊이를 측정한다. 명문은 바로 귓구멍과 통하니 밖의 소리와 진동이 안으로 전파되는 음파의 동굴이라 할 수 있다.

⑥풍문(風門) : 귓구멍의 동굴주위의 움푹한 골짜기를 지칭하며 생각과 활동력의 범위를 측정한다.
⑦이수(耳垂) : 귓밥의 한자말로 아래쪽으로 늘어진 귓밥이라 할 수 있다. 귓밥이 크면 인자하다고 한다.
⑧이타(耳朶) : 귓밥의 하단부 쭉 늘어진 부분으로 보통 부처나 보살상의 불상의 형상에 두드러지게 불거진 부분으로 福田이나 자비의 상징으로 이수와 이타가 크게 늘어진 사람은 마음이 풍족하고 동정심이 많다고 평한다.
⑨이근(耳根) 귓뿌리에 해당하며 귀와 얼굴이 단단하게 붙어있는 상태를 보고 귀의 전체모양과 얼굴과의 균형감각을 살펴본다,

※피 감정자의 얼굴에 혈색이 건강하고 기색이 좋으며 이현의 근육 언저리에 은은한 윤빛이 나면 가까운 장래에 시험의 합격이나 승진이 발생하고 사업의 확장 개업이나 금전의 수입 계약의 성사 등 반가운 사람을 만나고 좋은 소식이 들려오고 心身運數가 피어나는 징조이다.

5.육부론
 
육부는 두 천창(天倉:하늘의 창고)과 두 관골(觀骨)과 두 이골(한자 턱이-骨: 턱 주위 좌우골)을 말하는 데 이 육부가 중앙코를 향해 서로 도우고 바라보고 副應하면 대길하고 제각기 서로 어긋나며 균형이 깨지고 낮으면 흉상이다. 천창은 이마의 중심에서 양옆과 눈썹까지의 부분을 말하며 관골은 눈아래 상하로 뺨위의 뼈와 살집 부분을 말하고, 좌우는 눈에서부터 命門 호이(虎耳)까지 걸친다. 이골은 귀밑에서 턱 입까지 걸친 뼈를 말하고 호이에서 지각(地閣)까지의 살집부분이 이골부위다. 육부는 둥그스름하고 불룩하며 얼굴전체가 꽉차고 꺼진 곳이나 흉터나 자국이 없으면 우선 보기에 좋고 관상의 풍채도 원만하다. 천창의 보골(輔骨)이 솟았으면 재복[산림 부동산 건물] 이 있고 머리가 좋으면 대귀하고 출세할 상이며 관골이 우뚝하면 권세나 지위가 높아지면 지각이 방후(方厚)하면 만년에 자식복이 있고 넓은 집에 살며 수하에 거느리는 사람이 많다.

6.십이학당

얼굴에 4학당과 8학당이 있으니 합하여 12학당이라 한다. 사람은 배우는 존재로써 학문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학당의 활동을 중요한 인간능력 판단자료로 삼는다. 인간능력의 활동부위를 나타내는 학당은 얼굴에 집중되어 있어 4학당과 8학당을 잘 살펴보고 인상을 감정한다.

(1)4학당
①눈을 관학당(官學堂)이라하여 눈이 길고 눈동자의 흰창 검은창이 선명하고 총기(聰氣)가 빛나면 청수(淸秀)의 기운이 빼어나서 학문에 뛰어나고 관직에 나갈 운세이며 사회생활의 상위직에 진출할 수 있다.  
②이마는 녹학당(祿學堂)이니 넓고 불룩하면 天福이 있고 관직에 출세할 운과 총명하여 壽福을 누린다.
③치아(齒牙)은 內學堂이니 잇발이 반듯하고 가지런하면 內因적 건강이 좋고 충효와 신의가 있다. 잇사이에 공간이 많거나 치아가 고르지 못하며 엉성하거나 짧고 못생겼으면 성실성이 부족하고 엉뚱한 짓을 하는 수가 있다.  
④귀앞을 外學堂이라하니 이곳이 풍만하고 윤기가 있으면 사교술이 좋으며 언변이 좋고 외교처세에 능해 재물을 모으는 재주가 있다.

(2)8학당
①머리는 고명학당(高明學堂)이니 둥글고 높이 솟고 윤기가 나면 머리가 영민(英敏)하고 생각이 넓고 깊으며 비뚤어지고 납작하며 기색이 흐리면 어리석고 둔하며 생각이 얕고 모자란다.
②액각(額角)의 양 이마 옆은 고광(高廣)학당이니 骨과 살집이 솟고 불룩하면 기백이 있고, 윤택이 나면 총명하다. 반대로 골이 낮고 꺼진 듯하며 우중충한 느낌이 들면 소심하고 용맹이 없으며 남이 하는 대로 따라한다.  
③인당은 光大학당이니 거울처럼 깨끗하고 볼록하게 넓으면 학문을 성취하여 박사까지 이르고 전문가가 될 수 있다. 눈이 밝고 이마와 골이 잘 생긴 사람은 영감(靈感:Inspiration)이나 지혜가 뛰어나고 역사적 발견이나 발명까지 할 수 있다. 인당이 푹 꺼지고 색깔이 어둡거나 흉터나 주름살이 있으면 사고력이 열등하여 평범하거나 보통이하이다.
④눈동자는 명수(明秀)학당이니 검은창이 많고 흰창이 적어야 하고 광채가 나면 총명다예(聰明多藝)하고 흐리면 어리석고 소심하다.
⑤귀는 聰明학당이니 귀윤곽[耳輪]이 분명하고 색상이 선명하면 슬기롭고 재주가 있으며 검거나 누르면 행동이 아둔(Dull, Stupid)하고 매사에 남에게 뒤떨어진다.
⑥이는 충신(忠信)학당이니 위 아랫이가 가지런하고 빈틈이 없고 희거나 푸르스름한 윤색이 나면 사람이 신실하고 믿음성이 있으며 사상적인 신앙심이 강하고 건강도 양호하다.
⑦혀는 광덕(光德)학당이니 혀바닥이 길고 붉으며 생기가 돌면 변설이 좋아 언어감각이 뛰어나고 생각도 깊고 융통성이 있다. 혀끝이 코끝까지 닿으면 언론과 토론 연설에 능숙하여 가히 천만사람을 움직이는 대 웅변가가 될 수 있다.
⑧눈썹은 기룡(氣湧)학당이니 액면(顔面)의 기공력(氣功力)이 용출(湧出)하는 곳이니 눈썹의 모양이 남자는 반달같고 여자는 초생달같으면 상급의 형상이다. 눈썹의 털이 부드럽고 가지런하면 형제자매사이 인정이 많고 의리가 있으며 억세고 짙으면 성질이 급하고 안정성이 부족하다. 눈썹의 전체모양이 한데 어우러져 정돈되고 미색(眉色)이 청수하면 기품과 신용이 있으며 매사에 관찰력이 예민하고 일을 처리하는 데 허점이 없다.

제2장 : 오관 및 사지백체 기관 조직 세부상설

1.근육-피부-살결
근육은 골격신체를 감싸는 기공 주머니에 해당하고 근육의 소질(素質)은 피부 살갗이므로 혈색이 담홍색으로 은은하게 비치며 기색에 홍윤색(黃潤色)의 기상이 돌고 탄력이 있으면 최상의 피부라 할 수 있다.

2.몸체-외형-미추(美醜)
(1)한국의 전통미인 조건
①삼백(三白)-여자의 살결 치아 손의 부드럽고 희고 생기가 있는 기색이다.
②삼흑(三黑)-여자의 눈동자 눈썹 속눈썹이 검고 빛난다.
③삼홍(三紅)-입술 볼 손톱이 홍자색(紅紫色)의 붉은 기운이 감돈다.
④삼협(三狹)-입 허리 발목이 가늘고 유연하다.
(2)현대적인 미인 조건
①전통적인 고전미보다는 서구적인 미인의 외형적인 모습을 중시한다.
②서구형 미인의 표준형은 그리스 로마의 조각상에 나타나는 팔등신을 기준으로 한다.
③서구유럽의 미인대회나 배우 탈랜트(Talent)의 모델을 모방하는 미인형이 유행한다.
④얼굴의 미모와 함께 육체미나 성적인 감각을 중시하는 몸체의 형태나 굴곡을 중시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⑤신체적인 외형을 중시하나 내면적인 예의범절 교양미나 세련된 행동 재능이나 특기도 함께 참조하는 진선미를 추구한다.

3.사지배체 신체골격 인체형상 체형감정

오관을 중심으로 신체의 상부를 보고 관찰하는 법을 기본으로 얼굴의 상중하를 삼등분하는 삼정법(三停法)을 중심으로 판단한다. 옛날에는 무예를 통한 殺生공격 기술의 연마숙달도의 우열이나 학문수양을 통한 과거급제 등의 한문경서 詩文실력이 벼슬과 출세하는 방편이 되어, 표면적인 용모나 풍채를 보고 身言書判 위주의 인물감정으로, 사람의 됨됨이를 판정했으나 현대에 와서는 산업기술문명과 스포츠 운동분야와 언론매체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간의 능력이 다양하게 개발됨에 따라, 얼굴위주의 두뇌능력은 물론, 사지백체 온 몸 전체 신체골격의 구조와 잠재적 능력을 인체형상학적으로 관찰하는 체형감정이 인물판단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동의보감에 「남자는 陽이고 여자는 陰이며 남자는 天氣가 성하고 여자는 地氣가 성하다」라고 소개되어 있다. 여기서 남자의 천기는 하늘의 기운으로 주로 정신적인 요소를 말하고 여자의 지기는 물질적인 요소를 말하여 남자는 思想이나 학문과 기술과 건설 등을 주로 담당하고 여자는 땅에서 생산되는 물질의 변화나 음식이나 요리  분야와 상품제조나 장식이나 가공에 재능을 발휘한다는 것이다. 즉 남녀는 자기의 인체형상에 맞게 일을 하고 체질에 따라 자기 전공분야와 소질개발이 다르다는 것이다.

(1)남자의 체형감정
 인체형상의 체형감정은 신체적 특징을 기초로 사람의 운명과 재능의 소질을 판단한다. 남자는 역삼각형 구도로 어깨가 듬직하고 상체가 발달하여 얼굴중심의 코가 잘생긴 氣質위주가 좋은 체형이다. 남자는 하체보다 상체에 중점을 주어 관찰한다.

⊙ 남자는 상체와 균등하게 하복부가 발달해야 배짱이 있고 대담한 성격에 용기와 자신감이 뛰어난다.

⊙코가 잘 생긴 남성은 주관과 신념이 뚜렷하고 수신제가 치국평천하의 기개가 있으며 사회생활을 잘하여 부귀와 총명을 발휘할 수 있다. 코가 잘 생긴다는 것은 꼭 미남형이 아니라도 자기의 얼굴에 알맞은 개성적인 코를 말하는 것이다.

⊙남자의 피부는 검붉으며 거친 면이 있어야 건강체질이다. 남자의 피부가 여자의 피부처럼 흰 빛이 많으면 기허(氣虛)하여 병약체질로 진취력이 부족하고 외부온도의 변화에 내구력이 약하다.

(2)여자의 체형감정
여자는 삼각형 구도로 어깨의 곡선이 부드럽고 유연하며 상체는 알맞게 통통한 적은 골격에 얼굴하부의 입이 잘생긴 血液위주가 좋은 체형이다. 즉 여자는 상체보다 하체에 중점을 두어 관찰한다.

⊙몸체에 비해 머리는 작은 듯 아담하고 눈이 청명하고 입이 단정하고 잘생기면 상등이다. 몸체는 유연하게 쭉 빠지면 예술적 미감은 있으나 재운은 약하며 오히려 살집이 풍만하며 통통한 체격은 재물 복이 강하다.

⊙여자는 가슴과 엉덩이가 적당하게 굴곡이 져서 전체적으로 풍만한 체형이 생식의 능력과 색정이 발달한다.

⊙입이 잘 생긴 여성은 현모양처형으로 남편의 사랑을 받고 자녀의 융성을 도모하며 일가친척간에 신뢰가 있다. 여자가 남자의 얼굴형을 닮아 네모지거나 선이 굵으면 남자의 직업과 경쟁하며 사회적 활동을 많이 하면 혈액보다는 기질위주 남성형 체질이기 때문이다.  

⊙여자의 피부는 희고 부드러우며 윤기가 있어야 색정적인 면이 강하고 인내심과 지구력이 강하다. 여자의 피부가 남성처럼 검붉은 면이 많으면 고생을 많이 하거나 사회적 활동을 많이 하는 사람이다.

4.내장기관 세포조직 유전인자
인물을 감정하는 데는 외면적인 인상의 느낌이나 표면적인 심신행동의 변화도 중요한 요소로 인정되지만 근본적으로 사람의 인체는 내장기관의 오장육부 구조나 세포조직의 유전인자에 의해, 생리 심리 정신작용이 그 근본원인이 됨으로 사람의 전반적인 능력의 가능성을 감정하기 위해서는, 각종 심신능력의 검사테스트와 의학적 건강상태와 유전학적 인자도 참작하여 인물을 판단하면 더욱 더 심층적인 깊이로 정확하게 알 수 있다.

5.얼굴로 보는 오장육부 내장기관 건강상태 감정법

얼굴은 얼[혼백의 얼개: Soul Spirit]의 동굴이요 내장기관이 밖으로 나타난 양의 형상이다. 그러므로 오장육부가 중심이 된 내장기관은 음으로 몸 속에 감추어진 얼의 동굴이라면 표면에 보이는 얼굴면상은 내장기관과 음양상응의 대칭관계를 형성한다. 얼굴기관의 오관상태를 관찰하여 몸 속의 건강상태를 판단하여 그 사람의 운명의 변화와 장래에 일어날 일을 추리 예언할 수가 있다.

오관

오행

오장

육부

내장기관

방향기색

 祥瑞靈物

건강상태 감정 치료법

눈-眼

木性

肝臟

膽囊

眉間印堂

東方靑色

靑龍

瞳孔 검은창 흰창의 색깔 점검

귀-耳

水性

腎臟

膀胱

下焦

北方黑色

玄武

三輪의 天人地輪의 모양과 균형

코-鼻孔

金性

肺臟

大腸

丹核中焦

西方白色

白虎

관상학적으로 코의 형상은 중앙토

입-口

土性

脾臟

胃臟

丹田中焦

中央黃色

勾陳騰蛇

입술의 모양과 빛갈 경계선 윤택도

혀-舌

火性

心臟

小腸

命門上焦

南方赤色

朱雀

입안 동굴의 형상과 혀의 대소빛깔

면상
피부
전체

 

얼굴전체의 윤곽과 形相 image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靈的慧眼의 透視術로 운세를 감정한다.

 

얼의 동굴에 피어오르는상서영물의 형상을 참조

 

붉은 색

발열현상

과열성 피부열 해소는: 녹두 치자의 冷性해독처방

황색

피로누적

혈액불순의 냉성피부는 인삼녹용의 熱性처방으로 냉기를 중화시킴

푸른 색

驚氣
놀람 발작

거칠고 메마른 피부는 율무로 수분공급, 종양 및 부스럼에는 냉성의 알로에로 해독 진정효과

⊙옆구리와 겨드랑이의 점검---肝膽의 내장기운에 따라 옆구리와 겨드랑이의 건강상태가 결정된다.
⊙살갗 피부의 점검---脾胃의 건강상태는 살갗 피부에 나타난다.
⊙근육의 양호도 측정---肝의 건강상태에 따라 근육의 강약과 힘이 결정된다.

(1)네모형▩ 혹은 마름모형 얼굴
氣科체질로 부지런한 성품에 실질을 중시하고 근면성실하고 左雇右眄하지 않고 자기의 목표를 향하여 앞만 보고 달리는 기질이다. 虛氣가 필요 없이 몸 속에 과다하게 쌓이면, 가슴부위가 더부룩하며 체한 듯이 아프고 배와 옆구리 허리 쪽에 통증이 오며, 건강의 밸런스가 맞지 않기 때문에 계속 활동하는 것이 오히려 건강의 유지와 신진대사에 좋다. 기과 체질은 기가 過多하거나 氣虛하면 건강에 Unbalance가 오기 때문에 항상 기의 운행과 혈맥을 순행시키는 것이 건강을 역동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항상 부지런하게 활동하는 것이 건강을 유지시키는 비결이다.  

(2)둥근형  얼굴
精科체질로 骨筋보다는 살집이 많은 형으로 통통하게 살이 찐 모습으로 성격이 명랑하고 낙천성이 풍부하고 비위가 강건하여 아무 음식이나 잘 먹고 소화력도 왕성하다. 뼈와 근육이 물러서 식중독에 약하여 몸이 잘 붓고 류머티스나 관절염 당뇨병 같은 혈액순환계의 질병에 유의해야 한다.

(3)삼각형 얼굴 혹은 역삼각형  얼굴
얼굴이 세모진 삼각형은 腦科형으로 지식축적과 기술형에 적합하여 남녀가 공히 세심하고 민감한 성격에 꼼꼼하며 자상하다.

역삼각형은 神科형으로 선천적으로 머리가 좋은 사람이 많으며 예술적 감각도 풍부하고 성격이 예민하며 사물에 대한 관찰력이 뛰어난다. 신경을 많이 써 신경계통의 질병이 발생할 확률이 많으니 자연요법을 사용하여 마음의 수양을 도모하여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4)타원형 0 얼굴
타원형이나 좁은 직사각형으로 얼굴이 갸름한 사람은 血科형으로 혈액과 맥박으로 인한 질병이 오기 쉽다. 신선한 血虛현상으로 두통이나 생리불순 혈맥이 막히는 어혈증(瘀血症)에 주의해야한다.

血科 形相은 조용한 성품에 내성적이며 남자라도 여성적인 이미지가 많이 풍긴다. 감성이 풍부하여 예술이나 기예 요리 장식 도안에 취미와 소질이 많고 대외적으로 소심하고 부끄러워하는 기질이 있다. 예의범절이 있어 언행에 절도와 세련미가 있다. 悲感적인 심성에 생각은 많으나 행동력이 약하다. 소규모의 일에 민감하게 대처하고 성실하게 절약하는 알뜰형으로 차분하게 일을 하여 실수가 적다. 한가지에 집착한다든지 안목과 식견이 좁아 활달한 면이 부족하나 내면적 경쟁심이나 승부욕은 강하다. 가정적이고 부드러운 성품에 아기자기한 면도 있고 자기분야에 정통한 전문가 기질이 있으나 개방적인 다양성과 융통성이 부족하여 대인관계에 답답하고 심사숙고하고 눈치를 부며 속으로 타산을 하는 처세는 남에게 짜증스런 인상을 느끼게 한다.

 제3장 : 전통 관상법의 십이궁 관찰과 인물감정법
             
12궁 얼굴 면상 인체투시 감정부위도

 

 

 

 

 

 

 

 

 

 

 

 

 

 

 

 

 

 

 

 

 

 

 

   관상은 항시 변화한다. 사람의 얼굴은 얼(魂을 가진 마음의 얼킨 덩어리:The Soul of the Mind)을 가진 마음의 동굴에서 나오는 기공력(氣功力:The Spirit Power of the Ether)의 변동상태에 따라 과거의 고정된 불변상과 현재와 미래의 변화상에 따라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그래서 관상은 고정된 운명이 아니라 항상 시시각각 움직이고 바뀌는 변화상이다.
 사주나 궁합 같은 경우는 태어난 생년월일시에 따라 고정된 형태로 움직여지나 관상은 항시 변화하며 내 의지에 따라 변화시킬 수도 있다.이 말은 바꾸어 말하면 좋은 인상으로 즉 좋은 관상으로 변모시켜 내 운의 흐름을 좋은 쪽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이 때문에 좋은 관상을 아는 것은 중요하다. 매일의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심신의 변화가 나의 생각과 행동과 의식을 변화시켜 운명이 생성소멸되어 가는 것이다. 오늘날의 조그마한 변화가 나의 앞날을 창조하고운명을 변화시켜 인생의 생사와 길흉화복을 만들어 나가면 이러한 불변상과 변화상 속에서 나의 운명을 감지하고 예측하는 능력이 생기는 것이다.
  얼굴은 나의 모든 것과 같다. 내 마음의 변화에서부터 시운의 흐름과 앞으로 닥칠 미래의 예상과 징조를 미리 나타나기 때문에 앞날에 일어날 길흉화복을 예측하고 예언할 수 있다. 내 마음의 상태에 생각의 흐름과 의식의 방향에 따라 얼굴의 안색과 찰색이 달라져 보이는 것이 이 모든 천지기운의 변화와 상통한다. 마음이 편안할 때는 다른 이들이 보기에도 편안해 보이며 내 마음이 불편할 때에는 다른 이들의 눈에도 불안해 보인다. 간단히 말하면 얼굴을 보는 법이 바로 관상이고 관상을 통해 기공학적으로 사람의 마음을 읽고 그 사람의 인격전체를 운명학적 예언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얼굴의 요소요소를 주목하여 보게되면 생각과 느낌의 흐름이 마음의 영상에 각인되어 앞날의 행위가 결정되어 나간다. 관상과 찰색의 형상 이미지 흐름이 모두 영상으로 보이게 되니 얼굴의 요소요소를 미리 관찰하고 앞으로 일어날 일의 현상과 징조기미를 미리 알아 미래에 일어날 일의 변화에 밀 대처하는 것이 관상을 보는 목적이라 하겠다. 관상학에 있어 중요하게 보는 12궁의 위치를 살피고 그 의미를 알아보자.

1.관록궁(官祿宮)
관록궁은 이마 전체를 보고 관상 세부명칭에 해당하는 天中 天庭 司空 中正 등을 세밀히 관찰하여 기색을 살피고 특히 이마 한 가운데의 중앙부위를 잘 살핀다. 관록궁은 윗사람의 신용 父祖의 家運 운세 유산의 유무, 관운과 출세 직업의 선택, 재판의 시비언쟁, 아랫사람의 덕망 등을 판정한다.

(1)관록궁
  관록궁의 위치는 이마의 중앙 상단부 천중 천정 사공을 중심으로 그 주위의 이마의 모양과 찰색의 기색운을 관찰하여 그 사람의 과거 현재 미래운의 종합적인 역량을 판단하는 아주 중요한 위치다. 관록이란 관직의 俸祿을 받는 직업이란 의미로 현대어로는 공무원에 해당하며 國公祿을 받는 공공기업체의 관리직을 담당하는 것이다.
  관록궁만 보는 것이 아니라 이마 전체를 동시에 관찰하며 그 한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하좌우를 함께 감정한다. 이 곳에 나타나는 찰색의 기운과 얼굴에서 풍겨나는 인상의 매력이나 흡인력을 참고하여 입신양명에 관한 내용의 장래 운세 예언한다. 즉 직업의 운이나 명예 등을 살펴보게 되는데 피감정자 자신이 정한 목표가 앞으로 달성될 것인지의 성공 실패여부를 판단하여 예언한다.
  이마의 상부가 볼록하고 높이 솟은 듯하며 色氣[察色의 氣運]가 좋은 사람은 두뇌의 사고력이 영민하며 이상이 높고 학식과 경험이 뛰어나며 평생의 운세가 강하여 입신출세의 가도를 순탄하게 달릴 가능성이 많다는 것이다.관록궁이 양호한 사람은 자신의 노력에 의한 자수성가도 이룩하고 주위의 도움을 받아 유망한 자리를 쉽게 확보하여 운세가 상승하면 상사나 知人으로부터 추천과 지원을 받아 점점 높은 관록의 지위를 밟아 올라가 마침내 최고의 지위까지 도달하여 많은 관록을 받고 권세와 명예까지 쥘 수 있다. 보통 사회적으로 출세한 사람들의 이마가 반듯하며 둥그스름하게 발달하여 고관대작의 지위에 오른 사람은 대부분 관골이 좋은 모양을 하고 있다.
  고대나 중세 근대에 걸쳐서 옛날에는 십중팔구 상위직의 관리들은 이마가 잘생기고 우뚝하나 현대에 와서는 기계문명의 기술정보화시대로 접어들어서는 시대적 판단기준이 변천되어 관록궁이 잘생기지 않은 사람도 출세하는 사람이 많은 데 이것은 외모의 美醜보다도 내면적인 기술적 실력 즉 두뇌개발의 차이에 따라 정신적인 능력이 보다 더 많이 사람의 출세 주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관록궁이 좋고 얼굴의 다른 12부의 상태가 好條件이 많은 사람은 조상의 유업이나 부모복을 많이 타고 주위의 친지나 이웃 동료들의 도움도 받고 상사의 인정을 받아 신용과 명예를 함께 향유하여 성공할 확률이 많다.

2.명궁(命宮)
  
명궁은 눈과 눈사이를 말하며 그 중앙을 印堂이라 하니 중정의 아래요 山根의 위다. 이 곳을 보고 선천적 운명이나 학식 직업 희망을 보고 본인의 의지력 결심의 强度 등을 참작하고 심층적으로 미래에 대한 투시 관찰력과 영감의 발휘 유무등 영적 능력을 판정한다. 명궁의 위치는 두 눈썹과 눈썹의 사이 즉 양미간으로 콧등을 타고 올라간 눈썹 사이에 위치한 곳으로 인체 생리 氣功學에서 印堂이라고 말하며 觀相學에서는 命宮이라 한다. 이 자리는 관상을 보는 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자리로 그 어떠한 것들보다도 우선 시 된다. 이는 面相 인체투시도에서 가슴에 위치되는 부위로 사람의 운명을 감정할 때 내공력의 중심에 해당하는 중요한 자리이다.
  단학에서는 상단전이 있는 곳으로 전두엽에서 창조적 아이디어가 발생하는, 人體內氣의 영적인 혜안이 자리잡고, 심안(心眼:Mind's eye)이 작동하는 곳으로 사람의 잠재적인 기운이 인체의 외부 五運六氣와 상통하는 곳으로 관상의 운세가 시시각각으로 변화되는 바로미터(Barometer)이다. 그러므로 사람을 바로 보고 관찰하는 아주 중요한 자리로 鑑定者가  피감정자의 내면적인 정신세계를 독심술로 MIND READING하고 중심점이다. 감정자는 상대방의 명궁을 지긋이 바라보며 한동안 응시하면 어느덧 순간적인 영감이 떠오르기도 하는 곳이다. 얼굴의 모양에 나타나는 형상도 중요하지만 만물이 색깔로 자기의 존재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살갗의 색깔도 잘 관찰하여 피부 겉의 찰색 빛깔과 속에 잠재되어 있는 內氣의 暗藏色를 조합해서 판단해야 앞날의 운세변화를  정확하게 예언할 수 있다.
  좋은 명궁은 은은한 광채가 나는 것이 좋으며 이 자리가 좋으면 평생의 운이 좋다고 본다. 나쁜 일이 생기기 전에는 이 자리의 빛이 어두워지며 그 색깔에 따라서도 凶殺의 어두운 기가 비치면 어떠한 액운이 닥쳐올지 가늠할 수 있다. 눈과 눈 사이 코 잔등이 시작하는 곳을 산맥이 시작하는 山根이라 하여 인당과 함께 종합적으로 감정한다. 명궁은 人體內氣가 몸밖으로 영적인 교신을 하는 자리로 온몸의 기운이 명궁으로 응집되어 준두에서 기색이 발현되기 때문에 생명의 神命줄이 운세의 변화에 따라 길흉화복 기미징조(機微徵兆)의 前兆가 시시각각으로 현현(顯現)하는 심령투시거울에 해당하기 곳으로 운명을 투시 예언하는 데는 아주 중요한 곳이다.

3.재백궁(財帛宮)
  
재백궁은 코를 말하며 코는 얼굴의 중앙에 위치하여 오행상 中央土에 해당하며 그 사람 자신의 의지와 신념 배짱의 강약을 보고 재산의 유무를 판단하니 재백궁이라 한다. 또한 남녀 공히 미추(美醜)의 기준을 삼는 데 코는 중요한 포인터(Point)가 되고 평생 운수의 幸不幸의 변화를 관찰하고 질병유무의 기색도 살피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이 궁은 그 사람의 재산이나 금전적인 富의 유무를 판단하는 위치로써 정신적인 자산보다 물질적인 유형의 재물을 판단한다. 또한 인체에서는 생각이나 사상보다는 정력적인 에너지의 체력을 많아 참조한다. 이 자리는 외관상 관상감정에서 명궁 다음으로 중요한 자리로 간주한다.
  사람을 얼른 관찰할 때 명궁으로 정신적인 인상을 점검하면서 재백궁으로 사람의 외모를 판단하는 중요한 관건으로 삼기 때문이다. 명궁의 인당과 재배궁의 준두에서 온몸의 기색이「응집하며 모였다」「발산하며 흩어졌다」하면서 시시각각의 심신의 변화되는 靈的운세를 찰색으로 미리 앞서서 나타낸다.
 이 자리에 따라서 평생의 금전운을 살피고 본인의 인생에서 자신감이나 용기 등을 점검한다. 이 위치는 코의 줄기와 끝 모서리를 종합적으로 그 모양과 빛깔도 함께 관찰한다. 코는 사람의 美醜를 관찰하는 뚜렸한 表形으로 산근에서 준두까지 쭉 곧게 뻗고 굴곡이 없으며 左身 右身에 부드러운 살집이 알맞게 덮어 있으면 우선 좋은 코로 간주한다. 재백궁의 好不好로 각 개인 財福의 多少有無와 평생의 금전재산의 물질적인 운세를 판정한다. 재백궁은 주로 코의 중하반부를 가리키는 데 얼굴크기에 비해 너무 큰 코나 작은 코도 좋지 않다. 콧등에 주름이 있거나 콧대가 좌우로 굽었거나 좌우대칭이 맞지 않으면 인생살이가 순탄하게 풀리지 않을 확률이 많고 기색이 좋지 않으면 쓸쓸하고 고독한 인생에 고생할 팔자다. 코가 얼굴에 맞지 않으면 잘 되는 일이 없고 심하면 비운의 상이거나 비극으로 인생이 결말날 수도 있다. 코가 너무 뾰족하게 높거나 너무 펑퍼짐하게 낮은 것도 균형미가 없어 복록이 희박하다. 코잔등이 매끄러운 모양에 윤기가 나며 기색이 좋고 얼굴의 다른 12궁의 요철굴곡과 균형미가 있으면 좋은 코의 재백궁으로 판정한다.

4.천이궁(遷移宮)
 
천이궁은 이마 양쪽 관자놀이 부분의 변지(邊地) 역마(驛馬) 天倉부위를 가리킨다. 천이궁의 피부색이나 기색을 살펴서 먼곳의 일이나 여행 소식 전달 이사(移徙)유무를 관찰하고 미래의 일어날 영적인 일도 예언한다. 피감정자의 앞날의 행운이나 불행에 관해서 예언할 때는 얼굴전체에 나타나는 기색을 참조하고 천이궁의 찰색을 관찰하여 오랜 경험이나 영감을 얻어 정확하게 예언할 수 있다.
 천이궁은 양 눈썹 끝 부위 언저리에서 이마의 옆모서리와 髮際의 경계선 구역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移動數에 관한 이사 전근 출장 외출 등을 판단하다. 이사 전직 전근 퇴직 또는 여행 등 현재의 위치에서 出行에 해당하는 움직이는 들을 예측하거나 예언한다.
 출행의 시기가 다가오게 되면 천이궁의 기색이 변화하여 알 수 있게 되며 이곳의 찰색이 변하는 데 따라서 그에 상응하는 豫斷을 하는 것이다. 천이궁은 양 이마의 끝 부분을 주로 하여 예측하게 되며 이 부분의 찰색이 변화하게 되면 자신의 위치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니 마음가짐을 단단히 하여 앞날의 길흉화복을 대비하는 준비성이 필요하다.

 5.부모궁(父母宮)
부모궁은 日角 月角을 말하고 넓게는 보골(輔骨)까지 관찰하여 조상이나 부모의 유운(遺運)이나 上司나 윗사람의 신뢰나 인정(認定) 등의 출세에 관한 운세를 감정한다. 부모궁이 깨끗하고 혈색이 좋으며 살집이 풍부하면 조상으로부터 유산이나 재물을 많이 물려받는다. 부모궁은 일각으로 부계조상의 유산을 판정하고 월각으로 모계조상의 유업이나 財福을 관찰하여 이곳들이 光潤하고 높이 솟아 찰색이 좋으면 조상과 부모덕이 있고 부기장수할 운세가 강하다. 이 부위가 푹 꺼지고 거무죽죽하거나 우중충하여 顔面기색이 어둠침침하면 조실부모하거나 부모가 생존했어도 병약하거나 경제력이 부족하여 자녀의 성장발달이나 학업성취에 큰 도움이 안되고 자식이 오히려 부모를 봉양할 처지다.

6.형제자매궁(兄弟姉妹宮)
  
남자를 기준으로 형제는 左尾, 자매는 右尾를 상징하고, 여자는 반대로 본다. 형제자매궁은 눈썹을 말하며 형제자매의 多少有無와 형제사이의 우애를 살피고 그 사람의 性情의 느림과 조급함을 살피고 생각과 행동력의 완만강약(緩慢强弱)을 판단한다.
  형제자매궁에서 판단하는 것은 형제나 자매들의 多少유무 親疎관계이다. 평생을 살면서 피를 나눈 형제간의 관계는 어느 누구보다도 중요하며 위급하거나 어려운 경우 길흉행사에 힘이 되어 줄 수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형제궁은 눈썹을 중심으로 하여 관찰하며 그 모양과 위치 빛깔의 形相을 보고 형제자매들의 보이지 않는 無形의 영적 관계도 살펴본다. 눈썹 자체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눈썹물결까지 참조하여 눈썹주변의 피부와 눈두덩까지도 살펴본다. 눈썹이나 몸에 난 털은 血液의 여분 즉 피의 內氣가 몸 속에서 돌다가 몸밖으로 外氣化되어 나타난 精氣의 변형된 형상으로 볼 수 있다. 형제자매는 혈육적인 관계뿐만 아니라 집안이나 가문 혈족의 사회지도층에 있는 사람은 일가친척으로 파급되고 이웃사람 주민 국민 세계시민까지 포함하여 관찰하고 해석하여 그 사람의 성격 사상과 감정 대인관계 인생관 등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古書畵에 나타나듯 눈썹의 모양은 남자는 억세고 힘찬 모습으로 여러 가지 맹수들의 눈썹 모양을 비유하여 상등급으로 간주하고 여자는 반달모양 수양버들 잎 모양을 으뜸으로 쳐주게 되며 털이 부드러워야 한다.그러나 현대적인 관점에서 보면 사람의 눈썹이나 얼굴모양을 동물의 형상에 비유하여 설명하는 것이 一理가 있으나 단정적으로 善惡간 사람의 성격이나 운명의 변화와 적중되는 해석을 가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니 극단적인 해석은 삼가는 것이 합당하다.  

7.복덕궁(福德宮)
 
복덕궁은 액각(額角:눈썹 위의 이마 모서리 및 윗 귀의 옆 부분)과 福堂과 천창 등을 관찰하여 본인과 부모형제 일가친척과 관계있는 福祿의 유무나 재운이나 금전의 수입지출의 이익과 손실관계를 본다. 좁게는 부모형제사이의 福祿惠澤을 관찰하고 넓게는 일가친척 사회생활의 처세관계도 판정한다.이 궁의 위치는 양 눈옆 위의 우각 보골 화개를 살피고 복당과 애각을 함께 보지만 얼굴전체의 다른 부위와 종합하여 참조한다.
 천정과 하정이 중정을 향해 우러러보고 복종하는 듯한 형세이면 평생에 복록이 풍부하여 안온한 여생을 즐길 수 있다. 복덕궁으로 자신이 부모나 선조 세상으로부터 받을 복이나 덕을 나타낸다. 부모의 덕을 본다거나 어떠한 일을 추진함에 있어 남의 도움을 받게 되는 경우를 이 궁의 변화에 따라 알 수 있는 것이다. 천정과 하정이 중정을 향해 우러러보고 복종하는 듯한 형세이면 평생 복록이 풍족하여 인생에 여유를 가지고 살아갈 운세다.
 현재적 의미의 오복은 첫째 무병장수의 건강한 삶이요 둘째 경제적인 여유와 쓸 만큼의 재물이요 셋째 지식과 학문의 풍부로 좋은 직업과 사회적 지위를 가지는 능력이요 넷째 선조와 부모의 유복이 두터워 훌륭한 자녀를 두어 가정과 집안이 화목한 것이요 다섯째는 배우자와 백년회로하는 부부덕이 많은 것이다. 여기서 오복을 다 갖춘 사람은 드물고 두 세 개의 복만 갖춰도 한평생 살기가 괜찮다.  

8.처첩궁(妻妾宮: 一名; 夫婦宮)
 
처첩궁은 눈썹꼬리와 귀 사이 간문(奸門)과 어미(魚尾)를말하고 배우자나 연인 애인 이성친구와의 애정관계나 친소(親疎)관계를 살피고 장래의 길흉상태을 예언한다. 옛날의 남존여비시대에는 남편의 사회적 지위와 명예 출세에 따라 아내도 그기에 상응하는 자격과 대우를 받는 것이 통례였으나 현대와 와서는 남녀평등사상과 민주의식의 발전으로 여자도 독립적으로 사회적 신분과 지위를 유지하므로 처첩이라는 말보다는 부부궁으로 감정하는 것이 더욱 시대적 현상에 합당하다.
  처첩궁은 일명 부부궁이라 하고 눈의 모양과 형상 眼光의 명암과 어미와 간문 등으로 배우자의 인연과 남녀 이성관계의 감정과 느낌을 판정한다. 이곳의 위치나 생김에 따라 배우자에 대한 이성운과 평생동안 교제하는 남녀관계의 운을 예언하고 판정한다. 奸門과 魚尾는 눈꼬리의 겹쳐진 잔주름이 고기의 꼬리 무뉘 모양과 같다고 하여 붙어진 이름으로 어미에서 눈언저리부터 귀밑머리까지 말한다.
  즉 부부간의 애정이나 사랑의 심도인 금슬(琴瑟:금실의 본디말)이나, 연인끼리의 화목과 불화정도와 가정의 화목도 등 결혼 이후의 생활을 주로 이곳에서 예측하게 된다. 이 궁의 형상을 보고 色情의 기운 살피는 중심이 되며 이곳에 상처 없고 깨끗하여 맑은 것을 좋고 이곳에 쭈그러진 주름이 많거나 상처나 흠결이나 있는 것은 나쁘다고 한다. 간문이나 어미가 주름이 가지런하고 명윤하고 풍륭(豊隆)하면 부부관계가 천생연분이거나 애정이 깊고 남녀관계의 왕래가 좋고 감정의 소통이 잘 된다.

9.전택궁(田宅宮)
  
전택궁이란 눈썹과 눈 사이의 눈 뚜껑(꺼풀)을 말하고 주택이나 토지 혹은 부동산의 상속재산 매매의 손익관계 상업 등을 감정한다. 넓고 깨끗하고 윤기가 있으면 부동산이나 주택 산림토지에 좋은 징조라 할 수 있다. 혈색과 기색이 빛나고 윤택하면 부동산의 매입이나 취득의 운이고 검거나 어둡고 피부색도 좋지 않으면 건물이나 토지 산림 등을 팔아할 처지가 생길 것이다.
  전택궁은 토지와 건물 주택 산림 등 부동산관계의 재산의 多少有無를 감정하는 곳이다. 이 궁의 크기나 찰색 피부의 윤택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勘案)하여 어떠한 토지나 주택등을 소유할 것인지 판단한다. 궁의 위치는 눈과 눈썹의 사이 눈꺼풀 부분을 지칭한다. 좋은 전택궁은 넓고 맑은 빛을 띄며 상처나 굴곡이 없고 살결도 풍요한 것을 양호한 것으로 본다. 만일 흉터나 흠집이 있거나 피부색이 꺼칠꺼칠하다면 좋은 전토를 받지 못한다. 전택궁이 미흡하고 밝지 못하면 부모의 좋은 집이나 재산을 물려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전택궁이 넓고 깨끗하며 맑은 빛을 띠며 색상도 좋으면 일생을 좋은 집에서 평안하게 지내게 되며 토지에 대한 운세도 강하여 그에 상응하는 토지를 소유하게 될 확률이 많다.

10.자손궁(子孫宮)
  눈 아래 볼록하고 통통하게 살짝 부풀어 오른 부위를 와잠궁(臥蠶宮)이라 하여 남녀자손의 多少有無를 판정하고 자손의 복록(福祿)을 추정한다. 또한 와잠궁은 생식호르몬의 분비액과 음양길항작용으로 나타나는 생리현상과도 관계가 있어 性感帶의유발이나 SEX FEELING의 强度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불룩하고 홍조가 띄면 성감대가 발달했다는 징조이다. 자손궁은 자녀궁이라고도 말하는 데 여성의 아래 눈썹의 자식궁이 은은하게 부풀은 듯 볼록 솟아올라 紅潮를 띄고 있으면 생리현상이나 임신을 한 징조다. 여성에게 자식궁의 오른 쪽 눈 밑이 왼쪽보다 더 부풀어  올랐으면 아들, 왼쪽이 더 부풀어올랐으면 딸을 잉태했다고 감정한다. 남자도 자기 상대의 여자가 임신한 경우, 왼쪽이 더 많이 부풀어올랐으면 아들, 오른쪽이 더 많이 부풀어올랐으면 딸로 판정하는 데 이것은 음양오행론에 입각한 이론적 설명이지 실지로 맞을 확률은 50%정도이다. 오히려 자식의 남녀 유무 출산에 관한 예언은 수상에서 자녀선을 보고 판정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자녀궁은 인체에서 내분비 호르몬의 생리적 현상이 외부의 기색으로 나타나는 부위이기 때문에 건강이나 운세 판단에 중요한 포인터(Point)가 된다. 와잠 자손궁 부위가 불그스레하고 혈색이 좋고 氣色 또한 홍윤색이나 밝고 환한 느낌이 들면 그 사람의 운세와 건강은 왕성하고, 검푸르거나 누렇게 변색되어 윤기가 없으면 약한 운세이며, 잿빛이나 흙색의 검은 기운이면 실직하거나 기운이 쇠잔하여 생활이 궁핍하고 건강의 적신호가 발생할 징조이니 사전에 대비하여 생명을 보호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남녀궁은 남녀이성관계에 관한 것들을 관찰하고 판단 예언한다. 이 위치는 특히 다른 위치보다도 피부 색깔의 찰색요법응 많이 참조한다. 양쪽 눈의 바로 아랫부분 즉 광대뼈와 눈 사이 부분을 말하는 것이며 이곳의 찰색형상에 따라 인간관계의 많은 잠재성을 예측하고 판단한다. 이 부분이 紅潤색이나 자색의 황갈색이나 홍조를 띠면 이성관계가 원만하게 진행됨을 암시하고, 이 곳이 검푸른 색의 빛을 띄는 경우 이성에 관하여 신경을 쓰고 있어나 일이 잘 풀려나가지 않음을 말해준다. 혼사에 있어서도 이곳의 기운을 살펴 혼담의 길흉화복 성패 여부를 알 수 있으니 홍윤색이나 붉은 홍조의 약간 흥분되고 고조된 빛을 띄는 경우는 좋은 혼사라고 볼 수 있으나 어두운 빛을 띄게 될 경우 흉한 혼사의 예측이 된다.

11.질액궁(疾厄宮)
 두 눈 사이의 산근(山根: 콧대가 처음시작한 곳)을 질액궁이라 하고 질병유무와 건강상태를 점검한다. 코가 검붉거나 피부색이 꺼칠꺼칠하고 어두운 색이면 만성질병이 있거나 현재 위장이나 비장등 소화기관의 생리조절이 건강하지 않은 기미(機微)다.
 질액궁의 위치는 코뿌리 산근에서 코잔등을 중심으로 건강상태를 점검하고 평생에 겪을 수 있는 사고나 재난에 관한 것들을 예측하고 질병의 病歷이나 불의의 재난 사고의 발생여부를 이 궁의 형상과 기색의 변화에 따라 감정한다. 內氣의 응집부위인 인당과 察色의 發現處所인 준두와 함께 관찰하고 질병발생의 여부를 예측 판단하지만 이것은 상당한 전문가가 아니면 적중예언하기가 어렵다.즉 질액궁만으로 질병발생여부와 미래의 壽命長短에 대한 예측은 힘들므로 얼굴전체의 기색과 사지백체 온몸의 체형체질을 참조하고 언어발성의 生氣活力을 측정하여 問診상담등을 거쳐서 신중하게 판단한다.
 상대방을 정확하게 관찰하고 대화해서 인생개척이나 능력개발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카운슬링(Counselling)하여야 하고 대충 어림짐작으로 말해서는 신뢰성을 주지 못하니 수명이나 질병건강상담은 신중하게 감정해야 한다. 이 궁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평생에 재난이 끊이지 않고 항시 질병이나 사고에 시달리게 된다.

12.노복궁(奴僕宮: 일명 부하궁)
 
입 아래와 턱을 가리켜 노복궁이라고 하며 아랫사람 하인이나 부하직원들의 多少有無를 판단하며 그 사람의 사회적 지위나 빈부귀천을 판정한다. 또한 노복궁은 주택의 대소유무를 판정하고 노후에 福祿의 過多도 판정한다. 턱이 이중 턱이거나 법령이 길고 선이 쭉 뻗어 이중 부위가 넓으면 많은 재산과 주택과 사람을 거느릴 운세다.
 
노북궁은 일명 부하궁으로 불리며 이 궁의 위치는 대개 광대뼈와 턱의 사이 볼 부분을 일컬어 말한다. 흔히 볼때기라고 하는 턱부분과 下觀骨 근육 주변을 지칭하고 이 부분의 모양을 보고, 그 형체가 의미하는 심볼(Symbol)과 상징(Vision)의 형상(Image)을 종합적으로 감정하여 피감정자의 앞날의 미래투시의 영적인 虛實相을 말하여 참다운 인생을 계도하도록 예언하는 것이다. 이 부분에 따라 남을 부리든지 부림을 받게 되는지를  판단하게 되며 나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인간관계를 측정하는 위치가 된다.이 궁의 생김에 따라 길흉을 보게 되는데 적당히 도톰하고 발그스레 한 것을 좋은 것으로 본다. 살이 없이 쑥 들어가게 되어 광대뼈가 도드라져 보이는 것은 좋지 않은 흉상으로 보게 된다.

13.상모 머리 얼굴전체와 사지백체의 종합감정

  이 궁은 지금까지 보아온 다른 궁들과 달리 한 부분이 아니라 전체를 일컫는 것을 말한다. 이 궁은 지금까지 보아온 관상전체를 완성하는 얼의 동굴인 면상전부를 종합하여 보는 것이므로 이 궁을 볼 줄 모르게 된다면 제대로 관상을 볼 수 없게 된다. 관상을 봄에 있어서 한 부분들을 중심으로 하게되나 서로가 미치는 영향들을 종합적으로 분석 해 낼 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 궁은 관상의 완성인 궁이라 하겠다.
  머리의 외관적인 형상만 보는 것이 아니라 내부의 두뇌에 대한 I·Q의 지능지수와 후천적인 지식의 축적인 총명지혜력을 심상으로 측정하고 골격의 짜임새나 體相[사상체질의 형상]도 관찰하여 한 인물의 총체적인 가능성을 통합적으로 살피고 과거의 不變相과 현재 미래의 변화상을 투시통관하는 심령투시술의 영적인 판단을 하는 것이다.
  사람의 능력이나 인격의 전체를 판단할 때 과거의 기준은 身言書判이나 외모를 중시한 면이 있지만 현대에 와서는 자격증의 유무나 내면적 정신세계의 재주나 기능이 바탕이 된 학력이나 경험등 후천적인 변인이 많이 고려된다. 즉 얼굴이 잘 못생겼거나 추남추녀라도 실력이 있으면 사회직업의 상위직에 도달할 수가 있다. 현대는 기술 경제 문화발달의 시대로 특별한 아이디어나 재능 특기 등이 있으면 얼굴이 좀 못 생겨도 성공할 가능성이 많다.
  관상을 볼 때는 단순하게 얼굴만 감정하는 것이 아니고 인물전체의 전반적인 풍모와 외모 생김새 몸체 등을 포함한 사지백체 전부를 관찰하고 점검해야만 그 사람에 대한 전모를 거의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관상은 물론 수상과 사주 성명을 총체적으로 살펴서 현실적으로 확실한 자료를 바탕으로 탐색하고 최종적으로 심상까지 점검해야 그야말로 적중률 높은 운명감정을 통하여 개인운명을 개척하는 선견지명의 적중률을 발휘할 수 있다.
  사람은 다른 동물이 갖지 못한 언어나 영혼을 가지고 있다 하여 만물의 영장으로 분류되고 「옷이 날개라」는 말처럼 동물들이 가죽이나 깃털로 장식하고 뿔이나 발톱으로 무장을 하는 것처럼 사람도 맨 몸뚱이를 감싸는 의복이나 장식으로 각 사람에 고유한 개성이나 인품을 보여준다. 이런 면에서 현대적 관상법에서는 얼굴이나 몸체만 감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입고 있는 옷이나 장신구 휴대품 등을 살피고 관찰하여 사람의 직업이나 인품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람의 얼굴이나 상체를 주로 감정하는 것이 관상분야라면 온 몸의 사지백체를 관찰하고 해석하는 觀體法에는 사상체질로 인물을 분류하고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인간의 내면적 정신을 독심하는 학문으로는 심리학이나 정신분석학 같은 심상감정법도 있다.    

 

 

 

 

 

 

 

 

 

 

 

 

 

 

 

 

 

 

 

 

 


Written, edited by Blue Space of Cheong-gong(靑空).※인물 감정 관상 투시관법 인물감정 상담 연락 ☎ 051-291-6856, 011-9320-9357 남자는 左陽 右陰으로 관찰하고, 여자는 右陽 左陰 觀法이 기본이나 21세기 후천개벽 成約시대는 陰氣가 腹上하는 지식정보화의 컴퓨터 시대가 전개되어 여성의 柔性이 남성의 强性을 휘감아 압도하므로 여자도 左陽 右陰 관법을 혼용한다. 즉 남녀의 성구별이 없어지고 心中靈動 心相透視능력이 좌우한다.

 제4장 : 십이궁관찰과 인물판단의 상세한 해설법

 

1.관록궁(官祿宮)
  
관록궁은 나라의 록(祿) 즉 관운에 의한 출세의 운세를 판단하는 부위이다. 요즘은 각종 공공기관이나 사회단체 기업체 등의 상위직 관리직으로 진출하고 승진하는 운세의 유무강약을 미리 살피고 대처하는 데 관록궁의 색깔이나 피부 근육의 상태를 관찰하여 판단한다. 즉 좋은 이마를 가졌느냐를 감정하여 그 사람의 앞날에 일어날 일을 미리 예언하고 장래를 개운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감정하는 것이다. 관록궁을 볼 때는 天庭 좌우의 일각 월각을 중심으로 司空과 中正의 상태도 함께 본다. 이마가 깨끗하고 불룩하여 높이 솟은 듯하며 광택(光澤)이 있는 사람은 두뇌가 명민(明敏)하고 이상이 높아 학문의 길로 나가면 대업을 이루고 세상의 부귀공명과 출세의 길이 순탄하다. 높은 지위의 상사나 다른 사람으로부터 추천을 받거나 지지를 받아 유망한 자리에 앉을 확률이 많고 또는 자기의 노력과 강한 운세로 점점 상위의 신분에 도달하여 마침내 많은 관록과 권한을 얻게 된다. 정신적으로 칭송을 받거나 명예가 상승하여 이름을 날릴 수가 있다. 잘 살펴보면 높은 지위의 長이나 뛰어난 인물의 고관대작(高官大爵)의 신분에 있는 사람의 이마가 못생긴 사람은 거의 없다. 물론 인물이나 풍채가 잘 생긴 사람이 아니라도 높은 지위에 도달할 수가 있어도 무언가 보통의 인상보다는 좀 다른 특색이 있다.
  이렇게 이마가 넓고 둥글며 액각(額角)이 불거져 나와 마치 肝을 엎어[覆肝]놓은 듯하면 두뇌도 좋아 학문발달이 양호하여 일찍부터 좋은 직장에 진출하여 上司와 동료의 인정과 신용을 받아 출세의 가도를 달린다. 반대로 이마가 푹 꺼지고 흠이 있어 쭈글쭈글하거나 색상도 검푸르거나 우중충하면 사고의 폭과 길이가 빈약하여 십중팔구 좋은 직장의 진출이 어렵고 출세의 운도 나빠 십중팔구 인생살이가 고달프고 되는 일보다 안되는 일이 더 많다. 현대는 남녀 평등의 시대이므로 여자도 남자와 같이 이마가 좀 넓고[남자보다는 적게] 불룩한 것이 좋다. 여자의 이마는 四角지게 넓은 것보다 달처럼 둥그스름하면서 상하로 타원형의 형태를 닮은 것이 최상이다. 여기서 기색이 양호하면 뛰어난 여성이 되든지 남편이 사회의 상위직에 도달하고 크게 출세할 운이다.
 반대로 관록궁이 푹 꺼지고 이마에 굴곡이 있다든지 기색도 양호하지 못하면 출세에 애로와 지장이 많다. 주름살이나 흠이 있어 쭈글쭈글하다든지 찰색도 검푸르거나 우주충하게 어두운 빛깔이 들면 정신력도 산만하여 백방으로 노력하나 기본적인 재산이나 재능이 부족하여 성공의 길로 가는 대는 많은 장애와 시련이 많다. 이마가 좁고 낮으면 사고의 폭과 넓이도 적고 생각도 얕아서 좁은 안목으로 세상을 보기 때문에 큰 스케일의 인생을 펼치기가 어렵다.
  관록궁이 못생긴 사람은 출세의 기회도 잘 오지 않아 십중팔구 좋은 직장의 진출이 어렵고 주위의 도움도 없거나 적어서 혼자서 고독하게 인생을 개척하는 외로운 운명이다. 여자의 이마는 남자처럼 넓거나 모난 것은 좋지 않다. 오히려 타원형처럼 둥그스름하며 약간 좁은 듯 하는 게 오히려 숨은 복이 많다. 아무리 남녀 동등시대라지만 인간사회는 평등한 것이 진리인 것 같으나 宇宙理法上 남녀는 하늘과 땅의 역할을 해야만 천지조화의 법도에 맞는 진정한 평등이 되는 이치이므로 여자의 외모가 남자처럼 생기면 활달하고 억세며 개척적일지라도 그 여자의 운명은 순탄하지 못하며 악수가 따르고 팔자가 센 것이다. 즉 인간사회에 맞는 것이 꼭 대우주 자연의 천지법도 하늘의 이치에 맞지 않을 수가 있다.          
     

2.명궁(命宮)
  
명궁은 전두엽(前頭葉)의 밖앝 피부이므로 온 몸의 氣가 응집(凝集)하는 곳이기 때문에 사람운세의 강약과 時運의 好不好에 대한 길흉화복의 기미(機微)와 징조(徵兆)가 시시각각 나타나는 신체의 기공작용의 거울과 같다. 그러므로 인당을 볼 때는 색상을 중요시한다. 중정과 인당과 산근이 선명하고 광윤이 나고 특히 인당이 불룩하면 그 사람은 과히 秀才이상의 능력을 발휘한다. 이런 사람은 무엇을 전공하던지 한 분야에 달통할 수 있고 사람을 꿰뚫어 보는 심안이나 혜안을 가진 사람이다.
  반대로 명궁이 쑥 들어가고 흠과 주름살이 있거나 기색도 침침하거나 어두운 색깔이면 두뇌도 좋지 못하고 생각도 짧아 운세도 약하며 생존경쟁에서 상위권에 진출하거나 승리하기 힘들다. 기쁜 일이 생기면 명궁이 환해지고 심사숙고하면 명궁이 팽팽하게 긴장하며 온 몸의 정신력이 집중된다. 슬픈 일이 있거나 수심이 생기면 명궁이 어둡고 찌푸려지니 현재의 모든 운기가 명궁에 나타난다. 그러니 감정과 정서의 자극과 느낌에 의해 생기는 희로애락과 우수사려(憂愁思慮)의 오욕칠정이 명궁에 心波의 진동으로 비치는 것이다. 명궁은 氣가 모이고 준두(準頭: 코잔등 끝)는 색이 발현하는 곳이니 명궁과 함께 코끝도 잘 살펴야 한다.

  인물투시도에서 명궁은 가슴에 해당하므로 명궁이 넓은 사람은 가슴도 넓고 흉중(胸中)의 생각도 깊다. 명궁의 상태가 좋으면 오장육부와 내장기관이 튼튼하므로 수명이 길어 결과적으로 건강도 양호하다. 정신적으로 명궁이 밝고 넓으면 식견이 넓어 이해성이 많고 도량도 크고 경험이 많아 많은 사람을 포용하는 두령운이 있다. 많은 사람을 이해하고 포용심이 크다는 것은 많은 사람을 거느릴 수 있는 아량과 능력이 있다는 것이니 높은 지위에 이를 수 있다는 인재가 된다는 뜻으로 명궁이 좋으면 크게 성공할 인물이란 뜻이다. 그러나 다른 부분에 비해 명궁이 너무 넓으면 오행의 균형이 깨어져서 실속이 없을 수 있고 공짜를 좋아한다든지 성질이 허망하여 사물에 대한 집착심이 약하고 낭비벽이 있으며 허세와 과장을 일삼아 다른 사람으로부터 신용을 잃어 재산을 털어먹고 실속이 없는 사람이 된다.

  명궁이 밝고 알맞게 넓은 사람은 陽者인니 활동력을 구사하는 대외적 직업이 좋으니 정치가 군인 관리 실업가 선전홍보 연예방면에 유망하다. 명궁이 좁고 어두운 자는 陰者이니 대내적 직업의 종교가 교육자 연구기술직 철학자 참모직 사무직 상담역으로 진출하면 유망하다. 그러나 명궁에 기색이 빛나야 대성할 수 있다.   명궁을 중심으로 한 상하죄우의 중정과 인당 산근이 한줄기로 선명하게 쭉 뻗고 광윤이 나며 인당이 불룩 솟아오른 듯하면 창의력과 상상력이 뛰어나서 사회적으로 우수한 능력을 발휘하여 무엇을 전공하든지 전문가로 이름을 날릴 수가 있고 사람의 다스리고 꿰뚫어 보는 지혜의 심안이 있다. 반대로 명궁이 쑥 들어가고 꺼졌거나 주름살이나 흠결이 있으면 선천적인 자질이 부족하거나 부모의 裕福도 적다. 기색이 어둡거나 침침하거나 우중충하면 정신력이 박약하고 생각이 명랑하지 못하고 어둡거나 비뚤어진 성격의 公算이 농후하여 사고력도 짧고 운세도 약하며 생존경재의 전선에서 곤란과 장애가 많아 운명을 개척하는 데 힘든 일이 많이 닥친다.
 명궁의 찰색법에서 기쁜 일이 생기면 명궁이 환해지며 얼굴에 和色이 돈다. 심사숙고하면 자기도 모르게 명궁이 긴장하며 내공이 응축되어 팽팽해지고 슬픈 일이나 근심걱정이 생기면 명궁이 침침하게 어두어지며 색깔도 맑지 못하고 얼굴이 찌푸려지거나 안색도 푸르거나 누렇게 병약한 색으로 변신된다. 이렇게 명궁에는 희로애락과 오욕칠정의 감정과 정서가 서려지고 기쁨과 슬픔의 기운이 오장육부에서 상승하여 명궁에 기운이 응집하여 준두에서 색깔이 발색한다. 명궁은 인체투시도에서 가슴에 해당함으로 명궁이 넓으면 胸中이 광활하여 생각도 넓고 포부와 희망도 큰 사람이다. 즉 명궁이 좋으면 오장육부의 내장기관도 강인하여 심신이 건강하고 체력도 튼튼하여 정상적인 생존경쟁에 투지력이 좋아 성공의 확률이 많다.
  식견이 넓고 명랑쾌활하며 사람을 사귀는데 교제 처세술이 좋아 대인관계도 원만하다. 사물에 대한 이해심과 도량이 크고 넓어 사회적으로 우두머리 두령운이 있다 많은 사람을 포용하고 다스리는 지도력이 있어 사회적 출세의 상위직에 오를 기회가 많고 잠재력을 잘 발휘하여 크게 성공할 인물이다. 그러나 명궁이 얼굴전체에 비해 너무 넓거나 긴장미도 없고 펑퍼짐한 느낌이 들면 오행의 균형이 깨져서 실속이 없거나 허망한 것을 집착하고 공짜를 좋아하며 비현실적이 공상을 사로잡히는 사람이다. 낭비벽이 있으면 허세를 부리고 심하면 과대망상증이 있어 사귀면 별 도움이 안되는 사람으로 신용이 없어 친구도 적다. 명궁이 깨끗하고 선명한 색깔에 밝고 환한 사람은 학식과 경험이 풍부하고 창의적인 활동력이 왕성하여 학자 정치가 교육자 종교가로 진출하면 성공할 운세가 좋고 기술연구직 이나 외교가 상담 홍보자 인기연예 예술직이나 사업에도 상당한 전망이 보장된다.   
 

3.재백궁(財帛宮)
  
재백궁은 그 사람의 재산이나 금전 돈의 有無過多를 중점적으로 보고 평생 운세의 강약이나 믿음이나 신안 신조의 인생관을 관찰한다. 오행상으로 中央土에 해당한다. 코는 얼굴에서 제일 높고 중앙에 위치하여 온몸의 기색이 "모였다 흩어졌다" 하는 장소로 모든 察色이 코로 응집(凝集)하고 발산한다. 또 코는 미관상 미추(美醜)를 판정하는 관건(關鍵)이 되어 소위 미남미녀를 판단하는 데 코를 아주 중요시한다. 좋은 코는 산근에서 년수(年壽: 年上-壽上을 통칭] 준두(準頭)까지 쭉 곧고 둥그스름하며 살집[피부근육의 살결]이 좋은 것을 말하며 그기에 배짱과 氣槪가 흘러 넘치면 더욱 좋다.  나쁜 코는 굽었거나 비뚤어졌고 중간에 굴곡이 있으며 너무 높거나 납작하고 앞에서 콧구멍이 보이며 그 위에 기색의 분위기가 쓸쓸하며 고독한 느낌이 들면 비운의 상이거나 고생의 팔자상(八字: 四柱八字)이다.
  그래서 좋은 코는 부귀총명의 좋운 운세를 약속하고 나쁜 코는 불운이나 빈천의 운세를 암시한다고 해석하는 것인데 현대에 와서는 납작한 코나 못생긴 코를 가진 사람도 성공한 사람이 많고 사회적 상위의 지위에 있는 사람도 허다하다. 탤런트나 배우들 중에는 미남미녀가 아닌 못생긴 얼굴 역할의 사람도 필요하다. 단지 개성이 있는 특이한 형태의 용모로 재능만 있으면 출세할 수 있고 소위 매스컴에 뜰 수가 있다. 코가 못생겼어도 후천적으로 많은 노력을 한다든지 얼굴의 다른 부위가 좋든지 성형수술의 인공미를 살린 경우도 있고 남모르는 수양을 하여 심상으로 운명을 개척하기 때문이다.
  코는 얼굴에 비해서 너무 크지도 작지도 않은 것이 좋고 색깔은 너무 붉지도 검지도 않고 황윤색(黃閏色)이나 흰빛의 자색(紫色)이 도는 것이 좋다. 코가 잘생긴 사람은 재복이 좋으므로 은행금융업 사업가 중개업 상업 등으로 진출하면 운세가 잘 풀린다. 콧 구명이 큰 사람은 사치 낭비성이 농후하고 공짜를 좋아한다. 작은 사람은 꼼꼼하고 인색(吝嗇)하며 의심이 많은 신중형이다. 여자의 코는 아주 중요해서 남편 복의 유무를 본다. 준두 양끝의 콧밥[난대,정위]에 살이 적거나 준두가 뾰족하면 남편 복이 희박하고 평생 고생할 운이다. 여자 코의 색깔이 검푸르며 기미(discoloration)가 끼었거나 사마귀 등이 있으면 남편이 성실치 못해 바람을 피우거나 혹은 몸에 만성질병을 갖고 있다. 콧등에 주름이 항상 잡힌 사람은 재산이 모이지 않으며 설상가상(雪上加霜)의 불행이 닥치고 흠집이 있거나 세로로 금이 있는 사람은 자식으로 인한 고생이 많이 닥친다.      
①코가 잘생긴 사람 즉 얼굴 전체의 균형에 코의 크기나 높낮이가 알맞게 그 모양 색깔 등이 양호한 사람은 은행 금융업 상업가 무역 중개업에 좋고 두뇌의 정신능력인 학식 경험이 뒷받침되면 정치 경제 국공립 관직에 진출이 유망하다.
②콧구멍이 위로 벌름하거나 큰 사람은 과대망상의 기질이 있고 비현실적으로 큰 소리를 치거나 공짜를 좋아하고 풍류나 놀기를 몰두한다. 코는 호흡기와 음양관계에 있어 외향적 크기보다 체질적 강인성이 중요하다.
③콧구멍이 작은 사람은 인색하고 꼼꼼하며 소심하고 의심이 많아 같이 동업하기에 부적당하다. 준두가 뾰쪽하거나 양쪽의 콧밥 좌신우신에 살이 적거나 쭈그러지고 풍만하지 못하면 남녀간에 수혜복이 희박하고 평생 안정된 삶이 어렵고 여기저기 생계를 위해 바쁘게 다녀야 할 만큼 거주가 불안정하다.
④여자의 코는 자신의 복뿐만 아니라 남편이나 부모형제의 여복(餘福:여유의 복록)도 참조한다. 여자의 코에 사마귀나 점 흉터가 있거나 색깔이 검푸르거나 푸르죽죽하면 남편이 성실치 못하고 바람을 피우거나 만성질병으로 고생할 상이다.
⑤여하튼 코가 못생겼거나 복록이 엷은 코는 재산이 잘 모이지 않고 수입보다 지출이 많이 생겨 고생할 상이고 엎친 데 덮치는 설상가상의 불행의 악운이 따라다닐 공산이 크다. 흠집이 많고 세로로 금이 그어져 있는 사람은 자식이나 手下의 사람 때문에 고생하거나 뒷바라지 할 고생의 凶相이라 할 수 있다.  

4.천이궁(遷移宮)
  
천이궁은 양 눈썹 끝 부위에서 이마의 옆모서리를 말하는 데 이곳이 깨끗하고 흠이 없이 뼈대가 불룩하면 직업이나 주거가 안정되어 착실한 발전을 한다. 반대로 머리털 난 곳과의 경계가 들쭉날쭉하며 빛이 검고 주름이나 흉터가 있으면 거주의 이동이 심하고 직장도 자주 바뀌며 바쁘게 돌아다녀야 의식주가 해결된다.
①천이궁이 豊隆하고 원만하게 잘 생기고 깨끗하고 明潤하게 찰색이 좋으면 평생 의식주와 직업이 안정되고 착실한 발전을 거듭하여 인생살이가 행복하여 사회의 상위직에 도달한다.
②이마 양옆이 검푸르거나 꺼칠꺼칠한 찰색에 髮際와의 경계부위가 들쭉날쭉하거나 피부 빛이 검고 주름이나 흉터가 있으면 거주 이동이 심하고 항상 불길한 운수가 자주 닥치며 직장의 변동이 심하여 자주 돌아다녀도 의식주 해결에 곤란이 많다.
③이 궁의 살집이 좋고 색상이 은은하게 비치고 얼굴전체의 윤곽에 좋은 배경이 되면 부모의 유산이 많고 뒤에서 도와주는 사람이 많아 산림주택 토지를 많이 소유할 수 있고 멀리 떨어진 곳에 가드라도 좋은 일이 자주 생기며 여행을 자주하며 인생을 풍요롭게 보낼 운수다.
천이궁의 살집이 좋고 색상이 윤택할 때에 이사를 하거나 직장을 옮기면 큰 재물을 얻거나 승진할 운수이다.
천이궁이 좋은 사람은 부모의 유산이 많고 타향에 멀리 떨어져 있어도 도와주는 사람이 많으며 늘그막에 가서 많은 토지나 땅 산림을 얻을 운수이다.   

5.부모궁(父母宮)
  
日角으로 아버지 부계조상을 판단하고 월각으로 어머니나 모계조상을 판단하는 데 위치는 인당 위 3cm정도에서 天庭의 좌우 위다. 이때 눈썹위 1cm 정도의 輔角도 함께 본다. 이곳들이 높고 광윤하면 부모의 덕이 있고 부귀장수할 운세가 유망하다. 반대로 이곳이 푹 꺼지고 주름이 있거나 어둠침침하면 早失父母하거나 부모가 생존했더라도 병약하거나 경제력이 부족하여 자녀의 학업성취나 성장발달에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일각이 월각보다 낮거나 기색이 좋지 못하면 아버지가 먼저 죽거나 부의 능력이 미약하다. 월각이 일각보다 열등하면 어머니의 복이 없고 아버지나 계모 혹은 양모의 힘으로 자식을 양육할 운세이다. 눈썹이 이중으로 겹쳐있으면 이복형제남매가 있을 수로 아버지나 어머니가 계부 혹은 계모로 양부나 양모의 슬하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다. 눈썹의 부위가 끊어졌거나 흉터가 있으면 소년시절에 형제자매가 죽은 것을 암시하고 이때 남자의 왼쪽 눈썹에 흉터나 자국이 있으면, 죽었거나 불구 장애자 또는 불행한 사건을 겪은 형제가 있고 오른쪽 눈썹인 경우 자매의 경우다. 눈썹의 중간을 기준으로 안쪽 머리부분이면 형이나 누나이고, 바깥쪽 꼬리부분이면 동생이나 여동생일 확률이 많다. 여자는 철학상 음양의 원리로 남자와는 반대로 보는 데 오른쪽이 남형제를 나타내고 왼쪽은 여자를 나타내나 현실적으로 꼭 맞는 것은 아니다.  

①일각이 월각보다 열등하면 아버지의 복록이 적고, 월각이 일각보다 열등하면 어머니의 복록이 희박하여 계모나 양모의 손에 양육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②머리가 둥글고 이마가 넓으면서 일각 월각이 높이 솟아 위엄의 기운이 있으면 장남이나 장녀인 경우가 많고 그에 상응하여 일월각 상태의 비율에 따라 2남 3남의 기세로 판정한다.
③머리 윤곽이 뒤틀어져졌거나 이마가 좁거나 울퉁불퉁한 굴곡이 있으면 유복자나 서자 고아일 확률이 많다. 양가출신의 자녀는 두뇌크기가 원만하고 얼굴형태의 오관의 모습도 비슷하게 양호하나 외로운 집안이나 자손이 적은 집안 조실부모한 고아출신 遺棄된 자녀일 경우가 많다.
머리가 둥글고 이마가 넓으며 일각 월각이 높이 솟고 명윤(明閏)하면 장남이나 장녀인 경우가 많고 머리가 틀어졌거나 틀어지고 꺼졌거나 이마가 좁고 굴곡이 있으면 그 정도에 따라 차남이나 삼남이요 혹은 서자나 고아출신일 경우이다.
 좋은 가문 출신은 장남 장녀와 之次의 남녀는 두뇌의 크기나 이마발달정도가 대동소이한 것이 보통이고 고아출신은 거의가 두뇌모양이 고르지 못하다.   

6.형제자매궁(兄弟姉妹宮)
  
형제자매는 눈썹의 짙고 옅음이나 생긴 형세의 모양으로 판단한다. 눈썹의 형태는 좁게는 형제자매나 가까운 혈육의 관계를 감정하고 넓게는 친인척의 過小유무 친구 동료관계를 판단하고 국가의 지도자급에서는 이웃사람 주민 국민 등 사해동포가 다 형제에 속하므로 눈썹의 상태로 그 사람의 우정 사랑 애정관계 인생관 등을 종합적으로 관찰한다. 대개 눈썹이 많거나 질은 사람은 형제자매도 많고 성격이 활달하고 다혈질이 농후하다. 눈썹이 적거나 옅은 사람은 형제도 적고 성질도 온순하며 내성적 기질이다. 눈썹이 초승달처럼 가지런하고 아름다우면 3-4형제자매가 되고 우애심이 있으며 모두가 잘 성장하여 사회성이 양호하고 협조심이 강하여 인생을 즐겁게 보낸다.
  현대에서는 산아제한[가족계획]으로 자녀출산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므로 눈썹으로 형제자매수를 판단하는 것은 적중률이 희박하다. 양쪽 눈썹의 균형이 맞지 않고 산란(散亂)하거나 어지럽게 흩어져 있으면 절제심이 부족하고 자기중심적인 에고이스트(Egoist)인 경우가 많다. 눈썹이 너무 짙거나 짧은 사람은 성격이 난폭하거나 인내심이 부족하여 주위사람으로부터 인덕이 없는 편이다. 이런 사람은 형제자매 사이에 협조보다는 경쟁관계에서 자라서 자기 욕심이나 자부심이 강하여 매사에 투쟁적이고 참을성이 부족하며 사회성도 원만하지 못해 마치 독불장군식 처세로 살아가기 때문에 형제라도 배척하니 타인의 지지를 받기 힘들다.
  이런 형의 사람은 인정이 메마르고 고독에 빠져 매사에 경쟁자나 갈등관계에 휩싸여 주위에 반대자나 적을 만들고 충실한 부하나 솔직한 반려자가 없어 인생의 건설이 불완전할 수 있으니 평소에 자기를 반성하여 인격상의 결함을 수양으로 고쳐나가야 한다. 눈썹은 그 사람의 마음 수양정도나 정신력의 잠재적 기운을 방사하는 기공력의 측정이 된다. 대개 눈썹이 곱고 아름답고 수려(秀麗)한 사람은 인품과 학식이 높고 예의범절이 있으며 기품도 고상하다. 반대로 눈과 눈썹이 바짝 붙은 사람은 생각도 底急하며 어지럽게 흩어진 눈썹은 성격이 조야(粗野)하며 하찮은 일에도 불끈 성을 내거나 불만을 표시하고 학문과 지식수준도 낮다. 간혹 부모의 덕으로 공부를 많이 했다 해도 건설적이고 사회 복지적인 홍익이념이 없고 卑俗에 흘러 사람이 천박(淺薄)하거나 경망(輕妄)스럽다.
  여자의 눈썹은 매우 중요해서 아름다운 눈썹의 여자는 富貴功名의 남편을 만날 기본 조건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여자의 눈썹이 끊어진 것은 남편복이 끊어져 再嫁할 수이고 눈썹이 산란한 것은 정숙치 못하고 放恣하며 희박한 눈썹은 의식주가 부족하고 고독할 상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점은 마음의 수양으로 심상을 좋게 하면 개선할 소지가 있다.
①보통 눈썹이 많거나 짙은 사람은 정기가 왕성하여 형제자매도 많고 성격이 활달하며 매사에 적극적인 다혈질의 경우가 많고, 눈썹이 적거나 옅은 사람은 혈기가 미약하여 형제자매도 적고 성질도 온순하며 소극적인 내성적인 경우가 많다.
②눈썹의 초승달처럼 가지런하고 단아하고 아름다운 형상이면 부모형제간 애정이나 우애심이 짙으며 성장발달이 무난하고 협조심이 양호하여 사회성이 뛰어나서 인생열차가 순탄하게 잘 나아간다.
③양쪽 눈썹의 균형이 맞지 않고 눈썹물결이 산란하거나 어지럽게 흩어진 형상이 성격이 급박하고 절제심이 부족하여 사회성에 문제가 있고 절제력과 인내심이 부족하다.
④눈썹이 이중으로 겹쳐있고 눈썹결이 고르지 못하면 계부 계모 혹은 양부 양모의 슬하에 양육될 확률이 많다. 눈썹 부위에 흉터나 자국이 있으면 형제자매 중 사망했거나 불구나 실종 혹은 행방불명의 凶手경우가 있고 이 때 왼쪽은 남자형제 오른 쪽은 여자형제이며 중앙에서 눈썹뿌리 쪽에 가까우면 손위의 형(누나)이며 눈썹꼬리 쪽에 가까우면 손아래의 동생(누이)이다. 여자는 남자의 경우와 대칭되니 반대로 해석한다. 즉 여자의 오른쪽 눈썹에 흉터가 있으면 남자 형제에 손상이 있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확률판단은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것이 아니고 단지 점성학상 동양철학의 원리에 따른 古書에 전해오거나 감정가의 경험통계에 불과하나 남녀관계없이 형제간에 불행한 손상이 있다는 것은 적중될 근거가 된다.
⑤여자는 털이 거친 것은 좋지 않다고 보며 초생달 모양의 부드럽고 곱다란 결을 가진 눈썹을 가장 좋다고 본다. 이러한 눈썹을 가진 사람은 형제간의 우애가 좋으며 평생 서로에게 버팀목이 되어줄 든든한 관계가 유지될 것이다.
⑥눈썹의 굵고 짧은 사람은 성격이 난폭하거나 조급하고 생각하기보다 행동부터 먼저 옮기는 충동적인 성격이다. 이런 사람은 근육형으로 정신적인 직업보다는 육체노동에 종사할 공산이 크다. 눈썹 털이 상하좌우 어지럽게 흩어졌거나 균형미가 없으면 형제자매사이에 우애도 희박하고 주위사람들에게 폐를 끼쳐 나중에 배척당하고 왕따를 당할 신세다. 인간관계를 협조보다는 경쟁관계로 파악하여 좌충우돌이나 독벌장군식으로 처세하여 외롭게 고군분투하다 지지자를 잃고 실패할 운세다. 눈썹의 기세가 혼탁한 사람은 성격이 온전치 못해 사소한 일에도 성질을 부리며 자기에게 맞지 않은 사람을 배척하며 적과 동지를 구별하려는 이분법적 사고 때문에 상대방에게 불안정하고 두려운 느낌을 주고 기피인물로 간주되어 사귀기 힘들다. 또 두 눈썹사이가 바짝 붙어 인당이 협소한 사람은 생각도 단순하고 식견도 좁아 큰일을 할 사람이 아니다.
⑦눈썹이 곱고 아름다워 고결한 이미지를 주거나 수려하게 가지런한 사람은 오행이 두루 갖춰져 예의범절이 있고 기품이 있으며 학식이 높고 성품도 원만하다.
⑧여자의 눈썹은 남편과의 인연을 勘案하는 중요한 판단자료가 되어 좋고 아름답고 기품이 있는 고결한 눈과 눈썹은 그러한 배우자를 만날 확률이 많다. 여자의 눈썹이 너무 연약하거나 끊어진 것은 남편복이 단절되어 과부가 되거나 離婚數 재혼의 상이다. 눈썹이 산란하면 음란의 색정이 다분하여 정숙치 못하고 눈썹이 희박한 사람은 의식주가 부족하고 고독하거나 빈궁의 상이다.   
 

7.복덕궁(福德宮)
  
복덕궁을 볼 때는 양 눈옆과 위의 천장(天倉:하늘의 창고)과 액각(額角:이마 중앙 좌우 부위 볼록한 곳)의 복당(福堂:귀와 눈사이 관자놀이 상부 動搖部)을 보지만 얼굴 전체의 다른 부위와 비교대조하여 종합적으로 관찰하여 판단한다. 천정과 하정이 中停[中鼻]을 향해 朝貢하는 형세로 얼굴의 상부와 하부가 중앙으로 집중되어 균형이 잡혀있으면 평생복록[五福]이 풍성하다. 현대적인 오복은 첫째 건강과 무병장수요, 둘째 경제적인 물질의 富有요, 셋째 지식과 학문과 경험의 풍부함으로 출세성공의 상위직으로 올라가는 지위와 벼슬이요, 넷째 부모복이 많아 선조의 유복을 받아 훌륭한 자녀를 두는 가정의 화목과 평화요, 다섯째는 배우자의 부부덕으로 평생해로(平生偕老)하는 것인데 오복을 다 갖춘 사람은 드물고 그 중 2-3개만 타고나도 한평생 살기가 힘들지 않다. 복이니 덕이니 하는 것은 관념적인 무형의 술어이지만 모두가 음양의 오묘한 이치로 생성소멸되는 것으로 그 불가사의한 원인결과를 잘 이해하기 힘들지만 세상만사가 유무상통으로 有는 전부 無로부터 나온다. 이때의 무는 영(零: Zero)으로써 없는 것[Nothing]이 아니고 모든 것의 核仁을 포함한 虛無 虛靈 太虛의 무로써 만유의 공통된 본질적인 요소의 기공핵인(氣功核仁)을 말한다. 이것을 色卽是空 色心不二라고 부르고 여기서의 색은 철학상의 물질 혹은 육체를 상징한다. 그래서 눈에 보이지 않는 복덕의 유무를 추지하는 데 유형의 얼굴로써 무형의 본질실상에 대한 존재유무와 운세의 강약을 관찰예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함부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기본적 학식과 경험을 가지고 마음을 수양하고 심신을 수련한 연후에 인간수행의 정도를 살피고 판단하는 것이다.
(1)복덕궁의 길흉판단의 일반적인 판단법
①부모복은 일각 월각을 보고 천심 방심 천정을 살피고 얼굴전체의 용모로 빈부귀천의 상을 점검한다.
②복덕궁을 부모궁과 함께 보는 것은 이 세상에 저절로 태어나는 사람이 없고 선조의 潤氣와 부모의 은덕으로 출생하여 하늘보다 넓고 바다보다 깊은 생명의 기운을 받아 성장발달하여 한 생명이 완성되기 때문이다.
③복덕궁에 상처나 흠집이 생기거나 찰색이 좋지 않고 살집도 빈약하면 하는 일이 잘 성취되지 않고 복록이 엷어 자신의 복이 달아나거나 사라지고 고생할 운명이다.
부모복은 일각 월각을 보고, 자기자신의 재복은 코를 보고, 출세와 성공의 운세는 관록궁을 보고, 상사의 도움은 이마를, 주위사람의 협조는 볼 주위 관골을 보고, 두뇌의 지혜와 총명은 눈과 귀를 보고 난 후 이 모든 것의 공통분모 핵인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사람의 운명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쪽으로 치우쳐 판단하면 중대한 과오를 범해 사람의 운명을 창조개선 할 수 없다. 이마에서 눈까지 초년운을 보고, 눈에서 코끝까지 중년을 보고, 코밑에서 턱까지 말년을 보는 것인데 인물의 전체를 완전하게 판단하려면 관상과 심상은 물론 수상과 사주 성명까지 총체적으로 종합해서 감정하면 그야말로 적중률이 높아 인생의 先導와 개인운명의 개척에 탁월한 감정대가 될 수 있다.
(2)오복(五福)의 종류
◈전통적인 분류의 고전적인 오복 
①수(壽)②부(富)③강녕(康寧)④유호덕(有好德)⑤고종명(考終命)
실질적인 생활에 체험적으로 분류된 오복 
①건강하게 오래사는 것[健壽]②재산이 많거나 사회적 지위가 높은 것[富貴]
③조상이나 부모 복이 많은 것[祖上 父母福]④배우자의 夫婦福德 ⑤자녀로부터 효도를 받거나 보살핌 뒷바라지가 많은 것[子孫福]

8.처첩궁(妻妾宮: 一名; 夫婦宮)
  
처첩궁은 일명 부부궁이라하며 魚尾와 간문으로 남녀 이성관계를 본다. 눈꼬리의 겹쳐진 잔주름이 고기의 꼬리 무늬와 흡사하다해서 어미라 하고 간문은 어미에서 귀옆까지의 눈언저리를 말한다. 이곳으로 결혼의 여부, 남녀의 애정관계 부부의 사랑의 심도, 연인끼리의 화목과 불화, 그 외의 연애관계를 판단한다. 간문이 깨끗하고 豊厚하면 부부의 인연이 좋고 남녀 애정관계가 화목하다. 어미와 간문에 주름이나 흠이 많으면 남녀관계가 복잡하거나 의견충돌의 불화가 많다. 여기에 점이나 사마귀 잔주름 기미 주근깨 등도 부부관계에 불만이 있을 징조이다. 간문이 좋으면 미남미녀의 연인이나 남편 배우자를 만날 확률이 많고 색깔이 윤택하고 살집이 좋으면 남녀의 애정이 만족하다. 관상도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생각과 사고방향, 행동 습관 등의 개선 개조 혁명의식에 의해 나쁜 이상도 좋게되고 또한 반대의 영향으로 좋은 얼굴의 이상도 고생을 하거나 세파에 시달리고 생활고가 겹치면 나쁜 인상으로 변한다. 흉상이나 호상의 얼굴이 변하는 시간은 마음먹기에 따라 개운 혹은 개악의 방향으로 3년 6년 9년의 주기로 얼굴의 형태나 색상 등이 서서히 변모된다. 간문의 색깔이 검어지고 푸르죽죽하거나 누르스름하면 애정관계에 파탄이 생길 징후이고 부부연인사이에 불화나 갈등 싸움이 잦다. 외간 남녀와 정을 통하고 난 후에는 간문의 색상이 보통 때와는 다르게 짙은 색깔로 변한다. 어미와 간문을 잘 관찰하면 남녀사이의 비밀된 관계를 미리 예측하고 대처할 수 있다.   

①간문에 和色이 돌고 살집도 윤택이 나면 미남미녀 호남호녀끼리 교제가 좋고 애정도 상호 신뢰관계이다.
②여기에 사마귀 검은 점 흉터 흠결이 있으면 남녀관계에 파탄의 경력이 있고 잔주름 기미 주근깨 등은 부부애인 연인관계 색정의 음양교류가 원만하지 못하고 생체리듬이 불균형하고 건강에도 적신호가 나타난다.
③간문의 찰색이 검어지고 푸르죽죽하거나 누르스름하면 애정관계에 균열이 생기고 서로간 결점을 보고 상호 비난하거나 불신하는 갈등관계가 조성되어 부부나 연인 배우자끼리 파탄이 날 불길한 징조다.
④간문과 어미에 주름이 많거나 혼탁하면 남녀관계가 복잡하고 찰색도 검푸르거나 우중충하면 이성관계에 충돌이나 불화가 많다.
⑤어미와 간문을 잘 살피면 남녀관계에 비밀관계를 미리 예측하고 선악간 대비를 할 수 있다. 외간남녀와 색정을 통하거나 음욕의 후유증으로 색상이 보통 짙게 깔리거나 흥분된 비정상의 기색이 나타날 수 있다.
  

9.전택궁(田宅宮)
  
전택궁은 토지와 주택 등을 보는 부위인데 이곳의 색상이 좋고 깨끗하면 훌륭한 주택이나 전답을 가진다. 눈 뚜껑이 힘이 없고 어둠침침한 검은 색깔이면 자기 주택을 소유하기 힘들고 주름이나 흠이 많으면 자주 이사를 가거나 직장의 변동이 심하다. 전택궁이 넓고 깨끗한 사람은 마음이 정직하고 신앙심이 깊어 종교가로써 자질이 풍부하다. 전택궁이 좁으면 거의가 사상이나 생각이 좁고 얕아 신념이 약해 매사에 변덕이 많거나 옹졸하고 의심이 많다. 밝고 선명한 사람은 십중팔구 좋은 주택환경을 가질 수 있고 부모유산도 많다.  

①전택궁이 넓고 깨끗하고 건강미가 흘러 넘치면 심신이 안정되고 마음이 온순정직하고 신앙심도 깊어 학자나 종교 예술가의 자질이 있다.
②눈두덩이 풍만하고 윤택한 기운이 비치면 마음이 화평하고 성격이 원만하며 좋은 주택이나 땅을 소유할 운세이다.
③눈 뚜껑에 힘이 없고 긴장미가 풀려서 피로감이 역력하면 주거가 안정돼있지 않아 고생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눈꺼풀에 주름이 많고 흠결이 있으면 거주이전이나 직장의 변동이 심하다.
④전택궁이 좁고 얕으면 믿음성과 의지력이 희박하여 주의나 사상 감정의 식견이 좁아 매사의 추진에 용두사미가 되고 변덕이 심한 성품이다.⑤

10.자손궁(子孫宮)
  
눈아래 뚜껑을 와잠(臥蠶:누에가 누운모양을 상징)이라하고 눈물이 흐르는 곳이니 淚堂이라고 한다. 이곳으로 남녀 자식이나 후손의 유무다소를 판단한다. 생식기에 이상이 있거나 성병이 있는 사람은 와잠이 검푸르다. 이것은 花柳界의 여성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이곳이 윤택하고 살집이 불룩하며 불그스레하면 좋은 자녀를 생산한다. 와잠이 움푹 패였거나 말라붙어 쭈글쭈글 하든가 흠이나 사마귀가 있으면 성감대도 좋지 않고 자녀운도 나쁘다. 와잠이 은은하게 明閏하면 인정이 넘쳐흐르고 느낌이 드는 사람은 자비심이나 사랑이 풍부한 사람으로 陰德을 많이 베풀고 보시를 많이 쌓은 사람으로 필히 인정이 많고 어려운 사람을 도와주어도 자기의 재물은 줄지 않는다. 이것은 음덕이 하늘의 복이기 때문에 마르지 않는 샘과 같다. 와잠이 검푸르거나 흉한 사람은 이중인격의 소유자로 겉으로는 정의를 내세우나 속으로는 자기의 이익과 사리사욕을 탐한다. 와잠은 속으로 動眼신경과 연접하여 작은골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생식선 호르몬 조절과 생리적 유전인자와 관계가 깊어 자손의 일을 판단한다. 자궁이나 생식기에 질병이 있으면 와잠이 어둡고 검푸르며 건강한 사람의 와잠은 빛깔이 윤택하고 깨끗하다. 와잠이 좋지 않는 사람의 자녀는 荒淫의 결과이므로 三百眼 四百眼의 눈이 많다. 三四百眼을 가진 사람은 성질이 組暴하고 慓毒한 악취미를 가져서 신경질적이고 분열증이 있는 수가 있다. 그래서 한 곳에 집중하지 못하고 마음에 중심을 잡지 못해 방황하는 것이니 아무튼 흰자위가 많으면 좋지않다. ※사백안은 검은 눈동자가 너무 작아 눈의 상하좌우에 흰자위가 보이는 것이요 삼백안은 세 곳에 흰자위가 드러나 검은 자위가 한 쪽에만 붙어 있는 눈이다.눈 아래 볼록한 부분의 두덩을 와잠이라 하는데 마치 누에가 고치를 틀며 잠자는 모습을 상징한 이름이다. 임신중인 여성은 와잠이 불룩하고 홍조을 띠고 약간 부풀어 오른 형상이다. 생식기에 질병이 있거나 성병이 있는 사람의 와잠궁은 어둠침침하고 검푸른 색상이 보이며 누런 황색의 노리끼리한 빛이 나온다. 와잠내부의 경혈은 생식선의 호르몬 조절을 담당하고 유전인자나 생식세포의 활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배우자를 선택하는 혼담에서 중요한 인물판단의 준거(準據)가 된다.

①와잠궁이 양호하고 찰색[건강미가 도는 황윤색의 화색]도 윤택하면 좋은 자녀를 생산한다. 이 궁에 은은하 빛이 돌고 안광이 영민하면 총명 박식하고 지혜가 있어 현자가 될 자질이 보인다. 또한 면상의 기색이 좋으면 동정심이 풍부하고 인정이 넘쳐 남에게 덕을 베푸는 사람이다.
②와잠과 안색이 양호하고 신뢰감을 주는 사람은 사랑의 자비심이 많아 어려운 사람을 보살피고 사해에 보시하기 때문에 하늘의 복을 받고 자손이 융성하다.
③와잠궁이 움푹 패였거나 쭈글쭈글하게 말라붙어 병약한 형상이면 만성병이 있고 성감대도 좋지 않다.
④와잠이 푹 꺼졌거나 검푸르고 생동미가 없으면 이중적인 처세를 하고 겉으로 대의명분을 내세우나 속으로는 사리사욕을 추구하는 욕심쟁이일 수 있다.
⑤와잠이 좋지않는 사람 중에는 三四白眼이 많다. 삼백안은 검은자위가 한쪽에만 붙어있어 세곳에 흰자위가 보이는 것이요 사백안은 검은 눈동자가 너무 적어 상하좌우에 흰자위가 나타나는 눈이다. 삼사백안의 소유자는 항상 남을 경계하고 살피는 의심형으로 신경질적이며 남의 약점을 캐내는 악취미를 가지고 있다. 사귀기는 힘드는 사람으로 경계의 대상이 될 공산이 많다. 물론 삼사백안의 소유자가 자기의 성격상의 결점을 알고 수양하면 이러한 凶相의 징조도 吉相으로 완화될 수 있다.  

11.질액궁(疾厄宮)
   
코로써 건강상태를 점지하는데 그 중 콧대의 시작을 산근이라하고 그 주위를 질액궁이라 한다. 산근이 깨끗하고 끊어지지 않았으면 질병에 잘 걸리지 않고 흠이 있거나 색깔이 검거나 짙은 황갈색인 경우 만성병을 가지고 있다. 산근에 검은 점이나 주름이 짙으면 거주 이동이 심하고 돈을 모으나 잘 흩어지고 몸에 우환을 가지고 있다. 위장 계통이 좋지 않으면 산근이 검푸르고 빛깔이 어둡고 피부에 윤택이 없으면 현재 병을 앓고 있는 중이다.  

①산근에서 年上 壽上으로 이어지는 콧잔등 마루가 쭉 곧고 깨끗하고 명윤하며 和色이 돌면 준두에서 밝은 기운이 은은하게 비쳐 나오는 사람은 한평생 건강하게 큰 질병이 없이 보낼 수 있다.
②코의 모양과 형상 빛깔을 보고 조언하며 다른 부위와 마찬가지로 상처가 있거나 빛깔이 어두운 것은 좋지 않다고 본다. 콧마루에 주름이나 흠결이 있어 피부찰색이 좋지 않고 검붉거나 어두운 암색을 띄면 몸속에 만성병이나 중병에 걸려 있다.
③산근과 年壽에 히끗히끗한 점이나 황갈색 반점이 진하게 퍼지든지 세로로 주름살이 나있고, 찰색도 푸르죽죽한 피로색이 겹쳐있든지, 붉은 반점같은 것이 보이면 건강이나 생명운세에 적신호가 나타날 징조이며 불의의 사고나 橫厄의 凶氣가 뻗어있어 미리 악운을 대피하는 처방을 해야한다. 산근 연수 준두는 항시 깨끗하고 맑은 빛을 띄어야만 복록이 쌓인다고 한다. 이곳이 앙상하고 허약하고 고독한 느낌을 주게 되면 몸이 좋지 않거나 사고를 많이 당하게 되며 반대로 화색이 돌아오고 생기가 퍼지면 점차 건강이 좋아지고 身運도 피어나서 무병 장수하게 될 것이다.
④종합적으로 질액궁이 양호하지 못하면 소화기계통의 위장이나 창자 내장들이 병약하여 심신의 안정이 흐트러지면 운세가 하강세이니 은인자중하여 내기를 기르고 安穩靜謐의 隱身術을 써서 위급한 상황을 벗어나야 한다.  

12.노복궁(奴僕宮: 일명 부하궁)
   
노복궁은 일명 부하궁이라 하는 데 턱이 떡 벌어지고 살집이 두터운 사람은 거느리는 부하가 많고 턱이 좁고 뾰족한 사람은 높은 자리에 앉기에 힘들다. 턱이 이중으로 겹친 사람은 사회 상류층의 고관대작이 되는 경우가 많고 두텁고 넓어 색깔이 윤택하면 단체나 기관의 수령이나 長이 될 상이다. 턱이 넓은 사랍은 사회적 활동과 교제에 처세가 좋으므로 정치가 사업가 상업 무역 연예 예능 흥행업이 진출이 유망하고, 좁은 사람은 철학적 사색가이므로 연구 기술직 학자 개척사업에 알맞다. 아무튼 턱이 좋지 못하면 통솔력도 약하며 아랫사람이 잘 따르지 않거나 부하의 배신을 당하기 쉽다. 또한 부하궁은 타인만 보는 것이 아니라 자기집안의 아랫사람이나 자손 덕의 유무도 판단하니 턱이 원만하고 얼굴의 균형과 조화가 되면 부하복이나 자손복이 많다.   

①턱이 方形으로 완만한 굴곡을 보이며 둥그스름하게 모지고 살집도 원만하면 상대방에게 푸근한 인상을 주고  신뢰감이나 믿음성을 주면 상등급의 노복궁으로 치고 이런 형의 사람은 사회의 상위직에 도달하여 지도자가 될 가능성이 확실하다. 반면에 턱이 뾰족하거나 볼때기가 훌쭉하거나 움푹 들어간 사람은 혈혈단신의 사주팔자인 경우가 많아 남의 수하로써 일해도 인정받기 힘들고 재물도 잘 모이지 않아 빈천한 가세에 곤궁의 신세이니 특별한 대책과 수양이 필요하다.
②턱이 이중으로 겹쳐진 사람은 관직이나 회사에서 지위와 신분을 보장하는 의자가 2-3개 이상되고 사회 상류층의 권위와 직업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법령이 2-3개 이중으로 선이 그어진 경우는 富貴兼全으로 사회적 지위가 상당하고 재산이나 토지도 많이 소유할 신분이다.
③턱이 두텁고 넓으며 찰색도 윤택이 나면 사회적 활동에 처세수완이 우수하여 기관이나 단체의 우두머리가 될 신분으로 정치 경제 사업 교육문화 인기연예 흥행업 등에 대표나 책임자가 될 운세다.
④턱이 좁고 법령의 안쪽 면적이 협소하나 골이 깊은 사람은 내성적이고 조용한 성품으로 외향적 활동보다는 내향적 연구에 적합하여 개척이나 탐구의 창의성이 뛰어나서 사색의 문필가 철학가 참모 관리직의 진출이 용이하다.
⑤노복궁이 양호하지 못하면 통솔력이 약하고 지도력이 없어 아랫사람이나 부하가 잘 따르지 않고 동료나 경쟁자들의 반대와 배신감을 맛보기도 한다, 노복궁은 직장에서의 아랫사람이나 부하뿐만 아니라 집안이나 가문에서의 자손이나 후배 수하사람들을 통솔하고 다스리는 인원의 多少有無를 판정하기도 한다. 노복궁이 얼굴전체의 오관과 균형을 이루고 상호조화를 이루는 中庸之形局이 최상의 얼굴 모델(Model)이다.  

제5장: 인상판단과 인물감정법의 관상세부론

1.머리와 목을 보는 법
   
面相 五運六氣五官 對應 人體 五臟六腑器官과
 四肢百體 靈動心相鑑定 觀相 心靈透視 部位圖

 

 

  머리는 얼굴 12부 감정법에서 잘 참조하여 목과 함께 균형이 잡혔는가를 감정한다. 목[頸]은 사고활동의 본산인 두뇌와 오장육부의 내장기관을 연결하는 생명력의 통로이고 사지백체를 결속하는 연결쇄(連結鎖) 같으니 몸체 상부의 기둥이고 촛대이다. 남자는 목이 알맞게 짧고 튼튼한 것이 좋고 여자는 약간 긴 듯하고 미끈한 것이 상급이다.
①육모기둥같이 모지고 윤택하면 大貴하고 둥글고 實한자는 大富한다.
②목은 몸체에 비해 너무 굵거나 약하면 상하체 균형이 맞지 않아 평생이 운수가 순조롭지 못하고 너무 길거나 짧은 것은 좋지 않다.
③목의 울대뼈[結喉]가 툭 불거진 자는 가난하고 재수가 없고 가늘고 연약한 것도 두려움이 많고 베짱이 약하다.
④학처럼 길고 깨끗하면 고상하나 재운이 없고 반점(半點)이 있으면 부모 덕이 희박하다.
⑤뒷덜미 목이 이중이면 富者相이나 고혈압의 위험이 있다.
⑥얼굴이 맑고 환하면서 목이 짧은 자는 지위가 높이 올라가고 사교처세술의 기교가 많다.
⑦목이 약간 앞으로 향 한자는 진취적이고 뒤로 제친 자는 보수적이고 융통성이 부족하다. 

2.어깨 등어리 보는 법
①양쪽어깨가 평평하고 둥그스름하게 살이 붙은 것은 좋고 뼈가 불거졌거나 축 늘어진 어깨는 좋지 않다.
②오른쪽어깨가 높으면 부지런하고 자수성가하고 왼쪽어깨가 높으면 무위도식(無爲徒食)할 상이다.<단 왼손잡이는 반대>
③어깨가 떡 벌어진 사람은 운동가이며 근육질이고 보통 힘이 세고 주로 육체를 많이 움직여서 생계를 유지한다. 넓은 어깨에 모난 얼굴은 대길(大吉)할 상이다.
④등이 단정하고 두텁고 복판 골이 쪽 곧은 자는 貴相이고 엷고 깨진 자는 가난하며 바쁘기 분주하나 큰 이익이 없다.
⑤등어리가 길면 좋은 집안 가문출신이고 짧으면 서민출신이다.
⑥엎드린 거북 등과 같은 자는 장수하고 두텁고 허리가 둥근 자는 부귀한다.
⑦등골이 너무 깊게 패인 자는 빈천하고 두두룩하게 사방이 평평하며 앞가슴이 넓은 자는 지혜부귀 겸전(兼全)한다.
⑧여자의 둥근 어깨와 살집이 좋은 등은 부덕(婦德)이 있고 허리 또한 평평하게 균형이 잡혔으면 자녀가 좋다.

3.가슴(젖 유방) 보는 법
가슴은 심장과 폐를 감추고 신(神)이 거주하는 집으로 인간 오욕칠정이 생기는 곳이다. 그러므로 정신이 살고 잇는 저택(邸宅)과 같으니 집이 넓고 튼튼하면 좋듯이 가슴도 넓고 튼튼한 것이 좋다.
①가슴이 넓은 자는 정력적이고 포부(抱負)도 크고 사상도 넓다.
②가슴이 얇고 좁은 자는 기운이 약하고 생각도 천박하지만 체력에 비해서 알맞은 것은 상관없다.
③육체적 운동을 요하는 직업인은 대체로 가슴이 넓고 피부가 두터우며 근육이 튼튼하고, 정신방면의 직업인은  가슴이 약하고 좁은 편이다.
④가슴의 빚 갈이 윤택하고 깨끗하면 지혜와 복이 있고 어둡고 거무스름하면 어리석고 빈천하다.
⑤양쪽가슴이 삐뚤어졌거나 움푹하게 꺼진 자는 고생과 실패가 많고 좁고 뾰족한 새가슴은 게으르고 성실치 못하다.
⑥가슴이 넓어도 살이 부족하면 경제적으로 고난받는다.
⑦ 가슴에 털이 보기 좋게 난 사람은 좋은 가문출신이거나 장차 귀히 된다. 단 후천적 노력이나 시운이 없으면 평범하게 끝난다.

⊙젖을 보는 법
  
 젖은 여자에게 중요한데 남자는 주로 가슴을 중시하고 여자는 유방으로 빈부귀천과 아름다운 곡선미와 융체적 색감(色感:Sex feeling)과 자녀생산 유무과다를 감정한다.
①젖은 사발을 엎은 듯 오목하게 볼록하고 크고 바르면 부귀하고 총명하다.
②젖이 좁고 작으며 절벽 같거나 비뚤어 졌거나 축 쳐진 것은 가난하고 외로우며 훌륭한 자녀의 생산도 힘들다.
③젖꼭지가 크고 검붉으며 둥글고 볼록한 자는 자녀가 많고, 젖꼭지가 작고 희며 누렇거나 쭈그려졌으며 꺼진 자는 자녀가 귀하다.(낳기 힘들다)
④젖꼭지가 위로 향 한자는 귀한 자녀를 낳고 아래로 향한 것은 평범하다

 4.배와 배꼽을 보는 법
★배는 인체의 중심이고 단전기해(丹田氣海)로써 모든 강물을 받아들이는 대양과 같으며 음식을 모으는 창고이고 잠재의식이 잠드는 사상의 보고이며 생각의 뿌리가 있는 곳이다. 고로 배는 큼직하고 살 갖은 두텁고 윤나는 것이다 좋다[단 살찐 기름진 배는 제외하고 배꼽아래 배가 커야 한다]
①뱃가죽이 두터운 자는 건강하고 부하고 얇은 자는 허약하고 가난할 상이다.
②배꼽은 깊숙하고 상하로 뱃가죽이 약간 접혀서 솟은 자는 총명하다.
③배가 붉고 윤택한 것은 좋고 꺼칠꺼칠하고 검고 누른 것은 고생할 것이다.
④40전에 나온 배는 소위 똥배로써 기름이 찬 것이니 불의의 재란 을 당하고 40후에 나온 배는 건강의 상징이다. 그것도 아랫배 단전이 나와야 한다.

★배꼽은 사람이 만들어진 최후의 매듭이니 인체의 중심이고 태양신경총이 있으니 모든 오장육부와 사지백체가 이곳을 원점으로 연결돼 있다. 고로 배꼽은 넓고 깊으며 가죽이 두텁고 힘줄이 튼튼하게 좌우사방으로 연결된 것이 최상이다

①배꼽이 좁고 얕은 자는 지혜와 아량이 모자라고 깊게 쑥 들어간 자는 생각이 깊고 인품이 그윽하고 천하의 복을 받는다.
②배꼽이 뾰족하거나 적고 힘줄이 약한 자는 빈궁하거나 요사할 상이다.
③배꼽이 깊고 넓으며 구멍이 위로 향하고 살구 한 개가 들어가면 나라에 큰부자가 되고 포도 한 알 들어갈 정도는 지방의 부자고 콩 한 개 들어가면 큰 부자는 어렵다

5.허리와 엉덩이 보는 법
엉덩이는 인체를 받치는 방석이니 당연히 둥글고 두텁고 좌우가 균형이 잡힌 것이 좋다. 앉아서 뼈가 불거질 정도로 빈약하면 자식이 없기 쉽고 건강도 약하고 정감도 무미하다.
①젊어서 볼기가 빈약하면 대사를 이루기 어렵고 몸은 뚱뚱한데 볼기 살이 없으면 고생이 많고 사람이 우둔하다.
②여자의 엉덩이가 너무 크면 어리석고 빈천하며 자녀를 낳아 귀하게 기르지 못한다.
③엉덩이가 뒤에서 봐서 알맞게 벌어졌으며 통통하고 탄력 있으며 배가 크고 배꼽이 깊은 자는 남자는 큰 부자가 되거나 높은 사람이 되고 여자는 큰 인물을 낳을 상이다.

6.무릎과 정강이 보는 법
 
 무릎은 허벅지아래와 아랫다리의 연결된 곳의 둥근 관절이다. 무릎은 둥글고 윤택하며 사람이 앉았을 때 위엄이 넘치고 온화한 기분이 드는 사람이 좋고 무릎이 모지고 거칠고 빼빼 마른 것은 흉상이다.
①무릎 뼈가 날카롭고 정강이에 살집이 없고 빈약한 자는 병이 많고 수명도 짧다.
②무릎 위에 힘줄이 불거지면 항상 바삐 돌아 다녀야 먹을 것이 생긴다.
③무릎과 정강이에 털이 부드럽고 길면 편안하고 만년에도 자식 복이 있다.

7.팔다리 보는 법
 
 사람의 팔은 변화의 묘수로써 날개에 해당하며 다리는 운동의 매체로써 움직임의 근본이다. 팔과 손은 임금에 해당하고 다리와 발은 신하에 해당한다.
①팔과 손의 길이가 다리와 발의 길이보다 긴 것은 귀상이고 그 반대이면 천 할 상이다.
②팔과 다리의 길이가 비슷하면 의식이 풍족하고 다리가 팔보다 긴 사람은 항상 바쁘다.
③팔은 上膊과 下膊으로 구성되어 어깨에서 팔꿈치까지가 상박이요, 팔꿈치에서 손목까지가 下膊이다. 윗팔 상박은 君主에 해당하는 龍骨이요, 아랫팔 하박은 신하에 해당하는 虎骨이라 어느 쪽이 길고 짧은 데 따라서 서로 장단점이 있다. 몸체와 사지백체가 상호 균형이 잡힌 것이 가장 양호한 것이리라. 

8.생식기 자기 감정법
  
음부란 남자의 음경과 여자의 자궁을 말하는데 보이지 않는 은밀한 곳의 음지에 있으므로 자기 스스로 판단해야 한다. 관상이나 사상체질적(四象體質)으로 사람의 인체를 감정할 때는 생식기는 타인에게 직접 보여주는 것이 인륜의 도덕예의 염치 상 비례(非禮)이므로 스스로 자기 판단의 감정을 한다. 그러나 간접적으로 추지하고 예단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니 만물의 상대적 음양원리에 의해 감정한다. 사람의 몸도 대우주 자연의 천인지 三才道에 의해 운행되기 때문에 얼굴의 투시면상도(透視面相圖)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사람의 심신기관구조도 물리적인 인체생리에 의해 움직이는 데 세포는 유전인자의 원형질막에 의해 소용돌이형의 나선형 대각선의 극과 극이 상호보완적으로 물질이 운동함으로 인체 면상해부투시도의 원리대로 판단한다. 얼굴은 '얼의 동굴'의 준말로 '얼굴 인체 투시도'의 소용돌이 앵무조개의 나선형 운동에 의해 인체 내장기관의 내면적 오윤육기가 원심력의 대각선 상생상극운동으로 외면적 오윤육기로 현현(顯現)된 것이므로 면상에 나타난 오관의 굴곡 변화운동이 나타난 형상을 보고 보이지 않은 오장육부나 생식기의 형상본질을 파악하면 운기와 생명력의 에너지 운동을 추지하면 거의 틀림없이 정확한 판단을 영동력(靈動力)으로 투시감정할 수 있다.
①음경과 음문에 흑자가 있는 이는 위인이나 귀자를 낳을 확률이 많다.
②음경이 강하고 모가 난자는 매사에 진취적이고 활동력이 강하나 두뇌적 사고력은 낮다.
③음부에 털이 너무 많은 자는 음란하여 서방을 두고 너무 적은 자는 생산이 좋지 않다.
④음모가 부드럽고 가지런하고 몽실몽실하면 귀상이고 애정도 좋으며 뻗치고 억세며 농탁(濃濁) 산란한 자는 천하고 음탕하고 육욕적 SEX가 강하나 사고력의 지능은 낮다.
⑤눈썹이 짙으면 음부에 털이 많고 엷으면 음부에 털이 적다. 음부에 털이 많으면 상대적으로 성감대가 풍부하며 육체적 SEX FEELING이 강하고 적으면 정신적 SEX MIND가 강하다. 단 너무 적으면 성감이 부족하다.  
⑥항문 주위까지 털이 난 사람은 생각이 깊어 매사에 신중하며 성공운도 좋다
⑦남자의 코로 陰莖을 大小長短 크기를 추지하고 여자는 입과 人中과 속귀(귀의 안 테두리)로써 陰門의 대소깊이와 크기 탄력도를 추지한다.

제6장: 얼굴전체로 감정하는 종합적 관상의 인물감정법

面相 五運六氣五官 對應 人體 五臟六腑器官과
四肢百體 靈動鑑定 觀相 心靈人物透視 部位圖

 

 

 

 

 

 

 

 

 

 

 

 

 

 

 

 

 

 

 

 

 

 

 

 관상 수상 성명 사주학의 종합감정으로 인간운명의 예상 인생진로를 미리 예단(豫斷:예지적 지혜로써 앞날을 판단)하여 개인의 운명을 개운시키는 인상법과 인물감정학의 운명철학으로 심상을 판단하여 인물의 심령을 투시(직관)를 하는 인체영동수리학을 말한다. 심령투시술에 의한 인상판단법은 양의 形象으로 외형적 표현인 얼굴의 투시면상도(透視面相圖)를 참조하여 음의 운명인 내면적 本質象을 통관투시하여 감정한다.

1.12개월별 運數 吉凶 盛衰 面相 察色部位 天男地女 方位圖

 

 

 

 

 

 

 

 

 

 

 

 

 

 

 

 

 

 

 

 

 

 

  天男은 向南伏地하면 左가 東方이고 右가 西方이며[天體圖 표준], 地女는 向南仰天하면 右가 東方이고 左가 西方이 된다.[地球分野圖 표준] 男女 共히 이마는 南方火星이고 입은 北方水星이 된다. 이 모든 것을 실증하려면 溺死體를 부면 남자는 엎어져 伏浮하고 여자는 仰浮한다.   

 

2. 나이 별 평생運數 吉凶盛衰 面相 部位圖 

 

 

 

 

 

 

 

 

 

 

 

 

 

 

 

 

 

 

 

 

 

 

 

 

  (1)얼굴을 보고 연령에 따라 나이감정을 하면서 평생운수의 길흉성쇠를 예언하는 법

 

연령시기

인생무대 시기구분

얼굴 부위 중심 역할기관

인체 기관

五行의 변화 현상

1세∼14세

유년기 소년기

左耳 右耳

腎臟

左耳木星 右耳金星

15세∼28세

청년전기 청년후기

앞 이마와 인당중심

心臟  舌

火星

29세∼42세

장년전기 壯年후기

양눈썹 兩眼과 산근중심

眼眉瞼肝

木과 五行中和交流

43세∼56세

중년전기 中年후기

콧대와 준두 양관골 인당중심

肺鼻

金星 中央土

57세∼70세

노년기 말년기

입주위 下停 얼굴 전체 頭相

口 턱

水星

※검(瞼:눈시울검)--目上下弦으로 눈동자 瞳孔을 둘러싸고 있는 원형의 막

3. 면상 247부위 연령별 얼굴감정 주요구역 배치도
 

 

 

 

 

 

 

 

 

 

 

 

 

 

 

 

 

 

 

 

 

 

 

 

 

★印堂骨이 天庭까지 뻗었으면 天柱骨이라 하여 사회의 상위직까지 출세할 相이고 髮際까지 뻗었으면 복서골(伏犀骨)이라 하여 크게 귀히 되어 최고의 지위까지 도달할 운세다. 다만 뼈대만 굵고 살집이 튀어나오면 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오관의 형상이 잘 생기고 은은한 광채의 기색이 있어야 확실한 징조가 될 상이다. 이와 같은 奇骨이 있어도 얼굴이 청수하고 기품이 풍겨나야 그 부귀영화가 오래갈 것이다.     
★관골에서 귀밑 머리까지 뻗친 골을 玉梁骨이라 하여 이 골이 높고 둥근 사람은 玉骨仙風이 있어 풍류를 즐기고 유유자적하는 선인으로 건강하게 오래 장수할 상이다. 귀 뒷뼈를 壽骨이라하고 이 골이 높은 사람도 수명운이 길다.    
★관골에서 옆이마 살적까지 뻗친 골을 역마궁이라 하여 여기가 둥글게 풍륭하고 찰색도 좋으면 여행과 이동의 운세가 강하여 각 지방을 순회근무하는 관리로 출세할 상이다.  

4. 얼굴전체  247부위 평생운수 종합감정 판단요도

 

 

 

 

 

 

 

 

 

 

 

 

 

 

 

 

 

 

 

 

 

 

 

 

 

  觀相法 人物鑑定 面相部位 細部 名稱解說

변지

보각

군문

무고

천양

고광

外府

右廂

천악

天中

天岳

左廂

內府

高廣

天陽

武庫

軍門

輔角

邊地

 

역마

조정

전당

사살

母墓

방심

천부

虎角

月角

天 庭

日角

龍角

天府

房心

父墓

四殺

戰堂

弔廷

驛馬

 

은현

산림

중미

교액

도중

교우

소부

상경

액각

司 空

額角

上卿

小府

交友

道中

交額

重眉

山林

隱賢

 

교외

塚墓

복당

화개

부극

보골

우각

원각

虎眉

中正

龍眉

元角

牛角

輔骨

斧戟

華蓋

福堂

丘陵

郊外

 

청로

항로

겁문

彩霞

빈문

靈光

林中

紫氣

형옥

印堂

刑獄

凌雲

蠶室

神光

嬪門

繁霞

劫門

港路

靑路

 

朱雀

천정

천창

어미

간문

少陰

中陰

太陰

光殿

山根

精舍

太陽

中陽

小陽

奸門

魚尾

天倉

天井

玄武

 

유군

조적

琴房

금궤

外女

소녀

중녀

장녀

妻座

年上

夫座

長男

中男

少男

外男

金櫃

禁房

盜賊

遊軍

 

명문

虎耳

권세

관골

姉妹

姨母

당상

귀래

갑궤

壽上

甲櫃

歸來

堂上

姑叔

兄弟

觀骨

權勢

龍耳

命門

 

인수

병졸

수문

圓倉

전어

궁실

재화

법령

廷尉

準頭

蘭臺

法令

災火

宮室

典御

後閣

守門

兵卒

印綬

 

현벽

박사

영문

기당

복종

祿倉

세주

井部

선고

人中

仙庫

帳下

細廚

食倉

僕從

妓堂

영門

博士

縣壁

 

十一

산두

위항

상려

가고

通衢

금루

鵝鴨

비린

각문

水星

閣門

比린

波池

金縷

兵蘭

家庫

商旅

委巷

山頭

 

十二

行旅

시골

지고

藥池

荒丘

임원

외원

손택

조택

承奬

祖宅

孫宅

外院

林苑

下墓

酒池

地庫

시骨

道路

 

十三

路線

船路

대해

魚場

禽鴨

갱참

대마

노복

하사

地閣

下舍

奴僕

대磨

坑塹

養鴨

養魚

大海

海路

車路

 頌堂

 제三편: 사상체질에 의한 인물 감정법

제1장: 체격 체형 체질 총론
1.사상체질인의 습성 기질 성격의 개성적 특징
(1)태양인
태양인은 진취적 적극적 능동적 성격이 강하나 인생처세에서 공격적 기질이 강하나 방어적 전략이 부족하여 저돌적으로 나아가다 실패와 좌절을 맛보는 경우가 많다. 자기 과시적이고 허장성세의 약점이 있다. 처음에는 거창하게 벌리나 나중에 용두사미로 끝나는 수가 많으니 항상 신중하게 처신하고 심사숙고 한 후 여러번 생각한 후 행동해야 실패가 적다. 돌다리도 두드리면서 건너야 하는 좌우명이 요구된다. 역사적 소용돌이 전환기나 변화의 시기에 혁명가 열사 선구자 개척자 등이 대개 태양인의 기질이 발휘된다. 서양인들의 체격과 용모 등에 태양인을 닮은 사람이 많다.  

(2)태음인
태음인은 소극적 안정적 성격이 강하나 인생처세에서 방어적 기질이 강하나 공격적 전략이 부족하여 망설이고 주춤거리다 큰일을 이루지 못하고 기회를 놓치고 후회하는 수가 많다. 몸이 굼뜨고 동작이 느리며 겉으로는 점잖고 여유가 있어 보이지만 속으로는 조바심을 내거나 걱정을 많이 하는 편이다. 태음인은 체격이 대형이고 뼈대 근육이 튼튼하여 운동이나 수행을 한 사람 중에는 중량급 운동종목에 태음인이 많고 정치가나 사업가 중에도 태음인이 많다. 현대에 와서는 관리직 정치가 중에는 태음인보다는 소양인들이 많이 나타난다. 중국인들의 기질 성품이 태음인의 특징을 많이 보여준다.  

(3)소양인
소양인은 외향적이고 활동적이며 陰地에서보다 陽地에서 활동하는 사람이 많고 인생처세에서 공격과 방어전략을 동시에 사용하나 공격적 성향이 강하다. 화려한 일과 남 앞에 나서는 일을 좋아하고 좀 까불거나 촐랑대며 경거망동하여 큰일을 이루지 못하고 반쯤 하다 그만두는 수가 많다. 서두르거나 빨리 일을 하여 속전속결하는 스타일로 단기적인 일을 잘하나 장기적인 사업에는 안목과 계획성이 부족하여 큰일을 이루기 힘들다. 인기연예인이나 외향적으로 남 앞에서 선전을 하거나 사람을 많이 접하는 직업인에 태양인이 많다. 한국인의 조급하고 단시일에 업적을 이루려는「빨리빨리 속성 문화」는 소양인의 기질과 성격을 많이 닮았다.  

(4)소음인
소음인은 내향적이고 靜的으로 사무실 안이나 방안에서 거주하며 일하는 경우가 많다. 陽地에서보다 陰地에서 활동하는 사람이 많고 인생처세에서 공격과 방어전략을 동시에 사용하나 방어적 성향이 강하다. 속으로 차분하게 계산하며 궁리하며 자기의 속마음을 잘 열어 보이지 않는 일본인의 성격을 많이 닮았다. 가정적인 현모양처로 내조를 잘하는 여자 중에는 소음인이 많다. 신경이 예민하고 철두철미 꼼꼼하게 일을 하고 계획을 세우고 충분히 승산이 있을 때 행동에 들어가나 너무 소심하게 따져서 신경증이나 결벽성이 있어서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결점이 있다.  

★사상체질을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의 4가지 종류로 분류하지만 태어날 때부터 선천적으로 품수된 혈액형이나 유전자가 바뀌는 것은 아니지만 기질과 성품은 성장의 경험과 환경의 영향 따라 변화되어 나간다. 각 사람에게 고유한 체질을 바탕으로 습관(습성)이 함양되고 天地人의 三符印의 氣功力영향에 의한 기질이 심신 상호작용과 결부되어 개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성격으로 형성되어 한 개인의 고유한 생리심리정신구조가 형성되어 전체적인 인간 운명의 방향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오행오성의 상생 상극형 음양조합에 따른 얼굴모양 분류모델 ▼

 태양인(太陽人):肺大肝小

 태음인(太陰人):肝大肺小

 소양인(少陽人):脾大腎小

 소음인(少陰人):腎大脾小

상단전 가슴발달 肺형 체질

중단전 下腹부발달 肝체질

중단전 上腹부발달 脾체질

하단전 腰부발달 腎체질

               ▼사상체질인 들의 신체적 특성과 생리 심리 정신구조의 특징분류 ▼

사상인

태양인(太陽人):肺大肝小

태음인(太陰人):肝大肺小

소양인(少陽人):脾大腎小

소음인(少陰人):腎大脾小

1.얼굴형

부채꼴, 공작날개 벌린형. 광대뼈가 불룩

方形, 둥근 모서리 사각형. 둥근 네모형

마름모형, DIAMOND형. 역삼각형

원형, 계란형, 씨앗 열매형. 상하좌우 대칭균형

2.머리형

머리상부의 양옆관자놀이가 넓게 발달했고 이마도 크고 불룩하다. 귀가 크고 중앙부위의 근육이 번들거린다.

머리전체가 크나 굴곡이 거의 없고 둥근 사각형 편이다. 이마에 주름이 있고, 귀와 입술이 두툼하다.

머리에 완만한 요철(凹凸)굴곡이 있고 살결이 단단한 형상이다. 얼굴의 윤곽선이 섬세하고 예민한 인상을 준다.

얼굴형이 갸름하고 아담하며 상하균형이 있고 피부는 부드럽고 유연한 인상이다. 여자는 예쁘거나 미인형이 많다.

3.머리카락-눈썹-체모

머리털이 억세거나 곱슬곱슬하기도 하며 눈썹이 짧으며 일직선에 가깝고 숱이 적으며 짙고 체모도 적으며 억세다.

머리털이 가늘고 부드러우며 눈썹이 길고 곡선이며 숱이 많고 눈꺼풀에 살집이 많고 체모도 많고 유연하다.

곱슬머리 경향이고 윤기가 많다. 일자형으로 뻗은 경우가 많고 남자는 수염이 적은 편이다. 체모도 듬성듬성하다.

머리털이 유연하고 아주 가는 편이다. 눈썹이 반달모양 곡선으로 가늘고 이며 숱이 보통이고 체모도 풍부하며 부드럽다.

4.성대

성대의 톤(tone)이 굵고 음량도 억세다. 우두머리의 말을 하고 격식을 갖추어 말한다.baritone계통의 음색에 가깝다.

목소리가 장중하고 위엄이 서리거나 느릿느릿하다. 때로는 답답한  느낌이 들고 意思가 분명치 않다.tenor나 bass계통의 음색이다.

목소리가 맑고 청아하며 변성의 기술이 능하다. 또박또박 발성하고 강하게 음성을 바꾸어 말한다.baritone이나 alto계통

.음성이 낭랑하고 은근하면서 色感을 풍긴다. 감미로우면서 호소력이 있다.soprano나 alto계통의 음성이다.

5.체격

체격이 크고 어깨가 넓으며 상체가 발달했다.가슴부위의 근육이 발달했다. 허리나 엉덩이가 약하여 장시간 서있기 힘들다.

머리에 비해 목이 가늘고 상체가 짧고 펑퍼짐하다. 손발이 크고 手足指가 뭉툭하다. 골격이 굵고 장대하고 둔중한 느낌이다.

몸통근육이 단단하고 상체의 근육이 고루 발달. 체격이 단단해 보이나 상대적으로 엉덩이 살이 빈약하고 하체가 약하다.

하체가 고루 발달하여 신체의 육감적 균형미가 풍만하다. 상대적으로 상체가 빈약하다.체구는 근육질로 작은 사람이 많다.

6.몸체

상체에 비해 하체가 약하다. 엉덩이가 빈약하고 다리도 상체에 비해 짧은 편이다.여자는 어깨 가슴이 유달리 커 보인다.

배가 불룩하고 하체가 비대하며 살집이 무르고 동작이 느리다. 거만한 기운이 보인다. 호흡기가 약하거나 숨결이 거칠다.

엉덩이와 다리는 근육형이고 살집이 빈약하다. 상하체의 균형이 알맞고 남자는 단단하고 여자는 날씬한 형이 많다.

여자일수록 상하체의 균형이 맞고 날씬하거나 SEXY한 편이다.남자도 상하체가 고루 발달한 형이다.

7.내부장기형

호흡순환계발달(지식과 행동겸비 활동형

내장근육발달하고 살과 혈이 많은 비만 (사업추진형)

소화흡수발달(운동기술예능형)

생식배설발달(사무연구예능재주기예 발휘형)

8.기색

흰색바탕에 붉은 기운이나 갈색의 윤기가 돈다.

황색바탕에 검푸른 기운이 나 청색의 기색이 돈다.

흰색바탕에 황갈색이나 구리 빛의 기운이 돈다.

황색바탕에 홍자색(紅紫色)의 기운이 돈다.

9.성품 및 의식세계

원기왕성하고 공명정대한 성품에 모험개척의 정신이 뛰어나서 명예나 부를 잘 쌓으나 정확성이 부족하면 마무리를 잘못한다.

은인자중하며 집념이 강하여 장기적 안목이 우수하나 자신의 주장이나 고집에 집착하여 큰 것을 바라다 적은 것도 놓친다.

생기발랄한 성격에 동작이 민첩하며 사교활동력이 좋고 창의력이 있으나 저돌적 猛進性으로 실수가 있거나 경거망동한다.

심사숙고하는 침착한 기질로 책임감이 강하며  활동성이 강하여 자수성가하는 부지런한 성품이나 소심하거나 용기가 부족하다.

10.직업의 방향

과학자, 탐험발굴가, 학자예술가, 종교가(기독교),법관 행정가 교육가, 홍보원

정치가 군대지휘관, 관리사업가, 현장감독, 운동선수 종교가(불교) 수도인

외교관 군인 경찰 무술가, 장식업, 디자이너, 회사원, 중개사, 세일즈맨, 방송인

교육자 공무원, 은행원, 경리계산원, 도서사서인 기능공, 패션모델, 연예인,

사상인

태양인(太陽人):肺大肝小

태음인(太陰人):肝大肺小

소양인(少陽人):脾大腎小

소음인(少陰人):腎大脾小

11.오행

        火性人形

           水性人形

          木性人形

            金性人形

12.類似오행

火生土, 火克金

水生木, 水克火,土性亞人土克水[로 막힌 물]

木生火,木克土

金生水, 金克木,土生金

13.삼국지 인물

 관우(義-羞惡之心)

 유비(禮-辭讓之心)

 장비(仁-惻隱之心)

제갈량(智-分別,是非之心)

14.사고방향

 외부지향성(하늘방향)으로 남에게 지기 싫어하는 과시형으로 옹고집이 있고 항상 작은 것보다는 큰 것을 추구한다.

 내부지향성(땅 방향)으로 은근과 끈기로 인생의 승부를 거는 권모술수의 처세기질이 있으며 욕망을 내부로 불태우고 있다.

 시간지향성(정신방향)으로 순발력과 재치로 자아를 확장해가는 능동적 대인처세로 공격형 개척자의 길을 무모하게 돌진한다.

 공간지향성(물질방향)으로 실리추구의 착실 전진형으로 감성이 풍부하고 기억력이 좋아 사물에 적응하는 순발력이 뛰어난다.

15.수상형

 태양선,인기선 발달

 엄지 손가락 발달,생명선 건강선 발달

 운명선 두뇌선 발달

 월구발달, 감정선 양호

16.재능

天時得音와 歷史전통의 來歷사무에 능하다.

人倫道德과 黨與를 잘 이끈다.

世會와 世時風俗에 밝고 交友를 잘함

地方인심과 山川地理에 적응하는 居處술에 능함.

17.SEX감정

 자기만족 중심 속전속결의 활화산형

 내면적 은근 끈기 본능충실 대화보다 몸으로 느낌

 외형적 기교추구 변화무쌍한 감각을 중시한다.

 낭만과 요염한 정감을 탐닉하는 분위기를 중시함

2.팔 다리 근육피부 감정법
 
①사지 팔다리의 뼈대와 골상 척수의 구조
 ②주름살 사마귀 점 모발 기타 각종 부위
 ③동작 언어 호흡 식사 걸음걸이 앉음새
 ④누운 자세 기타 일상생활의 여러 자태

제2장: 체형 체질 습성 기질 성격과 심성사고 세부 각론
 이제마 李濟馬(1838∼1900)는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 사람의 체질을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의 4가지 종류로 분류하여 체형 체질에 기초한 사람의 기질과 성격의 심성사고체제까지 분석하여 질병치료에 활용했다. 물론 수많은 사람들을 이 4가지 체질모형[체형]으로 정확하게 진단하고 치료법을 처방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더구나 사람의 능력과 자질을 분석하고 운명적 처방의 진로까지 제시하는 데는 음양오행의 동양철학 원리를 근본적으로 참조해야 인물감정을 더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인체의 체질을 바탕으로 나이가 먹어감에 따라 각 사람에게 고유한 습성이 함양되고 天地人의 三符印의 기공영향에 의한 기질이 생체적 사고 정신 작용과 결부되어 각 사람의 개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성격으로 형성되어 한 개인의 고유한 생리심리정신구조가 형성되어 전체적인 인간 운명의 방향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계절

四端

天機耳目
口鼻長技

운동방향

체형체질
장부특성

人事처세

성격기질
장 단점

심성 특성
사고 방향

소양인

인-측은지심仁-惻隱之心

목시세회
目視世會

발아분열

脾大腎小눈-가슴-어깨발달

交遇
經綸
威儀

사람을 잘 사귀는 심리기법을 잘 구사하나 이익에 따라 움직인다.

극대(極大)-자아 확충을 최대로 키운다.

태양인

 

여름

의-수오지심義-羞惡之心

이청천시耳聽天時

개화통일

肺大肝小귀-턱-머리발달

事務
籌策
識見

다방면의 업무능력이 능숙하나 배은망덕의 기질이 있다.

극탕(極蕩)-넓고 크게 흔들리며 뻗어간다

소음인

가을

지-시비지심智-是非之心

구미지방口未地方

수렴압축

腎大脾小입-단전-볼기발달

居處
度量
方略

땅과 생물의 거처 둥지를 잘 틀어 보금자리를 잘 지키나 사람을 차별한다.

극막(極邈)-자기 생각을 멀리까지 추구한다.

태음인

겨울

예-사양지심禮-辭讓之心

비후인륜鼻嗅人倫

저장양생

肝大肺小코-臍輪-허리발달

黨與
行檢
才幹

무리를 잘 지어 단체를 만드는 능력이 있으나 음흉한 권모술수가 내재한다.

극광(極廣)-자아 확충을 최대로 넓힌다.

1.사상체질인의 실천윤리 처세방향

(1)소양인
자신의 능력보다 과도한 욕망과 포부를 달성하기 위해 용기가 가상하지만 상대방을 흠집내거나 시기 비방 중상모략하는 비열한 행동을 저지르는 수가 있다. 뜻대로 되지 않을 때 자신을 비하시키고 자포자기하면서 막연히 무언가 잘될 것이라는 의뢰심(依賴心)이 발동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자만하거나 교언영색(巧言令色)하는 잔꾀를 부리기도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는 패륜적 기질이 있으니 자중하고 수양하여 교양을 쌓으면 결점이 보완된다. 변화에 민감하고 처세의 융통성이 있고 재주기예에 능해서 사업적인 방향에 대성할 소질이 있다.

(2)태양인
외형상 頭部가 크고 상체가 발달해서 자기가 잘났다는 아만심(我慢心)의 識見에 젖어 기고만장하거나 과시하는 버릇이 있다.  엉성한 이론이나 대충 대충하는 방략(方略)을 구사하여 세부적인 업무에 허실이 많다. 기량이 달릴 때는 남모르는 방책이나 비겁한 악수(惡手)를 두어 자신을 망치는 수가 있다. 항상 정도를 걷도록 하고 자기 역량에 알맞은 계획과 실천을 할 때 상당한 성공을 거둘 수가 있다.

(3)소음인
인체하부의 생산기능이 발달해 사무처리와 물질경영에 두각을 나타내어 자기 꾀에 자기가 속는 자충수(自充手)를 두는 수가 있다. 물욕이 方略이 강해서 남의 소유를 자기 것으로 탈취하고 빼앗는 암수(暗數)와 비천심(卑賤心)에 능하니 처음에는 성공하나 나중에 패가망신하는 수가 있다.  인생의 경륜과 명언 충고에 귀기울이는 자아수양이 겸비되면 자기포부의 희망을 무난하게 성취할 수 있다.

(4)태음인
하체가 발달하여 허리의 힘이 세고 근력이나 체력이 강해 체구를 믿고 큰소리치는 사치심(奢侈心)이 있어 주책없이 거들먹거리거나 으스대는 교만심이 있다. 억지로 위엄을 부리거나 무리한 권위를 내세워 남을 억누르는 위세를 부려서 타인의 미움을 살 염려가 있다. 성격이 밖으로 명쾌하지 못하고 음흉한 권모술수를 부리는 사람도 있으나 선한 방향으로 심성을 개발하여 인격수양을 한다든지 종교적인 수양을 많이 하여 덕성을 쌓으면 훌륭한 인품을 닦아 사회적인 지도자가 될 수 있다.  

2.성격 기질상으로 본 사상인의 장단점
(1)소양인
   소양인은 지식과 경륜이 있어 세파(世波)의 흐름에 민감하게 대처하는 임기응변의 능력이 있지만 자신의 능력을 과신하고 자만하는 경박한 기질이 있다. 동작이 민첩하고 행동력이 빨라 밖으로 다니기를 좋아하고 몸에 열이 많아 화를 잘 내고 성격이 급하고 참을성이 부족하다.조금만 재주를 떠벌리고 일을 크게 벌리나 용두사미의 졸속이 있으니 성실하게 안분지족(安分知足)하는 안정성이 요구된다. 마음의 안정을 유지하고 심신의 균형을 잡아 심사숙고하면 실수를 방지하여 점차적으로 큰 일을 성취할 수 있다. 일이 잘될 때 자만하고 방종하는 혈기와 좌충우돌을 자제하고 차분하게 나아가면 별 무리없이 평생동안 분복(分福)을 누릴 수 있다.

(2)태양인
   태양인은 주책(籌策)과 행검(行檢)을 갖추고 역발산으로 나아가는 용기가 있지만 너무 자신을 내세우고 뽐내는 허장성세의 과시욕이 있다. 성품의 특징은 사고력이 뛰어나고 진취적인 기상이 강하다. 영웅적 자존심이 강하여 깊이 생각해보지 않고 단순하게 좌충우돌하는 저돌적 만용을 부린다. 선악간에 의협심과 분노가 강하여 자신의 몸을 돌보지 않고 공격하다 일을 감당하지 못하는 실수를 저지르는 수가 많으니 항상 수양을 해서 신중하게 처신해야 한다.몸체와 체격이 큰 사람부터 평균치까지 다양한 용모로 도량이 넓고 경륜도 풍부하나 자기 역량에 과신하여 방자한 처세를 하여 낭패를 보는 수가 있다. 극과 극을 달리는 무원칙한 고집을 버리고 은인자중(隱忍自重)하는 신중성이 필요하다. 타고난 기질의 장단점도 후천적인 교육으로 개선할 수 있으나 뿌리깊은 습벽은 고치기 힘드니 항상 천성적 자질함얌에 힘써야 한다. 타인을 함부로 무시하고 깎아 내리는 증상만 아만심(增上滿 我慢心)을 경계해야 한다.

(3)소음인
   소음인은 조용한 성품에 내성적이며 남자라도 여성적인 이미지가 많이 풍긴다. 감성이 풍부하여 예술이나 기예 요리 장식 도안에 취미와 소질이 많다. 생각이 깊은 것 같으나 소심하고 부끄러워하는 기질이 있다. 겉으로는 겸손한 척하지만 내면적으로 경륜을 감추고 실력도 있어 자부심이 대단하다. 은인자중하여 실리적으로 자기의 포부와 욕구를 성취시켜나가는 능력이 있으나 때로는 매정하게 뿌리치는 냉정함이 있어 타인으로부터 미움을 받거나 오해를 사기도 한다. 이상적 심미주의 심성으로 예술적 천분(天分)이 있지만 후천적 교양이나 체계적 학술이나 기예가 없으면 공상에 빠지기도 하여 적극적 행동력의 추진력이 약하다. 소규모의 일에 민감하게 대처하고 성실하게 절약하는 알뜰형으로 차분하게 일을 하여 실수가 적다. 한가지에 집착한다든지 안목과 식견이 좁아 활달한 면이 부족하고 자만심과 질투심도 강하다. 가정적이고 부드러운 성품에 아기자기한 면도 있고 자기분야에 정통한 전문가의 기질이 있으니 개방적인 다양성과 융통성이 부족하여 대인관계에 답답하고 짜증스런 처세를 하기도 한다.   

(4)태음인
   태음인은 인내심과 포용심이 많으나 대로는 우둔한 것 같기도 하다. 변화와 개척보다는 보수적 전통을 답습하고 자기 주관을 묵묵히 지켜나가는 안정성은 있으니 사교적 친절성이 부족하여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인상을 준다거나 인상적이 느낌이 잘 들지 않는다. 태음인 중에서 지식이나 교양 학식이 부족하면 물질적 욕망이나 나쁜 습관에 빠져 음주 도박에 빠지는 사람도 있다. 안으로 생각하는 기질이 많아 감정의 변화가 외면에 잘 나타나지 않아 대인관계에 활동성이 모자란다. 근육이나 체력이 강해 중량급 운동에 타고난 힘이 있다. 여자로서 태음인은 애정적인 대화가 모자라고 섹스상의 기교도 부족하거나 감성도가 둔중하여 성적인 매력이 약하여 별 인기가 없으니 체질개선이나 성격개조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3.심성특성 사고방향으로 본 사상인의 생활태도 개선방안
(1)소양인
   사람사이의 교우관계 인간처세의 교제수완이 능란하여 집단을 움직이고 사물을 유통시키는 직업에 두각을 나타낸다. 경거망동하거나 자신을 과신하여 욕심을 부리다 실패하는 경향이 많으니 매사에 신중을 기하고 심사숙고하는 은인자중의 미덕을 닦아야 실수가 적다. 소화흡수를 주관하는 脾臟의 기능이 왕성하여 좌충우돌 일을 신속원활하게 추진하는 재치와 박력이 있다. 소양인은 현실적인 두뇌회전이 빠르고 행동이 민첩할 정도로 허리의 기능이 왕성하나 하단전 음기가 부족하여 끈질긴 지구력이 약하다. 이로 인해 요통이 발생할 경우가 위험이 있으니 항상 상하체 운동을 고루하여 허리와 다리의 힘을 강화하고 陰氣를 보양하는 섭생과 식이요법을 하는 것이 좋다.
   행동사물을 대국적으로 보지 못하고 좁은 안목에 그릇이 작은 소인의 行態가 있으니 폐장기능을 강화하여 멀리 크게 보는 안목을 키워서 참다운 소양인의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인내력과 포용심이 부족하고 경박한 면이 있으니 학문적 이론과 인격수양에 힘써서 자신을 더욱 크게 개발하는 다양성의 경륜이 필요하다.

(2)태양인
   역사적 현실을 인식하는 통찰의 능력이 탁월해서 해서 개인적 事務능력을 집단이나 국가 민족의식과 연결시키는 혁명의식이 있다. 항상 작은 것 보다 큰 것을 생각하고 악하고 탁하고 어지러운 것을 선하고 깨끗하고 정돈된 질서로 바꾸려는 개혁의지가 충만하나 세밀한 계획과 현실을 잘 간파하고 꼼꼼하게 추진하는 실천력이 없으면 한갓 꿈이나 공상으로 실패할 수가 있으니 자아의식을 투철히 반성하고 수립해야 성공할 수 있다.  
   가슴이 넓고 포부와 희망이 선선하게 교체되는 가스교환의 허파호흡을 잘해야 한다. 태양인의 先天之氣와 浩然之氣를 잘 기르나 독불장군이나 유아독존식으로 나아가면 역사의식을 잘못 해석하여 자신과 타인의 신세를 망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태양인은 다혈질 기질이 강하고 허리 하체부위가 약하여 무거운 상체를 지탱하는 데 힘이 든다. 고로 脾臟기능을 강화하여 몸과 마음에 중심을 잡고 많은 사람과 화합하고 어우르는 화합과 안정의 哲理를 터득해야 진정한 태양인의 기질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스스로 안정하고 분수를 지켜 조급한 성격을 조절하고 함부로 분노를 발하거나 성질을 부리지 않도록 절제해야 무병장수할 수 있다.
   너무 신중하여 굴종적인 인내심으로 자신을 학대하고 처지를 비관하는 소극적 자세는 정신건강에 좋지 않다. 사회의 불합리와 비리에 대한 분노의 炎을 발하여 참다운 기개를 발휘할 운세일 때는 과감하게 나아가라. 자신을 무모하게 돌진시켜 주위로부터 업신여김을 받거나 왕따를 당할 수도 있느니 참다운 친구나 반려자 보조자가 필요하다.  맹목적인 돌진을 방지하기 위하여 학문이나 지식을 갈고 닦아 실력을 연마하고 심신을 수양하여 인격을 도야하며 정상적인 진격을 할 수 있도록 항상 切磋琢磨하는 군자 도인의 길을 걸어야 한다.

(3)소음인
   가정적으로 地方에 안주하여 편안함을 구하는 안일의 나약함을 경계하는 진취적 기상이 필요하다. 배설과 생식을 주관하는 신장의 기능이 탁월한 것이 소음인의 체질적 특성이다. 따라서 사람사이의 情과 물질을 잘 분배하고 생산적으로 처세하는 업무에 종사하면 성공할 가망이 많다.간장기능을 강화하여 의기소침한 성격을 생기발랄한 활력을 얻도록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그러면 내성적이고 우울한 성격에서 외향적 적극성이 함양되어 기쁨과 생기를 얻는 밝은 陽적인 면이 강화될 것이다. 신장의 기능이 강하여 다른 체질보다 요통이나 허리가 아플 확률이 낮다. 비위장 계통이 약하므로 복부 근육이 허약하고 소화흡수가 잘 안되는 경우가 있어 내장기능에 부조화의 위험이 있다.
   소극적인 기질에 내성적인 성품이 강하므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기혈순행의 불일치로 우울증이나 신경증이 생길 수 있으니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밝고 명랑한 생활을 하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사리사욕을 극복하고 능히 대국적으로 자신을 컨트롤해야 대업을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물질위주의 이기적인 면이 강하기 때문에 정신적인 의미와 靈的인 수양을 많이 하여 물질을 초월하는 박애주의나 인류애 같은 넓은 우주적 세계를 알면 진정한 소음인이라 할 수 있다.  

(4)태음인
   인륜을 중시하고 黨與 집단을 꾸려서 지도하는 보스 기질이 능숙하다. 집단과 단체를 이끌어 가는 데는 조직적 규율과 질서를 창안하는 지도력을 터득해야한다. 해독과 저장축적을 주관하는 간장의 기능이 왕성한 태음인은 물질과 사람을 잘 다루어 재물을 모으는 재간이 있어 부자나 갑부 중에 태음인이 많다. 태음인은 하복부의 힘이 좋아서 적당한 운동으로 체중조절을 하게되면 강한 허리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탐식하여 비대증에 걸리거나 몸체가 둔중하지 않도록 고카로리(Calorie)나 살이 찌는 단백질 음식을 피해야 한다. 성품이 느긋하고 동작이 둔한 편이므로 몸이 무겁거나 비만증을 일으키는 영양식을 삼가하고 담백한 음식이나 과일 채소류를 자주 섭취하여 맑은 정신건강을 도모해야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무뚝뚝한 기질에 친절성이나 사교성이 부족하여 다정다감하고 가정적인 성품이 부족하니 대인관계 처세술에 신경을 써서 명랑 쾌활한 성격이 되도록 심신을 연마해야 한다. 무뚝뚝한 대인관계는 자칫 거만하거나 무례한 사람으로 오인받으니 仁慈으 덕망을 쌓아야 진정한 태음인이 될 수 있다. 큰 일을 하려면 자기의 큰 몸을 다스리고 조절하는 심신기공력을 단련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극기훈련을 하여 신체의 기민성을 높이고 느릿느릿한 동작을 신속하게 움직이는 체력단련을 해야만 자기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제3장: 체질 성격 기질론
1.수형학(手形學: Cheirognomy)과 4체액 기질론
수형학(手形學): Cheirognomy[k iragn mi]∼The judging science of reading person's fate and destiny including body, mind and character, habit after seeing the shape of the hand feature and finger's shape.
                                     ☆                    ☆                    ☆
수형학은 인간 생명유기체 몸체의 내장기관인 오장육부와 외형적인 사지백체의 머리 가슴 허리 다리 등의 상 하체 중에서 유일하게 상징적인 손의 형태와 모양 생김새 살결 근육과 살집의 강약과 단단하고 부드러운 피부상태를 종합적으로 관찰하고 감정하는 분야로써 주로 각 개인의 과거와 현재를 소급 추리하며 체격적인 특징과 가문 가계도 신체나 골상 등을 판단한다. 손의 생김새나 색깔을 종합하여 그 형태의 상징의미를 분석하고 판단하는 데는 4체액 기질론을 참조하면 피 감정인의 성격이나 기질 등을 미리 예단할 수 있다.

2.4체액(體液) 기질론(氣質論) 
사람의 피부색은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체액에 의해서 결정되고 그 체액의 색상이 혈액순환과 함께 살갗을 통해서 색소로 비쳐 나온다. 그런데 체액과 혈액이 음양조화로 비쳐 나오는 피부혈색은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살갗 피부색으로 보지만 운명적인 길흉을 판단하는 천지기운의 운기혈색(運氣穴色)과는 구별된다. 즉 運氣穴色은 각 개인의 체액적 혈색이 몸밖의 천지운기인 오운육기와 상호교신되어 나타나는 運氣色으로 皮膚氣血색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감안하여 운명감정의 예언에 임해야 한다. 사람의 氣血色은 장기적인 개인의 체액혈색이지만 運氣穴色은 천지오윤육기의 변동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된다고 보면 된다.

4체액형

혈색 기혈

기질 성격 개성의 징후

사상체질적 비고

 점액질
(粘液質)

붉은 색 계통의 기운이 많이 비친다.

정력이 왕성하고 다변으로 자기 자랑이나 과장 현시성이 강하다. 자기의 감정과 정서를 솔직하게 잘 드러내며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능동적 인간형

심장 혈액의 기운이 강한 소양인체질과 비슷하다. 상향적 적극적 성격이다.

다혈질
(多血質)

암색이나 납색기운이 나타남

침울하거나 비관적 염세적 성질이 강하며 소극적이거나 내성적이고 심하면 자폐증 노이로제 증상이 있다.

콩팥 생식선의 기운이 강하고 소음인의 체질에 가깝고 하향적 소극적이다.

담즙질
(膽汁質)

푸른색 계통의  기운이 감돌거나 창백하다.

침착하고 냉정하며 인내심이 강하다. 자아 집념성이 심해서 과대망상증이 있거나 고집불통으로 거만한 기질과 성격이 농후함.

폐장 호흡기가 발달하고담낭(쓸개)의  기운이 강하며 태양인과 비슷하고 진취적이고 확산적이다.

우울질
(憂鬱質)

황색기운 혹은 담홍색(淡紅色)

온후한 성품에 냉정 침착성을 유지하는 심사숙고형의 사색적 인간으로 행동하기에 앞서 여러 번 생각한다.

간장과 비장(지라)의 기운이 강한 태음인의 체질과 흡사하고 보수적 안정적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체액에 의해서 결정되고 그 체액의 색상이 혈액순환과 함께 살갗을 통해서 색소로 비쳐 나온다. 그런데 체액과 혈액이 음양조화로 비쳐 나오는 혈색은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피부색으로 보지만 운명적인 길흉을 판단하는 천지기운의 기혈색(氣穴色)과는 구별된다. 즉 기혈색은 각 개인의 체액적 혈색이 몸밖의 천지운기인 오운육기와 상호교신되어 나타나는 기색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감안하여 운명감정의 예언에 임해야 한다.

※오운육기(五運六氣) : 무극에서 태극이 배태되고 태극의 음양운동으로 오행이 생성되고 오행을 운동적 차원에서 파악하여 오운인 木火土金水라 하고 육기는 지구와 대기간의 자전 공전의 운동축의 변화에 따라 생겨나는 기후의 육차 변동인 溫暖寒熱燥濕의 온도차를 말한다. 또한 인간 영혼의 차원에서는 우주 靈氣의 에테르(Ether)색으로 챠크라(Chakra)와 같은 靈妙한 색채가 있는 데 그것은 고도로 영적인 수행을 이룬 사람의 靈眼 心眼(Mind's eye)에 무지개나 오로라(Aura)와 같은 현상으로 顯現한다. 이것은 심령투시의 심상감정법에 속하는 인물 감정법이다. 

3.인물의 성격파악과 기질 및 개성의 분석

(1)성격(Character)-①A person or the group of qualities that makes any person or thing different from others; any distinctive mark.② moral and mental nature③a person of some particular nature of the weak or strong point.
(2)기질(Temperament)-①One's nature or disposition of mood②the general character,esp.in regard to the feelings
(3)개성(Personality)-①the state, quality, or fact of being a person②the personal quality that makes one person to be different from others.

제4장: 체상 심상 종합판단법
1.사상체질의 천부적 품성바탕
2.사상체상 성격기질 심상분류 특징의 종합판단 감정법

제5장: 동양철학의 원리에 따른 사상체질 분류법
1.동양철학 원리 주역팔괘(周易八卦) 방위 원리도
2.사상체질의 12지 배치도
3.사상체질의 오행방위 배치도
4.사상체질 분류의 감정판단 기준법
  한의학에서 분류되는 사상체질은 동양철학상의 오행상의 상생상극에 의한 15가지 인상법의 인물분류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즉 無極의 核仁에서 뿜어져 나오는 블랙홀(Black Hole)의 소용돌이에서 분화된  天地創生의 始源에서 태극이 배태(胚胎)되면 음양이 잉태(孕胎)하여 四象이 생겨나고 64괘의 주역괘가 완성된다. 그러나 여기서 토성은 중앙에 위치하여 사상으로 분열되는 과정에서 중앙의 내부핵심에서 사상괘의 분열에 부분적으로 침투되어 내장된 기운이라 할 수 있다. 수많은 인물형을 사상으로만 뚜렷하게 구별되어 지는 것만 아니라 음양이 분리될 때 상호 相生相剋과 生扶共合 刑衝克害의 과정에서 수많은 物形의 인물유형이 생겨난다. 그래서 관상학이나 인상법 인물감정에서는 사상체질과 함께 토성형의 인물형이 별도로 생겨나고 또 순수하고 완전한 四象의 특징을 갖춘 인물형은 드물고 대개가 상호복합적으로 혼합되어 있으니 사실 한의학에서 말하는 사상체질처럼 명확하게 구별하기 힘들다. 그래서 오행을 바탕으로 상생상극의 조합을 하면 15개의 기본 인물형으로 분류하여 피감정자가 어디에 속하는 인물형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면 훨씬 감정하기가 수월하다. 그렇다면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의 사상체질 인물형에는 토성형의 성질이 가미된 복합된 인물형이 어디에도 혼합되어 존재한다는 것을 참작하여 인물을 분류하고 감정해야 현실적으로 정확한 판단기준법이 된다.

★수많은 인물 중에서 동양철학상으로는 태양인이 제일 드물고 그 다음 태음인이 적으며 대부분이 소양인이나 소음인이다. 즉 소양인 소음인이 각각 30 %정도고 태음인이 15 %요 태양인은 5 %정도로 보면 되고 나머지 20 %정도는 중립성 혼성체질인 토성복합인이 20% 정도이다. 또 다른 통계자료는 태양인이 5∼8%정도까지 된다는 분류도 있다.토성 복합인은 태음인 체질과 비슷한 토성亞人과 토극수형의 陽土人과 소음인체질과 비슷한 토생금형의 陰土人으로 나눈다. 같은 원리로 태양인과 흡사한 화극금이나 소양인과 유사한 목극토형의 인물도 토성혼성체질로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오행론에서 토는 중앙토의 방위에서 동서남북의 사방위에 영향을 주고 받기 때문이다.

(1)태양인
①용모 신체상의 특징
   얼굴은 둥근 편이나 이마 양옆의 근육이나 살집이 발달했다. 이마가 불룩하게 발달한 사람도 있고 눈이 부리부리하거나 광채가 난다. 목 뒷머리 부위의 근육이 불룩하게 융기하거나 가슴 어깨부위도 떡 벌어진 형상이다.  즉 얼굴의 선이 굵고 강하여 전체 윤곽이 서양인의 얼굴형태를 닮은 사람이 많다.  肺大肝小형으로 내장의 상부가 강하고 中焦의 상부가 약하다. 내장기의 下焦와 하체가 약하다. 대체로 몸 전체 중 상체가 떡 벌어지고 하체는 훌쭉하게 마른 편이고 근육이 발달했다. 그러나 태양인이라고 다 그런 것은 아니다. 즉 신체적인 사상분류 뿐만 아니라 정신적 심리적 사상인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②기질 성품 바탕의 성격
   태양인 진취성이 강하고 대인처세가 폭 넓고 지도력이 훌륭하며 교제의 수완이 있다. 전형적인 남성형 성격의 사람의 사람으로 진취성이 뛰어나고 말과 행동이 동시에 발생하는 적극성을 지니고 있으나 장기적인 업무에는 조급함으로 실패를 하는 수가 많다. 대범하게 처신하나 세밀한 계획성과 추진력의 인내심이 약하다. 공격적인 처세형으로 타인에게 거만하고 독선적인 사람으로 인색되어 주위에 적과 경쟁자가 많아 용두사미가 될 경우가 많으니 사전에 성격을 개조하여 일관성이 있도록 해야한다.
   자존심이 강하고 영웅적인 행동을 모방하여 비극적으로 끝나는 경우가 허다하다. 자신이 최고라는 자부심이나 자긍심은 좋으나 실력이 모자라면서 자기를 과신하는 자만심을 경계해야 한다. 따라서 마음을 안정시키고 자아수행으로 심사숙고하고 대세의 흐름이나 시국적 경향을 잘 파악하여 너무 앞서가 일을 그르치는 결점을 보완하면 자기가 마음먹은 목표의 70-80%를 달성할 수 있다. 큰일은 잘 謀事하나 적은 일에 실수하여 목적을 이루지 못하니 항상 자신을 반성하고 자제하여 단계적으로 나아가야 성공할 수 있다.

③질병예방상 대체의학 건강요법
   태양인은 폐와 호흡기계통은 튼튼하나 간장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해서 혈액의 생성이나 순환 저장능력이 떨어져 신경계통의 이상이 올 수 있고 정서적 안정감이 약하다. 대체의학의 시술요법으론 상체의 강한 기운을 하체로 전이시키는 2단정지 복식심호흡을 하면 상하체의 원기가 원활하게 되어 몸전체의 에너지 신진대사가 왕성하게 된다. 상체는 강하지만 하체가 약한 편이므로 다리운동에 중점을 두는 산책 등산 달리기 줄넘기 운동이 체력관리에 도움이 된다.
④사상체질로 분류한 유사오행 상생상극형 인물감정
  체격이 크고 어깨가 넓으며 상체가 발달했다. 가슴부위의 근육이 발달했다. 엉덩이가 빈약하고 다리도 상체에 비해 짧은 편이다. 오행 및 상생상극 인물형 중에서는
★화성인형 ★화생토형 ★화극금형이  태양인의 체질이나 기질 및 성격과 비슷하다.

화성인 남녀 표준형

화생토 남녀 표준형

화극금 남녀 표준형

⑤사상체질과 유사오행 인물형 직업선택의 처세성공 진로방향
   원기왕성하고 공명정대한 성품에 모험개척의 정신이 뛰어나서 명예나 부를 잘 쌓으나 정확성이 부족하면 마무리를 잘못한다. 성공할 가망이 많은 직업 진출의 방향은 과학자, 탐험발굴가, 학자예술가, 종교가(기독교),법관 행정가 교육가, 홍보원 등의 사회의 외형적 활동의 밝은 분야에 좋다.

(2)태음인
①용모 신체상의 특징
   얼굴의 윤곽이 뚜렷하고 오관의 감각기관도 크다. 걸음걸이가 둔중하고 풍채가 있어 위압감이 드는 사람도 있다. 남녀 공히 눈이 큰 편이고 얼굴의 하관에 살집이 두툼하고 피부도 두껍다. 태음인은 肝大肺小이므로 신체 상부는 좀 약한 편이나 내장기관 허리부분이 튼튼하다. 골격이 크고 신체도 비대한 편이고 키가 크나 적은 사람도 태음인 체형이 많다.
   상체보다는 하체가 발달했으며 특히 허리 골반부가 크고 군살이 붙어 있다. 손발이 비교적 큼직하고 두툼하다. 땀을 많이 흘리며 숨결이 가쁘거나 헉헉거리는 호흡을 한다. 식성이 좋으며 혈색도 건강해 보이나 좀 비루(鄙陋)하거나 천해보이는 사람도 있다.     

②기질 성품 바탕의 성격
   성격은 점잖고 위엄이 서려있으나 속으로 자기궁리의 욕심을 계산하는 이중성이 많다. 말을 잘하지 않으며 행동이 느리나 가만히 지켜보다가도 자기 욕심대로 안되면 욱하고 성질을 부린다. 과묵하고 침착하며 내면적으로 경쟁의식이나 승부욕이 강하여 고집이 세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집념이 강하다. 한편 몸이 둔중하여 게으르고 태만하여 할 일을 잘하지 않고 미루는 미련한 사람도 있다.
   영웅 호걸도 있는 반면 덩치 값도 못하는 못난이도 허다하다. 이런 결과는 체질이 같아도 후천적인 인생역정이 달라 살아가면서 터득하는 교육의 영향과 경험이나 깨달음의 과정에서 사람마다 처한 형편과 자각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후천적인 교육이나 수양으로 겉모습과는 다른 처세를 하는 사람도 있으니 표면적인 인상만 보고 사람을 판단하면 안되고 수상이나 관상 등을 종합적으로 감정해야 적중률을 높일 수 있다. 허세를 부리거나 사치 도락에 빠지는 기형의 인물도 있다. 고집이 강하여 자기의 주관을 밀고 나가는 추진력이 강하다. 무식하거나 우둔하여 이해력이 둔감한 사람도 있으나 자기 개발로 능력을 갖추고 큰 사업체를 운영하는 사람 중에는 태음인이 많다.  

③질병예방상 대체의학 시술법
   태음인은 肺小肝大이므로 간장의 혈액정화기능이나 양분의 저장기능이 왕성하나 호흡기 질환에는 약한 편이다. 인체오행에서 폐장과 대장은 金氣에 속하므로 대장의 배설기관이 약하여 변비나 설사의 질병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태음인은 호흡기가 약하여 감기나 바이러스 전염병에 약하여 산소공급의 부족으로 혈액순환기 고장이나 심장병에 걸릴 위험이 있다. 유전적으로 신체가 비대하여 살집이 많고 피부가 두꺼워 운동력이 부족하면 땀을 많이 흘리거나 지구력이 약하다. 즉 겉으로는 튼튼해 보이나 내공력이 약해 고혈압이나 당뇨 심장질환 비대증의 만성병이 있다.
   간이 튼튼하고 음주에 저항력이 강하여 몸을 믿고 술을 많이 마시는 것은 위험하다. 또한 간과 소화기가 발달해 음식을 많이 먹는 대식가이고 특히 육류를 좋아해 비만형으로 뚱보가 될 염려가 있으니 小食으로 절제하고 운동력을 증가하여 땀으로 살을 빼는 배출운동으로 몸을 가볍게 해야 무병장수 할 수 있다. 질병예방의 대체의학적인 처방은 살을 빼고 인내력을 강화하는 근육형운동으로 에어로빅 수영같은 전신운동으로 심신을 煉丹하여 성인병같은 만성병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해야 한다.

④사상체질로 분류한 유사오행 상생상극형 인물감정 
   
머리에 비해 목이 가늘고 상체가 짧고 펑퍼짐하다. 손발이 크고 手足指가 뭉툭하다.배가 불룩하고 하체가 비대하며 살집이 무르고 동작이 느리다. 오행 및 상생상극 인물형 중에서는 ★수성인 ★수생목 ★수극화 ★토성亞人★토극수 형이 태음인의 체질이나 기질 및 성격과 비슷하다.

수성인 남녀 표준형

수생목 남녀 표준형

수극화 남녀 표준형

토성亞人 남녀 표준형

토극수 남녀 표준형

⑤사상체질과 유사오행 인물형 직업선택의 처세성공 진로방향
   은인자중하며 집념이 강하여 장기적 안목이 우수하나 자신의 주장이나 고집에 집착하여 큰 것을 바라다 적은 것도 놓친다. 적합한 직업의 방향은 정치가 군대지휘관, 관리사업가, 현장감독, 운동선수 종교가(불교) 수도인계통의 사회적 직업분야의 실무적 지도자 위치로 진출할 가망이 많다.

(3)소양인
①용모 신체상의 특징
   소양인은 두부와 어깨 상측 흉곽주위의 근육이 단단하고 살집도 좀 있으며 중키정도가 많으나 하체는 훌쭉하다. 머리의 앞뒤가 불룩하고 눈에 광채가 있으며 살결은 매끄럽고 피부 색깔은 紅紫색에 가깝다. 외관상 처세에 밝고 세련되어 무슨 일이든 당장 해치우려는 빠른 동작의 기민성을 갖고 있다. 목소리는 낭랑하고 남자는 알토(Alto)계통이고 여자 목소리와 비슷하다.  가슴주위 상체는 강하나 하체는 약한 편이다.     

②기질 성품 바탕의 성격
   소양인들은 외향적 공격적 적극적 활동이 뛰어난 편이나 성격이 좀 급박하고 뜻대로 안되면 금방 화를 내기도 하며 덜렁대는 기질이 있다. 그러나 후회나 체념에 휩싸이는 고지식한 성품이 아니라 새로운 자세로 전환하여 개척하는 진취적 창의성이 뛰어나다. 말씨가 세련되고 대화의 속도가 빠른 편이다. 의사와 감정의 표현이 직선적이고 솔직담백하나 좀 거만하거나 잘난 체하며 까부는 기색이 보이기도 한다. 가정적인 면보다는 사회적인 대외봉사나 자기 개발에 능숙하고 사람을 잘 사귀는 교제수단의 원만하다. 신속한 판단력에 행동력이 앞서나 심사숙고의 계획성이 부족하고 장기적인 일에 지구력이나 인내심이 부족하다.
   개척정신이 뛰어나고 일을 착수하여 속전속결로 매듭짓는 장기가 있으나 용두사미로 끝나거나 마무리가 깔끔하지 못하다. 물론 이것은 기질상의 성격이나 후천적인 훈련이나 교육을 통해서 결점이 보완되지만 평균적으로 다른 체질과 비교해서 그런 경향이 많다는 것이다. 꾸밈이나 장식을 싫어하고 솔직담백한 성격 때문에 현실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속기도 하고 손해도 본다. "약빠른 사람이 밤눈 어둡다."는 속담이 소양인에게 자주 나타난다. 물욕이 적으나 명예욕은 강하다. 오락을 섹스를 좋아하나 깊이 빠지지는 않는다. 활동성이나 승부욕이 강하므로 구기운동이나 가볍고 재빠르게 움직이는 테니스 배드민턴 같은 경량운동이 좋다.     

③질병예방상 대체의학 건강요법
   소양인은 脾胃가 발달했으나 신장 생식기 계통의 장기는 약하다. 가슴부위의 근육은 튼튼하나 하복부 허리부위은 약하다. 신장 방광 생식기부위의 水氣가 부족하여 아랫배 부위의 장기에 질병이 생길 확률이 많다. 그래서 심장화기가 상승하여 뜨거운 열기로 머리부분의 신경이 허약하여 감기 목 인후염 등이 생기거나 가슴이 막하거나 답답하여 鬱滯가 생길 염려가 있으니 水昇火降의 단전호흡 기공수행이 건강을 유지하는데 좋다. 소양인은 다혈질 체질에 성질이 급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므로 항상 심신을 안정시키는 진정요법이 필요하다.
   소양인이나 소음인은 半陽半陰체질이 때문에 몸전체의 비만현상은 없으나 신체의 특정부위에 부분비만현상이 나타나므로 상하체가 고루 발달하도록 규칙적인 운동요법을 실행하면 좋다. 초반의 기세는 좋으나 중반의 지구력이나 종반의 인내력이 약한 체질이니 목표를 향해 끊임없이 나아가는 사격이나 활쏘기 승마같은 운동이 집중력을 길러주는데 도움이 된다.

④사상체질로 분류한 유사오행 상생상극형 인물감정 
   
몸통근육이 단단하고 상체의 근육이 고루 발달. 체격이 단단해 보이나 상대적으로 하체가 약하며 엉덩이와 다리는 근육형이고 상하체의 균형이 알맞다. 오행 및 상생상극 인물형 중에서는 ★목성인 ★목생화 ★목극토형이 소양인의 체질이나 기질 및 성격과 비슷하다.

목성인 남녀 표준형

목생화 남녀 표준형

목극토 남녀 표준형

⑤사상체질과 유사오행 인물형 직업선택의 처세성공 진로방향
   생기발랄한 성격에 동작이 민첩하며 사교활동력이 좋고 창의력이 있으나 저돌적 猛進性으로 실수가 있거나 경거망동한다. 직업 진출분야는 교관 군인 경찰 무술가, 장식업, 디자이너, 회사원,중개사, 세일즈맨, 방송인 비교적 화려하고 여러 사람을 상대하는 사교형 체질이다.

(4)소음인
①용모 신체상의 특징
   소음인은 아담한 몸체에 얼굴의 오관이 반듯하고 좌우균형이 잡혀 이목구비가 뚜렷하다. 소음인은 살과 뼈과 알맞게 조화되어 은근하면서도 SEXY한 매력을 풍긴다. 상체보다는 상대적으로 하체가 발달한 체격이 기본형이나  상하체가 고루 발달했거나 상호 비슷하게 허약한 체격도 많다, 근육과 살집이 적은 편으로 몸매가 날씬하거나 아름답게 균형이 잡힌 사람이 많다.   

②기질 성품 바탕의 성격
   소음인은 내향성 체질에 소극적 방어적 처세를 한다. 성격이 소심하고 부끄러움을 많아 타거나 대인관계에 수줍은 타입(Type)이다. 겉으로는 유연하고 부드러워도 속으로 깐깐하고 실속을 차리는 내실형으로 內剛外柔의 처신을 주로 한다. 面從腹背의 처세술로 강한자에게 굽신거리나 상대가 손해를 끼치면 기회를 보아 보복수단을 강구하거나 측면공역으로 상대방에게 역습을 가한다. 소심한 것 같으나 계획성을 갖고 자기목표를 향해 꾸준히 나아간다. 머리가 총명하거나 실리적 계산이 빠르고 판단력이 정확하여 사무능력이 뛰어난다. 악한 방향으로 발전하면 끔찍한 사건을 일으키기도 한다.
   편굴(偏屈)성이 있어 과거의 일이라도 용서보다는 보복의 念을 갖고 묵은 꼬투리를 들춰내어 타산적인 계산으로 보응하는 기질이 숨어있다. 내성적인 성품에 섬세하고 관찰력이 발달해 자기 취미나 특기를 살려 예술적으로 대성한 사람 중에 소음인 계통이 많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하면 가정적이고 알뜰살뜰한 살림꾼으로 남녀공히 금전적인 저축심이 강하고 물욕도 많다. 여자는 깔끔하고 친절하며 처세술이 세련되어 실수가 없는 편이다. 정서가 불안정한 소음인은 걱정이 많고 소심하며 질투심이 많고 작은 일에도 신경이 예민하여 의심이 많고 신경증이 발생하거나 잔병치레를 하는 수도 있다.      

③질병예방상 대체의학 건강요법
   소음인은 소화흡수기능이 허약하고 상체는 약하나 신장 방광등 생식배설기관은 튼튼하여 하체는 강하다. 남녀 모두 예쁘거나 신체상하의 균형이 잡힌 사람에게는 소음인이 많다. 소화불량이나 가슴 답답함이나 울체(鬱滯)현상이 종종 나타나며 심하면 빈혈이나 순환장애의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소음인은 내성적인 기질에 표현을 잘 안하고 속으로 고민하며 신경성 질환을 앓을 징후가 많다.
   소음인은 몸에 冷한 기운이 강해 소화장애, 심장쇠약 혈액불순 신경증세 등 주로 신체 상부와 깊이 연결된 부위에 질병이 발생할 확률이 많으니 항상 몸을  따뜻하게 보온하는 음식을 많아 섭취하고 규칙적으로 운동하여 평소에 심신을 단련해야 질병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소극적이고 내성적인 성격을 외향적으로 적극적으로  단련시키는 무술이나 투기종목의 운동으로 공격적인 인생체험을 하는 것이 경쟁사회에 적응하는 능력을 키워줄 것이다.

④사상체질로 분류한 유사오행 상생상극형 인물감정
하체가 고루 발달하여 신체의 육감적 균형미가 풍만하다. 상대적으로 상체가 빈약하다. 여자일수록 상하체의 균형이 맞고 날씬하거나 SEXY한 편이다. 오행 및 상생상극 인물형 중에서는 ★금성인 ★금생수 ★금극목 ★토생금형 의 얼굴형이 소음인의 체질이나 기질 및 성격과 비슷하다.

금성인 남녀 표준형

금생수 남녀 표준형

금극목 남녀 표준형

토생금 남녀 표준형

⑤사상체질과 유사오행 인물형 직업선택의 처세성공 진로방향
   심사숙고하는 침착한 기질로 책임감이 강하며  활동성이 강하여 자수성가하는 부지런한 성품이나 소심하거나 용기가 부족하다. 적합한 직업의 방향은 교육자 공무원, 은행원, 경리계산원, 도서사서인 기능공, 패션모델, 연예 흥행업 디자인 등 주로 사무실에서 기술과 기예분야에 재능이 있다.  

 제四편: 심상의 성질과 개성으로 본 인물 감정법

  심상으로 본 인상판단과 인물감정법이란 인간의 몸과 마음을 바탕으로 외모로 나타난 얼굴이나 신체의 모습을 보고 정신적으로 내재된 마음의 세계에 대한 사람 됨됨이와 허실을 평가하는 심리(심령)적 인물감정 심사법이라 할 수 있다. 즉 유형적 외관을 보고 무형적 내관을 판단하고 감정하는 인간학(Humanics)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마음은 현재의식은 물론 잠재적 심층 심령의식의 영능력(靈能力)까지 포함하고 있으므로 넓고도 깊으며 복잡한 심리정신조직을 갖고 있다. 이 같이 복잡하고 다양한 심리정신조직을 갖고 있다. 이 같은 복잡하고 다양한 심리적 특성을 몇 마디 말로써 어떤 확증을 잡는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지만 자세하게 관찰하면 사람 마음의 활동 진행 방향은 심상을 통해 얼굴 표정이나 언어 및 신체의 행동으로 나타난다.

 심리적 유령으로 인물을 본다는 것은 이러한 마음의 심상을 표정이나 동작 언어 기색(氣色)등을 상호연관지어서 판단한다. 이후 설명하는 여러 가지 인물의 심리적 유형은 어디까지나 그 주된 방향을 예시하는 것으로 절대적 기준은 아니다. 왜냐하면 보통 사람들은 때와 장소의 처세환경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심리기제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몇 가지 유형이 혼합되어 있는데 이것은 인간의 마음과 정신조직이 변하고 바뀌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처세의 방향을 자기에게 유리한 심리기제를 때와 장소에 맞추어서 다양하게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기에게 이익을 주거나 친밀한 사람은 약점이나 비행이 있더라도 마치 동물이 새끼를 사랑하듯 단점이나 실수를 눈감아 주고 심하면 동호하고 감싼다. 한편 자기와 경쟁의 대상이 되거나 미워하는 사람들은 비록 조그마한 결점이 있더라도 침소봉대(針小棒大)하고 과장하며 심하면 중상모략하고 악선전한다. 이것은 인간의 이기적 동물성 때문이다. 심리적 유형의 심상감정을 할 때는 처음보는 사람에게는 좀 무리가 있으며 어느 정도 알고있는 사람으로부터 성격묘사를 청취한 후 판단하는 것이 적중율이 높다.

참고 : 용어해설

현재의식 ~ 현재 그 사람이 느끼고 생각하고 말하는 정신 상태로써 항상 잠재적 심층의식과 상호교류한다. 잠재적 심층 심령의식 ~ 인간 마음의 내부에 도사리고 잠재되어 있는 깊은 생각의 정신상태. 아직 밖으로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필요하면 언제든지 현재의식으로 바뀐다. 잠재적 심층의식 속에는 두뇌의 생각과 마음의 영적 의식이 혼합되어 있다.

심리기제 ~ 어떤 사람이 자기의 개성과 습관과 성격에 의해 그 사람 나름대로 생각하고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는 처세의 사고방법을 마치 복잡한 기계의 작동방식에 비유하여 표현한 것이다.

제1절: 「∼형」에 속하는 인물
1.사색추구형   2.명상형  3.철학형   4.종교형   5.창조형  6.지성형  7.감성형
8.예술형  9.공상가형  10.심사숙고형  11.과학형  12.이론형  13.경제형
14.정열가형  15.금욕형  16.섹스형(SEX-形)  18.귀족형  19.서민형  
20.권력형  21.개척가형  22.실무행정형  23.투쟁형  24.솔선수범형
25.사회봉사형  26.자수성가형  27.융통형  28.오뚝이형  29.천하태평형
30.자화자찬형(일명: 자기자랑형)  31.생기발랄형  32.몰두형  33.설교형
34.설득권유형  35.책임전가형  36.무사안일형  37.고집불통형: 일명 완고형38.억지형  39.떠벌이형: 一名;자기과시형, 자기 자랑형  43.새침데기형
44.욕구불만형  45.자기아집형  46.히스테리·신경질형  47.눈치형
48.아첨간사형  49.얌체형  50.고자질형  51.조삼모사형(朝三暮四形)
52.변덕형 : 一名 카멜레온형(chameleon)  53.촉새날라리형  
54.교만형 : (一名 자만형)  55.유아독존형(唯我獨尊型)  56.고백형(告白型)
57.비밀형(秘密型)  58.능구렁이형  59.철면피형(鐵面皮型)
60.악질형(惡質型) 61.파렴치형 62.후안무치형(厚顔無恥形)

 제2절: 「∼주의자」로 분류된 인물
1.이상주의자  2,현실주의자  3.중용주의자  4.정신주의자  5.유물(물질)주의자
6.황금(배금)주의자  7.합리주의자  8.적당주의자(임시 변통형)
9.기회주의자  10.권의주의자  11.절충주의자  12.낙천주의자  13.염세주의자  14.비관주의자  15.이기주의자  16.낭만주의자  17.고전주의자  18.보수(전통)주의자  19.자연주의자  20.진보주의자  21개혁·혁신주의자

제3절: 「∼인간」으로 분류된 인물
1.이성적 인간  2.감각적 인간  3.영웅적 인간  4.소극적 인간
5. 적극적(능동적) 인간  6. 내향적 인간  7.외향적 인간

제4절: 기타 유형의 인물
1.야심가  2.실리(타산)가  3.고지식파  4.기분파  
5.아류어용파(亞流御用派) 6.심술쟁이 7.바보·멍청이·얼간이  8.얌전이
9.수다쟁이 10.돌팔이(엉터리)  11.이중인격자  12.숙맥  
13.다혈질  14.우울질  15.점액질  16.깐돌이


 제二편: 동물형에 의한 물형비유 인물 감정법
동물형에 비유한 인물감정 인상판단법의 원리와 실제


동물형비유 인물감정 인상판단법

 

 

차례  머리 말

  동물의 모양이나 형상(形相)을 유상(有相)으로 포착하고, 그 동물의 생활습성 생태 특징을 무상(無相)으로 영현은유(靈顯隱喩)하여, 유무형(有無形)의 통합된 상징비유법(象徵比喩法)으로 해석하여 그에 대비되는, 인간의 모습이나 습관 행동 그리고 개인의 성격이나 마음의 상(相)을 이해하고 설명한다는 것이 무리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예로부터 어떤 사람의 특징이나 인간성을 파악할 때 종종 동물의 생김새나 성질에 비교하여 사람의 특징을 자주 적절하게 해석해왔다.

  '동물형에 비유한 인물감정 인상판단법'이란 어떤 인물의 얼굴모양과 신체적 특징이나 골격을 바탕으로 개인의 행동이나 마음 씀씀이를 관찰하여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기질과 성품을 파악하고, 잠재적 능력이나 가능성을 검토하여, 장래의 직업선택이나 운명개척에 대한 안내와 방향을 지도하는 종합적인 인물 감정법이다. 한 인물의 본성이나 성격과 기질 개성의 가능성을 통찰하여 현재 그 사람이 처해있는 실상(實相)의 본질을 정확하게 캐치(Catch)하려면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직접적으로 관찰하거나 판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인간과 동물이 다 같이 자연 속의 생물로써 흡사한 점이 많으므로, 상호 비슷한 행동모형을 분석해서 인간이해와 인물판단의 근거로 삼아 개인의 직업선택과 지로지도를 예측하고 적성발견과 능력개발 및 생활개조와 운명개척의 자료로 삼는 것은 유익하고 흥미있는 일이다. 이와 같이 동물과 인간의 습성과 행동유형을 상호비교하고 같은 점과 다른 점을 서로 검토하여 인물을 감정하고 인상을 판단하는 법을 물형론(物形論)이라고 한다.

  아득한 옛날 인류의 조상들은 동물들과 별 다름 없는 원시생활을 한 적이 있었지만 역사의 발전에 따라 지혜와 문화의 발달로 고차적인 지능을 사용함에 따라 원시적인 본능이 많이 소멸되어 동물적 야만성이나 미개한 습성이 많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인간의 심성기저(心性基底)에는 동물적 근성의 야만성이나 난폭한 공격성이 심층의식에 도사리고 있다가 특수한 상황에서는 그 잠재적 돌발성이 갑자기 나타나기도 한다. 그래서 이러한 현시성(顯示性)의 돌출행동이나 심신언행의 표출현상을 발견하여 어떤 사람의 성격이나 용모 습관 기질 등을 그에 유사한 동물의 모습이나 습성 성질 등에 비유하면 영락없이 그 사람의 성품이나 개성 기질 체격(체질)에 바탕을 둔 인격의 사람 됨됨이를 정확하게 예측하거나 비슷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동물세계에서 벌어지는 약육강식에 의한 생존경쟁 먹이사슬의 연쇄적 고리를 살펴보면 마치 인간사회의 사회생활 직업세계에서 벌어지는 인간관계의 복잡한 의식주 경제활동과 흡사하다. 단지 다른 점이 있다면 인간사회는 윤리도덕심에 기초한 인의(仁義)의 덕목이 정의적 귀감의 룰(Rule)로 작용하는 면이 강하지만 동물세계는 오로지 힘과 기술과 꾀와 지모(智謀)에 의한 무력의 세계가 일방적으로 펼쳐지기는 하지만 여러 가지 처세술에서 동물과 인간의 생존경쟁 대응방식이 비슷한 점이 많다.

  자고(自古)로 인간을 만물의 영장(靈長)이라 불려져 온 이유는 사람이 만물 중에서 가장 뛰어난 영지(靈智)적 존재로써, 하늘로부터 영묘(靈妙)한 능력을 품수(稟受)받아, 모든 다른 동물을 다스리고 또한 식물은 물론 대자연의 천지만물을 주관하여 총섭(總攝)해왔기 때문이다. 종교적 해석에 의하면[기독교 성경: 창세기 1장 26절]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에 따라 지음을 받고 하나님의 권능으로 위임을 받아 삼라만상(森羅萬象)에 존재하는 천지만물을 다스리고 관리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즉 사람으로 불려지는 인간(The Human Being)은 우주 천지만물 중에서 다른 어떤 동물보다 대자연의 기운을 많이 받은 영지적(靈智的:Spiritual Wisdom) 존재로써 다른 동물보다 상위계층의 知的활동을 하는 영장류(靈長類)로써 확고한 생존체계를 갖춘 최고의 동물이란 뜻이다. 여기서 우리가 유념해야 할 것은 사람마다 용모나 능력이 다르다는 것이다. 사람은 태어날 때 부모로부터 받은 선천적 능력에다 자라고 성장하면서 체득되는 후천적 능력이 통합하여 각자의 삶이 정해지고 운명이 결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들은 다른 사람의 태도나 생각 성격 등을 파악하여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데 이러한 동물세계의 생태적 특성을 잘 살펴서 관찰하면, 어떤 사람의 심성과 행동의 운동방향을 동물적 행위나 사고체계를 파악하여 비유 해석하면, 그 사람의 본성과 성격 태도 처세방향 등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사람을 앞으로 어떻게 대처하고 다루어나가는 것이 나에게 유리하고 현명한 처세술이 되는가하는 경우에,  동물에 비유한 인물판단법이 아주 유용한 생활철학의 처세사교기법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동물비유법의 인물감정법을 토대로 대인처세의 방향과 사교술을 터득할 수가 있고 사회생활 인간관계의 여러 장면에서 인상판단법의 사람 보는 법을 활용하면 대인처세에 많은 유익과 효과를 볼 수가 있으며 또한 학문적으로 인간과 자연, 동식물의 생태학과 환경친화론에 흥미있는 주제가 된다.
            

          동물형에 비유한 인물감정 인상판단법의 원리와 실제
 
 본 저서에 제시한 동물형이 인물감정과 인상판단의 절대적 기준 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사자형의 얼굴을 가진 사람이라도 풍채(風采)나 행동은 늑대나 사슴 정도밖에 안되며 마음 씀씀이나 성격은 여우와 흡사한 사람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물을 판단할 때는 얼굴 신체 골격 성품 기질 등에서 '어느 것이 어떤 동물의 어디에 해당하여 얼마나 어떻게 닮았는가?'를 심사숙고 한 후 판단하는 것이 인물감정의 핵심과 열쇠가 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사물의 근본원리와 이치에 입각하여 실상본질과 변화허상(變化虛相)의 참된 묘수비의(妙數秘意)를 정확하게 관찰하고 명상관조(瞑想觀照)하여 정확한 판단을 하도록 정밀(靜謐)하고 자세하게 살피는 감식안(鑑識眼)이 필요하다.
         ♣동물형 인물감정과 실제 인상판단의 유의할 점
   이 책에서 서술한 동물형의 인물묘사의 인상착의(印象着意)들 중에서 여러 가지 해석이 실제로 감정하는 인물들의 관찰과 그 해설이 맞아떨어지는 경우도 있고 혹은 긍정이나 부정의 서술이 그와 비슷하게 근접하기도 하며 간혹 반대로 해석해도 맞는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동물과 사람의 성질과 형상 생태 습성 등의 중요한 특징을 잡아 묘사했으므로 전부 다 적중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수천 수십만 명의 인간들이 신체적 정신적 모든 조건에서 같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극(極)과 극이 통하기도 음양이 서로 반대이기는 하나 때에 따라서는 서로 공통점이 있다는 심령철학의 대전제(大前提)이기 때문이다.

    각 동물형에 나오는 얼굴모양은 그 동물에 속하는 인물유형(人物類型)을 대체적으로 알기 쉽게 표준화시킨 것이다 동물형에 명확한 우선 순위가 있는 것도 아니고 좋은 동물과 나쁜 동물을 뚜렷이 구별지을 수가 있는 바도 아니다. 단지 사람의 특징과 물형을 가급적 정확하게 표출(表出)하여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인간적인 본성과 행동유형과 성격 인품 등을 정확하게 관찰하여 판다하는 데 기본 방향을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

   각 동물마다 장단점이 있으며 어떤 인물의 자질과 적성 능력 성격 등의 정체성(正體性: Identity)과 변화성의 관계를 용모나 신체 및 골격조건들을 비교 검토하여 그에 비유되는 기질 개성 마음상태 등이 비교하고자 하는 동물의 어떤 부문 어떤 점에서 유사하거나 같은 점의 공통점을 발견하여 얼마나 적합하게 특징을 잡아 해석하는 게 중요하다. 동물의 인물형 그림은 각 동물에 흡사한 표준형을 선정하고 그 신체적 용모자태의 유사성을 추출(抽出)하여 대표적 모형을 그린 것이니 세부적으로 닮지 않아 판단하는 것이 애매모호(曖昧模糊)한 것이 있어 초보자는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실제 인물을 접하여 감정을 해보면 여러 가지의 변형된 얼굴이 많으니 세밀히 관찰해야 한다.     

   그러나 십중팔구는 본서의 해설대로 적중한다. 즉 보편성 일반성에서 개별적 구체성을 심령 철학적으로 상징 비유하여 그 진수정핵(眞髓精核)을 뽑아서 현실적[경험 통계 면담 조사 관찰 연구 검증]으로 실지입증의 단계를 거쳐 확인된 것이다. 그렇지마는 세상에서는 완전무결한 실험이나 이론은 거의 없을 것이므로 독자들은 읽는 도중에 모순점이나 틀린 점이 있거든 독자의 인생경험이나 체험연구에서 보충해서 해석하는 지혜를 발해주길 바라며 부족한 점이 발견되면 저자에게 연락해서 고쳐주면 학문적 견해나 지식이 상호 발전할 것이다. 오직 현명한 독자제위들의 식견과 판단을 잘 검토하고 좋은 해석으로 보충하여 해석하면 더욱 알찬 인생의 깨달음을 얻을 수가 있을 것이다. 

제1장:육지동물형
1.호랑이형
  
 ①호랑이 학문교육형   ②호랑이 정치 관직형    ③호랑이 사업가형
    재규어형
    ※재규어
(Jaguar): 中南美산 표범으로 호랑이와 모습이 비슷하다.
2.사자형
 
 ①사자 정치 학문 사업형  ②사자 사법관 경찰형  ③사자 공무원 관리 군인형
   퓨마형
   ※퓨마(
Puma): 아메리카 라이온(Lion)으로 일명 山사자로 불린다
3.코끼리형
  
①코끼리 학문 및 언론 교육형  ②코끼리 정치 관리 사업형
4.곰형.
  ①곰 일반형  ②백곰형  ③흑곰형  ④재주 곰형  ⑤운동 곰형
5.표범형
  
①표범 일반형  ②표범 정치 관직 교육형  ③표범 예능 실무형  ④표범 운동 스포츠형
6.기린형          
7.낙타형
 
 ①낙타 정치 관리 사업형  ②낙타 교육 학문 연구형
8.고릴라형
9.원숭이형
10.성성이(猩猩-)형
  
①성성이 남자형  ②성성이 여자형
11.사슴형
12.노루형
13.늑대형
  
①늑대 일반형  ②늑대 관리형  ③늑대 실무행정형  ④늑대 체육운동형
14.이리형
15.하이에나형
16.여우형
  
①여우 일반형  ②여우형 과학 연구직  ③여우형 기능 기술직  ④여우형 인기 연예직
17.너구리형
18.족제비형
19.오소리형
20.다람쥐형  21.고슴도치형  22.두더지형  23.소형  24.말형  25.돼지형
26.개형   27.양형  28.염소형   29.닭형  30.토끼형  31.고양이형  32.쥐형

제2장:수중동물형
1.고래형  2.하마형  3.물개형  4.펭귄형  5.잉어형
6.금붕어형  7.가물치형  8.뱀장어·미꾸라지형  9.두꺼비형

수중동물이나 양서류에 속하는 파충류 등은 태어나는 과정이 태초의 생명체 창조시 사람과 비슷한 발생적 생태현상을 갖고 있다. 태초에 물이 생성되면서 생물도 탄생하게 되었는데 수중동물은 이러한 생명체 발생과정이 사람이 모체서 양수(羊水) 속에서 태아가 형성되는 과정과 비슷하여 상호 밀접한 비교가 된다. 그러므로 수중동물을 사람과 비교하여 물형론(物形論)으로 감정할 때 상호유사한 점을 포착하여 관상을 감정하는 것이다.

1.고래형
[얼굴모양] : 관골(옆볼)이 풍부하고 턱이 불룩하며 입도 크다. 얼굴에 비해 눈이 작고 콧구멍는 넓다. 얼굴 전체 윤곽이 넓적하고 펑퍼짐한 느낌이 든다. 머리결이 굵고 짙으며 기색는 검푸른 감색상(紺色相)이다.    

[신체 및 골격] : 상하체가 큼직한 대인 풍모로 행동이 완만하고 걸음걸이에 여유가 있다. 천천히 몸 행동이 완만하고 걸음걸이에 여유가 있다. 천천히 몸을 움직여도 숨은 체력이 강하여 일단 본격적으로 일을 추진할 때는 맹렬하고 박력이 넘친다.

[기질 및 성품] : 호탕하고 대범(大凡)하다. 계획과 실천의 스케일(scale)이 방대하고 크며 사상과 감정의 폭과 깊이가 보통사람보다 훨씬 넓고 깊다. 술이나 음료수를 잘 마시고 마른반찬보다 국물을 좋아한다.

[진로 및 직업] : 수기가 많으니 육지사업보다 바다나 강을 매개(媒介)로 하는 사업과 액체를 취급하는 것이 좋다. 해운업 무역 외교관 선원 관광사업으로 진출하거나 주류양조업 음료수취급 광고업 유흥업 분야에 종사하는 것도 괜찮다.

 

 

2.하마형
[얼굴모양] : 눈이 졸리는 듯 초점이 흐리다. 입술이 두툼하고 옆 턱이 축 쳐져있고 길쭉하다. 얼굴 상부보다 하부가 넓고 근육과 살집이 함께 발달됐다.

[신체 및 골격] : 몸집은 크나 신체의 긴장감이나 균형미가 희박하다. 동작이 느리고 센스(처세의 적응력)가 둔하다. 식사량이 많고 동물성 음식보다 식물성음식을 좋아한다.

[기질 및 성품] : 태평스런 성격이 농후하나 감각이 무디고 어리석기조차 하다. 그러나 뿔뚝 성질이 있어 잘못 건드리면 처세하기 곤란한 사람이다. 대체로 지능이 낮은 편이나 그 중에는 지능이 상당하고 대담하여 호탕하고 크게 노는 사람도 있다.

[진로 및 직업] : 해운 선박업 목장 산림경영 농장경영 농수산물 유통업 노무직 인부 토목 건축분야에 유망하다.

 

 

3.물개형
[얼굴모양] : 눈썹이 단정하고 짙으며 굵다. 콧대가 쭉 뻗었고 끝이 오목하고 동그란 모습이다. 눈동자가 분명하고 턱이 동그스름하다. 눈동자가 분명하고 턱이 둥글게 불룩하다. 기색이 거무스름하나 윤기가 나며 피부가 매끄럽고 건강미가 넘친다.

[신체 및 골격] : 체격은 보통이나 근육이 발달하고 생동감이 넘친다. 피부가 두텁고 탄력성이 강하다. 행동이 유연하고 걸음이 의젓하다.

[기질 및 성품] : 정력적 활동의 행동파가 많다. 행동한 후 생각하는 타입이다. 가끔 거드름을 피우고 안하무인으로 처신한 후 나중에 후회한다. 가끔 만용(蠻勇)을 부리나 의협심(義俠心)도 있으며 배짱이 센 편이다. 성격이 꼿꼿하고 나에게 허리를 굽히기 싫어하며 조야(粗野)한 성품이나 솔직담백하다. 포용심과 양보심이 부족하나 기분이 내키면 선심을 쓰고 단체 일에 희생정신을 발휘하여 앞장을 서기도 한다.

[진로 및 직업] : 수산해운업 무역 선박계통에 유망하고 각종운동에도 소질이 있다. 군인 경찰 경비원 현장감독 등에 진출할 운세이다.

 

 

4.펭귄형
[얼굴모양] : 미골(眉骨)이 수려하고 이마가 좁은 편이나 불룩하게 솟았고 은은한 빛이 난다. 눈썹이 엷고 부드럽다. 속눈썹 가장자리가 도톰하게 솟아올랐고 눈초리가 잔잔하다. 턱과 볼이 원만하게 발달했다.

[신체 및 골격] : 중키정도나 그 이하가 많다. 큰 사람도 있으며 사람을 동물형에 비유하는 것은 외모로 판단하는 기준이 되지만 본질적으로 심령철학적 인상법에 의한 심상감정법(心相鑑定法)이므로 사물의 상징성에 유의해서 감정하는 것이 더 정확도가 높다. 뼈와 살이 고르게 발달했고 몸매는 부드럽고 날렵하다. 의복이 고상하고 품위있는 복장을 잘 하고 언행이 고상하고 몸짓이 단정하다. 남자라도 여자같이 상냥하고 친절한 언행으로 처세한다.

[기질 및 성품] : 생각이 깊고 행동이 원만하고 대인관계에 모가 없고 성품이 온순하고 침착하게 행동한다. 말은 천천히 하고 은근하고 조용한 목소리로 사람을 감화시키는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

[진로 및 직업] : 정신력을 바탕으로 예능이나 기술을 응용하는 도안 제작에 조예가 있다. 교육 심리와 종교 철학 상담에 재능이 있고 기계 금속방면에 진출해도 전망이 좋다. 미술 도안 장식업 의류복장 피륙업도 괜찮고 인기 연예봉사 서비스 홍보안내직도 유망하다.

5.잉어형
[얼굴모양] : 얼굴이 상하로 길쭉하며 머리털이 별로 없다. 이마 앞쪽이 불거지고 변지(邊地:이마 양옆 모서리)도 약간 빗겨져 올라간 듯 하다. 안면(顔面) 겉면에 불그스름한 광채가 비치고 눈썹이 가느스름하면서 곱고 길다. 인중(人中:코밑 골진 곳)이 길고 입술에 홍윤기(紅潤氣)의 윤기가 비치고 살집은 부드럽다.

[신체 및 골격] : 상체는 후리후리하고 하체는 풍만하다. 엄연(儼然)하고 단아(端雅)하면서 화기애애하면서 인자스런 풍모가 엿보인다. 행동이 유연하고 안정감이 풍부하다.

[기질 및 성품] : 희로애락의 감정과 정서가 깊고 그윽하며 느낌의 반응이 언행으로 잘 나타나지 않는다. 즉 지혜가 있어 함부로 말하거나 행동하지 않고 신중하게 처신한다. 인품이 있어 많은 사람의 신용을 얻고 추앙(推仰)과 존경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진로 및 직업] : 의식주에 별 걱정이 없고 직접 일을 하지 않아도 생계에 여유가 있고 재산이나 금전을 관리한다. 유산이나 기증 찬조 연금을 받거나 배우자로 인한 제복이 있다. 학술이나 예능연구 외교관 수산 해운 무역업 방면에 종사한다. 여자 잉어형은 관광유흥업이나 접객업소(호텔 여관 다방주류업)등을 경영한다. 백화점이나 고급 장식(가구 골동 희귀품) 등의 취급 안내 판매에 유리하다.  

 

6.금붕어형
[얼굴모양] : 눈썹이 활모양으로 휘고 가늘면서 유연하다. 눈이 큼직하고 눈동자도 유난히 반짝인다. 입술이 촉촉하고 윤기나며 끝이 위쪽으로 올라갔다. 이마가 둥글고 넓으며 매끈하다.   

[신체 및 골격] : 상체가 둥그스름하고 부드러우며 여자는 특히 곡선미가 아름답게 발전하여 육감적이다. 신체 상하좌우 균형이 잡혔고 동정(動靜)으로 움직이는 데 생동적 율동감이 흘러나온다.

[기질 및 성품] : 화려한 것을 좋아하고 유행에 민감하며 변화와 다양성 속에서 항상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며 자신의 재발견하려는 예술적 취미를 갖고 있다. 색깔이나 무늬가 다양한 옷을 잘 입는 다. 성격이 게으른 듯 동작이 완만하나 생활의 여유와 느긋한 마음의 자세 때문을 별흠이 되지 않는다.

   [진로 및 직업] : 의류복장업 양복 양장 패션업계 진출 이발 이용사 모델 디자인 분야 관광유흥 안내업 사치품 상품유통업 예능 예술분야에 진출하면 성공할 가망이 많다.


금붕어 여자형 은  남자형과 대동소이한  분야에 진출한다.   [진로 및 직업] :미용 디자인 분야  아티스트(Artist) 이발 헤어(Hair) 미용사 모델 디자인 분야 관광유흥 주류업  유흥업소 안내업 사치품 상품 물류  배송 유통업 해산물 판매업 방송 예능 예술분야에 진출하면 성공할 가망이 많다.

 

 

 

 

 

 

7.가물치형
[얼굴모양] : 이마 양옆이 우뚝 불거지고 눈 위 귀옆 부위의 살집 근육이 단단하다. 입은 좀 크고 턱이 견고하다. 잇발이 촘촘히 박히고 긴 편이다.

[신체 및 골격] : 몸이 미끈하고 상 하체가 고르게 발달했다. 피부는 거무스레한 청회색(靑灰色)계통이며 윤기가 나고 살결은 두텁다. 잠바 작업복 스타일의 옷을 잘 입는다.

[기질 및 성품] : 성질이 조급한 편으로 약발(약을 올리거나 놀리면 성을 내는 것)을 잘 받는다. 자기 것은 애지중지하나 남의 것은 소홀히 취급한다. 말씨가 거칠고 행동이 과격한 사람이 많다. 그러나 후천적 수양이나 학문이 있으면 인내심이 함양되어 급한 성질이 완화된다. 의지력이 강하고 한번 결심한 것을 처음에는 잘 추진하나 끝까지 밀고 가는 집념이 약하여 중도에서 실패하는 수가 많다.

[진로 및 직업] : 생활력이 강하고 닥치는 대로 알을 해치우는 과감한 실천력이 좋다. 토목 건축 각종 공사 고물상 현장감독 경비원 군인경찰 관리인등으로 진출한다.

 

 

 

8.뱀장어·미꾸라지형
[얼굴모양] : 이마에 윤곽선에 요철(凹凸)의 굴곡선이 나있고 눈썹이 가늘고 눈이 뱀눈 모양과 비슷하다. 코뿌리가 좁고 낮으나 중간부분부터 솟아오르고 끝이 오목 잘록하게 튀어 올랐다. 턱은 얕으면서 훌쭉하고 좁게 빠졌으며 안으로 옥아 들어간 편이다.

[신체 및 골격] : 체격이 훌쭉하고 키가 몸체에 비해 후리후리하다. 뼈와 살이 알맞게 조화되어  있다.

[기질 및 성품] : 모사나 참모 책략가의 기질이 많고 꾀와 지모가 있으며 남다른 재주를 감추고 있다. 인자한 것 같으나 냉정침착한  성격에 야망을 갖고 있으며 실무적 재능도 상당하다.

[진로 및 직업] : 기술 기예 방면에 진출하고 수상해운업 양어장경영 소개중개 운반업에 종사하면 재물을 모을 가망이 많다.

 

 

[미꾸라지형] : 미꾸라지형은 뱀장어형에서 변형된 小形의 뱀장어로 보면 된다. 미꾸라지형은 얼굴모양이나 몸체보다는 심상(心相)의 변화기미(變化機微)나 처세술의 징조술수(徵兆術數)를 보고 판단한다. 즉 성격이나 처세방향의 행동언어 동작을 보고 미꾸라지의 동물형과 비유해서 감정한다.

[미꾸라지형 종합해석] : 이리저리 자기 편리대로 처세하는 현실적 타산적 이기주의 성격이 짙다. 자기 목적을 위해 남을 교묘히 이용하나 본질적 악인은 아닌 편이 많다. 임시방편적 얄팍한 수작의 처세는 장기적 「인생살이」의 안목에서 보면 신망을 얻지 못하고 혼자 외롭게 되니 정정당당히 정명대도(正明大道)의 진실한 처세를 하는 솔직담백성이 바람직하다.   

 

 

 

9.두꺼비형
[얼굴모양] : 이마가 넓고 두둑하고 살집이 풍만한 편이다. 옆 관골이 발달하고 코끝이 넓고 펑퍼짐하며 이중 턱을 가진 사람이 많다. 목이 짧고 굵다. 피부는 검푸른 바탕에 붉은 기운이 돈다. 전형적 두꺼비상은 안면기색(顔面氣色)이 은은하게 밝은 기운이 훤하게 광윤색이 비치는 사람으로 장래에 대부대길(大富大吉)할 상이다.  

[신체 및 골격] : 몸이 뚱뚱하나 군살이 많이 붙은 비만형은 아니다. 살결은 부드럽게 곱지는 않으나 두텁고 탄력이 있다. 상체보다 하체가 길고 발달했다. 팔다리는 몸체에 비해 짧은 편이고 손발은 퉁퉁하고 부드럽고 살집이 연하다. 검소하고 수수한 옷차림을 하나 천하게 보이지 않고 일종의 멋과 품위가 느껴진다.

[기질 및 성품] : 매사를 서두르지 않고 여러 가지 일을 심사숙고하며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능력을 가진 숨은 능력가에 많은 형이다. 즉 생각한 후 충분히 승산이 있으면 행동한다. 인생사의 장기적 안목을 중시하는 대기만성형의 인물이다. 거시적 세계와 미시적 세계에 두루 통하며 호탕한 성품에 기분적으로 놀다가도 자기 일은 세밀하게 빈틈없이 추진하는 실리가인 경우가 많다.  

[진로 및 직업] : 성실과 신용을 바탕으로 사업을 하면 도와주는 사람이나 원조가가 많다. 보통 객지에서 자수성가하는 사람이 많다. 관직이나 남에게 고용된 규칙적인 직업보다 부지런한 속에서 독창성을 살리는 개척적 직업이 좋다. 각종회사 경영 육영사업 사회복지 의류생산 주류음료생산판매업 양조업(釀造業) 곡물상 두부공장 정미업 고물상 전당포 창고중개업 등 물질을 지키고 보관하는 능력이 있다.

제3장:수륙 양서류형(兩棲類形)-파충류(爬蟲類:The reptiles)
1.용형
2.뱀형 일반
  ①독사형  ②코브라(Cobra)형  ③인도 왕뱀(Indian python)  ④능구렁이형  ⑤아나콘다(Anaconda)형
3.거북이형
4.악어형
5.카멜레온(Chameleon)형

파충류는 각 동물의 생김새와 특성에 따라 다양한 생태와 습성을 가지고 있다. 상상적인 동물도 있으나 상징적인 의미에서 인간의 모습과 생태학적인 면에서 비슷한 점이 많고, 또 각 동물의 모양과 감각적인 능력이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초감각적인 지각력과 에너지를 갖고 있어, 인간의 잠재적 능력과 비교하면 아주 적합한 비유적 해석을 토대로 인간성의 적나라한 점을 설명할 수 있어 정확하게 감정하는 데 많은 자료를 제공하는 도움이 된다.

 1.용형

용형은 얼굴표정과 기색의 변화와 몸체의 스타일(Style)에 따라 피부색깔 및 그 심상의 변화에 따라 ① 청룡형 ② 백룡형 ③흑룡형으로 구분하여 각 형의 특징을 파악하여 인물감정의 자료로 삼는다.

① 청룡형
[얼굴모양] : 얼굴이 상하로 길쭉하면서 풍만한 살집이 발달해있다. 머릿결이 뒤로 유연하게 넘어가고 변지(邊地; 이마 양옆 가장자리)가 위로 뻗어 이마가 마치 뿔이 난 것처럼 솟아 올라갔고 은은한 광택이나 윤기가 난다. 눈썹이 굵직하게 길게 뻗어 위엄이 서려있다. 털이 부드럽고 연한 사람도 있다. 눈은 예리하게 빛나면서 가늘고 눈동자는 깊숙이 자리잡아 마치 안광이 뿜어 나오는 것 같다. 콧대가 힘있게 죽 곧고 길다. 관골이 준수(俊秀)하고 살결은 紅紫色바탕에 푸른 기운이 감돈다. 입이 단정하고 양옆 가장자리가 힘이 있어 보인다. 살결은 연하고 부드러우면서 靑紫色에 가깝다.

[신체 및 골격] : 키가 크고 늘씬하다. 행동이 부드럽고 완만하게 처신하나 그 속에 용맹과 날램을 감추고 있다. 범접할 수 없는 위엄이 서려있고 말을 할 때는 조용하고 은근하나 권위와 엄숙함이 풍긴다. 장중한 골격에 뼈대와 근육도 알맞게 조화되어 일별(一瞥)하기에 훤칠한 인물임을 느끼게 한다.

[기질 및 성품] : 범인의 경지를 초월한 대인의 풍채로 위풍당당한 배짱에 늠름한 기백을 갖고 있다. 자기가 하는 일에 용기와 자신감을 갖고 두려움 없이 전진한다. 장래에 대한 뜻과 계획이 웅대하고 대기만성형이다. 통솔력과 지도력을 갖추면서 덕성이 있고 인자하다. 점잖으면서도 변화무쌍한 처세의 능력과 포용력을 갖고 있다.

[진로 및 직업] : 정치가 고급관리 국회의원 외교관으로 활약하고 관광무역업 문화사업 등 사회의 지도적 위치에서 활동할 수 있는 잠재적 역량을 가지고 있다.

 

② 백룡형
[얼굴모양] : 이마 좌우 변지가 둥글게 발달하고 눈 주위 관자놀이에 살집이 부드럽게 솟아올라 탄력이 있다. 눈동자가 깊숙하고 표정이 그윽하며 명상적인 안색(顔色)이다. 청룡형보다는 코가 좀 짧으며 콧등은 완만하고 끝은 약간 펑퍼짐하다. 얼굴이 상하로 긴 듯하나 자세히 보면 좌우로 풍만하고 광대뼈가 둥그스름하고 법령도 넓은 편이다.

[신체 및 골격] : 백룡형은 좀체 보기 드문 상으로 귀상이다. 피부가 은백색으로 광윤이 난다. 체격이 펑퍼짐하면서도 허리가 길고 늘씬하다.

[기질 및 성품] : 독창적 상상력이 풍부하고 물질과 정신방면에 縱橫無盡으로 능력을 구사하고 현실과 이상을 잘 접목시킬 수 있는 실행력이 있다. 학문과 경륜이 있으며 4차원 영계를 투시하는 초월적 영동력(靈動力)을 갖고 있는 사람도 종종 있다. 온화하면서도 고상한 기품이 넘치며 외견상 엄숙하고 경건한 표정이다.    

[진로 및 직업] : 철학 종교 윤리 도덕 등 인간의 정신세계에 대한 깊은 식견과 전문지식을 갖고 있다. 현실적 직업방향은 철학자(교수 학자 저술가) 종교가(승려 목사 신부) 교육자 외교관 문필가(시인 소설가 작곡가)등에 자질이 있고 음악이나 미술 등 예능방면에도 소질을 발휘한다.   

 

 

 

③흑룡형
[얼굴모양] : 이마가 모지고 단단하다. 눈썹과 귀가 위로 쭉 뻗고 눈망울이 예리하게 빛난다. 코 등어리의 중간에서 약간 융기(隆起)하여 굽은 형상이다. 코끝 봉두(峯頭)가 봉곳 솟아올라 봉오리를 이루다가 급격히 굴곡져 위엄을 느끼게 한다. 입술이 검붉고 턱은 견고하게 단단해 보인다. 인상이 좀 우락부락하게 험상한 느낌을 주나 어딘가 관용과 포용심이 있어 보인다.    

[신체 및 골격] : 체격이 늘씬하고 長大건장하다. 근육이 단련되고 살결도 단단하며 탄력이 있고 暗褐色의 검은 기운이 느껴진다. 걸음걸이와 행동처신에 위풍과 절도와 규율이 있어 보인다.

[기질 및 성품] : 기개가 높고 지략이 있으며 큰일을 일사분란하게 처리하는 능력이 있다. 때로는 무자비하게 냉정하며 원칙을 고집하면서 공격적 행동을 거침없이 수행한다. 강직하면서 실무와 이론에 능통하다. 정의감과 의협심이 강하고 용맹과 배짱에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다.  

[진로 및 직업] : 국가 공공기관 고위관리직 법관 군인 경찰 현장감독 무술기공전문가 방면에 진출하면 성공할 가망이 높다. 기타 운동선수 각종수도인 토목 건축 광산채굴사업에 진출한다.

[용형 종합해석] 용형은 어떤 특정한 사람을 염두에 두고 말하기도 하지만 누구든지 平生之運의 대와 장소에 따라 용형의 운기가 심상으로 나타난다. 특히 대성공이나 발전(발전 승진 합격 명예)의 시기에 일대비약의 機微徵兆運勢로 포착된다. 사업의 개운이나 출세니 목표달성의 시기, 최고 정상의 자리에 도약접근하는 心身靈肉一致의 통일적 처세기운이 한데 뭉쳐 나타나는 기색으로 예언할 수 있다.

2.뱀형

뱀형은 ①뱀일반형에서 ②구렁이형 ③독사·살모사형과 ④코프라형 ⑤인도 왕뱀 ⑥아나콘다로 분류하여 각 인물형의 심상과 비유하여 그 인물형의 특징을 판단하고 현재의 운세를 감정하여 미래에 일어날 일을 예언하거나 투시를 한다.

①뱀 일반형
[얼굴모양] : 이마 중앙이 단단한 편이고 양옆 변지가 불룩하게 발달하고 눈은 작고 가늘면서 날카로운 형상이다. 콧대가 오뚝하게 쪽 섰고 끝이 봉곳 솟아 올라온 후 오목 잘록하다. 입술 양끝이 얄팍하거나 예리하고 입은 닫으면 적고 벌리면 크다.  

[신체 및 골격] : 몸집이 알맞게 통통하고 뼈와 살의 균형이 어울린다. 몸이 호리호리하고 체격에 비해 허리가 길고 키가 커 보인다.

[기질 및 성품] : 생각은 깊고 행동은 느리나 일단 계획한 것은 빈틈없이 밀고 간다. 여러 번 심사숙고한 후 성공실패를 점쳐보고 처세하므로 실수가 드무나 냉정하고 인정 없는 사람으로 인식된다.  

[진로 및 직업] : 고문 보좌관 비서직 형사 정보수사계통 세무 경리 회계사로 진출하면 유망하고 상품판매 시장조사원 통계가 신문방송기자 상담소 경영 소개중개인방면에 소질이 있다.

 

 

 

②구렁이형
[얼굴모양] : 일반형보다 얼굴이 좀 크고 오관의 윤곽선도 또렷하고 FACE LINE이 굵다. 머리 상부가 넓고 측면 두개골이 불거지고 후두부도 발달했다. 무언가 주위를 세밀히 살피는 機微가 있으나 다른 사람이 눈치채지 못하게 한다.  

[신체 및 골격] : 얼굴전체 인상이 역삼각형에 모서리각이 없는 형태이다. 체형은 마름모꼴이나 원통형을 연상하지만 몸 속에 꿈틀거리는 운동감이 은근히 느껴진다. 동작을 천천히 하나 언행에 무게와 여유가 있다.  

[기질 및 성품] : 여러 번 생각한 후 행동으로 옮기는 사고형으로 평소에 조용하나 앞날의 계획과 포부가 크다.  차가운 성격이 冷血漢같지만 일단 마음이 통하는 사람과는 인정을 베풀고 남모르게 협조하고 도와주는 報恩의 心德을 가지고 있다.  

[진로 및 직업] : 회사 창업, 고문 비서직, 학술연구 창작 저술업, 대리점 , 창고건물 임대업 계통에 유망하다.

 

 

 

③독사·살모사형
[얼굴모양] : 이마 눈썹주위 근육이 불거져 나오고 눈썹이 촘촘히 나서 짙고 가늘게 뻗어있다. 코뿌리가 곧고 중앙에서 풍만하게 발달하여 코등이 융기하거나 굴곡이 나있다. 코끝이 단단하고 매끄러우며 양쪽 살집근육이 넓죽이 벌어진 형상이다. 광대뼈가 나왔으나 살집 때문에 별 표나지 않는다.  
[신체 및 골격] : 중키에 어깨 가슴 허리 등이 단련되어 탄력성이 있어 보인다. 근육과 뼈가 알맞게 상호 긴밀하게 알맞게 발달되었다. 손발이 통통하게 살찌고 부드러운 피부이다. 상하체의 균형이 잡혔고 동작은 완만하나 빈틈없는 처세를 한다. 상체가 하체보다 좀더 널찍하게 발달한 경우가 상당히 많다.    
[기질 및 성품] : 성격이 냉정 침착하고 조용하다. 깊이 생각한 후  행동하는 사고형 기질이다. 성질이 표독(慓毒)하여 남의 불행을 보고도 못 본체한다. 동정심과 인정이 없어 이기주의적 인간이나 자기 이익과 관련된 것은 꼬치꼬치 물고 늘어져서 비밀리에 타인을 조사하고 흉계를 꾸미기도 한다. 목적달성을 위하여 상대방에게 일시적으로 가장된 친절을 베풀거나 편리와 이익을 제공하기도 한다. 거만한 기질에 자기는 별 존재도 아니면서 타인을 중상모략하고 멸시 천대한다. 치밀한 일의 앞뒤를 가려서 순차적으로 그러나 확실하게 천천히 처리한다.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선천적 자질이나 취미적성을 참작하고 후천적으로 취득한 지식이나 교양에 따라 신중하게 감정해야 한다.

 


[진로 및 직업] : 사법관 군인 경찰 등 공직에 진출하고 계리사 회계 경리 통계분야에 밝고 현장감독 운동선수의 소질이 있으며 기능기술공 광산 금속 세공분야에도 진출한다.

 

 

 

 

 

 

 

④코프라(Cobra)형
[얼굴모양] : 얼굴상부는 독사형과 비슷하나 윤곽이 더 크고 광대뼈 부분에 살집이 더 많다. 입이 좀 크고 잇발도 굵고 크다. 턱이 넓고 법령이 길고 주름이 많다.

[신체 및 골격] : 키기 큰 편이 많고 뼈대와 근육이 함께 발달했다. 뱀 일반형보다 오관 사지백체가 더 큰 형상이면서 언행에 여유가 있다.

[기질 및 성품] : 표면적으로 점잖은 듯하나 눈치가 빠르고 처세의 수완도 능숙하다. 남의 약점이나 실수를 잘 포착하여 나중에 상대방을 공격하는 자료로 삼는다. 겉으로는 방어하고 속으로는 공격하는 양면적 처세술을 사용하는 비열한 수법을 동원한다. 상대방이 강할 때는 재빨리 후퇴하여 다음 기회를 노린다.

[진로 및 직업] : 진로 직업분야의 진출은 독사 살무사형과 비슷하다.

※Cobra∼인도 아프리카 産 독사

 

⑤인도 왕뱀(Indian python)

[얼굴모양] :
[신체 및 골격] :
[기질 및 성품] :
[진로 및 직업] :
※Indian python∼아메리카 열대지역이나, 아프리카 중부(이북) 지역, 마다가스카르, 아시아 서부지역에 살며 크기는 2-4m 정도. 왕뱀의 특징은 주로 나무 위에 살면서 밑을 지나가는 동물을 습격하거나 인가에 들어가서 돼지나 염소 등 가축을 습격하기도하고, 사람을 해칠 때도 있다. 한번에 50-100여 개의 알을 낳으며 긴 몸으로 또아리(똬리)를 틀어 알을 감싸고 보호하며 부화하기에 적합하도록 온도를 높이어 준다. 육식성으로 조그만 쥐에서부터 사슴까지 포유류 등을 몸으로 감아 졸라서 질식시켜 잡아먹는다. (자료 출처 부산 해양 박물관 전시 안내문)  

⑥아나콘다(Anaconda)형

[얼굴모양] : 얼굴모양이 둥글넓적하나 상하로 길쭉하며 광대뼈가 불룩 나온 편이나 전체적으로 살집이 풍부해 잘 나타나지 않으나 윤곽은 또렷하다. 허여멀쑥한 피부에 좀 귀티가 나거나 부상(富相)의 분위기가 풍기고 눈동자가 분명하고 눈이 큰 편이다.  

[신체 및 골격] : 상 하체가 굵고 큼직하다. 키가 큰 편이나 중키정도의 몸체도 상당히 많다. 태음체질에 행동이 둔중(鈍重)하고 유연하다. 어깨 등어리 부위가 발달했다.   

[기질 및 성품] : 부드러운 자태이나 지모(智謀)의 인상이 풍기고 위엄을 부리거나 권위의 처세를 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수양의 정도에 따라 때와 장소에 따라 다른 처신을 하는 것이 사람의 처세 방식이므로 변화상보다는 불변상의 본 모습을 보고 인상판단을 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진로 및 직업] : 흥행사업가, 고위관리나 경영자, 해운업, 소설 극작가, 물류유통업

※Green Anaconda∼南美산의 큰 구렁이로 최대 9m 정도이다. 성숙 연령은 3-4세이며, 열대 우기에 짝짓기를 한다. 한번에 20-40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땅위에 있는 것보다 물위에 있는 것을 더 좋아하고 표범을 공격하기도 하지만 사람은 해치지 않는다. 먹이는 커다란 설치류(쥐 다람쥐) 멧돼지 사슴 새 물고기 水棲 파충류 등이다. (자료 출처 부산 해양 박물관 전시 안내문)  
※Green Anaconda∼南美산의 큰 구렁이로 최대 9m 정도이다. 성숙 연령은 3-4세이며, 열대 우기에 짝짓기를 한다. 한번에 20-40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땅위에 있는 것보다 물위에 있는 것을 더 좋아하고 표범을 공격하기도 하지만 사람은 해치지 않는다. 먹이는 커다란 설치류(쥐 다람쥐) 멧돼지 사슴 새 물고기 水棲 파충류 등이다. (자료 출처 부산 해양 박물관 전시 안내문)  

(3)거북이형
거북이형은 ①학문 정치 관직형과 ②사업형으로 분류하여 감정한다.

①학문 정치 관직형
[얼굴모양] : 눈동자가 자그마하게 안으로 쑥 들어가서 빤짝이고 잔주름이 눈두덩 관자놀이 이마 부위에 많다. 이마 윤곽이 둥그스름하고 중앙부위가 약간 불룩하나 전체적으로 편편한 인상이다. 눈썹이 눈보다 길고 미간인당이 발달했다. 얼굴전체가 넓으나 코 입 귀 등은 작은 편이다. 엄숙 단정하면서 인자하고 자상한 풍모이다.    

[신체 및 골격] : 듣과 어깨가 펑퍼짐하고 손발이 두텁고 탄력이 있으며 굵고 긴털이 듬성듬성 나 있는 경우가 있다. 건강장수체질로 몸집이 풍만하나 비만형은 아니다. 팔다리가 몸체에 비해 짧은 편이며 목은 굵고 짧은 편이나 긴 사람도 있다.

[기질 및 성품] : 사리에 어긋나는 일은 하지 않으며 정명대도에서 심사숙고한 후 서서히 착수한다. 생각이 갚고 마음이 넓으며 백절불굴의 용기와 인내심도 강하다. 靜中動의 성질로 즉 신체는 많이 움직이지 않으면서 氣功的인 움직임을 추구하는 성품이다.

 

 

[진로 및 직업] : 학문연구의 탐구심이 왕성하고 끈기있는 추진력과 인내심이 강하다. 정열적인 활력과 아이디어가 창조적을 작용하면 국가사회에 큰 일을 하는 수가 많다.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는 직업을 선택하여 어떤 분야에도 대성할 수 있는 자질이 있다. 속전속결보다 대기만성형의 인생을 건설하면 목표달성의 기회를 잡을 수 있다. 학식과 경륜과 포부에 따라 학자 정치가 공무원 연구(발견 발명)가 교육가 기업경영 창업자 등에 적합하다.    

 

 

 

 

 

 

②사업형
[얼굴모양] : 눈이 작고 깊숙하나 총명하고 날카로운 형안(炯眼)인 경우가 많다. 눈초리에 잔주름이 있으며 인중(人中: 코밑 수직 주름골)인 긴 편이고 입술이 양옆으로 힘있게 뻗었다. 피부에 탄력이 있고 검붉거나 푸른 윤기가 비친다. 여자는 광대뼈가 발달하고 턱이 方形인 경우가 많다.  

[신체 및 골격] : 어깨가 좁은 듯하나 등어리가 펀펀하고 풍채가 우람하거나 육중하다. 엉덩이가 펑퍼짐하고 걸음이 느릿느릿하다. 특히 여자는 하복부가 발달했다. 그러나 군살이 붙어 아주 보기 싫은 정도로 뚱뚱하지 않으며 남성적인 면모도 있다.

[기질 및 성품] : 남녀공이 강인한 추진력으로 밀고 가는 박력이 있다. 오랫동안 생각한 후 결단력이 정확하며 만사에 자기통솔력의 능동적인 방향으로 나아간다. 계산추리능력이 월등하고 물질과 사물을 통합적으로 다루는 재능이 우수하다. 자기 일을 제겨놓고 남의 일을 도와주는 봉사희생정신이 풍부하다. 혼자서라도 억척같이 살아가는 생활력이 강인하다.  

[진로 및 직업] : 해운선박 무역업, 해산물 및 어류취급, 주류양조업, 주류음료제품, 목욕탕 및 건강기업, 액체기름종류, 기타 각종상업.

 

 

4.악어형

[얼굴모양] : 이마가 단단하고 눈썹이 짙으며 털은 굵고 억세다. 눈망울이 크고 눈두덩이 불룩하다. 콧대가 융기하여 굴곡이 있으며 코끝이 뭉텅하거나 크다. 턱이 전방상위로 돌출하고 입과 잇발이 크다.  

[신체 및 골격] : 피부가 두껍고 뼈대와 근육이 굳세다. 키가 후리후리하고 동작이 유연하나 본격적으로 개시할 때는 電光石火처럼 날쌔다. 정력이 세고 체력이 강해 잠재적으로 숨은 힘이 있다.

[기질 및 성품] : 속으로 냉혹하고 탐욕이 많으나 겉으로는 남의 사정을 봐주는 척 동정심을 베풀지만 실은 이용하고 함장에 빠트린다. 성격과 언행이 조야하고 예의범절이 희박하고 처세가 세련되어 있지 않다. 턱없이 욕심을 부리고 남의 것을 허락 없이 사용해도 부끄러운 줄 모른다. 자기 수양과 연단이 필요하다.

[진로 및 직업] : 악어형은 대체로 신체적 조건은 우수하나 정신적 역량이 부족하니 독서를 많이 하고 인격을 함양하는 등 자아발전에 힘써야 한다. 운동선수 직업군인 토목건축업 산림임업 근육노동 등 주로 타고난 신체적 체력을 바탕으로 두뇌를 단순하게 쓰는 직업에 유망하다.

5.카멜레온(Chameleon)형

카멜레온형은 주로 동작 처세방향 및 심상을 바탕으로 판단한다. 朝三暮四한 성격에 인품이나 용모는 볼품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외로 외모가 그럴 듯하고 처신도 의젓하나 실상은 표리부동하게 가장된 행동을 많이 한다. 혼(魂)이 없는 사람으로 자기주견이나 사상 철학이 없이 항상 주위의 상황에 따라 처세의 방향을 결정하는 아부근성이 몸에 벤 사람이다. 요리조리 말을 바꾸어 가며 눈치를 살피는 간사한 인간이 많고 고자질을 다반사로 하여 사람들을 이간시키고 싸움을 붙이고 중간에서 자기의 이익을 챙긴다. 자기 나름으로 임기응변의 이론을 둘러대며 허세를 부리나 실상은 진리를 모르는 소인배이다. 감언이설에 능하니 이런 사람은 멀리하라.  

※Chameleon∼뱀과 같은 파충류의 한 종류로 몸길이 30∼60cm 가량이고, 네 다리가 길고 재빠르게 움직이고, 꼬리 길이는 몸길이의 절반 정도이고, 생존의 전략에 대한 공격과 방어에 능하여, 주변의 빛깔에 따라 몸 색깔을 바꿀 수 있고, 양 눈을 따로따로 움직이며, 긴 혀를 재빨리 움직여 곤충을 잡아먹는다.    

제4장:공중동물  조류형(鳥類形)
1.독수리형 2.매형  3.솔개형 4.올빼미형 5.박쥐형
6.봉황형    7.공작형   8.앵무형  9.제비형  10.카나리아형
11.참새형  12.학·두루미형  13.백로·해오라기형  14.황새형  15.기러기형
16.오리형  17.타조형         18.칠면조형             19.까치형   20.까마귀형

조류형은 그 새의 머리와 사람의 얼굴모양과의 비교보다는 그 새가 살고 있는 환경과 서식지(棲息地)의 분위기를 참고하여 생태적인 습성을 파악하고 또 그 몸집 전체에서 풍기는 인상과 자태를 위주로 그에 비유되는 사람의 모습과 체질 성격 기질 등과 상징으로 비유하여 느끼는 心靈感應을 토대로 영적으로 해석하니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그렇다고 너무 어렵게 생각할 필요는 없고 평소 자기가 알고 있는 지식이나 경험 등의 견문을 토대로 마음에 느낀 대로, 선입견에 왜곡되지 말고, 허심탄회하게 해석하면 된다. 즉 무념무상이 허령진공(虛靈眞空) 상태에서 사물을 있는 그대로 자연적으로 판단하면 된다.   

1.독수리형

독수리형은 주로 기능 기술 사업 연구 탐색방면에 종사하는 일반형과 검차 군인 수사계통과 정치관리 사업형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근본적으로 독수리형 발견 연구 탐색적인 직업에 자질과 능력이 있는 사람으로 선천적인 본능과 후천적인 능력이 상호조화적으로 융화된 사람이 크게 성공한다.

①독수리 일반형
[얼굴모양] : 눈썹이 가지런하게 뻗으면서 가늘고 눈빛이 날카롭고 안광이 빛난다. 얼굴이 야위고 상하로 쭉 뻗어 내린 편이고 광대뼈가 불거져 나온 사람이 많다. 콧대가 가늘면서 끝이 볼록하고 전방으로 돌출했다.  

[신체 및 골격] : 몸이 호리호리하고 중키 이상이다. 살보다 뼈와 근육이 발달하고 피부는 건조하고 단단하다.

[기질 및 성품] : 선악간에 영악성(怜惡性:영리하면서도 惡辣한 성질)이 강렬하고 사물을 보고 관찰하고 판단하는 능력이 예민하다. 말이 별로 없고 목적을 향해 끈질기게 추적한다.

[진로 및 직업] : 기능 기술분야에 진출하여 두각을 나타낸다. 기계 금속 전자  생산업체 근무 광산채굴 산림개척사업 천문 항공관계 일기예보 업무 종사에 유망하고 선박어업 통계조사 업무에도 자질이 있다.

 

 

②독수리 관직형[검찰 군인 수사관]
[얼굴모양] : 눈썹과 눈이 코뿌리 중앙 인당으로 밀집되어 있다. 무엇을 관찰하듯 찡그리고 집중하는 표정이다. 콧대가 약간 굽은 듯하고 관골이 불룩하게 발달하고 아래 볼과 턱 주위에 주름 결이 깊게 파여 있다.

[신체 및 골격] : 보통 키에 상체가 발달했다. 독수리 일반형보다 살이 더 많고 좀 뚱뚱한 편이다.

[기질 및 성품] : 외유내강(外柔內剛)형으로 인품이 중후하나 엄격하고 세밀하며 냉정한 표정이다. 절도와 규율을 중시하고 정확성을 모토(Motto)로 하는 인생관에 젖어 있어 딱딱한 인상을 준다. 공사(公私)생활에 철두철미한 생활태도로 친절하고 온화한 성품이 부족하니 다양한 취미를 살리고 폭넓은 사고를 하는 융통성이 필요하다.  

[진로 및 직업] : 판사 검사 법률행정업무에 재능이 있고 경찰 군인 수사계통 진출에도 유망하다. 고위관리 장성 의사 의원(議員) 통계 감사직에도 소질이 있다.

 

 

③독수리 정치관리 사업형
[얼굴모양] : 이마와 관자놀이 관골이 발달했다. 콧대가 굵고 곧으며 입술은 좀 두꺼우나 단정하다. 얼굴 오관 이목구비와 면상이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혀있어 조화미가 있다. 좀 엄숙하고 위엄이 풍기나 관용적인 표정이 두드러져 보인다.

[신체 및 골격] : 독수리 일반형이나 검찰군인형보다 신체가 좀더 장대하고 중후하다. 목이 굵직하고 우뚝하여 얼굴이 높이 붙어 있는 느낌이 든다. 언행에 위엄과 무게가 엿보인다.

[기질 및 성품] : 대국적으로 일을 처리하고 관용과 포용심이 있으면서 꼼꼼하게 일을 처리하는 세밀침착형으로 시작과 끝이 분명한 결단력이 있는 사람이다. 문무겸전하여 학술과 이론 실무에 밝고 추진력과 끈기가 있으면 목표달성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진로 및 직업] : 정치가 고위관리직 공공기관의 장 국회위원 외교관 계통에 진출한다.  

 

2.매형
[얼굴모양] : 이마가 둥글게 불룩하고 앞으로 튀어나온 편이다. 코는 잔등에서 융기되고 굽이쳐 유대인코(매부리코)를 닮았다. 눈동자가 총명하고 인상이 청수(淸秀)하다. 턱과 볼이 아래로 쭉 빠졌다. 눈썹이 짙고 단정하다.

[신체 및 골격] : 중키 정도에 뼈와 살이 알맞게 발달하여 사지백체의 균형이 잡혔으나 팔이 좀 잛은 편이다. 살결은 독수리형보다 부드럽고 연하다.

[기질 및 성품] : 독수리형과 대동소이하다. 위엄과 매서운 기질을 강하게 풍긴다. 수양이 안된 사람은 이기심과 탐욕이 강하다. 한번 목표로 삼은 것은 끝가지 추적하여 물고늘어지는 끈질긴 분투심(奮鬪心)이 있다.

[진로 및 직업] : 수양과 지성이 겸비된 사람은 조용하게 안정되어 매사에 신속정확하게 업무를 처리하는 주의집중형이다. 사법관 군인 경찰 통계 회계처리 시장조사 경리담당 전자전기제품 취급

 

 

3.소리개(솔개: Black kite)형
[얼굴모양] : 눈썹이 짙고 눈동자의 검은창과 흰창이 분명하다. 오관이 얼굴중심으로 모였으며 얼굴 윤곽선에 요철의 굴곡이 있다. 좌우 관골의 뼈대가 불거지고 턱이 방(方)형으로 벌어졌다.

[신체 및 골격] : 몸이 건장하고 손발이 억세며 팔다리가 좀 길고 튼튼하다. 피부가 비바람에 맞은 듯 거칠고 단단하다. 좌우 허리나 골반 복부(腹部)의 근육이 단단하고 탄력이 있다.

[기질 및 성품] : 목적 달성을 위해 인정사정 볼 것 없이 일을 추진하는 투쟁형 기질이 강하다. 칠전팔기와 백절불굴의 자세로 전진하며 찬밥을 먹고도 불철주야 노력하는 인내심이 강하다. 고집이 세어 현명한 충고를 무시하는 만용심(蠻勇心)도 있다.

[진로 및 직업] : 토목건축 각종공사 도급(都給) 중개 현장감독 경비원 운동선수 중장비 운전 산림채굴 광산업 운송배달업 행상노점

 

 

4.올빼미형
[얼굴모양] : 눈이 큼직하고 둥글며 눈동자가 유난히 크고 빛난다. 얼굴 윤곽은 둥그스름하게 넓으나 살은 별로 없다. 귀가 얇고 넓으며 입은 적다.

[신체 및 골격] : 키가 보통정도이고 몸집은 오목 잘록하고 팔다리가 짧은 편이다. 손발은 적으나 살결은 곱고 예쁘다.

[기질 및 성품] : 말이 별로 없고 주로 표정이나 동작으로 자기의 의사를 표시한다. 은인자중하여 일을 처리하나 활달성과 사교적 다양성을 내면적으로 감추고 있다.

[진로 및 직업] : 조로 야간에 활동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수가 많고 사무실이나 건물 안에서 생활하는 수가 많다. 유흥관광업, 안내서비스직업, 여관 다방 극장 창고업 실험연구직에 진출할 가망이 있다.

 

 

 5.박쥐형
[얼굴모양] : 이마가 불거졌거나 인당이나 관자놀이 부분이 돌출했다. 귀는 적은 편이나 귀 불 근육이 솟아올랐으며 청각이 우수하다. 광대뼈가 솟았든지 턱이 앞쪽이나 밑으로 불거져 나왔거나 돌출했다.

[신체 및 골격] : 귀와 몸집이 작으나 근육이 단단하고 기골에 짜임새가 있으며 상하체의 균형이 잡힌 체격이다. 피부는 엷으나 매끄럽고 탄력이 있다.

[기질 및 성품] : 외견상 볼품 없이 어리석은 듯 하나 숨은 재능과 솜씨가 있다. 청취이해력이나 분석추리력이 뛰어난다. 기술이나 특기 예능 등 평소에 잘 나타나지 않으나 잠재적 재능이 있다. 손 발 동작이 재빠르고 조각이나 물건을 만드는 수공제도의 능력이 있다.    

[진로 및 직업] : 목공예 도안 디자인 시계 안경 금은보석세공의 기술에 유망하고 인쇄도장 간판업에도 진출한다.  

 

 

6.봉황형(a Chinese phoenix)
[얼굴모양] : 이마가 상하로 타원형에 가깝고 기색이 淸秀하게 곱고 銀紫色의 潤氣가 비치기도 한다. 눈썹이 반달같이 휘었고 털은 가늘면서 부드럽다. 콧대가 端雅하게 곧고 길다. 눈은 버들잎과 흡사하고 입술이 곱고 단정하며 紅紫色 바탕에 淸氣가 서려있다. 얼굴전체 느낌이 秀麗하면서 화려한 용모다.  

[신체 및 골격] : 상하좌우 신체의 균형이 잡혀 호리호리하면서도 곡선미가 유연하다. 살과 뼈가 알맞게 조화되었고 은은하고 고상한 기품이 우러나온다. 손가락이 곱고 길며 발이 아담하고 날씬하며 조용한 성품에 瑞氣로운 아름다움을 자아낸다.

 [기질 및 성품] : 성품이 온유하고 목소리가 방울 굴리듯 가늘게 울려나오고 맑고 깨끗한 음성이다. 화평한 마음가짐에 여유가 있으며 은근한 품위와 고상한 매력의 흡인력 같은 것을 느끼게 한다. 깔끔한 성격에 부정한 음식이나 행동을 싫어한다. 자존심이 너무 강해 교만성과 고고(孤高)함이 병존하여 처세상 까다로운 점이 다소 있다.     

 

 

[진로 및 직업] : 상류계층이나 귀족형 출신에 많다.  국가 공공기관 고위관리 외교관 무역업 사회사업 학술연구직 의사계통에 진출하고 예능이나 인기직업에도 종사한다. 체질상으로 고급사치품(실내장식, 비단의류, 예술작품 골동품 역사유물 취급)의 사업에 종사한다. 운명의 변화에 따라 유흥관광업 고급요정 가수 무용 접객업에도 진출한다.

[봉황형 종합해석] : 남모르는 고민이나 운명의 변화로 인해 행운과 불운의 극단으로 입장이 뒤바뀌는 경우도 있고 질병이 있는 수가 있다. 평소에 대범한 처세로 수양을 많이 하고 폭넓은 인생관을 가지도록 노력하라. 고상하고 깔끔한 성품에 독선적 결벽성이 있어 대인관계에 기피되거나 독선적 인물로 평가받아 고립될 수가 있으니 항상 친절하고 명랑쾌활한 처세를 하도록 하라. 자기도취나 아집에 쌓여 폐쇄주의 성질이 있을 수 있으니 덕성을 함양하고 심신단련으로 체력을 보강하여 건강관리에 만전을 기하라.

 

 

 

7.공작형
[얼굴모양] : 인상이 환하고 밝다. 눈과 눈썹이 균형의 미가 있어 잘 생겼다. 서글서글한 눈매에 뜨거운 정열을 느낄 만큼 타오르는 인상이다. 깃봉머리처럼 생긴 코가 복스럽고 탐럽다. 사람을 매혹시키는 언행의 매력을 갖고 있으며 미남 미녀형이 많다.

[신체 및 골격] : 뼈와 살집이 적당하게 조화되어 포동포동한 육감미를 느끼게 한다. 손발은 적은 편이나 알맞게 살찌고 살결이 부드럽고 피부의 윤기도 곱다. 여자는 성적인 애교나 매력을 풍기는 교태뇌살(嬌態腦殺)형이 많다.

[기질 및 성품] : 화려한 의복을 자주 갈아입고 변신을 좋아하며 허영심에 들떠 사치하는 버릇이 있다. 더운 음식을 좋아하고 미식을 탐하기도 한다. 다혈질에 가깝고 정열적인 활력이 좋으나 자기자랑과 과대 선전하는 아만심(我慢心)이 강하다. 수양이 되면 화기애애한 성품에 자상하며 인생의 여유와 멋을 즐길 줄 안다. 예술적인 정서생활의 운치와 여유가 있어 인생의 참다운 멋을 알고 취미도 다양하고 재능도 있다.

[진로 및 직업] : 인기연예인(탤런트 배우 가수 음악 무용 전문가), 예능의 소질로 상류층 사교계진출, 문화사업종사, 의류 포목점, 양복양장, 미용업, 사치 장식품 귀금속 취급, 그 외 화려하고 각광받는 서비스 계통이 유망하다.

8.앵무(鸚鵡)형

앵무형은 예능 사업방면에 재능있는 사람과 언론 학술분야에 진출하는 타입(type)이 있다.

①앵무 예능사업형
[얼굴모양] : 와잠궁(臥蠶宮: 아래 속눈썹 부위 눈두덩)이 불룩하고 눈꼬리에 잔주름이 여러 겹 가늘게 서려있다. 코잔등과 코 끝 준두(準頭)의 살집이 불룩하다. 턱이 원만하게 발달하여 순하고 인자한 표정을 풍기고 언행이 부드럽다.

[신체 및 골격] : 보통의 체격이나 상체가 발달했고 여자는 가슴이 알맞게 봉긋하며 성적인 매력을 은은하게 풍긴다. 남자인 경우 목이 통통하고 목젖이 불거졌거나 울대뼈가 나왔다. 목소리가 영롱하고 음성의 고저를 잘 조절할 줄 알고 저음이 배경으로 울려나오며 감미로운 느낌을 준다.  

[기질 및 성품] : 흉내나 모방의 재능이 있고 처세술의 기교가 다양하며 자기분야에서 독창적인 사업을 벌리기도 한다. 양순한 것 같으나 자기의 이익을 위해서는 동분서주할 정도로 자기 몫을 잘 챙긴다.

 

 

 [진로 및 직업] : 문화적인 사업이나 언어학술 분야에 재능이 있다. 예능 미술 도안 장식 정보디자인을 기초로한 사업개척에 소질이 있고 능력에 따라 배우 탤런트 가수로도 성공할 수 있다.

 

 

 

 

 

 

 

②앵무 언론학술형
 [얼굴모양] :

[신체 및 골격] :
[기질 및 성품] :
[진로 및 직업] :
[앵무 언론학술형 종합해석] 앵무형 중 특히 청각신경이나 음성언어 분야에 재능과 특기가 있는 사람이다. 눈의 안구가 깊숙하고 눈초리에 총명한 기운이 감돌고 두뇌의 좌 우측과 후두부가 발달되어

여러 방면의 지식이 다양하고 풍부하다. 학문과 지식과 경험으로 세상사의 안목이 넓고 박학다식하여 언론 변설이 자질이 있다. 입술이 두툼한 애정형에 음성의 변화와 감정의 조절이 자유롭다. 진출분야는 아나운서 방송홍보 해설가, 가수 통역 번역가 등으로 활약하고 교수 강연가 사회운동가 목사 신부 승려 변호사 교사 선전원등의 분야에도 유망하다.

 

9.제비형
[얼굴모양] : 눈과 눈썹이 작으나 단정하고 총명한 인상을 준다. 눈동자에 빛이 난다. 코가 단아(端雅)하고 옆볼이 볼록하고 여자는 간혹 보조개가 패여 있어 성적이 흡인력을 느끼게 한다. 입술은 엷고 입은 작으나 상하입술이 긴장되어 균형미를 준다. 전체 인상이 애수(哀愁)를 머금은 듯 연약해 보이나 깨끗하고 아기자기한 느낌을 주게 한다.  

[신체 및 골격] : 몸집은 작으나 날씬하고 민첩한 동작으로 날렵함을 느끼게 한다. 어깨가 동그스름하고 팔다리가 알맞게 붙어있어 조화미를 준다. 여자는 앙증스럽게 예쁜 타입이 많고 언행이 귀엽고 사랑스러움을 느끼게 한다.
 [기질 및 성품] : 행동이 가볍고 좀 까불거나 경박한 기질이 있으나 남에게 폐를 끼칠 정도는 아니다. 언행이 발랄(潑剌)하고 생기가 넘친다. 남자는 친절하고 온순하여 겸손의 미덕이 있으나 간혹 겉과 속이 다른 사람도 있어 남을 속이고 이용하는 간사하고 나쁜 인간도 있을 수 있다. 여자는 귀엽고 애교가 있으며 성적인 매력과 안정성을 주는 경우도 있고 역시 나쁜 방향으로 풀리면 간교한 아양기로 남을 속이는 사기성도 있다. 이런 것은 인간이 성장하면서 나쁜 환경의 영향을 받아 성품이 악하게 변질되어서 그런 것이다. 순종적인 처세술을 하드라도 빈틈없는 계산으로 손해보지 않으려 한다.

 

 

[진로 및 직업] : 예능직이나 방송 언론분야에 진출한다. 비서홍보직 관광안내원 의류복장업 도안장식 페인트업 문방구 인형완구점에 유망하다. 한 곳에 안주하기보다 여러 곳으로 옮겨다니는 것이 오히려 유리하다. 유흥접객업 서비스 봉사직에도 진출한다.

 

 

 

 

 

10.카나리아형
[얼굴모양] : 인상이 곱살스럽고 눈매가 서글서글하며 사랑스러운 애교미가 흘러내린다. 이마와 관골이 둥그스름하게 발달하고 볼우물이 살짝 패이고 턱은 부드럽고 원만하다.  

[신체 및 골격] : 목이 가늘고 울대뼈(남자인 경우)나 근육 기공력이 발달했다. 목소리가 청아(淸雅)하고 아름다우며 변성(變聲)이 자유롭고 가창력이 뛰어난다. 몸집이 좀 야윈 듯하나 언행이 세련되어 있고 친화적 흡인력이 풍겨 나온다.

[기질 및 성품] : 새침하고 깔끔하며 의복을 좀 화려하게 그러나 소박한 아취(雅趣)를 살려 입는다. 지성적인 교양미와 세련된 예의범절을 갖추고 고상한 취미와 여유를 즐긴다. 필요한 말 이외는 잘 하지 않으나 말문이 열리면 유창하고 설득력이 있는 화술이 뛰어난다.   

[진로 및 직업] : 언론방송관계, 음악가 가수 안내홍보직 선전업무 학식이 있으면 교사 교사로 진출. 음성악기점, 컴퓨터 정보분야

 

 

11.참새형
[얼굴모양] : 얼굴윤곽선(Face line)이 똥글똥글하고 인상이 깜찍하게 생겼다. 코는 작으나 쫑긋하고 끝이 오뚝하다. 입은 예쁘장하고 입술이 두툼하고 탄력이 있다.

[신체 및 골격] : 몸체가 작으며 앙큼스러우나 귀여운 데가 있다. 동작이 민첩하고 생기가 있으며 눈치를 잘 살핀다. 고상하고 知的으로 세련된 품격이 좀 떨어진다.

[기질 및 성품] : 별로 할 일도 없으면서 분주한 듯 수선을 떨며 돌아다닌다. 世俗雜事의 하잘 것 없는 화제를 재잘거리며 소문을 퍼뜨린다. 좋은 의미론 상냥하고 친절하며 남의 일을 잘 봐주나 속으로 자신의 이익을 계산한다. 똑똑한 체하나 순진하고 어리석어 남에게 곧 잘 속는다. 일정한 목표를 갖고 계속 노력하면 재능을 키우고 직업도 안정된다. 생활에 내실을 기하고 밖으로 나타나는 외형적 이익보다 보이지 않는 내적인 무형의 靈的인 가치에 중점을 두고 처세를 하면 나중에 큰 것을 이룩할 수가 있다.

[진로 및 직업] : 각종 상품 소개안내 판매를 위주로 하는 외판업무에 제격이다. 목공예 장난감 조가 장식품, 그릇 용기제품취급 안내 서비스 봉사직에도 종사한다.  

12.학·두루미형
학형은 주로 여자를 중심으로 판단하고 두루미형은 남자를 위주로 감정한다. 혹은 남녀 공통로 보기도 한다.

①학(Crane)형
[얼굴모양] : 얼굴이 몸체에 비해 좀 작고 길쭉하고 갸름하다. 인상과 기색이 淸楚하다. 향수를 느끼는 듯 무언가 쓸쓸하고 가냘픈 안색을 띄우나 자세히 보면 고상한 품위가 서려 있다.

[신체 및 골격] : 키가 크고 목이 길다. 허리나 다리가 갈래갈래(한들한들한 모양)하고 몸체가 날씬하고 유연하다. 팔다리 손발이 연약하나 예쁘고 아름답다.

[기질 및 성품] : 예술이나 개인적인 취미로 여가선용을 즐기고 집단으로 하는 단체놀이나 분주하고 시끄러운 일을 좋아하지 않는다. 남이 싫어하는 일은 하지 않고 깔끔한 성품에 자연의 감상이나 홀로 사색하는 趣向이 있다. 채식이나 고급생선 작은 열매류를 잘 먹고 小食 고급 음식위주의 식성을 가지고 있다.

[진로 및 직업] : 남자는 공무원 및 회사원 은행 등 직장의 운은 좋으나 財運은 약하며 여자도 대동소이하다. 여자는 인텔리(intellectual)한 지성형이 많고 종종 운명(destiny)의 숙명적(fateful)인 변화로 이혼하거나 독신으로 사는 수가 종종 있다. 예능분야종사, 양품점 백화점경영, 수공예품취급, 서점 표구상, 고급유흥업 주점운영

 

 

②두루미(A white crane)형
[얼굴모양] : 학형보다 얼굴이 좀 더 풍만하고 이마 눈썹주위와 관자놀이(temple)의 살집 근육이 풍미(豊美)하다. 살결이 부드럽고 흰 편이다. 턱이 좁게 볼록하면서 둥글고 원만하다.

[신체 및 골격] : 몸집이나 키가 중간이상이고 행동이 조용하며 완만하게 처신하며 언행에 기품이 베어 있다.

[기질 및 성품] : 청렴결백하고 육체적인 업무보다 정신적인 사업방면에 취향이 강하고 심사숙고하는 사색형이다. 세속잡사에 깊이 관여하지 않으려 하며 그렇다고 현실적인 능력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학형의 기질 성품과 비슷한 점이 많다.

[진로 및 직업] : 중소기업이나 미술장식관계 회사를 경영하면 점차적인 발전을 할 것이다. 진로방향은 도서 출판계통 시회문화사업 방면에 유리하고 시각적 예능분야(도안 포스터 간판 디자인)에 잠재적 역량이 있다. 학식과 경륜이 있는 사람은 외교관 해운 관광무역 수출업 분야에 소질이 있다.

 

 

 13.백로(白鷺:Egret,큰 해오라기<유럽산>). 해오라기(Heron)<왜가리>형
[얼굴모양] : 백로(해오라기)형은 학형과 비슷하나 고상한 기품의 품격은 좀 떨어지나 세속적 유행이나 물질적 수완은 우수하다. 금전이나 현실적 욕망이 강하여 천박성이 엿보이기도 한다. 정신적 수양과 표정이 안정되고 기색이 은은하면 지성미와 교양의 세련미가 풍겨온다.

[신체 및 골격] : 평균 (중간)정도의 몸집으로 육체의 균형이 잡혀 외관상 아름답다 할 수 있다. 곡선미와 신체의 율동미가 있어 요염한 경우도 있다. 키가 좀 큰 대형이라도 몸체가 호리호리하며 적당한 곳에 알맞게 살이 쪄있다.

[기질 및 성품] : 유행을 잘 따르며 교양과 품위 예의범절 등이 세련되지 못하고 경박한 경우가 종종 있다. 남 안보는 데서 희희락락하고 음란한 짓을 하기도 하나 시치미를 떼고 정숙한 체한다. 물론 수양이 되고 교양이 있어 보이면 그에 합당하게 善한 쪽으로 판단한다.

[진로 및 직업] : 대중을 상대하며 주로 야간에 웃음을 팔거나 어두운데서 근무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수가 많다. 다방 서비스 봉사직 유흥관광업 요리 음식점경영, 의류나 몸치장 액세서리(Accessory)제품 고급사치품판매나 양품점 백화점에 근무하면 어느 정도의 재산을 모을 수 있다.

 

14.황새(Stork)형
[얼굴모양] : 눈썹이 엷으면서 어지럽게 넓게 퍼져있다. 눈은 좌우 비대칭으로 약간 어긋난 모양을 하고 코뿌리 잔등이 낮으면서 끝이 넓적하게 퍼진 수가 많다. 입술의 긴장미가 약해 단아하지 못하고 기색은 파르스름하며 헤벌어진 인상이다. 턱이 굴곡졌거나 불거졌다. 얼굴이 상하로 길면서 넓적한 모양이다. 어딘가 좌우 균형이 안 맞고 쓸쓸하고 고독한 분위기가 느껴진다.  

[신체 및 골격] : 머리가 몸체에 비해 작으며 목이 길고 연약하다. 몸이 비쩍 마르고 손발이 꺼칠꺼칠하여 고생한 흔적이 엿보인다.

[기질 및 성품] : 꾸미고 화장을 하나 심신이 한데 어우러진 조화미는 없는 편이다. 언행이 조야하고 천박한 인상이며 구질구질한 행색에 품격이 떨어진다. 끊임없는 수양과 노력이 필요하다.

[진로 및 직업] : 각종 상업에 종사 배달 서비스 직업 식료품 야채 노점행상 농업 어업분야에 적성이 있다.  

 

 

 

15.기러기형
[얼굴모양] : 이마가 어둠침침하고 쓸쓸한 기운이 감돈다. 눈이 똥그랗고 큰 편이고 코는 작다. 입이 넓고 합죽하며 곁눈질을 가끔 하고 걱정이나 두려운 표정으로 무엇인가 살피는 형국이다.

[신체 및 골격] : 어깨가 좁고 늘어졌거나 좌우 균형이 맞지 않다. 팔다리는 빈약하고 배와 허리 엉덩이 부분에서 불거진 곳이 있거나 군살이 붙어 있다. 등어리가 구부정하기도 한다.

[기질 및 성품] : 남을 너무 믿어 종종 속는 수가 있으니 대인관계 처세에 시중을 기하라. 여자는 조심해서 처세하지 않으면 남자에게 이용당하기도 한다.

[진로 및 직업] : 고향을 떠나 타향에서 자수성가한다. 초년이나 장년에 고생을 하나 중년기(40-49세)에 상당한 성공을 한다. 청년기에 직업(직장)이나 주소가 자주 바뀐다. 주류양조업 곡물상 어물전 등이 괜찮고 학력이나 지식에 따라 기능기술 분야에 진출하고 창고보관업 음료수 판매업 등에 진출한다.

 

 

16.오리(Duck. Drake<숫오리>)형
[얼굴모양] : 눈썹이 어지럽게 나고 이마가 좁다. 눈이 작으며 안광이 분명치 않고 입이 크며 긴장감이 없다. 얼굴의 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 오관(오관)의 조화와 균형미가 없다.

[신체 및 골격] : 살집이 풍만하고 육욕적인 몸매를 가진 경우가 많다. 언행이 허술하고 세련이 안되어 예의 염치가 없고 수치심이 희박하다. 물론 예외인 경우가 장점을 가진 사람이 있을 수 있다.

[기질 및 성품] : 명랑쾌활하나 경조부박(輕躁浮薄)한 처세를 하는 경향이 짙다. 사려깊은 인품이 없고 생각이 얕고 단순하다. 정조관념이 희박하여 남녀호색하는 기질이 농후하다. 무식하여 교양이 없는 경우가 많으니 매일 자기 발전과 인격함양에 힘쓰면 운명이 천한 쪽에서 귀한 쪽으로 변화되어 나간다.[진로 및 직업] : 평범한 인생이다. 천하게 풀리면 심신이 타락하여 화류계로 들어갈 수 있다. 일반상업 단순기능직 노동 직공 요정 음식점 서비스직에 종사한다. 유흥장 접객업소 다방종업원에 종사함.

 

 

 

17.타조형
[얼굴모양] : 훌쭉하고 여윈 얼굴이나 살결은 여물고 빤지르르하다. 이마 주위의 근육이 불룩하고 깐깐한 기상이 넘친다. 눈이 형형(炯炯)하게 빛나고 콧대가 곧고 날카롭다.

[신체 및 골격] : 키가 큰 편이고 행동에 절도가 있으면서 유연하다. 손발이 좁은 듯 길고 뼈대가 굳으면서 단단하다.

[기질 및 성품] :  성품이 강직하고 좀처럼 자기 뜻을 굽히지 않는 정의파이나 숨은 애정과 의리가 있어 신용을 얻으면 많은 도움을 받는다. 불의를 미워하므로 한번 눈 밖에 나면 다시 교제하기 힘들다.

[진로 및 직업] : 학문과 예능 기술과 정보수집에 능숙한 실무이론형이다. 교육 행정 문화사업 기술 연구방면에 두각을 나타낸다. 법관 경찰 군인 은행 회사원 공무원 계통에 진출하면 유망하다. 토목 건축 가구점 운동선수로도 가망이 있다.

 

 

18.칠면조형
[얼굴모양] : 머리결이 부드럽고 얼굴전체 인생이 화려하고 정열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눈이 크고 눈동자가 밝으며 상냥하다. 눈썹은 길고 둥글게 곡선이 그어졌다. 좌우 볼에 살집이 풍만하고 코가 뭉텅하며 코밥(코끝 좌우 살집)도 큰 편이다. 입술이 두텁고 입이 크며 턱이 탐스럽게 풍륭(豊隆)하다.  

[신체 및 골격] : 목이 유연하고 어깨도 둥그스름하다. 상하몸체에 균형이 잡혔고 율동미가 넘치고 생동감이 있다. 몸집이 풍만하나 비만형이지는 않다. 복스럽게 생긴 하면서 요염한 자태이다.

[기질 및 성품] : 감정의 변화가 다양하고 변신술에 능하며 옷을 자주 갈아입거나 변덕장이 성질을 갖고 있어 교제 상대를 자주 바꾼다. 내면적 실력보다 외형적 장식이나 사치에 신경을 많이 쓴다. 정열적 기분으로 곧잘 흥분하다가도 금방 식어버린다. 그러나 후천적 교양이나 가정교육의 충실로 원만한 성품이 함양되고 예의범절과 지성이 겸비되면 좋은 상대역이 되어 사회의 전면에서 활동하는 활동가로 이름을 낼 수가 있다. [진로 및 직업] : 모델 디자이너(Designer) 고급의류, 재단사, 인기연예인 유흥관광업 경영 무용가 상류층 부인이나 여류명사 사업가도 된다.

 

 

19.까치형
[얼굴모양] : 얼굴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다. 오관의 형체가 단아하고 기색이 맑다. 아래 볼이 훌쭉 들어갔다 나왔고 턱이 잘록하면서 끝에서 볼록하다.
[신체 및 골격] : 몸집이 여윈 듯하나 살과 뼈와 근육이 알맞게 조화되어 있다. 복장이 단정하고 언행이나 처신이 세련되어 있고 동작이 경쾌하고 친밀감이 느껴진다.

[기질 및 성품] : 항상 바삐 돌아다니거나 사교술이 풍부하다. 허둥대지 않고 재치 있게 일을 하는 낙천주의자이다. 자존심이 강하여 함부로 사람을 사귀지 않으며 사람을 판단하는 안목이 높다. 나쁜 일이나 부조리 부정은 용납하지 않은 고결한 성품과 강한 의협심이 있다.

[진로 및 직업] : 신문 방송 언론 교육방면에 진출하면 성공할 확률이 높다. 통신전자 체신분야 운송배달사업 홍보관계 선전광고업에도 유망하다. 정신적인 자질과 가능기술을 겸비한 업무에 재능과 특기가 있다.

 

 

20.까마귀형
[얼굴모양] : 얼굴 모양이나 안면선(顔面線: The face line)의 상하좌우가 비대칭이거나 약간 일그러져 있다. 오관 중 두드러지게 특징이 있는 부위가 있고 뼈대가 불거진 곳이 많거나 근육의 어느 부분이 부조화스럽게  솟아올라 있는 부분이 있다. 피부는 검은 빛이 도는 회색이거나 청록색에 가깝다.

[신체 및 골격] : 어깨가 올라갔거나 쳐져있으며 걸음걸이가 바르지 못하다. 몸집은 보통이거나 그 이하이다. 동작에 안정성이 없고 눈치를 살피고 몸을 도사리거나 움츠리는 버릇이 있다.

[기질 및 성품] : 좀 엉큼하며 속마음을 잘 털어놓지 않는다. 어리석은 체하나 기실은 자기 실속을 챙기는 계산이 빠르고 이익이 생기면 날름 챙기고 시치미를 뗀다. 남이 모르는 사이에 엉뚱하게 일을 해치운다. 교활하게 처신하면서 표면상 성인군자 흉내를 낸다.  

[진로 및 직업] : 아는 사람도 많고 활동무대도 넓어 이익이 생기는 곳이면 어떤 일이라고 가담할 만치 생활력이 강하다. 고물상 철물점 그릇용기제품 기술 잡급직 중개소개업 운수업 어류식육점 청과물 채소 식당 등 온갖 직업에 적응력이 강하다.  

 

 

제5장:12지 동물 띠로 판단하는 인물 판단법(Animal sign of birth destiny and Sajupalja)
1.자(子: 쥐)  2.축(丑:소)  3.인(寅:범)        4.묘(卯:토끼) 5.진(辰:뱀)   6.사(巳:뱀)   
7.오(午:말)   8.미(未:양)  9.신(申:원숭이)  10.유(酉:닭)  11.술(戌:개)  12.해(亥:돼지)
 
  

      

  

 

 

  

 

 

 

 

  

 

 

 

 Rat

  Cow

 Tiger

 Rabbit

 Dragon

 Snake

 Horse

 Sheep

 Monkey

 Hen

 Dog

 Pig

            [十二 地支特性 說明 論]
①子=[晝讀.夜勤.光明忌 暗室喜 春夏秋節出入. 冬節入庫 非活動>:쥐는 낯에는 학업에 열중하고 밤에는 일을 한다. 밝은 곳을 싫어하고 어두운 곳을 좋아하며 봄 여름 가을철에 활동을 많이하고 겨울철에 활동을 자재한다.
丑=[體肥大 行動遲 沈黙 口不休 勤勉 好食하고 順從형이다>:소는 신체는 비대하고 행동은 더디며 침묵형이며 입은 항시 쉬지 않고 "부지런하며 음식 먹기를 좋아한고 주인에게 순종하는 편이다.
寅=[權威堂堂 晝讀 夜耕性 夜行好 鷄鳴 空山隱居>:호랑이는 권위가 당당하며 낯에는 독서하고 밤에는 먹이를 구한다. 밤에 활동을 많이하고 닭이 울면 활동을 자재하고 산중에 숨어 산다. 
卯=[通行陽地 好高登走喜 下行苦 好食 實 藥草>:토끼는 밝고 따뜻한 곳으로 다니며 높은 곳으로 달리기를 좋아하며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달리는 것을 고통스러워하고 음식은 과일이나 약초를 즐겨 먹는다.
辰=[實體難見 潛水飛天 好雲雨 變化無窮 大海大澤之像>:용은 실체를 보기 어렵고 잠수하고 하늘로 오르며 비와 구름을 좋아하고 변화가 무궁하며 큰 바다와 큰 호수를 상징한다.
巳=[舌輕 無足能走曲 無言食 夏秋氣强 性交長時 圓形眠>:뱀은 혀를 가볍게 놀리고 다리는 없으나 꾸불꾸불 잘 달리고 "소리없이 음식을 먹고 여름과 가을에 "기가 강하고 성교를 장시간하며 잠잘 때 둥글 게 감고 잔다.
午=[出外 好競走 夜行恐 交尾特技 性器特大 在家愁心>:말은 외출하고 달리기를 좋아하며 밤에 다니는 것을 두려워 하고 이성교미에 특기가 있으며 성기는 특별하게 크고 집안에 있으면 수심이 따른다.
未=[柔順固執 百草好食 輕薄性 最畏旺水 前引不從>:양은 유순하지만 고집스럽고 풀은 가리지 않고 먹으며 경박한 성품에 "많은 물을 가장 두려워하고 앞에서 끌면 따르지 않는 특성이  있다.
申=[利己獨食 才藝出衆 孤獨性 高等樹木 放浪者 獨走往來>:원숭이는 자기자신 많을 위하고 음식 나눠 먹기를 싫어하고 예능재주가 출중하며 고독한 성품에 높은 나무에 오르기를 좋아하고 방랑자기질에 혼자왕래한다. 
酉=[口尖 散食 冠爪兼備 短性交 兩足飛上 丑時鷄鳴>:닭은 입이 뾰족하고 음식을 흩어 버리며 먹고 발톱과 벼슬이 있으며 성교시간이 짧으며 두 다리로 날아 오르고 축시에 울어 날이 밝음을 알려준다.
戌=[主客能知 家門守盜 要口溫 狩獵知能 性交長 不恥>:개는 주인과 객을 구분할 줄 알고 집 문 앞에서 도적을 지키고 입이 따뜻한 것을 좋아하고 수렵에 능하고 성교를 오래하며 부끄러운 것을 모른다.
亥=[好食性 不擇甘苦 飢食大聲 大食過慾 飽滿休息>:돼지는 먹기를 좋아하고 달고 쓴 것을 가리지 않고 배가 고프면 큰 소리를 지르고 지나치게 음식욕심을 부리고 배가 부르면 평안하게 휴식한다.

제五편: 음양오행으로 본 관상판단법과 인물 감정법

제1장: 우주 만물의 음양운동
1. 오행(五行)으로 보는 관상법과 인상판단 인물감정법(人物鑑定法)
  오행으로 본 인물감정에 의한 인상판단법이란 사람 얼굴 모양의 외관(外觀) 표정을 관찰하고 기색(氣色)을 살피는 찰색법(察色法)의 감정기술로, 인물의 됨됨이와 잠재능력을 판단하여, 앞으로 일어날 일의 변동가능성을 보는 방법으로 모두가 동양철학의 기초가 되는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에 의하여 판단한다는 것이다. 천지음양오행을 사람의 성격이나 인간본성의 마음에 비유하여 설명할 때는 오성(五性)이라 하기도 한다. 천지는 해와 달을 상징하고 오행은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의 태양계 오행성(五行星)을 나타낸다.    얼굴형을 보고 인상을 감정할 때 기본 인물형을 숙지(熟知)하여, 그 사람의 얼굴모양이나 신체 골격이나 기색을 심령투시(心靈透視:Mind Reading)하고 오관(五官)의 형태 및 피부 색깔을 잘 살피고, 기질과 성품까지 꿰뚫어 관찰하고 심상(心相)까지 보아야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때는 정신무술의 경지가 필요한데 화랑단법(花郞丹法)을 연단수행(煉丹修行)을 하면 어느 정도까지 득도(得道)할 수 있다. 얼굴의 기색을 살피고 찰색법을 동원하여 보이지 않는 마음의 心相까지 포착하여 그 상징이미지(象徵:Image)를 영적(靈的)으로 파악한 후 어떤 사람이 어떠한 인물형에 속하는지 정확하게 판단하여야 한다. 함부로 성급하게 말하지 말고 재삼(再三) 심사숙고한 후 진실한 마음의 진인지성(眞人之性)으로 성실하게 감정해야 한다.
   감정의 비법은 보이는 유형(有形)의 形相에서 보이지 않는 무형(無形)의 실상(實相)을 읽고(관찰하고) 또 반대로 무형의 추상(抽相)을 MIND SCREEN의 심상(心相: Mind Symbol, Mind Screen)으로 心像(Mind net image)에 비춰보는 유무형의 허실(虛實)을 심령투시(心靈透視:Clairvoyance)의 혜안(慧眼: Mind's Eye, Wise Eye)으로 판단하면 거의 틀림없이 적중할 수 있다.  

2. 오행오성의 상생 상극형 음양조합에 따른 얼굴모양 분류모델


3. 사상체질과 오행을 바탕으로 한 상생상극 인물형의 15가지 결합 유형모델
 
 

제2장: 기본 오행으로 본 관상판단 인물감정
1.목성인(木性人)
木性(Wood substance, Tree temperament)의 성질이 가장 특징적인 유형으로 분류된 인물형으로 水性을 원천으로 火性으로 붙거나 나아가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목성인 표준 얼굴형]
계란형으로 얼굴 위아래가 길쭉한 타원형의 모습이다.안면윤곽(顔面輪廓)이 훌쭉하고 갸름한 사람이 많다. 살집과 뼈대가 균형이 잡혀 알맞으나 아주 빼빼(비쩍 마르고 야윈)한 사람도 있다. 혹 좌우 광대뼈가 툭 불거지고 이마나 뺨 주위가 좌우 굴곡이 있어 균형이 안 잡힌 사람도 있으나 원래 얼굴 모습이 아니고 고생을 하여 살집이 뒤틀린 경우라 할 수 있다. 전체적 영상(靈像)이 쭉 뺀 형태이고 살결은 부드럽고 흰색이거나 회색(灰色)계통이 많으나 간혹 파르스름한 푸른 기운의 색상이 도는 사람도 있다. 눈썹과 눈매가 갸름하고 눈은 옆으로 가늘게 뻗었고 곱고 긴 편이 많다. 콧대도 가늘고 긴 편이며 입술의 경계선이 분명하다. 간혹 창백(蒼白)하게 보이기도 표정은 잔잔하고 어딘가 기품(氣品이 있어 보인다. 顔面察色 靈像의 卦象은 東方에 웅크리고 있는 靑龍像으로 모든 출발의 푸른 기운을 상징하는 짙푸른 靑色이다. 단아(端雅)한 인상에 용모단정한 편이나 냉정하게 보이는 사람도 있다. 인물감정에 주의할 점은 겉으로 나타난 용모나 표정을 살피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면적인 정신적인 요소를 간파(看破)하고 그 사람의 학력이나 경력 등 잠재적 요인을 살펴서 보이지 않는 심상(心相)을 관찰하여 판단하는 것도 아주 중요하다.

(2)신체 및 골격∼어떤 형이건 키가 큰 사람도 있고 작은 사람도 있지만 그 비교기준은 그 사람의 몸 전체 균형이나 체중 체격 체질 등과 상호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이 합당하다. 목성형은 대체로 몸체에 비해서 키가 크고 목이 길게 빼어낫다. 어깨 허리 엉덩이 등이 훌쭉하고 체격의 흐름이 유연하다. 키와 몸체를 비교해보면, 키가 좀 큰 느낌을 주고,  몸체는 삐삐한 편이고 근육은 단단하며 표정이나 피부살결은 말끔하다. 혹은 반대로 근육이 부드럽고 피부가 거친 사람도 있을 수가 있다. 어디까지나 인물판단은 상대적이니까 그 인물의 오행상 특징이 반대로 나타날 수가 있으니 잘 고려하여 감정해야 한다.

(3)기질 및 성품∼온순 착실한 외유내강(外柔內剛)형이 많고 자기목표를 향하여 꾸준하게 노력하는 형이다. 말(대화) 수(회수)가 적으며 성실한 타입(Type)으로 변화성이 적고 보수적 기질이 농후하다. 그 중에는 지략(智略)이 있는 야심적 발전가도 있으나 대체로 일의 추진력이나 박력이나 기백이 부족하다. 즉 행동가 기질이라기보다 생각하는 사고형(思考形)의 인물이 많다.  

[장점]: 인자하고 침착하며 포용심과 아량이 풍부한 관용형의 인물이다. 예의와 염치를 귀중히 여기며 겸손한 태도로 처신한다. 예의범절이 바른편이고 매사에 치밀하고 꼼꼼하며 미리 물어서 일을 준비하여 처리하는 형으로 실수가 별로 없다. 남이 싫어하는 일은 좀처럼 하지 않는다. 계획한 것은 착실하게 밀고 가는 안정되고 차분한 성격이다.

[단점]: 성격이 나약(懦弱)하며 작은 것은 세심하게 잘 처리하나 큰 스케일(Scale)의 대망이나 모험심이 부족하다. 내면적으로는 질투나 자만심을 감추고 있다. 사람을 잘 신용하지 않고 의심이 많으며 자주적 결단성이 부족하여 조그만 이익을 탐하다 큰 이익을 놓치는 수가 많다. 타고난 체질이 약하거나 운동력이 부족하면 허약하여 신경과민 몽상병(夢想病)같은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일을 하는 데 적극적으로 앞장서기보다 엉거주춤 남의 눈치를 보거나 뒷 꽁무니를 따라 다니는 소심한 기질의 경향이 있다.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대체로 건강한 사람이 많은 편이고 병이 있으면 주로 정신 신경계통의 약한 질병이 있을 수 있다. 신경쇠약이나 신경과민증에 주의하라. 소화불량 허약한 체질의 경우가 많고 간혹 호흡기계통의 전염병에 약하다. 규칙적인 운동이나 지속적인 건강운동이나 양생요법을 개발하여 평소에 심신을 단련하면 건강을 보장받을 수가 있다.

(5)역사적 인물유형∼황희 정승(1363-1452), 정약용(1762-1836), 김정희(1786-1856), 정인보(1892- ?)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목성인은 주로 학문 교육 등 정신분야를 다루는 직업에 많이 종사한다. 서류나 책을 취급하고 나무(목재)나 종이 옷감 의류계통의 사업이나 제품을 취급하는 직업의 방향을 개척하면 성공할 확률이 높다. 주로 눈이나 손을 위주로 하는 업무분야가 체질이나 성격에 맞다.

  지식이나 정보통신 정신탐구 분야에 특별한 취미나 재능이 있고 섬세하고 예민한 감각이 발달했다. 주 활동분야는 학문 문학계통에 많다. 지식정보 자료연구 통계 조사 및 의류서적 포목(布木)사업 방면에 두각을 나타낼 소질이 많다.

  진로지도의 방향은 교수 학자 교사 등 교육방면과 사무 행정 경리 계통이 유망하다. 정신능력이 많이 개발된 사람은 작가 시인 문화계통, 미술 도안 장식의 예능 기술방면에 지출하면 능력이 발휘될 수 있다. 의복이나 장식류(裝飾類) 치장(治裝)산업, 종이 서적 지류(紙類), 문서 인쇄업 등에도 성공의 가망이 있다.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운명진로에 굴곡부침(屈曲浮沈)의 변화가 별로 없고 유년시절 소년기 청년기에 대체로 상승발전하나 장년기(壯年期;30-39세) 중년기(中年期;40세이후)에는 성공 실패의 부침(浮沈)이 좀 있다. 만년기(晩年期;50세이후)에 어느 정도의 인생변화에 파란만장이 있기도 하나 노년기(老年期;60세이후)와 말년기(末年期를;70세이후) 거치는 동안 대체로 순탄하다. 모험심과 적극적 능동적 진취성이 부족하여 창조적 개척사업이나 투기 금융업 등에는 부적당하다. 앞장서 일하기보다는 참모역할이나 第二선에서 관리 조언하는 역할이 알맞다. 일정한 업무의 충실이나 형식과 규율의 일상적인 일이나 조정 협조하는 업무가 체질이나 성격에 알맞다. 자기 맡은 분야에서 꾸준히 나아가면 점차적으로 개운하고 직책에 알맞은 성공을 한다. 목성형에도 여러 가지 유형이 있으니 개별적 특수성에 유의하여 일반적 현상과 상호 비교하여 세심하게 관찰한 후 판단한다.  

  유년기에 두각을 나타내고 청소년기에 평균적으로 발달하고 청년후기(25-29세)에 상당히 진보하고 장년기(30-39세)에 이외로 크게 성장하나 대성의 시기는 중년기(40세 이후)에 결정된다. 직업의 변화가 적고 대체로 자기의 취미나 전공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분야에 어느 정도의 성공을 거둔다. 가정생활은 평범하고 순탄하며 부부관계는 화목한 편이다. 자녀 운도 괜찮은 편이다. 타인과의 동업이나 사업의 확장에는 위험이 예상되므로 심사숙고하여 결정해야 한다.

(8)목성인 종합해석∼木氣가 풍부하면 인자(仁慈)하고 측은지심(惻隱之心)이 있어 남에게 덕을 잘 베풀고 포용심이 양호하다. 木氣 즉 木性의 자질이나 기운이 많으면 질투심이나 자만심이 강하고 유아독적인(唯我獨尊的)인 기질이 많으며 신경질을 잘 부리고 변덕이 많다. 목기가 부족하면 유약한 성품에 줏대나 배짱이 약하며 물질에 인색한 구두쇠 기질에 남의 입장을 잘 고려하지 않는다.

  목성은 나무를 닮았으니 속이 알차고 은근하며 조용한 분위기를 좋아하고 처세에 빈틈이 없다. 생각이 깊고 말수가 적은 내성적인 성격이며 일하는 발전의 속도는 느리나 업무추진에 확실하고 실수나 허점이 적다. 목기에 균형이 없으면 현실에 대처하는 변화의 묘수(妙手)가 부족해 융통성이 희박하고 감정이 단조롭고 처세가 무미건조하여 대인관계의 교제의 폭이 좁아 복잡하고 다양한 업무처리에 적극적 추진력이 약하다.

※ 인생운명 진로변화의 연령구분 시기판정

①유아기(幼兒期): 생후 약 1년간 젖먹이 시절 이후 학령(學齡)이전까지의 시기

②유년기(幼年期): 유아기와 소년기의 중간 시기로 유아기 후반 2년과
                         초등학교 1-2학년의 시기

③아동기(兒童期): 초등학교 시절의 만 6세에서 12세까지

④소년기(少年期): 아동기를 벗어난 미성년기로 20세 미만으로 중 고등학교 시절에 해당.

⑤청년기(靑年期): 청춘기에 해당하는 20-29세로 청년전기는 20-24세,
                          청년후기는 25-29세

⑥장년기(壯年期): 혈기왕성한 한창 활동하며 일할 나이로 30-39세

⑦중년기(中年期): 인생의 노력과 성장이 무르익는 중간의 시기로 40-49세

⑧만년기(晩年期): 인생의 활동성과가 열매맺는 수확기에 해당하는 50-59세

⑨노년기(老年期): 인생의 늘그막에 매듭에 해당하는 정리기의 60-69세

⑩말년기(末年期): 인생의 총 마무리를 결산하고 生滅을 기다리는 최후 정리기 70-79세

2.화성인(火性人)
火性(Fire element, Hot temperament)의 성질이 가장 특징적인 유형으로 분류된 인물형으로 木氣를 재료로 하여 토성에 붙으면서 안정과 중심을 삼으려 한다.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화성인 표준 얼굴형]
부채꼴 모양으로 옆 관골(觀骨)이 풍만하고 이목구비(耳目口 鼻)가 넓게 퍼진 듯 고루 발달했다. 눈매가 서글서글하게 타오르는 듯 얼굴 전면에서 사람을 끌어 당기는 듯 친화력이 느껴진다. 말을 할 때는 표정과 감정이 풍부하고 사람들에게 호감을 주는 인상에 뜨거운 열기를 느끼는 흡인력이 강하다. 안면찰색(顔面察色)의 영상기색(靈像氣色)은 南方朱雀을 상징하는 붉게 타오르는 저녁놀의 불그스레한 기운이 얼굴에 비치거나 홍자색(紅紫色)을 띠고 있으나 그 본바탕 색깔이 그렇다는 卦象이지만 실제는 화장술이나 신체적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미용술의 발달로 흰색계통의 윤기가 나는 얼굴일 수가 있고 보통 황인종의 피부색일 수도 있다. 여하튼 얼굴 전체에서 불의 화기를 많이 느끼는 풍모라 할 수 있다. 상부이마가 앞쪽과 좌우상부 옆 이마도 약간 불거져 나온 느낌이다. 눈이 큼직하며 눈썹이 넓게 퍼져 나있다. 쌍꺼풀이 졌거나 속눈썹이 볼록하다. 입술은 붉거나 홍자색(紅紫色)이다. 입은 오므리면 작고 벌리면 큰 감춘 입이다.  

(2)신체 및 골격∼신체의 균형이나 곡선미가 발달해 들어갈 곳은 들어가고 나올 곳은 잘 나와 알맞게 균형이 잡힌 몸매를 하고 있다. 여자는 신체가 풍만한 편이고 남자는 살집이 발달했다. 남녀간 성적인 매력이나 성감(性感)이 뛰어나고 때론 뇌쇄(惱殺)적 육감성(肉感性)을 강렬하게 풍긴다.

(3)기질 및 성품∼외향적인 성격에 화려한 것을 좋아하고 색채감각에 뛰어나며 유행에 민감한 현실타협주의의 기질이 다분(多分)하다. 사치와 허영에 들뜨고 변덕스러운 기질이 있으나 사교성은 풍부하고 친절하며 온정적이다.

[장점]:정열적인 활동가로 창의적 진취성이 강하며 일찍 어릴 때부터 자기분야에 재능을 나타내는 수가 많다. 예술적 재능과 대인처세관계의 사교성이 풍부하여 잘 개발하고 수련하면 정치 외교 문학 예술 인기 연예직업에 대성할 수 있다. 명랑 쾌활한 발양(發揚)적 감정이 발달했으며 사람의 마음을 잘 움직이고 현실적 사교처세에 민감하게 대처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단점]:다혈질 기질이 강해 조급한 성질에 속전속결의 졸속주의에 빠질 위험이 있고 큰 일을 신중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경거망동의 처세를 종종 한다. 의심이 많고 이기주의와 금전적 타산에 욕심이 많아 자기 분수를 지키지 못해 망신을 당하거나 실수하는 일이 많다. 처음에는 일을 잔뜩 떠벌려 놓고 나중에는 약속을 지키지 못해 중도이폐(中途而廢)하여 용두사미(龍頭蛇尾)가 되는 수가 많다. 심하면 사방으로부터 신용이 떨어져 곤경에 빠지면 도와줄 이가 없다. 감정이 극단으로 흘러 울고 웃는 정도가 심하여 안정되게 큰일을 못하는 수가 많다. 바람둥이 기질이 나타나 교양이 없으면 음란 사치가 심하고 과음 과식하는 식도락(食道樂)이나 미식(美食)을 탐한다.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이목구비를 중심으로 잔병이 많고 피부병에 유의하라. 호흡기계통이나 비뇨기 생식기 질환에 약하다. 너무 더운 음식이나 육식을 삼가라. 채식위주의 담백(淡白)한 음식을 즐기면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가슴운동과 팔다리운동을 습관화시키면 좋다.

(5)역사적 인물유형∼이준 열사(1859-1907), 안중근(1879-1910), 지석영(1855-1935)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사회처세의 표면에 활동하는 정치 외교 홍보선전 인기직업 웅변 판매 세일즈(Sales) 계통이 좋다. 음성언어를 많이 사용하는 언론 방송 분야에도 전망이 밝다. 언어표현 구사력(驅使力)이 좋고 훈련에 따라 동작언어인 연기력도 발달하여, 행동이 유연하고 성격이 발랄(潑剌)하여 재치도 있으며, 탐구적 호기심도 강하여 벤처(Venture)기업이나 사업확장에도 소질이 있다.

  직업선택의 방향은 문학 예술 종교 인기직업(배우 탤런트 가수 연예인) 교육분야 혹은 대중문화사업에도 전망이 밝다. 학문이나 지식 기술이 별로 없으면 접객업 안내인 유흥업 각종선전판매직에 종사해도 그런 대로 수입이 괜찮다. 기술직으론 사진 그림 도안 포스터 간판제작 실내장식업 호화가구업 의류판매상도 해볼만하다. 물론 가능성이 있다고 다 성공하는 것이 아니고 어느 정도의 경험과 자본이 있어야 한다.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어릴 때부터 똑똑하다는 소리를 자주 들어 자신을 과신하거나 교만한 점이 있어 자기중심적이고 배타적 성향이 있다. 자신을 믿고 큰소리치기 좋아하거나 경솔한 언행이 많으니 평소에 겸손의 미덕을 쌓아야 한다. 예능 기술 분야에 재능이 많아 여러 가지로 손을 대어 처음에는 크게 벌려 출발이 좋으나 중간에 실패가 잦아 직업의 변화가 심한 편이다. 그래서 청년후기까지 성공실패가 겹쳐서 굴곡이 많다. 장년기에 다시 크게 발전하나 쇠퇴기가 빨리 오니 너무 욕심을 부리지 말고 은인자중(隱忍自重)해야 한다.

  대인관계에 경쟁심이 강하고 명예욕에 휩싸여 구설수가 많이 따르고 성질이 화급하여 조그만 일에도 좌절하거나 자포자기하는 수가 많으니 꾸준한 자기수양이 필요하다. 자녀교육에는 자유방임주의 경향이 농후하여 개방적 성격이다. 너무 많은 자유를 주면 부모의 권위가 떨어지니 어릴 때부터 가정교육에 규율과 책임감을 심어주는 절제교육이 필요하다.      

(8)화성인 종합해석∼화기(火氣: 火性의 자질과 기운)가 풍부하면 예의와 염치가 있으며 양보심이 많고 친절하며 사양지심(辭讓之心)이 있다. 눈치가 빠르며 언행이 민첩하고 언변이 좋고 명랑 쾌활하며 유모어(Humor) 감각이 뛰어나다. 화기가 많으면 성질이 조급하고 촐랑거리고 까불어 남의 미움을 싸고 행동이 천방지축(天方地軸)으로 날뛰어 경거망동(輕擧妄動)하니 더불어 함께 사귈 수 없다. 심하면 다 된 일을 망치고 남의 성공을 방해하고 시샘하고 질투한다.

  화기가 부족하면 음침하고 삐쭉거리고 투덜대며 불평불만이 많다. 비록 재주는 있으나 끝맺음을 잘못하여 평생의 일을 그르치고 성공하기 어렵다. 이런 결점을 없애려면 평소에 침착성을 기르고 심사숙고하는 사고방법을 배우고 일의전심(一意專心)하는 신앙심을 배양하여 마음에 중심을 잡으면 대기만성의 인품을 함양할 수 있다.

  화성은 불과 같으니 급속하게 타오르고 번지며 그 형체의 변화모양이 무궁무진하다. 뜨거운 불 속에 들어가면 무엇이든 타버린다. 사람에 비유하면 정열이 넘쳐서 박력과 용기백(勇氣魄)이 펄펄 넘치는 열렬한 행동파이다. 일의 추진력이 좋아 동작이 빠르고 결정력이 신속하나 조급함과 변덕이 엿보인다. 배짱과 자신이 있어 강력하게 밀고가나 한번 넘어지면 재기의 회복이 느리다. 화성인은 대체로 다정다감하며 감정(感情:Feeling)과 정서(情緖:Emotion. High Sentiment) 느낌(Sense)이 풍부하다.  

3.토성인(土性人)
土性(Earth temper, Soil substance)의 성질이 가장 특징적인 유형으로 분류된 인물형으로 뜨거운 불을 기운으로 하여 강하고 빛난 고체의 질료인 金氣를 낳으려 한다.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토성인 표준 얼굴형]
원형으로 둥그스름하고 살집이 풍부하고 기풍이 중후(重厚)하   여 무게나 위엄이 있어 보인다. 믿음직하고 든든한 신뢰성이 느껴지나 학식이나 처세지식이 없는 사람은 둔탁(鈍濁)하고 어리석어 보이는 사람도 있다. 顔面靈像 氣色은 中央土를 상징하는 영물(靈物)인 구진등사(勾陣 蛇)를 상징한다. 찰색상은 연분홍으로 검어 불그스레하거나 황색의 기운이 감돈다. 눈썹은 뭉텅하고 짧은 편이고 눈은 얼굴에 비해 보통이거나 좀 작다. 코는 굵직하게 쭉 퍼졌으나 얼굴에 비해 작은 편이다. 볼(뺨)은 불룩하며 턱은 둥글고 넓으며 이중(二重)턱이 많다. 머리털은 부드럽고 목은 굵고 짧다. 대체로 농부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흙색의 검붉은 구리 빛이라 할 수 있으나 도시 노동자에게도 많이 보이고 사무(事務)를 지식인에게도 토성이 많다. ]      

(2)신체 및 골격∼어깨 등 주위가 퉁퉁하고 몸체도 살집이 많고 묵직하고 허리가 굵으며 손발이 크고 두툼하다. 피부가 두텁고 살집이 뭉실뭉실하며 동작이 완만하고 느리다. 토성에는 여러 형태가 있어 몸집이 작으면서도 똥똥한 사람에서부터 거대한 비만형도 있으며 동작이 빠른 사람도 있다. 순수한 토성보다는 다른 오행의 성질과 결부되어 혼합된 인물형이 많으니 여러 가지 조건들을 상호 비교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적중률을 높일 수 있다.    

(3)기질 및 성품∼온후중정(溫厚中情)하며 엄숙 장중함 경건 등을 미덕으로 삼으니 점잖고 무게가 있는 편이다. 두뇌가 발달하지 못하면 어리석고 아둔[슬기롭지 못하고 미련한 것]하며 눈치가 없어 눈총을 받거나 따돌림을 당한다. 마음이 순박하여 어리석게 보일 수가 있다. 속으로 느끼고 생각하는 형으로 감정의 표시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 보수적 기질이 다분하고 고집이 있으며 권위주의적이거나 무뚝뚝하고 억센 성격이나 부드러운 성격을 감추고 있다. 즉 양면성의 성격이 모든 인간에게 처세의 장면에서 이율배반적으로 나타나는 수가 있으나 참다운 진실은 내면의 단전중핵(丹田中核)에 감추어져 있다.  

[장점]:신용이 있고 한결같은 일관성이 있어 오랫동안의 평생친구로 적당하다. 명예를 존중하고 근엄하며 장중(莊重)하다. 관대하고 아량이 많고 포용력이 넓어 남의 허물을 잘 덮어준다. 인생관의 선과 폭이 넓어 호탕(浩蕩)하여 자질구레한 일에 집착하지 않고 대범하게 넘어가는 성격이다. 마음에 중심이 안정되어 부화뇌동(附和雷同)하지 않고 인화협조와 대의명분을 중시한다.

[단점]: 무뚝뚝하여 친절성이 부족하고 개인적인 일에는 꼼꼼하게 챙기나 봉사하는 일에는 소극적이다. 오덕목(五德目: 仁義禮智信)이 조화되지 않으면 매사에 둔감하다. 행동이 느리고 융통성이 부족하여 진취성이 결여되고 답답하다. 고독한 성품이거나 냉담한 표정에 비관적이거나 염세주의자 기질이 있다. 인색한 노랑이나 구두쇠 같은 면이 있고 남의 불행을 보고도 못 본 체한다. 속으로 동정하나 실천에 잘 옮기지 않는다. 허례의식이나 체면 위신을 내세워 고집을 부리고 양보심이 적다.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당뇨병 비만증 고혈압 위장병(위궤양)에 주의하라. 피부병 몸살 감기 식중독에 유의하라. 걷기 운동이나 등산 등 사지백체(四肢百體)를 골고루 운동시키는 규칙적 건강요법이 좋다. 육식보다 채식위주의 식사를 하여 군살을 빼야한다.  

(5)역사적 인물유형∼방정환(1899-1932), 원효대사(617-686)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인간정신의 내면을 다루는 종교 철학 사상 문학 교육 심리방면이 좋고 또는 의사 변호사 중개사 대리업 등 인간관계의 정신이나 분쟁을 조정하는 직업도 괜찮다. 발견 발명 연구직에도 진출할 수 있고 부동산 토지중개업 농업 임업 과수 원예채소 재배업도 유망하다. 학식과 자격증이 있으면 국공영 기업체 은행 증권금융업의 중견간부 고위직에도 진출할 수 있다. 또한 정치 사업 의학 경제 예능전문직 등 거의 모든 방면에 기본적 소질과 능력을 보이는 원만한 심성을 가지고 있다. 통솔력이 강하고 배짱이 세며 경제적 수리개념이나 물질을 다루는 솜씨가 능숙하며 대재벌이나 기업 등의 창업주가 될 수 있다. 국가의 큰 인물에는 土性이나 土生金형이 많다. 자본의 유통이 심하지 않는 장기적 투자의 건축 부동산 산림농장경영 건설토목분야도 좋다. 토성인 중 정신적으로 발달한 사람은 정치 관직 종교가(목사 승려 전도인) 사회사업분야로 뻗어나갈 수 있고 물질방면에 두각을 나타내는 사람은 사업가 기업창립 토목 건축 공업 부동산 방면에 진출하면 성공의 가망이 있다.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부모형제나 처가 친척의 유업을 계승받거나 친구의 도움으로 점차적으로 발전할 운이다. 유 소년기에 별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나 청년기부터 점차 발전하여 중년 만년에 대성하는 사람이 많다. 발전의 템포(Tempo)는 느리나 실패는 적다. 직업은 여러 가지 경험을 해보다 장년후기에(35-39세 경)결정되는 수가 많다. 가풍은 전통이 있으며 좀 보수적이고 엄격한 편이고 예의범절을 중시한다. 자녀들의 교육에 큰 관심을 기울여 훌륭한 자손이 많이 배출된다.

(8)토성인 종합해석∼土氣가 풍부하면 신의가 있고 음정(陰靜)적이고 신중한 성품에 부동지심(不動之心)이 있다. 土는 음양오행상 믿음이나 신앙을 나타내어 충성심 효심 의리 신념 등을 상징한다. 토기가 너무 많으면 사람이 우둔(愚鈍)하고 고지식하며 사리판단이 분명치 못하다. 토기가 부족하면 경건심이 없어 생각이 얕고 동작이 굼뜨고 행동이 답답하고 미욱하다. 머리가 둔하면 思考발달이 안되어 눈치가 느리고 또한 자기만 생각하는 아집에 쌓여 인색하고 타인과 잘 교제하지 않아 현실감각이 무디다. 또한 재능과 지혜가 있으면서 자기의 능력을 감추는 은둔자(隱遁者) 도 있다. 이런 사람들은 적극적으로 성격이 개조되고 자기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진정한 기회가 오면 실력자로서 자기 분야에서 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토성은 대지에 뿌리 박고 있으니 안정되고 믿음성이 있고 항상(恒常)의 덕을 갖고 있어 변함없이 요지부동(搖之不動)으로 만물을 키우는 모체가 된다. 인품이 장중하고 마치 큰 나무와 같아서 뭇 사람들이 와서 보금자리를 칠 수 이는 쉼터가 될 수 있다. 큰 것은 잘 보나 세속사(世俗事)에 어두어 처세의 적응력이 둔하여 행동이 느리고 친절성과 붙임성이 없어 아기자기한 인간미가 없을 수 있다.   

4.금성인(金性人)
金性(Metal substance)의 성질이 가장 특징적인 유형으로 분류된 인물형으로 土氣에서 생성되어 水性으로 풀려나가거나 고체가 녹아서 액체로 변할 때 ENERGY가 나오는 원리다.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금성인 표준 얼굴형]
다이아몬드(Diamond)형으로 얼굴빛이 매끄럽고 찰기(꽉찬 기운)가 있으며 피부에 매끈매끈한 윤기가 난다. 대체로 광대뼈가 불룩 튀어난 사람이 나오고 턱뼈도 양옆으로 불거져 나온 경우가 많다. 살집이 발달한 사람은 별로 융기(隆起)한 흔적이 안 보이나 근본 뼈대는 볼록하다.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눈동자가 밝으며 눈은 안쪽으로 들어간 듯한 느낌이다. 얼굴인상이 독특한 개성을 갖추고  눈썹이 짙으며 단정하고 눈동자가 굴레굴레 무엇을 찾는 듯 한 표정이다. 안면영상(顔面靈像)의 색상괘상(色相卦象) 西方金 白色으로 白虎를 상징하는 흰빛이 바탕
이 된 변화색의 얼굴형상으로 남색(藍色:파랑과 보라의 중간색)을 많이 띠고 있으나 색깔을 판정하기는 사람의 형태가 천태만상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정하기는 힘들므로 그때그때 잘 관찰해야 한다. 양 눈과 눈썹이 코 뿌리[山根]에 가깝게 모여 안면기운이 인당(印堂:양미간 사이 코 위 중앙부)으로 응집(凝集)된 느낌이 든다. 인당이나 이마 양옆 부위가 융기(隆起)되어 불거져 나온 사람이 많다. 콧대가 쭉 뻗고 끝은 개(Dog) 코를 닮거나 유대인 매부리코와 비슷하다. 입술은 방형(方形)으로 입술 주위의 경계선이 명확하다.   

(2)신체 및 골격∼키가 큰 사람도 있으나 대체로 중키이며 근육이나 뼈대가 굳세고 강하며 운동신경이 발달했다. 사지백체(四肢百體) 신체발달의 균형이 맞지 않아 상하체(上下體)나 좌우신체 비교의 상대적 차이가 나는 수가 종종 있다. 다리가 팔보다 상대적으로 길다든지 팔은 짧은데 상체가 하체보다 길거나 크다든지 뼈는 많은 데 살집은 적다든지 하는 경우이다.    

(3)기질 및 성품∼외유내강한 편이나 성질이 강하고 굳세어 행동적 결단성이 빨라 일이 발생하면 깊이 생각하기보다는 곧장 현실에 뛰어든다. 수양되지 않은 사람은 투쟁심이 강하고 동정심이나 자비심이 적어 냉정한 편이고 심한 사람은 냉혹하고 잔인하다. 매 마른 심성에 감정과 정서가 부족하여 자비심이 적다. 이해 협조 정신을 함양하지 않으면 인생에서 대사(大事)를 도모할 수 없으니 폭넓은 교양과  지혜를 쌓아야 한다. 큰일을 당하면 겉으론 태연한 척 하나 속으론 안절부절하고 나중에 실토한다. 교육을 많이 받고 독서와 수양이 쌓인 사람은 성급하고 차가운 면이 많이 감소한다.

[장점]:성격이 담백(淡白)하고 과단성이 있으며 업무나 대인관계에 속전속결주의다. 처세술이 명쾌하고 깔끔한 성미에 개인적 취미생활을 즐기고 교제하는 데 냉정 침착하다. 이지(理智)가 발달하여 재주와 기교가 넘쳐 실행력이 뛰어난 편이다. 사물의 이치를 합리적 과학적으로 파고들어 물질과 기계를 다루는 솜씨가 뛰어나다. 기술과 재능이 있는 사람이 많으며 그 중에는 기예(技藝)가 출중한 사람이 많다.

[단점]:성급하고 저돌(猪突)적이며 업무와 처세에 경거망동하여 실패를 자주 한다. 모사(謀事)를 꾸미고 남을 이용하여 자기의 이익을 도모한다. 성격이 편협(偏狹)하고 인성이 단조롭고 속단의 기질이 있어 남을 이해하고 협조하는 마음이 아쉽다. 자기과신에 젖어 오만하고 방자하게 행동하여 처세에 적이 많거나 반대파가 많다. 남의 입장보다 자기이익을 먼저 내세우기 때문이니 폭넓은 견문을 늘리고 물질보다는 정신에 가치를 두는 인생관을 함양하라.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간장병 간경화증 담석증 하복부(창자)계통의 질병에 약하다. 관절염이나 뼈 근육의 골절 부상(교통사고나 충돌 싸움의 위험)등에 주의하고 피부에 흉터가 생기지 않도록 몸을 함부로 쓰지 말고 대인관계에 너무 강하게 처신하여 좌충우돌하지 말라.

(5)역사적 인물유형∼장지연(1864-1921), 김좌진(1889-1930), 김성수(1891-1955)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신체가 단단하고 몸이 날쌘 편으로 스포츠 운동분야에 몸의 기술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에 특기가 있다. 금성인으로 학문과 실력을 많이 쌓은 사람은 기술자 과학자 기능인 발견 발명가로써 성공할 확률이 높다. 두뇌가 발달하고 관찰력이 좋고 수리 계산능력이 우수한 사람은 공업기술분야 공장경영에 두각을 나타내고 과학기술과 경제운용 지식과 사업능력을 연합하여 기업을 창업하거나 회사경영에 대성한다. 인문과학에 조예가 있는 금성인은 경찰 군인 사법관 회계감사직 등에 진출하고 기획 회계사 설계사 현장감독에 능숙하며 지배인 관리인 조사원 출납계산원 등에 금성인이 많다. 운동선수 중에도 금성인이 많으며 공부를 많이 한사람은 과학기술 천문기상학 항공우주공학 고급두뇌(원자 전자기계 금속)직에 종사한다.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소년기에 별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발전의 방향이나 속도가 불투명하고 느리다. 직업선택이나 진로에 굴곡이나 변화가 많고 실패와 성공의 기복(起伏)이 심하다. 청년기이후에서부터 서서히 운이 열리고 청년후기(25-29세)나 장년전기(30-34세)에 뜻밖의 발전을 이루는 수가 많다. 다시 장년후기(35-39세)에 성공실패의 기복이 좀 있으나 중년기(40-49세)나 만년(晩年:50-59세)에 크게 성공하여 이름을 떨치고 유업을 자손에게 물려주기도 한다. 가정에 불화가 예상되니 대범하게 처신하라. 이해와 관용을 베풀고 서두르지 말고 천천히 심사숙고하는 습성을 기르고 물질이나 금전보다 정신이나 애정을 중시하고 주위사람들에게 덕과 사랑을 베풀어 음덕(陰德)을 많이 쌓아 천지에 자기의 자취와 흔적(痕迹)를 듬뿍 남기면 나중에 자신에게 되돌아 올 것이다.  

(8)금성인 종합해석∼金氣가 풍부하면 정의감이 출중하고 명예와 의리를 소중히 여기고 예의염치와 명분을 지키는 수오지심(羞惡之心)이 있다. 너무 많으면 꼼꼼하게 따지고 꼬치꼬치 캐어묻는 의심이 많고 이해심이 부족하여 남의 뒷조사를 하여 파고들어 싸움을 벌이고 투쟁적 만용을 부리고 억지를 쓴다. 모자라면 생각이 짧고 지혜도 없으며 결단력은 있으나 추진력이 약해 용두사미가 되기 쉽다. 금기가 잡(雜)되게 섞인 사람은 협잡심(挾雜心)과 사기성이 있어 거짓말을 잘하고 능청을 잘 부려서 다른 사람을 속이고 악랄하게 이용하기도 한다. 대인처세의 생존경쟁 인생무대에서 보이지 않는 적이 많고 냉정 잔혹한 성질 때문에 나중에 보복 당하거나 큰 낭패를 보니 미리 악감정을 해소시켜나가야 한다. 후천적 수양으로 인격을 수양하고 심성을 선(善)한 방향으로 갈고 닦으면 얼마든지 좋은 성격으로 고칠 수가 있다. 그것은 그 사람의 마음이 악하다기보다는 날카로운 금기가 몸 속에 많아서 그런 것이니 金生水로 相生시키거나 火克金하여 금기를 누그러뜨리면 해결된다.

  금성은 금속과 광물질의 속성을 빼어 담고 있으니 단단하고 굳세고 모나며 여물고 잘 부러지는 금속도 있고 잘 휘어지는 탄력성도 뛰어난다. 그 모양이 울퉁불퉁하기도 하고 날카롭기도 하고 열을 가하면 마음대로 구부리고 '늘였다 휘었다 좁혔다 확장했다' 하면서 변화성이 좋다. 금성인은 금기의 속성을 닮아 성격이 날카롭고 냉정하며 무정하나 의지가 곧고 기품이 있어 한번 정한 일은 끝까지 곧게 밀고 가는 성질이 있다. 청렴결백하고 고고한 기품을 유지하는 사람에 금성인이 많다.    

5.수성인(水性人)
水性(Water temperament, Liquid element)의 성질이 가장 특징적인 유형으로 분류된 인물형으로 고체가 녹아 풀리면서 나오는 水氣는 木으로 올라가 다음 단계의 형상으로 발전한다.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수성인 표준 얼굴형]
삽 모양으로 이마 양옆과 얼굴 상부가 옆으로 벌어진 듯 발달했다. 턱이 쪽 빠지고 볼이 훌쭉하다. 살결이 반지르르하고 윤기가 난다. 세련된 용모에 청수 (淸秀)한 느낌이 들고 여자는 예쁘거나 단정한 느낌이 든다. 눈은 옆으로 가늘게 뻗었고 눈썹이 물결치듯 유연하고 안광(眼光)이 예리하고 날카롭다. 코는 현담(懸膽:매달아 놓은 쓸개)같고 입은 단정하고 입술은 엷은 편이고 파르스름한 기운이 감도는 듯 하다. 안면영상(顔面靈像)의 색상괘상(色相卦象)은 北方水 黑色으로 玄武를 상징하는 구리 빛 흑자형상(黑紫形象)으로 강 호수 시냇물의 색깔로 청색이나 파란
색 계통이나 보라색 [빨강 파랑의 중간 혼합색]으로도 변색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실제로 구리 빛이나 흑색의 얼굴을 가진 사람은 황인종에게는 드물므로 좀 검은빛이 얼굴 주위에 은은히 비취는 거무스름한 빛이 나는 건강한 사람의 피부색을 연상하면 될 것이다.

(2)신체 및 골격∼알맞은 중키에 몸이 날렵하고 상하 신체의 균형이 잡혔다. 행동처신이 세련되고 언행이 조용하고 여자는 애교가 있는 음성이다. 피부 빛깔은 윤택하나 근육이나 뼈대가 약한 편으로 힘든 일이나 노동에는 부적당한 체격이다.

(3)기질 및 성품∼활동적이고 사교적이며 친절하고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특히 언변이 좋다.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창의성이 뛰어나고 유행에 민감하다. 변덕이 좀 있고 간혹 기인(奇人)행세를 하고 이설(異說)을 주장하기도 한다. 이지적(理智的) 실천가로 동작이 민첩하다. 흐르는 물처럼 구김살 없이 처세하며 교제의 범위가 넓고 총명하고 재주가 발랄(발랄:Vivid, Animated)하다.

[장점]:희로애락의 감정표시가 풍부하고 표현력이 강렬하고 솔직 담백하게 사리판단이 분명하다. 명랑 쾌활하고 센스(Sense)가 빨라 상대방의 심리포착을 잘하는 독심술(讀心術:Mind Reading)의 능력에 대함 잠재적 능력을 갖고 있다. 상냥하고 친절하며 대인처세에 원만하고 판매 선전 홍보업무나 상술에 특별한 수완을 발휘한다.  

[단점]:자기자랑이나 교만에 젖어 잔재주를 부리려한다. 신기하고 기발한 착상의 모사(謀事)나 계교(計巧)를 구사(驅使)하다 자기 꾀에 자기가 속고 주위 사람들에게 음흉한 심보가 드러나서 사람들에게 버림받는다. 교언영색(巧言令色)하여 간사한 술수가 능하다. 감언이설과 교활한 말솜씨로 사기성이 있고 사람을 잘 끌어들이고 유혹하나 자승자박(自繩自縛)하는 경우가 많으니 심사숙고한 후 처신하라.

☞참고∼지금까지 각 인물에 장단점에 대한 판단해설이 설명 전부 그대로 나타난다는 것이 아니라 그러할 가능성과 암시의 확률적인 괘상(卦象)을 상징적으로 풀이한 것이니 그대로 적중하는 것은 아니다. 즉  천지자연 삼라만상의 우연성과 필연성의 상대적인 불확정설의 원리대로 그러할 개연성(蓋然性:가능성의 정도)을 잠재무의식의 심층세계(深層世界)에 길흉행복의 씨앗[仁: Core of seed]으로 간직하고 있다는 것이므로 후천적 교양이나 수양에 의하여 항상 변화할 소지(素地)가 있어 나쁜 성품이나 기질이라도 좋게 변화될 운을 가지고 있고 현재는 좋은 것이라도 추후 나쁘게 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오직 본인의 의지와 자아상이 얼마나 '간절하게 단점을 장점으로 개조시켜나가느냐?'는 창조의식이 본인의 진로개척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공해나 이상기후로 인한 전염병이나 호흡기계통의 질병에 약하다. 신장병 방광염 비뇨기계통의 질환 및 부인병 생식기에 관계된 질병에 잘 감염될 체질이다. 선천적으로 건강이 약한 사람은 두통이나 호흡기계통 폐질환에도 약하니 미리 예방하라. 술이나 화학적 음료 등을 많이 마시지 말고 평소에 몸을 따뜻하게 하고 적당히 운동하여 보온(保溫)을 유지하라.

(5)역사적 인물유형∼이상설(1870-1917:조선말 우국지사), 문익점(1329-1388:고려 때 문관)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실용적 머리가 잘 돌아가고 상업적 경제운용과 대인처세술에 융통성이 있고 업무처리가 능숙하다. 대화법이 능통하고 행동이 민첩하니 유통이 빠른 금융보험업이나 각종상업 중개업 투기소개업 교통운수업 해양수산물 어류판매취급 방면으로 진출하면 짧은 시일에 성공할 가망이 있다. 상공업계통의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고 무역경제관념이 뛰어나고 학벌이 높으면 해외진출 무역사업에 전망이 좋고 외교관 진출도 가망이 있다. 기타 유망직업으론 의사 변호사 선전 홍보 광고업 방송언론 분야 신문기자 등도 수성인에게 적합한 직업이다. 수성인으로 과학기술 지식과 재능을 가진 사람은 수리관개(水利灌漑)사업 해양 하천 개발 상하수도 관계업종 제약업계 화공약품 약방 기름종류 판매사업도 괜찮다.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금전 재물의 운이 강하며 모든 방면의 상업에 가능하다. 소년시절부터 서서히 재능이 개발되고 점차적으로 노력에 상응하여 업적을 이루고 청년기에 큰 발전을 하기도하나 전체적으로 장년후기(35-39세)에 클라이막스(Climax)가 온다. 그러나 중년후기(45-49세)나 노년기(60-600에 쇠퇴 몰락하는 수도 있다. 혹은 노년기 시작 전에 재도약의 기회가 올 수 있으니 낭비하지 말고 힘을 축적해서 장래를 대비하라.

  가정생활은 빈틈없으나 가족간에 너무 세세한 부분까지 파고들지 말고 민주적으로 운영하고 부부간에는 대범하게 처신하라. 자녀교육은 장기적 안목으로 큰 인물을 양성하도록 정신교육과 사회처세 교육에 중점을 두라. 재능 있는 자녀들이 출생하는 수가 많으나 신체가 강건하지 못하여 큰 뜻을 이루지 못하고 중도에서 좌절하는 경우가 있으니 너무 욕심을 부리지 말고 중용주의를 취하라. 모든 것을 확실히 얻을 수 있도록 평소에 심신수련을 잘하도록 가정교육의 방향을 잡아라.   

(8)수성인 종합해석∼水氣가 풍부하면 사물의 이치를 잘 깨달아 일의 선후(先後)를 미리 예지(豫知)하는 선견의 능력이 있다. 수기가 적당하면 현실과 이상을 합리적으로 현명하게 조화시키고 사물의 옳고 그름을 잘 분별하는 시비지심(是非之心)의 지혜가 있다. 수기가 너무 많으면 변덕이 심하고 다재다능(多才多能)하나 간지(奸智)와 지모(智謀)가 능해 거짓말을 하거나 사기성이 있고 남을 악 이용하여 자기의 이익을 취하는 간사한 사람이 된다. 부족하면 일을 벌리고 추진하되 처음에는 왕성하나 나중에 끝을 맺지 못하고 용두사미가 되는 수가 많다. 작은 일은 잘하나 큰 일을 도모하는 웅지(雄志)가 부족하다.

  수성은 물의 속성에 닮고 水氣에 근원을 두니 흐르고 돌며 감고 솟구치니 그 변화가 무쌍하여 자유자재하고 유통성이 많고 응급처지능력이 뛰어나다. 또 잔잔하여 성미가 부드럽고 화평하여 자연스런 무념무상(無念無想)의 기운도 가지고 있다. 수성의 사람은 변전무궁(變轉無窮)하여 꾀가 많고 술수와 지략이 능수 능란하니 함부로 사귀거나 나중에 낭패를 보거나 손해를 끼치니 동업을 삼가라. 그 속셈의 변화형체가 꼬리잡기 힘들고 본심을 잘 드러나지 않으니 사귈 때 상대방을 잘 관찰하여 속지 않도록 하라. 진정한 의미로써의 수성인은 처세가 빠르고 교제가 넓고 지혜가 많아 가히 사귀면 자신과 타인의 발전에 많은 유익이 있다

제3장: 오행의 상생 상극형으로 본 관상판단 인물감정

  기본 인물형 들을 상호 분간하는 감식력(鑑識力)이 없으면 인상법의 판단과 인물감정을 할 수가 없다. 그래서 여기서는 인물감정학(人物鑑定學)의 핵심이 되는 기본 오성인(五性人)들과 오행(五行)이 상생 상극하여 조합되는 상생형(相生形)과 상극형(相剋形)의 15가지 인물형을 알기 쉽게 도표로 설명도해 하고자 한다. 기본 오성인 들의 표준얼굴형은 쉽게 알 수 있으나 상생형 및 상극형이 상호 결합된 변형된 변화형 얼굴모양은 감정하기에 좀 어려워 어느 쪽으로 판단해야 정확한지 좀 애매한 경우가 있으나 여러 번 연습하고 숙달하면 얼굴형의 특징만 잘 잡으면 쉽게 판정할 수 있다. 각 얼굴형태의 기본 얼굴윤곽 모양은 그림도표와 비슷하나 세부적으로는 실제 얼굴모양과 다른 수가 많으니 주의해서 판단해야 한다. 그러니 자세히 보면 기본형에서 조금씩 변화된 모습이니 잘 관찰하여 정확하게 감정하면 어디에 속하는지 잘 판단할 수 있다. 특히 국부적(局部的)인 것보다 전체적인 인상을 중시하여 외형적인 관상법은 물론 내면적인 심상감정을 종합적으로 혼합해서 심령투시 인물감정법을 활용하여 올바르게 습득해야 한다. 기본 오성에서 더욱 확장 발전한 것이 상생형과 상극형이 되는 것인데, 상생형은 두 개의 오행이 상호 균형적으로 세력이 비등하게 결합된 것이라면, 상극형은 어느 한쪽의 오행이 더욱 센 힘으로 작용하여 우열(優劣)의 균형이 깨어져서 강한 쪽이 약한 쪽을 누르고 이겨서 그 힘이 상대에 비해 크게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극형이 상생형보다 꼭 나쁘거나 불리하다고는 볼 수 없다. 만물의 법칙은 '오면 가고 가면 오는 것이요' '시작이 있으면 마침이 있고 마치면 또 시작하는 무시무종(無始無終)'의 순환원리와 '차면 기우는' 손익(損益)의 이치에 순응하여 상극도 변화되어 궁극적으로는 상생으로 흘러간다고 할 수 있다.

  어떠한 사람이라도 한가지 성격이나 기질만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 때와 장소 및 연령에 따라 여러 가지 심리적기제(心理的機制)의 사고방법과 처세방향이 달라진다. 즉 시간과 장소의 상황에 따라 대인관계의 처세술이 변한다는 것이다. 사람의 성품이나 습관 기질 개성은 후천적 교육이나 수양에 의해 단점이 장점으로 개조되기도 하고 장점이 나쁜 유혹을 받아 타락하여 단점으로 전락(轉落)하기도 한다.

   한 때는 좋은 사람이 타락하면 폐인이나 악인이 되기도 하고 악한 사람이라도 개심(改心)하면 선한 사람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한 두 가지 특성으로 그 사람의 전체의 성품이나 인생관을 절대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위험하고 또 적중률도 높지 않다. 그러므로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주된 기질이나 성격의 기본 패턴(Pattern)을 바탕으로 습관이나 교양정도 개성적인 얼굴모형을 참조하여 심상(심상:Mind Symbol)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현명하다.

  이하부터 기본 오성인이 서로 상생(相生)하고 상극(相剋)하여 나타나는 10가지 인물형을 소개한다. 그러면 기본 오성인가지 합쳐서 15가지 인물형이 분류된다. 아무리 많은 사람의 인물유형이 있다고 해도 감정할 한 사람만 따져놓고 볼 때는 누구든지 이 15가지 인물유형(人物類形)중 어느 한곳 또는 두세가지 인상형의 복합적인 유형에 포함되는 것이다.    

6.수생목형(水生木形)
수성이 목성을 陽的으로 相生시키는 특징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인물형으로 선천하도(先天河圖)의 용마도(龍馬圖)※를 기준으로 한 陰陽五行說의 상수철학(象數哲學) 바탕이 된다.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수생목 표준 얼굴형]
계란형을 닮았으나 이마 양옆이 모나게[方形]으로 퍼졌거나 벌어졌다. 이마 언저리나 눈 주위 귀 쪽의 살집이 두툼하거나 근육이 불거져 나온 편이다. 코는 굴곡이 없이 곧 바로 뻗었으며 중앙부위가 솟아오른 감(感)이 있다. 눈은 갸름하고 작은 편이나 총명 수려한 느낌이 들고 입은 벌리면 크고 오므리면 적은 편이다. 유연하고 우아한 기품이 흐른다. 턱은 좁으면서 동그스름하다. 남자는 단아(端雅)하고 세련된 처세를 하고 여자는 정숙한 느낌이 든다. 수성인과 목성인의 얼굴형이 상생(相生;서로 조화된 것)한 모양이니 기본오성인을 참조하라. 안면찰색은 물 빛깔의 검푸른 청색(靑色) 기운에 나무 색의 연두 나 초록빛이 겹쳐진 푸른색을 바탕색으로 하고 그것이 얼굴 감정변화의 기색에 따라 변화된 색상(色相)을 참조하여 판단한다.

(2)신체 및 골격∼신체의 외향적 인상이 부드럽고 키가 큰 편이고 피부기색은 파란 빛깔의 기운이 감돈다. 키가 적은 사람이라도 자기체격에 알맞은 균형 잡힌 몸매를 가진 사람이 많다. 뚱뚱하지도 훌쭉하지도 않고 적당한 체격을 가졌다.

(3)기질 및 성품∼수목(水木)이 조화되면 지인덕(智仁德)을 겸비한 인격자가 될 것이다. 수양이 잘되지 않으면 나약하고 음침한 성격에 비타협적인 외곬수 인간이 된다. 학문과 경험이 어우러지면 조직적인 사고력과 세련된 실행력이 바탕이 된 처세능력을 갖추어 행정실무에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다. 마음이 틀어지면 남에게 보복하고 뒤통수를 치거나 골탕을 먹인다.

[장점]:대인관계가 원만하고 성격이 모난 데가 없다. 솔직 담백하고 인자한 성품에 지혜도 갖추고 있다. 복잡하고 어려운 일을 순서적으로 차근차근 풀어서 일 매끄럽게 잘 처리한다. 기억력과 실천력이 우수하여 점진적으로 성공하는 대기만성(大器晩成)의 자질이 있다.

[단점]:水生木이 잘못 풀리면 혼자서 생각하고 고민하는 염세적 비관주의에 빠져 고독에서 헤어나기 힘들다. 탐욕적 이기주의에 빠져 겉으로는 웃는 척하나 속으로는 상대방을 헤칠 궁리를 꾸미는 간교한 자기중심 이기주의나 자만에 빠져든다. 약속을 잘 지키지 않으며 자기이익이 없으면 우물쭈물 회피하는 책임전가의 기회주의 기질이 다분하다.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빈혈증 영양상태부조화 시력감퇴 피부병 습진 등에 주의하라. 간장계통의 질병 혈압 및 신경계통에도 평소에 허약한 체질개선 방지에 사전 건강관리를 하라. 치아나 잇몸건강에도 유의하라.

(5)역사적 인물유형∼설총(신라 때 학자), 이상재(1850-1927), 김홍집(1850-1927)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학문 지식과 경험 기술을 겸한 자유주의적인 개인직업이 좋다. 일가친척이나 가족들의 후원을 바탕으로 창의적 개척사업이 좋으며 타인과의 공동사업은 불리하다. 문서 서적 농장이나 수목화초 등을 취급하는 직업에 발전가능성이 있다. 섬유나 방직 양복 양장 의류업에도 전망이 있다. 정신분야에는 심리언어방면 상담소 소개업 교사 문필가 작가 종교인 의사 의료약방 제조업에도 성공가망이 있다. 일반업종으론 문방구 벽지 장판지 커튼 장식업 종이 취급에도 괜찮다. 농촌 출신으론 목축 원예 채소 특용작물 약초재배 정원사 수목관리에도 해봄직하다.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부모 조상덕으로 초년에는 비교적 순탄하나 청년기이후 진로 변화에 굴곡이 있어 고생을 하기도 한다. 장년후기에 운세가 회복되고 말년에는 비교적 안정된 생활에 행복한 편이다. 온순 착실하여 상사나 윗사람으로부터 신임을 잘 받는다. 전반적으로 장년기에는 향상발전으로 나아가나 성공 실패에 대한 변화가 많으니 경거 망동하여 미리 큰소리치거나 저돌적으로 전진하지 말라. 세태에 어둡고 기질과 담력이 약한 사람도 있어 남에게 이용당하거나 손해를 본다.

  미리 대처하지 못하고 방심하여 불행을 당하면 어쩔 줄 모른다. 의지가 박약하거나 진실한 협조자가 없으면 사업이나 처세에서 알맹이는 남에게 빼앗기고 빈 껍데기만 남아 인생말년에 쓸쓸하게 보낸다. 수생목형이 나쁘거나 잘 안 되는 것만 있는 것이 아니고 얼마든지 자기의 기본적인 인생의 능력과 잠재적 재능을 발굴 신장시키면 좋은 앞날이 전개될 수 있다. 이 모든 것의 열쇠는 오직 자신이 자기의 주인이 되어서 주체적으로 우주적 자아와 한 마음 한 몸이 될 때 자기 소망이 이루어 질 것이다. 미래를 대비하면 어려운 시기의 곤란한 경우를 지혜롭게 헤쳐간다.     

(8)수생목형 종합해석∼木이 水를 만나 성장하고 발육하니 수육목(水育木)이라. 물로써 꽃과 나무를 키우니 매사에 빈틈없고 조용하게 일을 추진하는 착실 전진형이다. 주어진 업무는 잘 처리하나 창의적 개척정신이 부족하면 모험적인 용기가 없어 인생에서 대사를 일으키고 성사시키지 못한다. 용기백(勇氣魄)이 부족하면 직업전선에 애로가 많으니 신념과 믿음을 키워야 한다. 독립심을 길러서 생활력을 강하게 하고 실무능력을 키우는 창조적 개발정신을 함양하라.

 적극적 진취성이 부족하면 평소에 심신을 단련하여 강건한 신체에 강인(强忍)한 정신력을 양성하여 인생의 시련기를 준비하라. 전문적 기술이나 지식을 잘 습득해놓지 않으면 뜻밖의 고생이 닥칠 때 인생의 쓴잔을 마시니 미리 대비하여 불행을 막아라. 수생목이 한곳으로 치우치거나 수맥(水脈)이 막히면 융통성이 부족하고 순발력과 재기(才氣)가 없어 나약하고 어리석어 발전이 없다. 속으로 수생목의 덕성이 함양되어 인품이 윤택한 사람은 대인처세의 사교술이 양호하여 인정과 덕이 있고 사업을 하면 이외로 도와주는 사람이 많아 재기(再起)에 성공한다. 처음부터 욕심부리지 말고 꾸준히 노력하면 순조롭게 성공한다.       

7.목생화형(木生火形)
목성이 화성을 陽的으로 相生시키는 특징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인물형으로 선천하도(先天河圖)기준의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이 바탕이 된다.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목생화 표준 얼굴형]
타원형과 비슷하나 상부이마 주위가 넓고 이마 앞쪽은 전방으로 좀 두둑하게 불거져 나온 편이다. 水生木形 과 비슷하나 그 보다 이마 양옆과 귀 언저리가 둥글고 살집도 불룩하게 발달했다. 턱도 아래로 빠진 듯하며 끝이 둥근 방형[圓方形:네모진 듯하면서 둥그스름하다]에 가깝다. 눈 아래 살집과 눈꺼풀이 발달하여 좀 매혹적인 느낌이 든다. 귀는 엷고 부드러우며 얼굴 전체 풍모가 좀 귀족적인 타입(Type)에 고상한 품위가 엿보인다. 전반적으로 기본오성중 화성형과 목성형의 중점적인 특징이 겹쳐진 인상이다. 안면찰색은 목성의 푸른 기운과 화성의 붉은 적색(赤色) 기운이 배합된 홍자색(紅紫색)계통을 바탕본색으로 하고 그것이 변화된 색  깔을 구별하여 감정한다. 얼굴기색은 영동적(靈動的)인 心相을 고려하여 物理化學生物적인 현상과 종합으로 감정한다.

(2)신체 및 골격∼이마가 훤하고 키가 중키이상이고 몸매도 균형이 잡혔다. 하체보다 상체가 좀 넓게 발달했다. 화려한 화장을 하는 편이고 사치스러운 고급 옷을 잘입고 몸에 장식이나 치장(accessory)을 잘 달고 다닌다. 사상이나 감정을 동작이나 언어로 잘 표현하고 마음이나 느낌의 제스처(gesture) 표정을 신체적 움직임으로 잘 묘사하거나 표현한다.

(3)기질 및 성품∼성질은 다혈질이고 조급한 편이나 부지런하고 대인관계에 다정다감하다. 일을 할 때는 정열적으로 추진하고 모든 사물에 다양한 취미와 관심이 있다. 여러 가지 재능이 있을 수가 있으나 한 두 가지 전공분야에 정통하기 어려우니 만용을 삼가고 자기가 하는 일에 깊이 몰두하여 목표가 도달할 때까지 일의전심(一意專心)하라.

 감수성이 예민하고 신경과민의 기질이 다분하다. 후천적 교양과 수양이 되면 다정다감하고 온순 착실하며 친절하고 예의바른 좋은 성품이 된다.  

[장점]:총명하고 생기발랄(生氣潑剌)하며 정력적 투지가 왕성하다. 오욕칠정(五慾七情)에 대한 감정의 표현력이 다양하며 처세술이 능란하며 사람의 마음을 잘 움직이고 조종하는 숨은 능력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 많다. 매사에 열정적으로 환경에 잘 적응하고 생활개척에 대한 진보적 정신이 활발하다.  

[단점]:조급하게 서두르고 흥분을 잘한다. 잘 되면 기고만장(氣高萬丈)하여 큰소리치고 조금 못되면 의기소침(意氣銷沈)하여 용기를 잃는 등 감정이 극단에 치우치는 경우가 많다. 조삼모사(朝三暮四)로 잔꾀를 부리는 등 간사하고 아양을 떨며 눈치를 살핀다. 이기적이고 타산적으로 행동하며 불평불만을 조성하여 선동을 하는 일면이 있다.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두통 눈병 신경과민 심장병 간염 등에 유의하라. 과음 과식을 하지말고 혈압에도 주의하라. 육식보다 채식위주의 자연식을 하면 질병의 예방에 좋다.   

(5)역사적 인물유형∼김시습(1435∼1493), 박연(1378∼14580, 최남선(1890∼1957), 안익태(1906∼1965)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정신활동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방면에 잠재적 소양이 있다. 자기의 잠재적 재능을 개발하여 주로 학문 교육 종교 철학 언론매체 광고분야의 개척에 전념하면 나중에 크게 성공한다. 정치 외교 방송 연예계 문학 대중문화 정보사업에도 두각을 나타낼 수 있다. 학문 지식을 바탕으로 교수 학자 변호사 기자 웅변 종교가로 진출해도 가망이 있다. 인기직업 봉사 서비스(Service) 배우 가수 흥행업 각종 경쟁적 방면에도 적합하고 하위직위에는 음악 미술의 각종 학원 강사계통 외판선전 및 접대 안내 미용 이발기능에도 유망하다.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유 소년기에는 부모의 덕으로 학업을 순조로이 닦고 재능도 일찍부터 개발되는 수가 많다. 청년 말기나 장년초기(30-34세)에는 성공이나 실패의 변화굴곡이 많다. 게 중에는 다재다능(多才多能)하여 무엇이든 하고 싶은 만능지향형이나 한가지 일에 끝까지 노력하는 집착력이 부족하니 속전속결하는 처세방향으로 방향을 잡아 집중적으로 시간과 노력과 물자를 투자하라.

  인생초기에는 용두사미(龍頭蛇尾)가 되는 수가 많으니 처음부터 잘 나간다고 너무 좋아하지 말며 은인자중(隱忍自重)하는 신중성이 필요하다. 서두르지 말고 차근차근 추진하면 중년(40-49세)에 꽃피고 만년에 대성한다. 그러나 예외로 운이 막힐 수가 있으니 미리부터 고난의 시절을 대비하여 준비를 게을리 하지 말라.    

(8)목생화형 종합해석∼나무와 불이 화합하니 목성화(木成火)로다. 나무로 불을 지르는 형국이니 발전과 화합을 상징한다. 운세를 타면 일하는 속도가 빠르고 사상과 감정이 풍부하고 재능이 있어 화려하게 추진하고 일을 벌리면 호화찬란하고 변통성이 특출하다. 신속하게 일을 처리하나 실수하고 까부는 성질이 있고 자기자랑을 하거나 날뛰기도 한다. 잘 된다고 자만하지 말고 주색(酒色)이나 유흥업에 빠지지 말고 탐욕을 삼가고 남과 언쟁하거나 싸움에 휩싸이지 말라. 총명하고 재주 있어 열심은 있으나 장기적 추진력이 약하므로 한가지 一意專心하는 인내심과 집념이 필요하다.

  심신수양(心身修養: 仁義禮智信의 종합덕목)이 되지 않으면 경거망동하고 자화자찬(自畵自讚)하는 버릇이 있고 간교하고 사행(邪行)적인 방면으로 언행이 빗나가서 사술(邪術)에 빠지고 허언(虛言)에 능하여 때로는 친구나 은인(恩人)도 배신한다. 그러니 매사에 은인자중(隱忍自重)하여 심사숙고의 자아반성으로 수행미덕을 쌓아 올바른 길로 나아가는 正道로 처신해야 한다. 아무리 악한 사람이라도 진정으로 회개하면 새 사람이 되듯이 끊임없는 수양을 쌓고 실력을 갈고 닦으면 나중에 善人이 되어 대성할 수가 있다.

8.화생토형(火生土形)
화성이 토성을 陽的으로 相生시키는 특징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인물형으로 先天河圖기준의 陰陽五行說이 바탕이 된다.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화생토 표준 얼굴형]
얼굴 윤곽이 아래쪽은 원형이고 위쪽은 부채꼴 모양의 형태의 둥글넓적하고 서글서글한 눈매에 웃는 인상이 후덕(厚德)하게 보인다. 눈썹은 넓고 짙으며 코는 굵직하거나 끝이 퉁퉁한 듯하다. 관골(觀骨; 뺨 부위)이 발달하여 얼굴 선이 굵고 뼈대나 근육이 불거져 나온 곳이 거의 없다. 법령(法令; 코 양 옆에서 입 위로 뻗어 내린 주름)과 인중(人中;코 밑 윗입술 사이 우묵하게 골이진 곳)이 발달했고 턱은 둥글고 펑퍼짐하다. 말하자면 토성인의 기본 얼굴에 화성인의 특징이 겹쳐진 얼굴이라 할 수 있다. 안면찰색을 나타내는 기색(氣色)은 화성의 붉은 기운과 토성의 황토(黃土)색이 상호 적당하게 배합된 주황(朱黃) 빛깔로 보면 된다. 단 그 本色이 변화되어 얼굴에 和色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니 그때 그때마다 잘 살펴서 판단해야 한다.   

(2)신체 및 골격∼신체가 뚱뚱한 듯하나 살이 많이 쪄 비대하지는 않다. 살집이 풍만하고 부드러우면서 안면찰색(顔面察色)은 검붉거나 불그스름한 기운이 감돈다. 키는 보통이거나 약간 작으며 평균이하가 많고 간혹 장대(長大)한 사람도 있다. 몸집에 비해 팔다리가 짧은 편이고  손발은 퉁퉁하고 크다.

(3)기질 및 성품∼성품이 원만하고 느긋한 마음의 소유자로 매사에 은인자중하며 차분하게 일을 하며 점진적으로 발전할 타입(Type)이다. 세상의 변화에 민감하게 내면적으로 대처하면서 자기 나름의 신조(信條)나 철학이 있고 보수적 성향이 강하다. 보수적 기질에 전통을 지키면서도 변화와 다양성을 추구한다. 화려한 것을 좋아하면서도 심지(心地)가 깊고 의지력이 강해 주체성을 잃지 않는다. 현실적으로 가능한 일을 짜임새 있게 추진한다.  

[장점]:믿음성이 있으며 은근한 정감으로 다른 사람에게 호감을 주는 사교형이다. 인내와 성실로 자기의 할 일을 착실하게 추진한다. 조그만 일이라도 성실하게 추진하여 더욱 크게 발전시키고 확장하는 사업적인 아이디어(Idea)의 숨은 재능이 있다.  

[단점]:火土가 조화되지 않으면 겉으로는 친절하나 내심(內心)으론 엉큼하고 간사하며 권모술수를 부리기도 한다. 실질적 능력이 없으면서 과대망상으로 현란(絢爛)하게 사치하거나 헤프게 낭비한다. 실속 알맹이는 없으면서 여러 가지 일을 크게 벌리나 성공시키는 것은 별로 없다. 남을 도와주는 척하나 속으로는 자기 욕심을 차린다. 자기 실력이상으로 떠벌리고 사람을 귀찮게 군다.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고혈압이나 당뇨병에 조심하고 식중독이나 두통 비만에도 유의하라. 술이나 육식 등 과음과식을 삼가고 혈압에 관계 있는 심장병 및 신장계통의 질병에도 미리미리 신경을 쓸것이며 체질상 화병(火病)이 일어나기 쉬우니 항상 감정을 자제하고 마음을 평온하게 다스리도록 하라.  (5)역사적 인물유형∼최제우(1824-1864), 안향(1243-1306), 이승만(1875-1965)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일을 천천히 추진하나 승산이 보이면 과감하게 돌진한다. 전반적으로 기본지식능력이 있으면 거의 모든 직업에 무난하게 성공할 가망이 많으나 특히 자본회전이 느린 장기적 투자 사업이 좋다. 그러나 모험적 투기사업은 삼가라.

  주로 부동산 건축 토목 기계 공장 창고업 중소도매업이 유망하고 생산가공업도 괜찮다. 정신활동방면에는 종교 철학 예술 방면에 어느 정도의 성공가망이 있고 정치 외교 언론분야에도 두각을 나타내고 대인관계가 특출하면 고급직업에도 진출하면 점차적으로 성공의 길로 들어선다.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유 소년기에는 평범하게 나아가고 청년기부터 점차적으로 재능이나 잠재적 능력이 현실적으로 힘을 발휘한다. 자기중심적인 고집이 좀 있으나 의지가 강하여 실패에 도전하는 분발력(奮發力이 있어 큰 변동 없이 자기직업에 충실히 전진한다. 빠르면 장년기(30-39) 늦으면 중년말기(45-49세)에 크게 발전하고 성공한다. 장기적 결말[5-7년 사업기간]을 보는 사업에 착실히 전진하며 실패와 좌절이 있어도 별 영향 없이 재기한다.

  시대의 흐름과 재능을 조화시킬 줄 아는 민감한 센스(Sense)를 발전시켜 부지런히 정진하면 자기분야에 무엇이든 목표달성의 빛을 본다. 향상 발전심과 애착심(愛着心)이 강해 애정문제나 가정생활에 다정다감한 성품으로 원만하고 화목하다. 직업이나 거주(居住)를 너무 자주 바꾸거나 이동하지 말라.

(8)화생토형 종합해석∼뜨거운 태양의 열기로써 땅의 기운을 무르익혀 만물을 성장시키고 열매맺게 하니 화성토(火成土)라. 土氣가 너무 많으면 게으르고 아둔하거나 우직(愚直)하고 인색하다. 속 인정은 있으나 겉으로 무뚝뚝하고 고집이 있으며 결단력도 희박하다. 火가 너무 강하면 계획과 IDEA나 언변은 좋으나 실천력이 뒤따르지 못해 행동보다 말이 앞선다. 火土가 혼잡하게 섞이면 재주와 능력은 좀 있으나 일관된 계획성과 종합적 판단력이 없어 시세(時勢)의 흐름에 둔감하여 생각은 있으나 착수를 하지 못해 성공의 기회를 놓치는 수가 많다. 성공을 하려거든 유망한 후원자나 경험자 현명한 사람의 충고를 받아들이는 폭넓은 사고력이 필요하다. 미리부터 생각하여 진로상담과 취미 능력 특기의 가능성을 연구  검토하여 실패를 미연에 방지하는 운명개척의 인생경영을 잘 해나가라.  

 9.토생금형(土生金形)
토성이 금성을 陽的으로 相生시키는 특징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인물형으로 先天河圖기준의 陰陽五行說이 理氣論의 바탕이 된다. 森羅萬象 大宇宙 天地自然의 오행이 순환회전하여 天人地 萬物이 형성되고, 萬物이 天地造化의 變轉有相으로, 그 형체가 肉眼에 드러나지만 이것 역시 인간의 마음에 心相(Mind Screen)으로 나타나, 無形의 심안(心眼:Mind's Eye)에 비쳐서 모든 것을 豫知하고 알 수 있다. 그 아는 방법은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살펴서 미래를 볼 수 있는 것이다.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토생금 표준 얼굴형]
대체로 얼굴윤곽이 복숭아 모양에 비유된 형상(形象)이다. 이마가 번듯하고 볼이 주름져 불거져 나왔거나 턱이 이중 턱으로 두툼하거나 살집과 근육이 발달된 편이다. 눈이 거북이 눈처럼 움푹 들어갔거나 얼굴에 비해 적은 편이고 눈꺼풀이나 눈두덩에 작은 주름이 종종 있다. 이마 양옆 관자놀이(귀와 눈 사이 太陽穴이 있는 부위)가 넓고 불룩하게 발달되었다. 코는 짧고 뭉텅한 경우가 많고 콧대에 힘이 있어 보이고 끝 부분인 준두(準頭)가 풍만하고 코밥(좌우 살집)도 굵직하며 양 볼은 불룩하고 입술은 두툼하다. 안면찰색은 황토색의 홍윤색(紅潤色)으로 누르스름한 바탕색에 금속기의 白色 흰빛이 감
도는 것 같으니 가을 벼이삭이 석양에 빛나는 황금 들판을 연상한다. 토성형과 금성형이 陽的인 철(凸)방향으로 혼합되어 살집과 근육이 몸 속에서 밖으로 융기(隆起)된 형상(形相)이다.     

(2)신체 및 골격∼풍채가 걸출(傑出)하고 몸집이 뚱뚱한 편이고 팔다리는 둥글 뭉실하고 몸체에 비해 짧은 편이다. 중키 정도가 많고 어깨가 견고하고 가슴이 벌어지고 근육이 튼튼하게 발달한 사람이 많다.

(3)기질 및 성품∼정신적인 것보다 행동방면에 적극적이다. 지혜가 있는 사람은 사물을 깊이 생각하고 대인관계가 신중하다. 겉으로는 점잖은 듯하나 안으로는 칼을 품고 끝까지 물고 늘어지는 독한 마음의 소유자도 종종 있으니 상대방을 잘 살펴야 한다. 타산적이며 현실에 집착하는 물질만능의 인생관을 가진 경우가 많다.

[장점]:냉정 침착형으로 꿈과 이상이 높다. 성실성과 안정감을 기반으로 처세에 능수 능란한 권모술수를 가지고 있다. 활동무대도 넓으며 신용과 배짱을 가지고 책임감이 강하여 실패를 당해도 끈질기게 시련을 뚫고 나가는 집념이 강하다.

[단점]:남의 불행이나 애로사항에 동정심이 희박하고 자아중심의 고집이 세며 타인을 동정하거나 관용을 베푸는데 인색하다. 물질이 대한 탐욕이 강해 때로는 인정사정 볼 것 없이 자기 몫만 챙기는 경향이다. 자기에게 손해를 끼친 사람은 되 갚아 주거나 원수를 꼭 갚겠다는 복수심이 강하여 선악(善惡)에 대한 구별이 뚜렷하다. 후천적 교양보다는 선천적 본능에 좌우되는 좀 동물적 야만성이 있는 편인데 자기가 이런 형에 해당한다고 생각되면 후천적 수행이 필요하다.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혈압에 주의하고 간장질환 비만 당뇨병 담석증 관절염에 주의할 것. 과음 과식 음주 등에 주의하고 부상 골절 투쟁 싸움으로 인한 신체의 손상에도 미리 방지하라.

(5)역사적 인물유형∼조만식(1883-1948), 신익희(1894-1956),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가문과 혈통이 괜찮은 사람이 많으며 조상이나 부모일가의 유업으로 발전할 운세이다. 토목 건축 공업 광업 등의 대성할 소질이 많다. 교육을 많이 받은 사람은 지식층으로 국가 고위관리직 장성 경찰 군인 공무원 등에 종사한다. 모험투기 개척사업으론 천연자원 및 금속채굴 해외진출분야에도 유망하다.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어릴 때부터 점진적으로 발전 성장하여하는 조숙개운(早熟開運)의 가능성이 많으나 자만과 저돌적(猪突的) 모험으로 청년기에 실패와 좌절의 고초를 자주 겪다가 성공의 길로 들어선다. 장년기(30-39세)에도 인생의 굴곡이 있으나 대체로 만년(晩年:50-59세)에 노력에 상응하는 결실을 거둔다. 실패를 방지하는 방책으로 중용을 지키고 은인자중(隱忍自重)하고 조급하게 서두르지 말라. 분수에 맞지 않게 점잖을 빼거나 만용(蠻勇)을 부리며 권위주의로 위엄을 부린다.

  가정생활에 자기 중심주의로 독선과 비민주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으니 양보와 사랑의 미덕이 필요하다. 외곬으로 치닫는 편벽(偏僻)된 고집이 있어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고 적이 많으나 자기나름의 믿음이나 신앙심이 강하다. 40-49세 중년기에 대성의 길로 접어드는 사람이 많다.

(8)토생금형 종합해석∼땅에서 금은보화를 캐는 형국(形局)의 토산금(土産金)이라. 선천적으로 감추어진 잠재력이 풍부하여 자기도 모르는 재능이 숨어 있으니 자신의 내부를 잘 살펴 보라. 몇 번이고 생각하여 확신이 서지 않으면 행동에 옮기지 않는 두더지 TYPE으로 모르는 척 웅크리고 있다가 이익이 생기면 재빠르게 움직이니 처신에 빈틈이 없고 물질적 세속적 현실적 성공에는 남보다 한발 앞선다. 지칠 줄 모르는 추진력과 끈질긴 집념으로 밀고가면 대성하나 진정한 성공인지 반성해 볼 필요가 있다. 단점으로 턱없는 배짱과 고집을 부려 대국적인 시야가 좁고 자기만 아는 이기주의가 되기 쉽다. 고상하고 수준 높은 정신적인 기품이 모자라고 물질적 세속적 성공에 너무 집착하여 폭넓은 인간미가 부족하다.

  土金이 잘 조화되면 智仁勇을 구비하여 사회적 상위지위에 도달하고 국가의 간성(干城)이 되거나 큰 인재가 된다. 심신수양이 되지 않고 교양이 없으면 괴팍스럽고 기발(奇拔)하여 남모르는 야심을 품고 권모술수를 부려서 남에게 협잡(挾雜)하거나 무뢰배(無賴輩)나 사기한(詐欺漢)이 되기도 한다.     

10.금생수형(金生水形)
금성이 수성을 陽的으로 相生시키는 특징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인물형으로 先天河圖기준의 陰陽五行說이 바탕이 된다.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금생수 표준 얼굴형]
얼굴테두리 윤곽은 양 이마가 둥근 뿔처럼 불거지고 관골 중앙의 광대뼈도 좌우로 불거진 편이다. 이마상부가 발달하여 중앙부위가 불룩하게 불거져 나왔거나 양옆으로 솟아 오른 사람도 있다. 귀의 상부가 위로 솟았으나 아래 귓밥은 쭉 빠진 경우가 허다하다. 콧대가 쭉 뻗었고 코끝은 뾰족한 편이고 코 전체가 날씬하게 빠졌다. 얼굴 전체 모습에 상관없이 턱이 좁게 오므라들어 아래로 좁게 불거졌다. 안면찰색은 서방 금속의 흰빛바탕에 북방수의 검푸른 색깔이 번져있는 형국이니 밝은 청색이나 진한 초록빛에 아침햇살의 밝은 광윤색이 점점이 박혀 환한 빛깔이 비쳐 나오는 색상이다. 꼭 이러한 빛이 난다는 것보 다 피부살결이 희고 깨끗한 바탕에 건강한 혈색 빛이라 보면 된다.   

(2)신체 및 골격∼살집이나 피부보다 뼈나 근육이 발달했다. 키가 작은 사람에서 큰 사람까지 여러 층에 걸쳐있고 몸 전체균형은 야윈 편이다. 여성은 가슴은 빈약하나 몸짓 표정 동작에서 아리따운 형이거나 날씬한 편으로 성적인 매력을 풍긴다.  

(3)기질 및 성품∼시세의 흐름에 민감하게 대처하는 처세술이 뛰어나고 사물의 원인과 이치(理致) 결과 등을 잘 분석하고 종합하는 IDEA가 우수하다. 자기책임과 성실한 자세로 실무에 열중하는 TYPE이다. 칠전팔기(七顚八起)의 오뚝이 정신이 있고 잠재적 능력이 많아 잘 개발하면 발견 발명의 재능이 있고 창조적으로 개척하는 자질이 있어 나중에 대성할 운이다.    

[장점]:용모단정하고 재치가 있다. 목소리가 뚜렷하고 동작이 민첩하며 활동력이 탁월하여 일하는 솜씨가 재빠르다. 현실에 입각한 실천 행동력이 왕성하고 독립개척심도 강하다. 사리가 분명하고 솔직담백한 성격에 지식과 학문 등 정신방면이 양호하다.  

[단점]:사람이 너무 약삭빠르고 실리적이며 타산적이다. 현실적으로 경제적 금전적인 면에서 계산에 밝아 손해를 보지 않으려는 기질이 강하다. 자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냉정하게 처신하고 인격이 조야(粗野)한 사람은 권모술수의 책략을 쓰고 간사하게 남을 이용하기도 한다. 사소한 일에 신경질을 부리고 조급하며 애정의 폭이 좁고 감정이 메마르고 성격이 전반적으로 까다롭다.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소화기 계통 위장병 신경성 노이로제 등에 유의 할 것. 허리 신경통 및 생식기 질병의 위험이 좀 있고 음주나 약물중독에 주의할 것이며 그 예방책으로 규칙적인 운동을 하거나 특수한 심신 연단법(煉鍛法)으로 체력을 관리해야 한다.

(5)역사적 인물유형∼김구(1876-1949), 이봉창(1900-1932), 조병옥(1894-1960)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두뇌 및 행동의 종합능력을 바탕으로 변화와 창조를 추구하는 업종에 두각을 나타낸다. 기본자산을 토대로 IDEA를 활용한 정보유통분야에 전망이 좋고 생산설비를 기반으로 제작판매 봉사하는 일에 유망하다. 금속 화학 공작(工作) 연구 생산 기능공으로 진출하든지 상업이나 공업을 혼합한 직업에도 유리하다. 지식을 많이 활용하는 실무행정가 변호사 의사 약제사 및 과학기술분야의 자유독립연구직업에도 두각을 나타낸다. 전문지식 경험이 있으면 수산 해운업계로 진출하고 극장호텔 다방 유흥접객업소에도 해봄직하다.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소년기부터 재능이 뛰어나서 청 장년기에 거쳐서 두각을 나타내 각광을 받을 운세이나 중년기에 발전의 막을 내려 만년에 쓸쓸하게 고독할 경우가 있으니 미리부터 뜻밖의 실패와 좌절을 하지 않도록 평소에 대비하라. 부모친척들의 도움이 많으나 대인관계의 성패여하에 따라 적과 친구의 구별이 심하니 극단적인 인간관계를 삼가라. 인생의 굴곡과 변전무상(變轉無常)을 대처하는 비요(秘要)는 수양을 쌓아 성품을 원만하게 하고, 특히 아랫사람이나 자손들의 덕과 복이 희박할 운세이니, 평소에 은덕을 베풀고 자손들의 후세교육에 힘쓰고 인품의 함양과 음덕(陰德)의 베품에 적선(積善)의 공덕을 쌓아 악운(惡運)의 굴레를 미연에 방지하여 천라지망(天羅地網)을 벗어나라.    

(8)금생수형 종합해석∼각종 광물질을 녹여 금속을 제련하여 온갖 기계와 물체와 그릇과 물건을 만들어내는 연금술사(鍊金術士)의 재주가 金生水에 감추어져 있도다. 모든 물질과 정신의 변화의 방법과 기술은 각양각색이라. 고체가 액체로 둔갑하니 금변수(金變水)로다. 金氣가 너무 많으면 자기본위의 아집(我執)과 집착(執着)에 쌓여서 인색하고 융통성이 없어 고집불통으로 어리석음의 化身이 된다. 水가 많으면 마음에 중심이 없어 분주히 돌아다니나 얻는 것이 적고 成事가 난망(難望)이라. 金水가 적당히 조화되면 청년시절부터 대성하여 출세가 빠르니 너무 조금하게 서두르지 말고 심사숙고하여 실패를 성공의 발판으로 삼아 더 큰 성공으로 이끄는 도약대(跳躍臺가 되리로다.

 11.금극목형(金克木形)
금성이 목성을 陰的으로 相剋하는 특징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인물형으로 후천낙서(後天洛書)의 귀서황극도(龜書皇極圖)※를 기준으로 한 陰陽五行說의 영동수리철학(靈動數理哲學)이 바탕이 된다.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금극목 표준 얼굴형]
금성인의 용모와 비슷하나 그보다 좀 부드럽고 유연한 윤곽선(輪郭線)이 두드러지고 머리 크기도 좀 적은 편이다. 광대뼈가 옆으로 불거져 나왔고 턱은 방형(方形:네모진 형국)이다. 눈은 작은 편으로 움푹 들어갔고 콧대가 가늘게 쭉 뻗었으나 끝 부위가 약간 뭉텅하다. 입술은 얇고 좁으며 구열선(口裂線)이 아래쪽으로 쳐졌다. 좀 완고하고 까다로운 인상에 무언가 골똘히 탐색하는 듯한 표정이며 냉정한 느낌이 든다. 안면 기색은 東方木의 푸른 바탕에 西方金의 흰빛이 은은하게 번져있는 察色이나 색깔의 변화는 상당히 고차원적인 감식안(鑑識眼)이 요구되므로 靈動的으로 해석해야하
 니 너무 물리화학적인 현상에만 매달리지 말고 얼굴의 표정과 감정의 운기(運氣)변화를 고려하여 판정하라. 전체적으로 금성인과 목성인이 혼합된 유형이나 완전한 배합의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어느 한쪽으로 편향(偏向)되거나 굴절(屈折)된 형상이다.   

(2)신체 및 골격∼키가 보통이상 큰 편이고 체격은 여윈 편이고 뼈대가 불거졌다. 근육과 살집이 적은 깡마른 형으로 몸체에 비해 손발(특히 손발가락)이 크고 팔다리도 길거나 짧아 신체의 전체 균형이 좀 어긋난 풍채이다.   

(3)기질 및 성품∼경쟁 질투심이 많으나 업무추진력이 뛰어나고 신속 정확한 처리를 모토(Motto)로 한다. 자연관찰이나 물질의 조제 분석 제조분야에 재능이 있고 공작(工作)이나 사물의 제작과 변형에 특별한 기교(技巧)가 있고 직관력과 분석력이 우수하다. 총명하고 재주가 있으나 타인을 무시하는 교만심과 비타협적 배타성이 강하여 토라지고 우쭐거리는 성격이 좀 있다.    

[장점]:배타적 권위나 독재제도 구습타파에 도전하는 혁명적 정신이나 진보적 개척정신이 강하다. 이론보다 실무적 행정력이 뛰어난다. 재빠른 판단력으로 속전속결의 단기적 사업에 성공하는 특별한 재능이 있다. 어려운 일이나 공익적 업무에 희생 봉사하는 헌신적 의협심과 정의감이 강하다.

[단점]:안하무인으로 교만하여 약자에 군림하고 강자에 아부하는 교활한 성질이 좀 있다. 약은 꾀를 자주 쓰고 보이지 않는 데서 상대방을 중상 모략하는 음험성(陰險性)이 있을 수 있다. 참다운 용기나 조심성이 부족한 외강내유(外剛內柔)형에 가까우니 은인자중하는 인내심과 멀리 크게 바라보는 거시적 인생안목이 필요하다.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허약체질 식욕부진 빈혈증에 유의할 것. 교통사고나 불의(不意)의 재난이나 위험이 갑자기 닥칠 운수가 많다. 타인과의 다툼이나 소송분쟁으로 인한 사고유발이나 신체의 장애가 일어날 가망이 있음. 기술직이나 현장 인부 노동직에서 손발이나 신체의 부상이나 사고를 미연에 대처하라.

(5)역사적 인물유형∼최시형(1829-1898), 전봉준(1858-1895)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칼이나 도구 기계연장 등으로 자르고 맞추고 조립하는 직업에 유능하고 정신적으로는 판결이나 결정을 내리고 사물을 분석종합하고 매듭을 짓는 일에 능숙하다. 물질을 다루는 것에는 목재업 금속공예 수공업 건축 자재 장식업 문방구 도장업(圖章業) 조각 인쇄 양복 양장 재단사 디자이너(Designer)계통에 적합하다. 정신을 위주로 하는 직업에는 변호사 법관 계리사 의사 기자 등의 독립자유업이나 각종 정보 통신 컴퓨터 기계 기술직에도 유망하다. 금속기계분야론 철물 연장 도구 생산판매직에도 어느 정도 성공할 수 있다.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직업의 변동이나 취미의 다양성이 많고 사업의 진로개척에도 성공과 실패가 여러 번 점철(點綴)된다. 기지(機智)가 풍부하고 재능이 있어 30대부터 상당한 성공을 하는 수가 있지만 우선 눈앞의 작은 이익이나 성공에 집착하지 말고 미래를 대비하여 큰 안목을 가지라. 노년에 대비해서 재물을 저축하고 시대정신에 알맞은 아이템(Item)을 개발하는 진취적 탐구심이 필요하다. 자기 능력을 벗어나서 큰 일을 추진하려는 과욕이 있느니 경계하라. 단기적 사업(3-4년)에는 성공하기 쉬운 체질이니 너무 장기간에 걸쳐서 자본회전이 느린 직업은 좋지 않다.  

(8)금극목형 종합해석∼금속이나  연장도구를 사용하여 생산하고 공작 조립하니 만능의 다재다예(多才多藝)로다. 물질과 정신을 혼합 운용하여 다듬고 깎으며 계산하고 구상(構想)하여 자르고 붙이고 떼며 만들어내니 금변목(金變木⇒창조적 金克木)이로다. 과단성이 있어 판단력이 빠르고 행동력이 신속하나 경솔하여 큰일을 사전에 그르치는 것을 경계할지니라. 후천적 수양이나 학문과 교양을 연찬(硏鑽)하여 대망을 심지(心地)에 깊어 품고 인품을 갈고 닦으면 나라의 동량과 인재가 되는 위인이 될 수 있다. 金氣가 너무 세면 성질이 난폭하여 인정이 없는 냉혈한(冷血漢)이 된다. 교만한 자존심이 강하여 대인 관계가 원만치 못하고 남과의 시비분쟁이 잦다. 金木이 적당히 조화되면 영민(英敏)하고 과단성이 있어 매사에 빈틈이 없고 큰 일을 차근차근 조리가 있게 처리한다. 금극목 성격은 장기적 사업보다 단기적 사업에 성공할 확률이 높다. 그러나 경험을 많이 쌓으면 장기적 사업에도 특출한 성공을 거둘 수 있다.

 12.수극화형(水克火形)
수성이 화성을 陰的으로 相剋하는 특징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인물형으로 後天洛書기준의 陰陽五行說이 바탕이 된다.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수극화 표준 얼굴형]
얼굴모양이 항아리 모양의 윤곽에 이마 중앙과 양옆이 볼록하게 불거진 형상으로 특히 양옆 관자놀이[귀와 눈 사이 太陽穴 부위]가 발달했다. 눈썹은 반달모양으로 단정하며 좁게 가지런히 뻗고 짙은 색깔이다. 눈동자가 총명한 듯 빛난다. 관골(옆 빰 부위)이 쭉 빠졌으나 여자는 중앙이 다소 볼록하다. 입은 적고 단아(端雅)하며 턱이 밑으로 쑥 불거져 나왔으나 끝은 둥근 편이다. 안면찰색은 푸른물의 기운과 붉은 불의 기운이 서로 엉켜 혼합된 형상이니 기색이 짙푸른 바탕에 불그스름한 靑紫色기운이 감돈다 하겠다. 물의 기운이 불의 기운을 이기는 형국에서 생겨난 빛깔이니 수력발전의 원리에서 전기를 일으키는 힘을 연상하여 상대방의 얼굴을 보고 기색을 살피면서 감정하면 지혜의 영감이 생겨서 더욱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으리라.  

(2)신체 및 골격∼키는 보통정도이고 신체 좌우 상하의 균형이 알맞게 발달하여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몸매다. 언어행실이 단정하고 절도(節度)있는 몸매에 처신도 유연하다. 손발이 적고 야윈 편이나 깨끗하고 탄탄한 살결이다.

(3)기질 및 성품∼성격은 명랑 쾌활하고 행동이 날렵하고 민첩하며 감각은 예민하고 감정이 풍부하다. 앞날을 내다보는 선견지명이 있으나 종합적 실천구사력이 부족하여 큰일을 하는 데는 애로점이 많다. 고집이 있고 어려운 일을 처리하고 시련을 극복하는 용기와 배짱이 강하나 끝까지 밀고 가는 인내력과 추진력이 부족하다. 독립주체성이 뚜렷하고 의협심이 있는 강직한 성품이나 감정에 치우쳐서 그르치는 수가 있으니 평소에 식견과 소양을 쌓아 지도자의 자질을 함양하는 것이 현명하다.     

[장점]:두뇌의 회전속도가 빠르며 자기가 맡은 일은 빈틈없이 잘 처리한다. 상식과 일반적인 사무 처세지식이 풍부하며 위급한 일을 당할 때 해결책이나 수습방안을 잘 모색한다. 분쟁거리의 조정이나 협상에서 타결방안을 원만히 도출하는 해결사 능력이 있다. 물질적인 방면에는 발달됐으나 정신적인 가치에 대한 식견과 가치관이 짧아서 사회계층의 상위직 진출에는 애로가 있으니 대국적 견지에서 학문과 견문을 넓히는 것이 좋다.

[단점]:이타적 인간미가 부족하여 봉사 희생정신이 미흡하다. 쓸데없는 투쟁심이나 자질구레한 일에 시기 질투심이 강하여 억지 주장을 펴거나 개인적 이익을 추구한다. 조급하게 서두르거나 앞뒤를 가리지 않고 저돌적으로 돌진하는 맹목적 기질이 있다. 마음을 수양하는 정신통일이나 종교적 미덕을 쌓는 신앙심이나 믿음을 가지면 단점을 개선하여 장점으로 발전시켜 나중에는 큰 업적을 남길 수가 있다.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폐장 심장계통에 유의하고 피부 비뇨기과 생식기계통의 질병과 성병의 예방에 주의하라. 종종 신경증 정신불안 노이로제 불면증에 시달리는 수가 있다.  

(5)역사적 인물유형∼대원군(1820-1898), 손병희(1861-1922), 김정식(소월;1902-1934)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끊고 맺으며 판단하는 능력이 우수하며 권모술수를 발휘하는 처세술의 수완이 있다. 틀에 박힌 업무보다는 자기재능을 십분 발휘하는 취미와 특기개발에 몰두하면 나중에 자기방면에 성공을 거둘 수가 있다. 그러나 능력의 범위를 벗어나서 무모하게 돌진하거나 자기분야에 정확한 정보나 자료의 지식이 없이 일을 벌리면 실패하거나 용두사미가 되기 쉽다.

전문분야론 화공 약품상 의료업 제약업계 소방관 경찰관 군인 관리 경비업무 등이고 정신 인문과학분야는 정치 외교 비평가 언론인 기자 조사 판매원 등이다. 또한 공무원 회사원 기술직 운수업 주류(酒類) 음료계통 중개업 광고 선전업 기타 상업 등 지식을 바탕으로 물질을 다루는 자유업계통도 유망하다.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일생을 통해 초년 중년기(약 50세까지)는 별 굴곡 없이 계속적으로 발전하다 말년에 쇠퇴할 수 있으니 미리 대비하여 뜻하지 않는 실패를 방지하라. 물질적 사업이나 금전 재물을 모으는 데는 남다른 수완이 있으나 신체적 질병이나 타인과의 동업이나 속임수 사기 등으로 재물을 소비하니 친구나 가까운 사람과의 관계를 항상 살피고 건강이나 심신관리에 유념하라. 가정적으로 자유방임주의 기질이 있으나 화목한 편이다. 가끔 불화가 있으나 큰 문제는 없으나 종교나 사상문제로 이견(異見)이 발생하여 충돌하여 별거하기도 하며 심하면 이혼까지 간다. 중년(40-49)이후 노년(60-69)까지에도 성공실패의 기복(起伏)이 있으니 종교나 철학 등으로 마음을 다스리고 초지일관하면 난관을 극복할 수 있다.

(8)수극화형 종합해석∼타오르는 불의 염화(炎火)를 水氣의 물세례로 끄니 수소화(水消火)로다. 물과 불이 용호상쟁(龍虎相爭)으로 양극이 다투는 형국이니 이성과 감성의 갈등이 심하다. 선악간 양극단으로 분열하여 조화점이 없어 마음의 중심이 흔들린다. 심신수련과 인격함양으로 중용의 道를 살리도록 하라.  水가 너무 많으면 방탕하고 분별심이 없고 감정에 치우쳐서 사물의 본질을 꿰뚫지 못해 일을 할 때 결단력이 약하고 자기가 한 일을 감당할 수 없어 나중에 책임을 지지 못하고 패가망신하는 수가 있다. 절제력이 없어 풍류 유행 사치에 빠지거나 방탕하여 본능적 쾌락에 젖어 헤어나기 힘들다. 水火가 오성품(五性品) 안에서 조화되면 크고 작은 일에 두루 통달하는 만능인(萬能人)이되어 세파의 온갖 풍상을 겪어내는 처세에 능수 능란하여 많은 사람을 구제하고 덕을 베푼다. 水火가 불균형하면 자기 중심의 주체성이 없어 일을 벌리고도 매듭을 짓지 못하여 부화뇌동(附和雷同)하여 남의 뒤를 따라가서 독립하지 못하고 창의성이 없어 평생의 일을 성사시키지 못한다.    

13.목극토형(木克土形)
목성이 토성을 陰的으로 相剋하는 특징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인물형으로 後天洛書기준의 陰陽五行說이 바탕이 된다.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목극토 표준 얼굴형]
얼굴모양은 원뿔대형의 항아리 형상이니 둥근 원형의 토성형에 상하로 길쭉한 타원형의 목성형이 겹쳐진 相이다. 耳目口鼻의 線과 輪廓이 오목조목하고 아담하고 적은 편이다. 눈 옆 귀 언저리의 살집이 발달했으며 코가 오뚝하다. 입은 작고 단정하며 턱은 쪽 빠진 감이 있다. 피부가 매끄러우면서 단단하고 기색은 靑黃色에 가깝다. 안면찰색은 황토색의 누런 바탕에 푸른 기운의 녹색이 자욱하게 깔려 퍼진 형국이니 녹황(綠黃)색의 기운이 속 피부로부터 진하게 번져 나오는 기색이다. 木의 큰 기운이 땅의 地氣를 다 빨아 올려서 더욱 큰 땅과 大地가 필요하여 다른 곳으로 이동하거나 변통적 발전을  도모하는 기운을 타고난 사람을 상징하니 그런 사람의 顔色과 氣像은 더욱 짙푸른 초록빛이 황색의 누런 땅을 척박(瘠薄)하게 하는 기색이다.   

(2)신체 및 골격∼체격은 좀 적은 편이고 뼈와 살이 적당하게 어울려 몸체의 상하균형이 알맞다. 좀 야윈 듯한 신체이나 비쩍 마른 형은 아니다. 처신이나 언행의 행동거지가 경쾌하고 재빠르나 좀 매섭거나 차가운 성미에 딱딱한 느낌이 난다.

(3)기질 및 성품∼표면적으론 성격이 조용하고 언행도 차분하나 내면적으로 생각이 깊고 주관이 강하다. 담담하고 조용한 듯하나 은근한 정열을 감추고 있어 목적달성을 위해 맹렬히 노력하고 일을 할 때는 깊이 파고들어 성취하고자하는 야망이 있다. 남자는 매너(Manner)가 세련되고 여자는 애교와 친절성이 좋은 편이다.    

[장점]:은근히 사람을 끌어당기는 매력과 흡인력이 강하다. 자아의식이나 주체성이 확고하고 성격이 차분하여 세밀하게 맡은 일을 착실히 추진한다. 기술분야에 손재주가 있고 행정실무 분야에 추진력과 창의력이 뛰어나고 성실하며 부지런하나 자기 성미에 맞지 않으면 두 번 다시 사귀기 힘든 까다로운 일면이 있다.

[단점]:어느 정도 성공하면 자만을 부린다. 심하면 남의 일에 참견하여 꼬투리를 잡는 괴팍성이 있다. 평범하게 지내다가도 유혹이나 놀이에 빠지거나 남의 꾐에 넘어가 뜻밖에 낭패를 당하는 수가 있다. 융통성이 부족하거나 인색하여 작은 일에 꼼꼼하게 꼬치꼬치 따지거나 캐고 묻는 소심한 기질이 있다. 작은 일은 잘하나 큰일에는 처세술과 경륜이 부족하여 大事를 하기 힘든 면이 있다.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어릴 때는 병약한 경우가 많으나 청년기 이후부터 건강을 회복한다. 호흡기질환 소화불량 위장병에 약하다. 잘 발견되지 않는 속병(오장육부의 질병)에 유의하라. 신경증 노이로제 피부병에도 예방을 하며 적당한 운동과 채식위주의 식생활을 하면 거의 모든 신체 질병을 예방하는 체질개선의 효과가 있다.  

(5)역사적 인물유형∼안창호(1878-1938), 김옥균(1851-1894)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출입유통이 빈번한 유통업분야에 전망이 좋고 청부업 중개업 소자본 투자경영에 승산이 있다. 학식과 경험이 있으면 교사 연구직 기술공무원 경리사무직이 괜찮고 정신분야의 개척 발견 발명 정보통신 분야도 두각을 나타내나 좀 늦게 성공한다. 정원사 농업 원예계통 특용작물 유기농업 등 토지 산림을 기반으로 장기적 수익을 바라는 생산판매직에도 유망하다.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유 소년기에는 부모의 슬하와 조상의 유업아래 다복하게 자란다. 가정적 변화와 시세의 풍운에 의해 초년 학창시절에 고생이 있으나 친척이나 이웃이나 지인(知人)의 도움으로 시련을 극복하여 발전할 상이다. 청년기에 성공실패의 기복이 있고 어느 정도 기반과 터전을 잡아나간다. 중년기(40-49세)에 성공하는 수가 많으나 장래를 위해 튼튼한 기반을 잡지 않으면 말년에 고생하는 수가 있다. 장래의 불운을 위해 대비하지 않으면 말년에 고생할 相이다. 준비를 하면 고생이나 난관을 헤쳐나가는 것은 정한 이치라 하겠다. 시세(時勢)의 흐름이 본인에게 불리하게 전개되는 수가 있으니 유행을 많이 타는 직업에 너무 깊이 개입하지 말라. 대체로 정신과 물질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직업에 종사하면 한평생 대과(大過)없이 心中의 소망을 달성하며 안락한 생활을 누리며 행복하게 마칠 수 있다.  (8)목극토형 종합해석∼草木이 地氣를 흡수하니 땅이 마르고 부서지니(부석부석 해지니) 목감토(木減土)의 형국이라. 그러나 水生木을 만나 樹木이 울창해지면 水氣를 많이 머금고 흙이 차지니(찰기가 있으니) 땅의 양분이 탄탄해지니 오곡백과가 잘 자라고 홍수와 가뭄도 일어나지 않으니 열매가 풍성하게 자라 수확을 많이 하여 부자가 된다.

  목기가 너무 많으면 교만하고 자만하여 분수에 넘치게 우쭐되어 성사가 되기도 전에 도로무사(徒勞無事)가 되니 자중하고 경계할지니라. 잔재주를 부리는 기교는 있으나 생각의 깊이와 높은 이상이 없어 일의 매듭을 지우지 못하고 중도패지(中途敗之)하는 일이 많아 평생의 대망을 달성하기가 어렵다. 목기가 부족하면 나약하고 허약하며 총명예지(聰明銳智)도 없어 항상 남의 뒤를 따라다니다 평생을 마치리라. 木土가 어울리지 못하면 무사안일에 빠지고 방탕하고 호색하며 기분이 나면 재물을 낭비하고 큰소리치고 허풍떨어 지키는 것이 없고 손에 있는 것도 남의 것이 될 것이며 심하면 패가망신하는 지경에 이른다. 마음에 중심과 줏대가 없어 큰 일을 벌려놓고 뒷감당하지 못해 뜻밖의 낭패를 보거나 지기불능이 된다. 미리 대처하고 준비하여 불운을 피하거나 물리치지 못하면 후회해도 소용이 없으리라.

  목토가 조화되면 섬세하고 자상하며 아는 것이 많아 큰 학자가 될 수 있다. 다른 오행의 기운이 상부상조하면 재주와 예지(豫知)가 뛰어나서 앞날을 미리 점지하여 큰 인물로 성장하여 많은 사람에게 큰 덕을 끼치는 大人이 될 수도 있다.         

14.화극금형(火克金形)
화성이 금성을 陰的으로 相剋하는 특징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인물형으로 後天洛書기준의 陰陽五行說이 바탕이 된다.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화극금 표준 얼굴형]
얼굴모양은 도깨비 가면(假面)같은 타오르는 얼굴형상에 머리 위로 살[肉] 뿔이 솟은 느낌이 난다. 이마 중앙 상부가 위로 솟아 외 뿔난 도깨비 형상에 양 옆이마가 불거지고 광대뼈가 둥글게 앞쪽으로 볼록 솟아난 형상이고 눈은 큰 편이다. 실지로는 그런 형상이 아닐지라도 그런 느낌의 기운을 느끼게 한다. DIAMOND형의 금형에 부채꼴의 화성형 얼굴이 겹쳐진 相으로 근육과 살집이 주름져 겹친 相이라 보면 된다. 안면찰색은 화성의 붉은 기운과 금성의 하얀 기운이 타오르는 촛불의 광윤(光輪)처럼 넘실거리는 백자색(白紫色)의 바탕에 남색기(藍色氣)가 감돈다. 기색은 불그스레한 사람이 많으나 살결이 탄탄하고 부드러운 사람도 있다. 정열적 표정으로 안면(顔面)에서 열기가 뿜어 나와 타는 듯한 인상이다.

(2)신체 및 골격∼뼈대가 불거지고 근육이 발달했고 여자도 남자처럼 단단한 체격이다. 몸이 후리후리하고 키가 큰 사람이 많은 편이다. 손발 및 팔 다리가 길고 허리도 쭉 빠졌으며 엉덩이 부분은 좁다.  

(3)기질 및 성품∼자기의 목적을 추구하기 위하여 끈질기게 달라붙는 성질로 자신감과 배짱이 강하다. 생각한 바를 곧장 실천에 옮기는 열성파이며 상대방이 싫다고 해도 목표를 달성하려고 계속 물고 늘어지는 집요성(執拗性)이 있다. 변설과 대화 사교술이 좋고 때로는 자기자랑과 과대선전을 일삼고 책략이나 술수도 능하다.     

[장점]:남을 앞지르는 기술이나 실력을 갖고 있어 능력위주의 대인처세를 잘 한다. 사교술이 능하고 융통성이 풍부해 폭 넓은 생활경험을 가지고 있어 임기응변의 실행력이 좋다. 생활 개척력이 강하여 실패과 역경을 웃으면서 헤쳐 가는 낙천주의(樂天主義) 기질이 다분하다.

[단점]:권세나 세력을 믿고 약자를 깔아뭉개고 자기의 이익을 취하는 비정한 면이 있다. 호기심이 많고 지나치게 남의 일에 간섭하며 추근대어 타인의 빈축(嚬蹙)을 산다. 목적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탐욕에 어두워 남을 중상 모략하는 일이 있다. 물질이나 금전에 치우쳐 외모로 사람을 평가하고 명예심에 집착하여 대인관계에 적을 많이 만드니 앞날이 순탄치 않다. 원만한 해결을 위해서 중용의 미덕을 함양하고 정신적 가치에 치중하는 가치관을 중시하라,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이비인후과 계통의 감각기관과 관절염, 신경통, 손발이 붓거나 저리는 병에 유의하라. 팔 다리 등의 부상 골절 탈골에 예방하는 심심연단(心身煉丹)의 수행을 평소에 연마하라. 성질이 다급하니 희로애락의 감정에 극단적으로 흐르는 것을 경계하고 몸과 마음에 조화를 이루는 처세를 중시하라.

(5)역사적 인물유형∼김대건(1821-1846), 송진우(1890-1945)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한번 마음먹은 것은 굽히지 않고 추진하는 끈질긴 집념이 강한 노력가이므로 창업이나 개척 발굴 개발사업에 유능하다. 홍보 외교관 무역업 세일즈맨(Salesman) 선전광고업 중개청부업 등 복잡한 대인관계를 구조화하여 통합하는 직업분야에 전망이 유력하다. 학벌이나 경험 실력이 있으면 관직이나 정치방면에도 전망이 있다.

  불로써 쇠를 녹이는 형국이니 공장기술직 발전소 전기용접 선박제조업 금속가공업 가스취급분야 등 공업기술자로서의 진출이 좋다. 정신분야론 출판문화사업 인쇄 광고판매업 등 대중에 파고드는 직종이 유리하며 각종 사회문화 봉사단체에 활동하며 지식과 외교 처세 선전을 가미한 반관반민(半官半民)의 업무분야에 성공의 가망이 높다.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불철주야(不撤晝夜) 노력하는 집념형이므로 현재의 자기 위치에 만족하지 않고 항상 높은 곳으로 향상 발전하려는 의욕이 강하므로 타향으로 이사하여 자수성가하는 사람이 많다. 소년기에 별 성과가 없는 것 같으나 청년기에 점차 두각을 나타내어 장년기(40세 이후)에 상당한 발전을 이룩하고 중년기(50세 이후)에 대성할 운세이다.

  현실과 이상을 실질적으로 조화 연결시켜 창의적인 생활을 개척하는 IDEA가 뛰어나고 생활력이 강인하여 악조건과 시련을 잘 견디어 내나 배타적 교만과 독선적인 면이 있다. 소규모 사업은 무엇이든 성공할 소질과 능력이 있으나 사업을 확장하거나 다음 단계로 도약할 때 한꺼번에 너무 욕심 내어 크게 벌리지 말라. 감정문제로 가정과 대인처세에 다툼과 분쟁이 있을 수 있으니 자중하고 인내하여 곤란한 경우를 피하여 나아가라.       

(8)화극금형 종합해석∼금속광물이 용광로에 들어가서 형체가 녹아지니 단단한 것도 뜨거운 열기를 이기지 못하니 화용금(火鎔金)이라. 수백 번이라도 찍으면 안 넘어 가는 나무가 없다는 식으로 '하면 된다'.는 신조를 가진 사람이다.

  火가 너무 강하면 질투 경쟁심이 많아 죽어도 남에게 지기 싫어하여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야망 목적을 달성하려는 끈질긴 승부근성을 가지고 있다. 火가 부족하면 정열과 노력이 부족하여 추진력이 없고 무미건조하여 사람들에게 인기와 교제가 없어 발전할 운세가 오지 않는다. 火와 金이 잘 조화되면 처세와 생활전선에서 교제술이 좋아 활동력이 뛰어나서 대인관계에 공격방어를 잘하여 사업성이 있다. 심신수양을 도모하여 인격과 능력에 위엄과 지도력을 갖추면 큰 사업은 물론 국가의 동량지재(棟梁之材)로써 큰 인물이 될 수 있다.          

15.토극수형(土克水形)
토성이 수성을 陰的으로 相剋하는 특징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인물형으로 後天洛書기준의 陰陽五行說이 바탕이 된다. 상극이라고 흉하거나 나쁘다고 생각할 필요가 없다. 先天調和세계에서는 상생으로 化하지만 後天相衝 인간세계에서는 경쟁의 원리가 지배하여 우열로써 승부가 결정되므로 상극을 통하여 새로운 질서가 창출되어 한 단계 높은 상승의 경지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1)얼굴모양 및 안면찰색(顔面察色) [토극수 표준 얼굴형]
얼굴모양은 아래위가 불룩한 땅콩 껍질이나 조롱박(표주박)처  얼굴 위아래 양끝이 주머니처럼 생겨서 복판에는 훌쭉하거나 잘록하다. 혹은 위쪽 얼굴만 불룩하거나 또는 아래쪽 얼굴만 불룩 나왔거나 위아래가 불균형한 사람도 있다. 이마가 둥글고 넓적하며 앞쪽으로 불거져나왔다. 안면찰색은 검푸르거나 파란물[水]색바탕 위에 황토색이나 검붉은 흙[土]색이 뒤섞여 배합된 보라색의 기운이 풍겨져 온다. 기색이 번들번들하거나 유들유들하고 턱 주위 살집이 발달하여 이중 턱인 경우가 많다. 관골(觀骨)하부가 풍만하고 옆으로 펑퍼짐하고 눈은 적으면서도 안쪽으로 움푹 들어  갔으나 안광
(眼光)이 빛나고 코는 사자 코처럼 뭉텅하고 코밥(코끝 좌우 살집)도 넓다. 귀가 넓고 큰 편으로 주로 얼굴 뒤쪽으로 붙었고 남의 말을 잘 경청하고 이해한다.  

(2)신체 및 골격∼키나 몸집이 큰 대인풍모에 살집이나 근육이 풍만하고 말은 느리면서 무게가 있고 전체적인 체취(體臭)가 장중하고 믿음직하다. 어깨가 견고하고 손발의 마디가 굵고 크다. 피부는 두터우나 부드러운 편이다. 좀 능글능글한 체취가 풍기나 체면이나 예의 있는 행동에 점잖으면서 서글서글한 유연성과 호탕한 풍모(風貌)를 느끼게 한다.

 (3)기질 및 성품∼남모르는 원대한 계획과 포부를 가지고 실천을 도모하는 야망가의 TYPE이다. 수양되지 않으면 안하무인(眼下無人)으로 행동하며 때로는 시대를 움직이는 풍운아(風雲兒)이거나 위인 열사 등 큰 인물일 수도 있다. 적극적 진취성이 강하나 성공 실패의 도수(度數)가 많고 변화의 진폭(振 幅)도 커 운세의 부침(浮沈)이 심하다.

[장점]:겉으로는 별 능력이 없는 것 같으나 속으로는 실력이 있는 사람이 많다. 숨은 재질과 금전관리능력이 있고 빈틈없이 일을 잘 처리하는 실무형의 실리주의자의 성품과 기질이 있다. 생각이 깊고 사고력이 그윽하여 세태를 멀리 볼 수 있는 안목이 있다. 심사숙고하여 결정한 후 소신껏 태풍처럼 밀고 가는 개척정신과 진취성이 뛰어난다. 모험심이나 배짱이 세고 정의와 의리를 살려 남을 위해 사명감을 가지고 봉사희생하는 넓은 아량이 있다.  

[단점]:자기 힘만 너무 믿고 거만하게 행동해서 뜻밖의 실수나 사고를 치는 수가 있다. 종횡무진(縱橫無盡)으로 재능을 발휘하나 능력의 범위를 넘어 중도에서 어그러지거나 용두사미로 끝나는 수가 종종 있다. 큰소리치고 자신을 너무 내세우는 배타성과 약한 사람의 처지를 무시하는 등 동정이나 자비 사랑이 부족하다. 물론 이와는 반대로 행동하는 사람도 있겠으나 이러한 장단점의 차이는 후천적 교양과 학식 수행의 정신력의 기품(氣稟)에 따라 다르고 얼마나 자신의 동물적 본성을 승화시켜 인간성의 고결함을 발휘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4)체질 및 건강 질병 관계∼대식가인 경우가 많아 위장 소화관계 질병이 잦고 혈압 당뇨 비만증 치질의 염려가 있다. 한꺼번에 폭음 과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음식을 절제하고 음주예방에 유의 할 것.

(5)역사적 인물유형∼유길준(1856-1914), 윤봉길(1908-1932)

(6)직업선택과 진로개척의 방향∼자산이나 물건 상품을 유통하고 보관하고 금전이나 재물을 출납하는 직업에 유능하다. 상공업적 재능이나 전문지식을 갖추고 자본이 있으면 모험적 투기나 벤처(Venture) 창업에도 성공의 확률이 높다. 산림 토지 부동산 건설 건축분야나 관광 무역 흥행업 등에 성공할 수 있다. 물질과 정신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매매중개업 고문비서직 고급경영자 총장이나 교수 학문연구직 정치가나 관리 공무원 소방관 기자 논설 비평분야도 진출한다. 기타 변화나 다양성을 추구하는 유흥업 광고 선전 대행업도 괜찮고 창고업이나 건물관리대여 전당포 금융방면이나 은행계통도 유망하다.  

(7)장래진로 및 운명의 변화∼소년기(Teen Age;13-19세)에 성장과 발달에 변화의 기복(起伏)이 들쭉날쭉 불규칙하다가 청년기(20-29세)에 어느 정도 안정되어 일정한 발전속도가 유지되나 그래도 속도와 발전의 진폭에 상당한 굴곡(屈曲)이 계속된다. 장년후기(35-39세)에 크게 발전하고 중년기(41-49세)에 실패가 좀 있으나 큰 지장(支障)이 없이 회복하여 운세가 상승한다. 만년(50-59세)에는 대체로 안정되고 사회를 위해 공익적 일을 하기도 한다. 지략과 술수에 능하기도 하고 자기 꾀에 빠져 낭패를 보기도 gs다. 시련과 궁지에 몰려도 끈질긴 집념과 처세술로 잘 헤쳐 나온다. 물질방면에 두각을 나타내나 정신적인 문제와 인간관계의 틈바구니에서 고민하기도 한다. 청년기에 일찍 출세한다고 자만하지 말고 먼 장래를 내다보아 장기적인 안목으로 인생을 설계하라. 성공과 실패가 자주 바뀌니 심사숙고하고 한꺼번에 많은 일을 벌리거나 무리하게 추진하지 말라.    

(8)토극수형 종합해석∼땅은 물을 마시고 양분을 흡수해도 잠잠하여 말이 없다. 흐르는 강물도 제방과 댐(Dam)으로 막으면 멈추고 액체도 고체 그릇에 담으면 그 모양이 정해지니 土克水와 같은 이치인 토지수(土止水)로다. 土氣가 너무 많으면 고집과 독선을 부리고 아집(我執)에 쌓여서 우둔하고 어리석고 멍청하여 시세의 흐름을 몰라 스스로 사그라지리로다. 土氣가 부족하면 외롭고 고독하여 중심을 잡지 못해 안정이 없어 하는 일마다 이루지 못하고 중도에서 나아가지 못한다. 土와 水가 혼잡하게 섞이면 선악간에 남모르는 야망과 포부를 가지고 계략을 베풀어 큰 일을 도모한다. 악하게 기울어지면 경쟁자와 상대방을 남모르게 공격하고 모략을 꾸미고 상대방에게 당하면 몇 배로 보복한다. 土水가 생부공합(生扶共合)으로 조화되면 선천적인 투지와 용기로 발군(拔群)의 실력을 발휘하여 큰일을 성사시켜 명예와 부(富)를 함께 얻는다.

  토극수형은 보통 성격의 양극단을 함께 가지고 있어 변화와 유통성이 많은 처세를 한다. 남모르는 배짱과 모험심을 갖고 있어 평소에는 잘 나타나지 않으나 극한상황이나 죽음과도 대결하는 용기백(勇氣魄)의 소유자이다. 교양과 인품으로 적선도야(積善陶冶)되지 않으면 외면적으로는 성공해도 내면적으로는 말로(末路)가 좋지 않으니 평소에 陰德을 쌓고 사랑과 봉사로 남모르게 자비를 베풀어라.  

제六편: 인체기공 잠재능력과 심령투시술의 인물 감정법

제1장: 동양철학과 음양오행의 이기론 ? What is Oriental philosophy ?
1.음과 양 : Eum and Yang
2.오행[오성] : 본질 에너지의 오대 원소 The five elements of Substance Energy
3.인생의 동반자 : Life Companion

제2장 :심신수행으로 체득되는 우주력의 영동에너지
1.심신수행으로 체득되는 생명자기 인체기공
2.인체기공 잠재능력 발굴비법
3.우주영기의 인체유입 오로라 현상

제3장:인체기공에 의한 기색 운기론
1.찰색운기 기색판단법(察色運氣 氣色判斷法)
  찰색으로 판단하는 인물감정 비법오의(秘法奧義)
♣색상에 대한 미술 과학적 지식
3원색(三原色: Three primary colors)에는 색료(色料)의 3원색과 색광(色光)의 3원색이 있다.
◈색료(色料)의 3원색∼모든 색에 대하여 서로 보색관계에 있는 빨강 파랑 노랑을 색료의 3원색이라 한다. 이것들을 섞어 보색을 만드는 과정을 감산혼합이라 한다. 보색(補色)이란 서로 다른 색을 혼합했을 때 무채색(無彩色)이 되는 두 색의 상호관계를 말한다. (예): 빨강과 청록(靑綠), 보라와 황록(黃錄). 색료의 3원색을 계속 혼합하면 검정색이 된다.
◈색광(色光)의 3원색∼빨강 녹색 청색을 색광의 3원색이라 하는 데 서로 혼합하면서 생기는 변화색을 가산혼합(加算混合)이라 한다. 색광의 3원색을 계속 혼합하면 하얀색으로 변한다.
이상에서 색료와 색광의 3원색을 연구하는 목적은 수상이나 관상을 볼 때 피감정자의 안색이나 피부 색깔을 보고 그 사람의 현재 운세가 길흉의 어디에 속하는가를 판단하기 위해서다. 무릇 만물은 색과 소리로써 자신의 고유한 정체를 미리 나타내고 암시하기 때문이다. 즉 마음의 길흉과 운세의 강약이 빛과 소리로써 나타나고 사람의 빈부귀천이 색으로써 그 상태를 미리 징조로써 이미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앞날의 예언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1).사상의학(체질)을 바탕으로 한 인물감정 찰색기법(察色氣法)

 사상의학적으로 어떤 인물의 체격이나 체질을 관찰하고 그 잠재적 능력을 측정하여, 그 사람의 성품이나 기질 심성 등을 파악하고, 그 인물의 장래 운명이나 직업선택의 진로를 모색하고 여러 가지 인생과업 달성의 진로지도를 하기 위하여 피상적(皮相的)인 얼굴모양이나 신체상태를 보아서는 확실한 판단을 할 수 없다. 그 사람이 현재 처하고 있는 현실조건의 정확한 진단과 감정을 통하여, 미래상태의 운명의 변화를 예언하기 위하여, 얼굴모양이나 오관(五官:The five sense organ of body)의 구성배치와 상·하체 체격이나 체질 근육피부 상태의 모양이나 색깔을 살피는 자세한 관찰과 검토가 필요하며, 그 사람이 겪어온 인생여정의 과거 현재 미래의 변화상과 불변상의 심상을 영적으로 관통 투시해야 확실한 처방과 해결책을 낼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꼭 필요한 것이 그 사람의 몸 전체 특히 얼굴부위에서 풍겨져 나오는 기색을 살피고 은은하게 비치거나 뿜어져 나오는 피부살갗의 색상을 세밀히 관찰하여 인체기공영단심상(人體氣功靈丹心相)의 이미지(Image)의 형상(形象)으로 분석하여 가상현실(假想現實:Virtual Reality)적으로 예언하는 데 이것을 '인물감정의 찰색기법'이라 한다.
   피부근육의 찰색이나 얼굴의 기색을 살피는 데 우선 빛으로 반사되는 색상(色相)을 분석하여, 그 색이 가지고 있는 생체기공학상(生體氣功學上)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여, 인물의 잠재적 가능성을 짐작하고 현재상태를 판단하여 미래변화의 예상되는 심상(心相:Mind symbol image)의 미래상을 탐구 추론 예언 진단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감정가는 빛이나 색상에 관한 기본적 상식이나 물리적 현상에 대한 과학적 소견이 있어야 예측 예언 판단의 적중률을 높이고 더욱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
  빛의 본질이 "알갱이냐?" "입자냐?"하는 문제는 고전물리학에서부터 끊임없는 논쟁을 하여 왔다. 현대 물리학에서는 빛이 입자적(粒子的) 성질과 파동현상의 이중성을 동시에 가진다는 해석에 대체로 일치되고 있다. 빛을 입자로 볼 때는 광자(photon),로 불리며 파동(波動:wave)으로 인식될 때는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로 부른다. 그래서 빛도 소리의 전달현상처럼 파동적 현상으로 설명해도 문제가 없다고 보겠다.
★☆ ■ 사상의학(四象醫學)--조선시대 말기, 이제마(李濟馬:1838∼1900)가 주장한 한의학의 한 학설로 종래의 전통적인 한의학의 진단과 처방인 같은 병증엔 같은 처방이라는 진료방법에서 한 단계 진전하여 사람의 체질에 따라 ①태양인 ②태음인 ③소양인 ④소음인으로 분류하여 같은 병이라도 체질에 따라 다른 처방의 약재와 치료를 해야한다는 한의학의 학설을 말한다.       
(2)빛의 파장 종류와 색삼원(色三元)에 관한 도표                      
  모든 파동은[그림1]처럼 파장(波長)이 정의된다. 파장은 파동의 성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데 예를 들어 음파의 경우는 파장이 짧으면 짧을수록 음의 높이는 높아지고 반대로 파장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음의 높이는 낮아진다. 파장(波長)은 또 진폭(振幅)과 관계가 있는 데 진폭이 넓으면(높으면) 센음(강한 음)이고, 좁으면(낮으면) 여린음(약한 음)이 된다. 파장은 또한 진동수와 관계가 있어 일정한 시간에 진동수가 많으면 높은 음(파장)이 되고, 진동수가 적으면 낮은 음(파장) 된다. 빛도 음파처럼 파동으로 이해하면 마찬가지로 파장에 따라 나누어 빛의 종류와 진동현상을 생각할 수 있다. 빛의 파장이 짧은 것에서부터 긴 것 순서로 나열하면 [그림2]에서와 같이
γ선 Χ선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마이크로웨이브 전파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현대 물리학에서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즉 진동수가 많을수록 높은 에너지를 갖게된다. 그래서 파장이 짧은 γ선 Χ선 등은 강력한 투과력을 갖게된다.
  기공수련에서도 수행의 단계가 높아지면 靈丹心相의 인체자기 생체에너지의 生命磁氣 AURA 光輪도 하단전에서 상단전으로 올라가면서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색의 MIND SCREEN 心相氣色의 IMAGE SYMBOL VISION이 念射噴出되는 데 파장이 가장 짧은 보라색이 상단전에 위치하면서 가장 강력한 빛의 에너지를 발산시키는 최고로 단련된 고급화(고도로 정화된)된 靈丹氣色이다. 고전 물리학에서는 음파(音波)와 광파(光波)가 서로 다른 매질(媒質)의 전달체로 이해됐지만 현대에 와서는 음파와 광파가 서로 공통점이 있다는 점이 인식되고 있다. 우리 몸에 감각으로 수용되는 음파의 청각자극과 광파의 시각자극이 서로 다른 감각기관으로 반응되지만 결국 두뇌의 신경회로에서는 같은 생체자기 반응[腦下垂體 HORMONE의 인식작용]을 일으켜 동일한 생리심리정신작용(뇌파의 작동현상)을 일으키는 현상을 볼 때 음파와 광파 에너지는 궁극적으로 같은 동질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증명된다.    
  빛에는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해로운 빛과 신체에 무해한 빛이 있다. 병원에서 환자의 신체촬영에 쓰이는Χ선
γ선 등은 방사선의 일종이고 눈에 보이는 可視光線은 시각의 매체가 된다. 그리고 모든 운명판단예언이나 인물감정의 인상법 진단에는 빛이나 색에 대한, 삼원색법과 오색법 칠색법등의 과학적 물리적 기본지식의, 상식의 기본을 바탕으로 사람을 판단하고 단순한 물리화학적인 관찰 위에 더욱, 人體氣功 靈動심리정신적으로 해석해서, 고차원적인 人間心靈을 이해하는 경지에서 각 사람의 운명의 변화진로를 예측하고 안내하며 지도 교육하여 올바른 길로 이끌어야 한다.
(3)안면찰색(顔面察色) 기색론(氣色論)  
  
얼굴이나 피부 살결의 색깔을 살펴보고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기색의 운기(運氣)를 측정하여 장래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미리 점지(點指)하여 凶한 일을 吉한 일로 변동시키거나, 화(禍)를 바꾸어 복(福)으로 변화시켜, 사전(事前)에 불행을 막고 액운(厄運)을 피해서 행운으로 이끌도록 처방하는 운명개조의 고차원적 판단감정의 목적으로 안면찰색 기색론이 활용된다.
  PHANTASM PANORAMA OF MIND SCREEN의 心靈透視術에 나타나는 三四圓의 靈像眞理에서 모든 만물은 天地人을 상징하는 원형과 사각형과 삼각형의 영상진리가 상호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체를 나타내고 있다. 사물의 본바탕에서 근본 영상의 IMAGE SYMBOL VISION을 도출(導出)하여 一意之貫 靈動念射 透視之力으로 인물을 감정하면 존재하는 有相의 形相과 理念 속에 존재하는 無形의 象徵相을 상생 상극으로 음양재합하면 그 본체의 實相을 透視貫通하여 진정한 참 모습을 假想現實적으로 적중시킬 수가 있다.
☞ 인물감정 적중 예언법=기본오행얼굴형+상생상극형 10가지형+물형론+복합형 결합유무판단+전통적 관상법+심상론⇒삼사원의 영상진리
얼굴 顔面은 밖으로 형체가 나타났으니 인물투시형을 이용한 陽動形體요 정신심령은 안으로 잠재돼 있어 형체가 보이지 않으니 陰靜象徵에 해당한다.
 
THE PHILOSOPHY OF COLOR IMAGE(色相哲學)
Blue : The color of water and sky which represents human spirit in Mind and Spirit.
Yellow : The color of soil symbolizing the human Body, Muscle, Skin and Bone.
The symbol of Red color : Red color is the symbol of blood of Heart and the Image of passion, fire of     Love, Idea and Thought.   
 --자료참조: 2000년 시사영어 잡지 1월호 Domestic News에서 발췌 인용첨가
2.삼원 오색 칠색 운기판단법

 

 

 

 

 

 

 

 

 

 

 

 

 

(1)삼원색법(三原色法)
  모든 빛깔이나 색상을 재현(再現)할 수 있는 기본적인 세 가지 원천적인 우주만상의 근원색(根源色)으로 색삼원과 빛삼원으로 구별된다.
 ◎그림 물감 색깔의 삼원색--빨강[赤] 파랑[靑] 노랑[黃]으로 서로 배합하면 모든 색을 만들 수 있다.  
 빨간색은 氣血이 감도는 육신을 상징하고 파랑색은 정신 의 변화와 희망의 심령을 나타내고 노랑색은 피부와 몸체를 상징하니 감정할 시는 심령변화 연상법을 동원하여 감정한다.  
 ◎빛의 삼원색--빨강 파랑 녹색[綠]으로 태양의 가시광선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색이다.
빨강은 태양의 광명 빛을 상징하고 파랑은 우주 창공(蒼空)의 검푸르고 울울(鬱鬱)한 우주심령을 나타내고 녹색은 천지만물의 생명의 푸름을 상징하는 강이나 바다의 색깔이 변동하는 변화상을 말한다.

(2)오색법(五色法)
 천지에 가장 뚜렷한 5가지 오행색깔로 빨강[赤] 파랑[靑] 노랑[黃] 하양[白] 검정[黑]으로 동양철학에서 오행사상과 가장 중요한 색상의 기본으로 분류한다.
(3)칠색법(七色法)
  무지개의 가시광선(可視光線)에서 나타나는 7색을 본체로 비유한 빨강[赤] 주황[朱黃] 노랑[黃] 초록[綠] 파랑[靑] 남색[藍] 보라색이다.
※남색은--파랑과 보라의 중간색으로 남빛 쪽빛으로 부른다. 변화할 징조를 갖춘 내면적 암색(暗色)이다.
  보라는--빨강과 파랑을 혼합한 중간색으로 단법(丹法)이나 기공(氣孔)수련에서 상당히 높은 정신적 차원을 나타내는 색깔이다.
※紅潤色--피부[살결]에 화색(和色;花色)이 돌고 불그스름한 윤기(潤氣)가 나면 홍윤색으로 본다. 홍윤색은 흉조(凶兆)에서 길조(吉兆)로 변하는 화색(和色)의 일종으로 얼굴이나 피부 몸체에 피어오르면 좋은 일이 생길 징조로 본다.
프리즘에 의한 빛의 분산(分散)과 집광(集光)
백색광의 빛의 스펙트럼을 프리즘을 통하여 투과시켜보면 7개의 구분이 나타나고 아래 그림에서는 분산된 단색광을 다시 프리즘에 집광시켜 2차 통과한 것이다.

3.오운 육기 우주영기 판단법


 

 

 

 

 

 

 

 

 

 

 

 

 

 

 

 

 

 

 

 

 

 사람의 얼굴이나 몸체에서 풍기는 기색의 진동파장과 천지운기와 교감하는 광윤상태가 피부에 현현(顯現)하는 미묘한 기운을 살펴서 그 사람의 운기의 길흉화복을 판단하는 법을 찰색 운기 기색판단법이라 한다. 찰색 운기 기색판단법을 줄여서 찰색법 혹은 기색법이라 한다. 찰색법에는 삼색법 오색법 칠색법 오운육기법 우주영기판단법 등이 있다.   얼굴의 기색을 다른 신체 피부색과 종합적으로 상호대조하여 찰색을 감정하며 피감정자의 현재상태 빈부귀천(貧富貴賤)과 학력이나 사회경력 등이 '어느 정도인가?' 한 번 암시 상상해본 후 상대방의 정신적 육체적인 능력의 정도를 가늠해본다. 이 때 직업이나 특기 기질 성격 등도 예단적(豫斷的)으로 판단해본다.
 얼굴색을 한번 슬쩍 일별(一瞥)한 후 피감정자의 手背나 手掌의 색깔 선명도를 면밀히 관찰하고 수선(手線:손금)의 長短厚薄(長短厚薄)을 참조하고 선 색깔의 광륜도(光潤度)등을 관건으로 삼아 판단한 후 몸체와 사지백체의 피부 기색과 종합적으로 살펴본 후 상대방을 감정한다. 색깔의 광륜도에는 삼원색법 오색법 칠색법 등을 적용하여 판단한다. 사람의 피부색에 빨간색이라고 비유하여 말한 것은 색상기색을 상징적으로 말한 것이니 실지로 감정할 때는 빨간색을 심상에 떠올리되 말 그대로 빨간색은 없으므로 홍윤색(紅潤色)이 은은(隱隱)하게 비치면 빨간색으로 간주(看做)하여 판단한다.

제4장:심령투시술에 의한 인상판단의 심상투시 인물감정법 

 

 

 

 

 

 

 

 

 

 

 

 

 

 

 

 

 

 

 

 

 

 

 

 

 

 

 

 

 

 

 

 우주의 파동과 음악과 생체기공리듬(The psychic Bio-rhythm of the bionics)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密多心經:pannaparamita)은 흔히 우주 일체 만물의 실상(實相:The real aspect of the every existence in the Universe) 을 남김없이 비쳐보는 지혜를 상징하는 경전으로 거론대어, 생사해탈의 고해바다를 건너 열반(涅槃: Nirvana, the supreme level of enlightment wisdom, Heaven of God)에 이르는, 마음 닦는 수심결(修心訣)의 신비오묘(神秘奧妙)한 경전이라고 알려져 있다. 팔만대장경의 핵심진수로 가장 간결하게 요약된 262자로 구성된, 우주 시공율려(時空律呂:The harmonious sound wave of time and space of the Cosmos)를 꿰뚫는 지혜의 경전으로, 종교적인 의미를 초월하여 우주 대자연의 신비한 섭리(攝理:The divine Providence)를 말하고 있다. 반야(바라밀다)심경의 핵심요체는 『색즉시공(色卽是空) 공즉시색(空卽是色)이라는 한마디로 압축되는데 이 말은 우주의 진리의 존재양식을 설파한 말이다. 현대적인 용어로 해석하면 만물은 입자요 에너지이고, 입자와 파동은 만물의 근원이라는 우주삼라만상 대자연의 진리를 달관하는 심학(心學)과 과학이 우주시공에서 서로 만나 상호일치 한다는 우주인식관을 말하고 있다. 물론 우주 속의 인간 존재인  인체내부에 순환하는 생체기공리듬(The psychic Bio-rhythm)의 진상(眞相: The real symbol image)도 포함되는 것이다.
  막스 프랑크(Max Pnanck:1858-1947)의 광량자설이나 프랑크(J,Franck:1882-)의 흑체복사(黑體輻射)이론이나 닐스 보어의 소립자 및 양자이론과 파이만의 진공도식도 뉴톤의 만유인력의 법칙이나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호이겐스의 빛의 파동원리, 하이젠베르그의 입자와 파동에 의한 불학정설의 원리 등 모든 과학적 관찰현상도 모두가 반야심경의 사유 속에포함된다. 몇 천년전의 선각자들이 순수한 관념적 사유와 초월적 명상에 의해 삼라만상의 진리를 체험적으로 깨달은 내용이 현대적 과학이나 학문적인 결과와 하나도 상충되지 않는다. 즉 파동과 입자에 의한 우주적 현상이 우주와 자연 인간의 모든 존재를 총괄하는 기본개념으로 진리를 탐구하고 파악하는 최고의 방법이 되는 것이다.
  음악 역시 인간 문명과 문화의 한 분야인 이상 이 진리인식의 체계를 벗어날 수 없다. 음악의 율동적 파동이 모태에 있는 태아의 지능지수를 높이고 동식물의 성장에 영향을 끼친다는 실험결과는 어쩌면 우주의 파동과 기공(氣空: The psychic spirit of ether)에너지가 깊이 연관된 각성(覺性:The realization of wisdom)현상을 현대의 정신심리 생체이론이나 과학적 설명으로 풀이한 것이다.
  항상 경쾌한 음조로 우리의 흥이나 신명을 돋구는 바로크 음악의 기본적 빠르기는 분당 144정도의 율려박동이다. 인간의 생체리듬에 조화되는 맥박의 횟수는 그 반인 72회 정도이고 체온은 이의 절반수치인 36도 가량이다. 호흡은 또 이것의 반인 분당 18회의 율려(Sound rhythm harmony)의 리듬을 유지하고 있다. 체온과 맥박과 호흡은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와 파동현상의 생체 유기기공(有機氣功)작동의 결합체인 것이다. 이와 같이 생체의 근본적인 바이오리듬과 음악의 리듬이 깊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은 우연이 아니고 우주론적 입자와 에너지의 파동현상이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이미 몇 천년전의 선각자들은 마음과 몸에 접촉되는 감각의 느낌으로 파악했던 것이다. 그것을 말하는 것이 반야심경의 참된 경지인 것이다. 음악을 통해 파동과 에너지의 아름다움과 생명감의 의욕을 느끼고 인생의 지혜를 관조하고 우주자아에 대한 참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음악적인 감각과 활동을 통해 생활의 활력소를 증대시키고 새로운 감각세계에 나의 마음이 활짝 열림으로서 창조적인 세계를 개척할 수 있는 것이다. 음악 속에는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카타르시스(catharsis)를 얻을 수 있고 인생을 관조하고 대우주 삼라만상의 초월적 시공세계로 통하는 지혜의 문이 인체신비의 기공도법(氣功道法)으로 열려있다.

이상 참조 문헌: 1996년 1월 22일자 국제신문 <가람화요음악회대표:허효길>의 칼럼『파동과 음악 그리고 우주』에서 발췌 인용한 부분이 있음

1.인상법에 의한 인물감정학의 학문적 계통
2.심상판단 영상판독(靈相判讀) 심령투시술(心靈透視術)의 인물감정
 
※인생운명 진로변화의 연령구분 시기판정
3.운명철학 인물감정 5대 감정분야의 구조대응비(構造對應比)
4.인체기공력의 잠재능력개발과 심령투시 미래돌파  

 

 

 

 

 

 

 

 

 

 

 

 

 

 

 

 

 

 

 

 

 

 

 

 

 

 

(1)인상법(人相法)과 인물감정학(人物鑑定學)의 학문적 통일성의 해석판단
  ♣인체영동수리철학--인물감정 심상판단 심령투시술--운명철학 영통비서♣
제5장:창조적 인생개척과 운명개조론
 
◎ 지능지수(IQ)와 직업적성의 판정 분류도

   b1:관상법과 인물감정 심령투시 →b2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