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3:사주감정과 운명철학의 예언투시
현대적 사주감정과 운명철학의 예언투시(Modern estimation of the horoscopic
data in the year, month, day, hour of birth and Prophecy
of clairvoyance in fateful philosophy)
4.사주의 천변지이(天變地異)와 천지조화 운세의 허(虛)와 실(實)(구성운 증보판 인용 344페지)
사주학(The horoscopic of four pillars and eight characters fate studying method)은 동양철학의 오묘불가사의한 眞髓를 다루는 운명술인 추명학을 말하는 데 과학적으로 증명하기 힘든 천문학이나 점성술을 가미한 운명철학을 집대성한 千古秘傳의 학문이다. 그러나 사주학은 과학적인 신빙성이 없다고 배척받는 경향이 많아 미신으로 취급하는 사람도 많아 이것을 믿고 연구하는 사람은 현대에 와서는 드물다. 또 사주풀이의 난해성으로 일반사람들은 이해하기 힘들다. 그래서 현실적으로 실용화되기 힘든 면이 있고 철학의 문외한이나 무식한 사람들은 아예 무시하거나 믿지 않는다. 그러나 엄연히 인간의 힘으로 해결하기 힘든 생사화복의 운명이 존재하는 것은 부정하기 힘들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사주를 보기도 하고 그 오묘한 적중률에 탄복하여 신빙하고 아주 어려운 힘든 문제나 개인의 해결범위를 벗어나는 대사를 앞두고 사주전문가에게 상담을 받기도 한다. 말하자면 완전히 부정하지 못하고 절대적으로 신빙하지도 못하는 학문이라 불확실한 면이 있기도 하지만 참조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그래서 사주학은 몇천년의 역사가 흘러가는 동안에도 아직도 정식학문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유사학문으로 취급받아 일부의 愛知철학자나 糊口之策을 위한 운명철학이나 점술의 형태로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사주의 허점은 한날 한시에 태어난 수많은 사람들이 각기 다른 운명의 변화를 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같은 시점에 태어난 쌍둥이라도 관상이나 수상의 형태와 문양이 서로 달라 운명의 변천과정이 다르게 풀려나간다는 것이 증명하고 설사 비슷해도 한평생을 살다보면 전혀 다른 운명의 굴곡 변화선을 그려간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주학이 완전히 근거가 없는 것이 아니므로 어느 정도는 참작할 부분이 많다. 사람의 운세를 예측하고 운명을 개척하는 예언학 중에서 아직까지 사주를 능가하는 학문이 성립되지 않아 불완전하지만 사주로써 운명학을 연구하는 데는 상당한 신빙성이 있다. 즉 한 사람이 태어난 시점의 천변지이의 천문현상과 지리적 풍토나 태어난 지역의 환경적 영향을 받으며 가문이나 부모의 혈연관계나 일가친척의 유전적 요소가 이미 태어나기 전부터 결정되어 있어 선천적인 결정은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정해지기 때문에 천지조화의 운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한 인간의 출생은 불변의 선천적인 요소와 가변의 후천적인 요소가 복합적으로 운명의 생성소멸의 변화법칙에 좌우되므로 이것을 사주의 운명변화에 대한 虛像과 實相이 되어 나중에 길흉화복의 운수에 알게 모르게 작용하는 것이다.
사주감정을 하려면 사주학에 해박한 지식이 있고 또 많은 사람을 감정한 경험이 많은 사람에게 자문을 받거나 상담을 해야 한다.
★☆사주운명학(四柱運命學)이란 무엇인가?
사주운명학이란 "人生이 타고난 四柱八字 속의 숨겨진 의미를 살피고 인생의 연륜을 보내는 동안 개개인의 삶을 스치고 지나가는 시간과 공간의 인과성을 살피고 삶을 향하여 다가오는 시공의 변화조건 미리 예측(豫測)하여 인생의 길흉화복(吉凶禍福)과 흥망성쇠를 살피는 학문"이라 정의할 수 있다. 사주팔자(四柱八字)란 사람이 태어난 生年, 生月, 生日, 生時를 서양(西洋)의 기록법인 숫자 대신 동양(東洋)의 특별한 부호(符號)인 육십갑자법(六十甲子法)을 사용하여 년, 월, 일, 시 네 기둥 여덟 자로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한 기둥(柱)마다 간지(干支) 두 개씩 모두 여덟 자(八字)로 되어있어 사주팔자(四柱八字)라 하며, 이는 자신의 출생(出生)과 더불어 오직 자신만이 지닌 고유한 운명의 코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사주팔자를 명(命)이라 한다.
동양사상(東洋思想)의 핵심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음양오행(陰陽五行)에 의한 易사상이라 할 수 있다.
사주팔자로 표현된 干支는 대자연의 삼라만상(森羅萬象)과 변화현상(變化現狀)을 함축해놓은 음양오행(陰陽五行)의 부호이며 암호이다. 인간의 출생은 음양오행(陰陽五行)의 부호인 이 육십갑자(六十甲子)로 기록할 수 있다. 2007년은 정해(丁亥)년 등으로 표현되는 것이 곧 그것이다. 그러므로 사주팔자(四柱八字)에는 이미 타고난 천성(天性)과 개성(個性), 적성(適性)과 능력(能力) 등이 나타나 있으며 인생의 흥망성쇠(興亡盛衰), 길흉화복(吉凶禍福), 체질(體質)과 오장육부(五臟六腑)의 허실(虛實), 질병(疾病) 상태 등의 현재상태를 조사하여 미래의 변화성을 충분히 예측할 수 있다. 인간의 四柱는 출생과 동시 인생의 성장(成長)과 세월의 흐름 속에 수 많은 時間과 空間이 교차되면서 또 다른 운명(運命)이란 이름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스쳐 지나간다.
시간! 그 시간이 곧 운이다. 시간은 과연 미래로부터 흘러와서 현재를 거쳐 과거로 흘러가는 것인가? 아니면 과거로부터 흘러와서 현재를 거쳐 미래로 향하는 것인가? 많은 사람들이 이 시간의 흐름을 두고 의문을 갖는다. 흔히 우리는 '세월은 유수(流水)같다'는 말을 자주 사용한다. 물론 세월이 ‘유수같다’는 의미는 시간이 ‘빨리 간다’는 뜻과 지나간 시간을 되돌릴 수 없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세월이 유수와 같다면 시간은 미래로부터 과거로 흘러가야 한다. 물은 위에서 아래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간은 유수처럼 흘러가는 것만은 아니다. 시간이 유수와 같다면 미래로부터 흘러와서 현재를 거쳐 과거로 흘러가는 것이 맞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 인생은 태어나서 하루하루 오늘을 살다가 내일을 향하여 꾸준히 시공의 돛배를 타고 미래의 우주시공으로 항해한다. 즉 과거에서 현재를 거쳐 미래로 향하는 것이다. 인류의 역사란 과거로부터 미래로 진행되고 기록되는 것이지 결코 미래로부터 과거로 진행되거나 기록될 수 없기 때문이다.
시간을 곧 운이라 한다. 인생의 삶을 스치고 지나가는 시간을 과거라 하고, 인생의 삶을 향하여 다가오는 시간을 미래라 한다. 사람을 스쳐 지나간 시간을 과거의 운을 하늘로부터 받은 命이라 하고, 사람을 향해 다가오는 미래의 시간을 運이라 한다. 미래 시간이 현재를 매개로 과거로 연결된 것을 운명이라 칭한다.
시간은 사람을 향해 다가오고, 사람은 시간을 향해 나아간다.
시간은 사람의 命息 숨결로 들어오고, 사람은 시간의 파도를 타고 우주시공으로 날아간다.
시간은 미래에서 과거로 흘러가는 것이요, 인간은 과거에서 미래로 흘러가는 것이다. 혈맥은 시간과 순행하여 흐르고 경락은 시간과 역행하여 흐른다. 그런고로 사람이 나이를 먹으면 혈맥은 3차원으로 생노병사의 굴레를 회전하고 정신의 핵심인 魂魄靈體는 시간을 역행하여 뚫고 들어오나 늙지 않는 것이다.
사주운명학은 곧 시간을 살피는 학문이다. 시간이 인간의 생명력의 추이변화 현상과 어떻한 관계의 상호작용를 하느냐를 운명학적인 사고방법으로 원인결과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삶의 방향과 가치를 해석하는 것이다. 인간을 스치고 지나간 과거의 시간과 인간을 향해 다가오는 미래의 시간을 살피는 학문인 것이다.
시간은 곧 때이다.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때를 아는 것이다. 그러기에『대학(大學)』에 이르기를 "물유본말(物有本末)하고 사유종시(事有終始)하니 지소선후(知所先後)면 즉근도의(則近道矣)니라."하였으니 "모든 사물에는 근본과 말단이 있고, 일에는 끝과 시작이 있으니, 먼저 하고 나중 할 바를 알면 곧 도에 가깝다."하였던 것이다.
『성경(聖經)』은 또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천하에 범사가 기한이 있고 모든 목적이 이룰 때가 있나니, 날 때가 있고 죽을 때가 있으며, 심을 때가 있고 심은 것을 뽑을 때가 있으며, 죽일 때가 있고 치료시킬 때가 있으며, 헐 때가 있고 세울 때가 있으며, 울 때가 있고 웃을 때가 있으며, 슬퍼할 때가 있고 춤출 때가 있으며, 돌을 던져 버릴 때가 있고 돌을 거둘 때가 있으며, 안을 때가 있고 안는 일을 멀리 할 때가 있으며, 찾을 때가 있고 잃을 때가 있으며, 지킬 때가 있고 버릴 때가 있으며, 찢을 때가 있고 꿰맬 때가 있으며, 잠잠할 때가 있고 말할 때가 있으며, 사랑할 때가 있고 미워할 때가 있으며, 전쟁할 때가 있고 평화할 때가 있느니라."[전3:1~9]
명식(命息)이 태어나고 명식이 세월을 살다가 혼백으로 화하여 天命에 귀일하면 목숨이 다하면 왔던 곳으로 돌아간다. 我相이 태어나고 我相이 변화상과 불변상의 세월을 살다가 歸一心靈하여 우주로 돌아가니 죽는 것이다. 그러기에 命息은 곧 나의 魂魄靈體가 합일된 肉身이 脫殼한 虛靈心相인 것이다. 그러나 내가 세상에 태어난 것은 나의 의지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또한 내가 죽는 것도 나의 의지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누구든 生死如一하여 죽음에는 빈부귀천이 없다. 생사는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불가사의한 그림자가 살고 죽는 生死與奪權을 쥐고 있다.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삶과 죽음이 결정되어 있는 것이다. 그저 우리는 하늘의 뜻인 천명(天命)에 의해 세상에 인명(人命)으로 왔다가 하늘의 뜻에 의해 내 명이 세상을 떠나는 것이다.
그러기에 人命은 재천(在天)인 것이다. 人命이 天命의 법칙에 적응하다 보면 天命의 법칙에 순응하는 것이 가장 安心立命의 삶이란 것을 깨닫게 된다. 사생유명(死生有命)이요 부귀재천(富貴在天)이니라."라 하였으니 인간의 생과 사는 명(命)에 있고, 빈부와 귀천은 하늘에 달려 있다."는 뜻이 아니던가!
제1장:사주 추명학(四柱 推命學)의 구성원리와 의의(意義:Meaning)
사주학이라 함은 한 개인이 태어난 생년월일시의 年 月 日 時 즉, 네개의
시간적인 시점을 우주의 4차원적인 시공상의 시각점에 대응하여 사람 한 평생 인생의 시간적
공간적 진행방향의 삶에 대해서 발생하는 길흉화복을 사주학의 구성 원리와
의의에 따라 미리 검토하고 예측하여
取吉避凶의 方策을 구하는 동양철학적인 원리와 경험통계에 입각한 운명감정술이다.
사주의 시간적인 해석의 네가지 기둥을 가지고
각 개인이 타고난 운명의 특성을 풀이하여 앞날의 길흉화복을 예측하는것을 사주감정이라
한다. 한 개인이 현실에 처한 물리적 공간적 환경이나 시대적 사회의 변화현상을 인식하고
그에 합당한 인생진로를 탐구모색하는 과정에서, 운명적인 요소의 특별한 의미 검토하여 자기에게 닥치는 생존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 사주운명에 나타나는 길흉화복의 개인적 神殺의
암시적인 특성을 현실생활의 제반상황과 조화롭게 융화시키는 창의적 지혜를 구하는
방법으로 사주감정의 풀이를 하는 것이다. 즉 천지간의 운기을 살피고 그 기운이 현재로서 본인에게 갖는 의미를 주의깊게
심사숙고하여 정확하게 해석하고 예언하는 운명감정의 방술(方術:Maneuver)이 사주학이다.
사주에
나타나는 예언적 암시나 顯現하는 징조(徵兆:Omen)를 너무 맹신하거나 또한 사주학이 과학적인 근거가 희박한
미신이라고 무시하는 것은 진정한 사주탐구의 연구태도가 아니다. 사주감정을 의뢰할
때 자기 자신의 심각한 인생문제를 궁금하다는 가벼운 마음으로 한번 심심풀이로 풀어본다든지,
한갖 호기심으로 문의하는 것은 말장난으로 끝나는 것이며,
어렵고 힘들다고 요행을 바라는 미신적 방편으로 사주풀이를 하는 것은 참다운 인생구도의
자세가 아니다. 사주풀이는 사주감정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길흉의 암시적 의미를
한 개인의 현실에 대입하고 그 상징적 의미를 해석하는 길흉의 가능성을 실제와
비교하여
살펴서, 상담의뢰자가 행복한 삶을 이끄는 변화의 機微를 알려주고, 또 불행의 암시가 발견되는
액운에 대해서 그 흉살을 피하는 방책을 제시하여, 진정한 자기인생의 참다운 사명감을
깨닫고 숭고한 인생의 목적인 이상향으로 향도하는 안내자의 역할을 제시하고 지도하는
데 참다운 사주감정의 목적이 있습니다.
사람에게 우연히 혹은 필연적으로 닥치는 행복과 불행의 암시적 변화징조에서 뜻하지
않은 돌발상황의 위험을 회피하고 자기 인생에서 잘못된 부분을 고쳐 앞으로 인생이
행운의 길로 나아가는 방향성을 살펴 보는 것이 사주풀이의 목적이다. 여기에서 현재의 상황과 입장등이 고려하여
取吉避凶의 方策을 탐구하여 인생의 목적에 도달하는
방법과 처세방향을 확실히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자신의 길함과 흉함의 암시적
의미를 알았다 하여서 이를 자만하거나 한탄하는 것은 올바른 삶의 태도가 아니라 그것을 계기로
적극적으로 인생을 개척하고 좋은 결실을 낳을 수 있도록 탐구하는 자세로 인생을
살아갈 때 진정한 사주풀이의 목적이라 할수 있다.
☞사주 감정으로 개인 운명의 길흉화복을 예언할 때 주의할 점
①사주
추명학은 천문학의 天變地異 자연현상을 바탕으로한 점성술이므로 어디까지나 수학이나
과학기술처럼 정답이 바로 나오는 원인결과의 필연적 관계가 아닌 암시적 가능성과
통계적 확률을 다루는 학문인 경험과학이므로 절대적으로 맹신하거나 맹목적으로
무시해서도 안된다.
②사주상의 해석에 나오는 吉凶神殺의 星運적 의미는 상호연관적인
음양오행의 상생상극적 순환고리가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운명감정가가 고객의
상담에 임상할 때 좋은 별과 나쁜 별의 의미가 상호 모순적으로 혼재되어 있어, 학술원리대로
풀이하면 피감정가가 해설을 이해하기 곤란하여 알아듣기 힘든 요소가 많아 감정가는
길흉화복의 의미를 취사선택해서 오해를 불러 일으키는 설명을 삼가야 한다.
③사주원리대로
설명하면 같은 시간에 태어난 사람의 운명은 같거나 비슷한 인생행로가 되어야 하는
데 실제로 그렇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사주감정을 할 때 정신적 理論상으로
같지만 실제의 인물에서는 체격과 氣質 성격 유전인자 세포구조에서는 사람마다 다르므로 육체적인 의미를 고려하여
다른 운명학 方術인 관상이나 수상 성명등을 참조하여 실제로 한 개인이 구유한 특성을
심도 깊게 관찰하여 예언해야 적중률을 높일 수 있다.
④고전적
전통적 철학적 의미에만 매달려서 억지로 해석하지 말고 한 개인이 자라난 구체적
조건인 가정환경 사회 주변 현상을 고려하고 고대에 발생한 동양철학의 고대 학술이
현대의 지식정보화 기계문명시대에도 알맞게 적용되는지 심사숙고하여 시대적 상황도
참조해야 한다.
⑤개인 운명의 길흉화복을 다루는 분야는 비단
운명철학 뿐 아니라 각종 종교 사상 철학 무속현상 의약학 수행론 등 거의 모든 사물이
이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사주감정을 할 때는 그야말로 신중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한 인생의 앞날을 선도한다는 善意의 심정으로 상담하고 감정가나 피감정자가
일시적 호기심이나 심심풀이의 가벼운 자세로 경망스럽게 해석해서는 안된다.
사주학이 동양철학의 위대한 정신문화유산으로써
인생운명학의 大宗을 이루지만 어디까지나 인문과학적인 철학이나 사회 문화적인 도덕율이나 인생처세술을 바탕으로하고 또 인간의 사유적인 신비를 다루는 천문학과 점성술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수학이나 자연과학적인 결과처럼 정확하게 인생운명을 예측할 수는
없다. 다만 오랫동안 연구하고 운명감정에 경험이 많은 사람은 사람운명의 현실적
외면적 조건을 감안(堪案)하여 보이지 않는 내면적 신비적 미래요소를 어느 정도까지는 예언하여
길흉화복을 진단할 수 있는 가능성은 얼마든지 열려있다. 또 사람의 미래는 불확실하기
때문에 미리 알아서 대처하면 불행을 피하고 행복을 추구하는 데 사주학이 좋은 탐구자료로
활용되고 흥미있는 분야이다. 운명학이나 인생관에 대해서는 모든 사람은
각자의 신분과 생활환경의 처지에 따라 각인 각색의 신조와 의견을 가지고 있다.
사람은 전지전능한 신이 아니기 때문에 자기의 평소 생각의 의식구조나 교육문화
수준의 개인적인 생활조건 혹은 신봉하는 믿음이나 종교적 사상관에 따라 온갖 다양한
의견을 가질 수 있지만 자기 힘으로 어쩔 수 없는 한계가[죽음, 불의의 사고, 질병,
인간의 만남과 이별의 인연법 등] 있으니 그것이 바로 절대적 창조주나 조물주의
지배권한에 속하는 운명(Destiny)이나 숙명(Fate)이다. 운명론자처럼 운명의 존재나 사주학의 감정결과를 너무
믿어서 맹신하거나 또한 과학이 아닌 미신이라고 무시하는 것은 운명학과 인간개조학의 진정한
의미를 모르는 무지의 소치(所致)로써 경계해야한다.
사주를 연구하려면 우선 만세력을 서점에서 구입하여 사주 기둥을
세우는 연습을 하고 자기의 사주와 가족과 일가친척 등 과거와 현재를 잘 석하여 풀이하는 연습을 쌓은 후 知人名士나 참고서적에 나오는
실명인을 자기 풀이 式으로 대조하면서 꾸준히 연구탐색하면 아마추어(Amateur)에서 점점 전문가 프로(Professional)
감정인이 되어 간다.
1.四柱의 시간적 존재양상의 네 기둥 구성내용과 해석구조
(1)시주 연월일시의 평생운수 진로와 육신의 사상과 사주 감정 기본원리
|
日柱 |
月柱 |
年柱 | ||||
實 (실) |
花 (화) |
苗 (묘) |
根 (근) | ||||
民 (민) |
君 (군) |
都 (도) |
國 (국) | ||||
子息, 자손 |
본인 主體 活動 |
성장발달 學業 |
先祖 | ||||
61세⇒80세 이후 |
41세⇒60세 까지 |
21세⇒40세 까지 |
출생⇒20세 까지 | ||||
|
辛 |
|
甲 |
|
丙 |
|
己 |
丁 |
未 |
壬 |
子 |
戊 |
寅 |
戊 |
亥 |
辛→未: 偏印 (편인) |
甲→子: 正印 (인수) |
丙→寅: 偏印 (편인) |
己→亥: 正財 (정재) | ||||
78 68 |
58 48 |
38 28 |
18 8 運 |
(2)오행이
구별하는 정신적 요소의 思想적 특성
① 水===유통변화 대인처세
교제력 記憶力(기억력) 智慧(지혜) 聰氣(총기)
② 木===성장발달 忍耐力(인내력) 意慾(의욕)
冷情(냉정) 침착
③ 火===타오르는 불꽃 정열 判斷力(판단력)
奢侈(사치) 明朗(명랑) 躁急(조급) 照明(조명) 怒氣(노기)
④ 土===안정감
중심토 集中力(집중력) 끈기 中庸(중용) 生覺(생각)
自生力(자생력) 안온정밀
⑤ 金===용기 强毅 決斷力(결단력) 義理(의리) 强靭(강인) 吸入(흡입)
殺生(살생) 鬪志(투지)실제
천간 음양과
오행 지지 음양과 오행 |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干-支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陽 |
陰 |
陽 |
陰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陽 |
陰 |
陽 |
陰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
목 |
화 |
토 |
금 |
수 |
수 |
토 |
목 |
토 |
화 |
토 |
금 |
토 |
수 |
(3)天干 오행의 만물 형질의 비유상(比喩相)
①甲木--대림목을
이루는 큰 수목의 산림을 지칭한다.
②乙木--초목이 어우러진 평야와 들판의 과목
숲 꽃 화초 식물을 상징한다.
③丙火--태양이나 달 별 우주 천체의 밝은
불
④丁火--燈燭을 밝히는 인공의 작은 불
⑤戊土--城垣을 형성하는 성벽과
축대 담장
⑥己土--田園을 형성하는 정원이나 터밭
⑦庚金--劍戟이나 칼이나
방패의 굳센 금속
⑧辛金--珠玉을 만드는 보배와 구슬의 작은 금속 비금속
⑨壬水--海江湖의
바다나 강과 호수의 큰 물을 가리킨다.
⑩癸水--雨露를 형성하는 구름이나
안개 비 이슬의 작은 물방울
★ 天干의 神靈 魂魄 精志 意智와의 상호관계
天干 |
五行 |
신령혼백 |
先天 後天 |
만물의 순환 |
오행의 인체 배당 |
甲乙 |
木 |
魂·얼 |
先天의 氣 |
최초의 水生木 |
생식기 개체 성장 인체 온몸 키의 외형체 |
丙丁 |
火 |
神·靈 |
|
|
심장과 머리 두뇌 |
戊己 |
土 |
意·志 |
|
|
가슴 배 엉덩이 중간 몸체 |
庚辛 |
金 |
魄·넋 |
後天의 氣 |
만물의 재탄생 |
뼈대 골수 유전인자 세포 분열 |
壬癸 |
水 |
精· |
|
|
인체 내부의 피와 호르몬 및 액체 氣化體 |
[육십갑자는 天干陽과 地支陽 天干陰과 地支陰이 짝을 지어
순환한다]
<1>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2>甲戌 乙亥 丙子 丁丑 戊寅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1>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2>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3>甲申 乙酉 丙戌 丁亥 戊子 己丑 庚寅 辛卯 壬辰 癸巳:
<4>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庚子 辛丑 壬寅 癸卯:
<3>감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4>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5>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壬子 癸丑: <6>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5>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 <6>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
2.사주학의 철학적 개념파악과 내용분석의 기본 개념
(1) 음양론(陰陽論)
보통은 남자를 양의 기운 여자의 음의 기운으로
구별하고 각 개인의 특성에 맞는 기운의 강약을 따져서 크고 강한 것은 양이요, 작고
약한 것은 음으로 분류한다. 단지 양이 강하다고 좋은 것은 아니며 약한 기운을
보충하고 더한 부분을 누설하여 강약의 완급을 조절하는특성이 조화롭게 이끌어감을 음양의
조절이라 하며 오행의 기운과 육기의 변화를 대조하여 살펴야 한다.외관상으로 나타나는
컽 모습이 바로 음양 오행이 아니라 내면적인 기운까지 고려하여 짚어보아야 하며
음양의 위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의 역할과 신분이 그 핵심이며 보통 사상의학에서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등으로 구별한다.
(2)
일간론(日干論)
보통 태어나면서 사람은 오행의 기운을 가지고 태어나는데 그 특성에 맞도록 木火土金水
오행의 상생상극을 따져서 그 기운의 변화현상을 살피고 보태여
설명함이 또한 일간의 해석이라 할수 있으며 만세력에 그 날자에 해당하는 일간을
찾아서 그 특성에 맞는 성격을 사람의 운명과 함께 생각하고 기운을 해석하는 것이 오행의 일간론이라 할수 있습니다.
(3) 계절론(季節論)
누구에게나 생년월일이 있듯이 생일의
일간이 歲年의 天干地支와 상호 길항작용하는 오행의 상징변화 역할의 해석을 하여 그
사람의 일간의 간지가 계절의 간지와 生扶共合 刑沖破害하는 원인과 결과를 검토하는 것을 계절론이라
한다. 개인이 출생후 어떠한
환경에서 살아왔고 또 누구의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한 포괄적인 의미를 유추하고
장래 일어날 일의 길흉화복의 결과를 예언하는 것을 환경론이라고
합니다. (4) 대운론(大運論)
사주를 본 사람은 대운이라는 말이 익숙할 것입니다.
대운이라는 것은 사주의 月柱의 천간지지가 일년 중 旺衰의 어느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는가를 따지는 것이고 이것이 한평생 육십갑자의 순환에서 10년마다 그 사람의
운세의 강력한 작용하는 나이를 맞추는 것이다. 대운에는 좋은 일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흉사와 길사가 태풍의 영향처럼 선악간에 강력한 운세를 발하는 기회도
되므로
아무쪼록 미리 준비해서 잘 대처해야 한다. 대운은 사주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고 나쁜
의미든 좋은 의미든 누구에게나 대운은 닥쳐오는 것이니 사람이 그 기회를 잘 활용하면
불운이나 흉사도 선운이나 길사로 전환할 수 있다.
길사의 대운이 없는 사람은 년운을 바라보아야 할 것입니다.
년운이 사주팔자를 선도시켜주는 행운이면 그 연도의
기회는 놓치지 말아야 한다. 반대로 길사의 있다고 해서 무조건 대운을 믿고 막무가내 밀고 나가면
불운으로 바뀔 수도 있다. 대운은 10년에
한번씩 바뀌고 대운이 들어 왔다는 것은 10년 중에서 3년정도 좋은 시기가 들어 왔다는 것인데 그
운을 믿고 연도를 중시하지 않고 과신하여 밀고 나간면
위험한 고비가 닥칠 수 있다. 그러나 대운이 작용하면 실수한 것도 보상되거나 재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도래한다는 것이다.그게 바로 대운의 장점입니다. 그런데
대운이 좋다고 하여 무조건 밀고가면 나중에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5)
년운(年運)의 검토
대운에서 잠시 말씀드렸듯이 대운이 좋았을 때는 그 운안에 도전을 해 볼 만하고 그렇지 않고 대운은 좋지
않은데 년운이 좋으면 그해에는 조심스럽게 도전해 볼 만한 것입니다. 대운도 좋고
년운도 좋다면 백사가 성공할 가망이 많습니다. 그 년도는 횡재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이때가 중요합니다.횡재라고 해서 그 다음해에도 그것을 믿고
추친한다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전진할 때는 확실히 전진하고 후퇴할 때는 다음전진을 위해서 자중할 줄도
알아야 할 것입니다
(6)
월운(月運)의 검토
대운과 년운이 좋다면 그다지 월운은 중요하지 않다고 봅니다. 대운도 안좋고 년운도 않좋다든가 아니면 대운은 좋은데 년운이 안좋을 때는그달을 조심하는
것도 중요한 것입니다.
(7) 일운(日運)의 검토
일운은 그날 하루운을 말하는 것인데 주로
택일 할 때 참고합니다.
이왕이면 좋은해, 좋은달, 좋은날을 잡아서 어떠한 행사든 또 자기 나름대로의 일진을 생각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위에서 보면 오늘 일진이 안좋다든가 아니면 오늘 기분이 안좋다든가 할 때는반드시 그날 일운의
운세가 좌우합니다. 길흉사나 큰 행사를 할 대는 택일을 하는 습관이 있지만 옛날에는
날짜를 뽑는 택일 궁합의 중요사는 日官이나 풍수가 택일점문가 등이 육갑을 짚어서
날짜를 선택하지만 현대에 와서는 기상청의 일기예보가 과학적으로 예측하고 어차피
공휴일이나 명절 국경일 등이 공식적으로 정해져 있어 선택의 여지가 없이 정해진
날을 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일운의 산정은 별 의미가 없다. 여름이라도 온도조절이
가능한 에어컨 시설 등으로 편리하고 겨울에는 난방장치를 활용함으로 별 지장없이
행사를 추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식대로 날짜를 잡아서 행사를 하는 경우가 많아
택일을 한다고 암중모색하는 신비적 의미가 퇴색되어 가는 세태이니 자기가
편한 대로 날짜를 잡아서 중요사를 추진하면 된다.
(8) 용신(用神)과
격국(格局) 판단
한 사람의 사주를 정확하게 감정하여 앞날을
예언하는 것은 그 사람의 일생 일대 중요한 계기가 되므로 모든 것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아주 신중하게 해석하여 감정자의 앞날에 불운을 제거하고 행운으로 인도하는
처방의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이에는 사주 팔자 전체에 일관되게 흐르는 정신의
요체인 용신을 발견하고 전체적인 구조가 되는 격국을 파악해야만 쉽게 해석할 수
있다.
◈用神
取用의 생극제화(生剋制化) 억부(抑扶)의 의의(意義)
①生이란?---인체를
생육하고 보호한다는 의미
②剋이란?---서로 다투어 갈등을 일으키고 상처나게
하거나 변화의 묘수가 도래하여 사물이 다른 형태로 변한다는 것
③制란?---일간
또는 용신을 상하게 하는 것을 제압하거나 항복시키는 기운의 작용을 말하는 데 패권(覇權)의
권한을 말한다.
④化란?---나쁜 활동을 하는 것을 선도하여 나의 용신으로 삼아
부리는 것으로 王道의 선한 정치와 같다.
⑤扶란?---약하고 여린 것을 도와서
점차적으로 강성하게 하는 것
⑥抑이란?---강포한 것을 눌러서 중화되게 하는
조절능력을 발휘하는 것
3.사주감정의 실례와 운명을 개척하는 길흉화복을 예언법
이것이 四柱八字(사주팔자)다,
사람의
사주 팔자란 한 생명이 태어난 년 월 일 시에 육십 갑자를 붙어 년의 간과지 월의 간과지 일의 간과지 시의 간과지를 합하여 4기둥에 8글자가
들어 있다 하여 四柱 八字라 말하며 天干은 天氣의 운세를 살펴 그 사람의 외적인 면을 보고 보며 地支는 地氣를
검토하여 사람의 심리상태나 정신적인 내적인 면을 중심으로 관찰하여 감정한다.
천기는 하강하고 지기는 상승한다, 또한 지장간이라 하여 지지 내 감춰진 오행을 (人)이라 하며 사람의 과거 현재 미래사를
관찰하는 중요 관건이 되는 것이다, 춘하추동 4.계절과 1년 12월이 있듯이 사람의 팔자에도 4계절과 12월이 있는데 외적인 八字만 보게 되면
그 사람의 운명을 감정하는데 적중율이 낮다.
팔자만 보게 되면 4계절에 8개월과 같고 지장간 4자를 합하면 3X4=12개월에 해당하고 한 기둥에 3개월씩 사계절이 되고 한 기둥을 15년간으로 년주>유년: 월주>장년: 일주>중년: 시주>말으로 60년간의 길흉을 살피는 것이다, 팔자만 보게 되면 4계절에 8개월과 같고 지장간 4자를 합하면 3X4=12개월에 해당하고 한 기둥에 3개월씩 사계절이 되고 한 기둥을 15년간으로, 년주는 유년시절의 초기 운세를 예시하고 월주는 청장년 시절의 운세발전을 일주는 중년시절의 인생 수확기를 시주는 노년의 인생말년의 결산기를 나타내나 옛날에는 60십갑자 일주기로 보아 60년간의 길흉을 살피는 것이나 현대에 와서는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그에 상응하여 5-10년 정도 늘여서 판정한다. 사주팔자의 심층적인 해석을 위해서는 지장간을 보고 계절의 深淺(심천)을 살펴서 인원용신까지 검토하나 보통은 八字만 가지고 일주의 강약과 다른 타주와의 상호 길흉신살과 대운의 운세굴곡을 따져서 용신을 파악하고 형충극해를 피하고 생부공합하는 인생의 진로를 개척하고 생활을 창조하는 방편으로, 상담자의 고민과 궁금한 미지운명의 신비를 풀어주는 방향으로, 길신이 되는 용신을 발견하고, 행복한 삶으로 인도하는 해결책을 제시하는 판정의 감정해석한다. 말하자면 사람의 외형적인 몸체와 내면적인 정신이 있는 것처럼 사주의 외형적인 판단과 내면적인 비의(秘意)를 심층으로 함께 분석하여 해결책을 제시하는 감정을 고려해야 적중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체신과 용신은 사주 팔자 내에 이미 정해져 있으며 체와 용은 둘이 아니고
일체인데 동하면 용이라 하고 정하면 체라 하는 것이다, 사람마다 육체와 정신이 있으니 정신이 동하면 사람이 동한 것으로 육체는 자연 동하는
것이고 육체가 동하나 (정신) 생각과 판단이 서지 않으면 무의미한 것이 되고 만다, 사람은 육체에 장애가 있어도 정신 즉 용이 건전하면 만인의
추앙을 받는 사람이 될 수 있지만 (用)정신이 박약하면 아무리 육체가 건장해도 쓸모없는 폐인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주팔자에 月지 該當令
神을 用神으로 보는 것인데 사계절은 월에 의하여 사계의
변화가 일어나니 월지를 用이라 하고 일간을 體라 하며 출생당시부터 체 용은 정해져 있고 편 정격에 따라 그 사람의 인격이 형성되므로 인격이 좋지
않으면 좋은 길로 유도하고 좋은 인격을 갖고 태어나면 나쁜 인격자로 만들지 말아야 하는 것으로 희신과 기신을 구하는 것이 팔자의 관건이 되는
것이다,
역학(易學)은 우주 내 생존하는 만물의 이치를 탐구(探究)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학문이며 역경(易經)은
중국의 가장 오래된 易占의 書로 周나라의 周易을 말하는 것으로 복희씨(伏羲氏)가
음양 태극의 부호를 최초로 창안하여 文王이 64괘를 산정하고 周公이 부연 설명하여
사고법의 틀을 설정한 후 孔子의 재해석으로 학문적인 체계를 갖춘 경전이 되었다.
말하자면 주역은 고대 역대 성인들의
共同創作이라 할 수 있는 易經書로 자연법칙의 원리에서부터 인간규범에 이르기까지 包括的이고
다양한 학문으로 발전하였다. 주역은 경험에서 우러나온 智慧와 사물의 觀察에 의하여
만물의 形象과 理致를 궁구하는 數理를 탐구하고 결론을 도출하는 세方面에서 사물을
입체적으로 관찰하여 만물이 변하고 바퀴는
法則을 밝혀서 그 중에서 변하는 않는 不變의 절대진리를 밝히는 神機妙算策이다.
신기묘산책을 알아내기 위하여 위로는 하늘의 현상을 보고 아래로는 땅에서
발생하는 天變地異의 모든 현상을 살피고 생각하여 일정한 진리의 법칙을 도출하고,
우주 천지조화에 대한 順理와 逆理를 변별(辨別)하여, 일정한 원리를 발견하여 만물의
변화를 인생사에 대응하여 해석하고 예측하여 미래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한 방책으로 근본적인
목표와 지향점을 향하여 신비한 미래사를 미리 점지하고 예언하는 미래예측학이라
할 수 있다.
宇宙는 時間과 空間을 가리키고 乾坤은 하늘과
땅의 能力과 物質변화를
지칭한다, 천지 上下四方을 宇라 하고 과거와 현재 미래를 宙라고 한다, 상하좌우의
2방향을 수직으로 교차한 면적을 二次元의 空間이라 하고
과거 현재 미래를 四次元의 시간이라 한다. 그러므로 우주를 時空의 結合體라 한 것이다, 이것은 古書
准南子書에 言及되어 있는 것이며 [1879-1955]年의 아인슈타인의 相對性理論은 時空의 相對性과
시간이 四次元의 空間임을 밝힌 것이다.
동양철학의 先哲들은 수 천년전에 이미 이와 같이 정확한 觀念인식을 갖고
있었으니 동양의 자연과학문명이 필시 현대의 기계 과학문명과 차이가 없다는 고도로 관찰과
지혜의 산물임이 충분히 증명되었다. 생명의 始初로 이름있는 事物은 모두가 상대적이고
이것은 음(陰:-) 양(陽:+)의 두 가지 부호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天地의 剛柔나
男女動靜 등이 음양(陰陽)을
의미하는 것이며 陰陽이란 말의 뜻은 우주만물의 구성원리)의 根源이라 말할 수 있는 것이다. 太極이 動하여
陰陽으로 분리되고 陰陽이 動靜의 상호작용으로 四象이 생성되며 四象이 결합분화하여
八卦를 이루고 팔괘가 분화 발전하여 만물이 형성되는 무한의 순환과정은 無始無終으로
시작과 끝이 없는 것이다,
太極은 陰陽 動靜의 根本體로써 氣形의 區別이 없고 그 實體가 없으며 無聲 無象 無臭하여 [道]가
굴러가는 永劫回歸 循環바퀴로써 始作도 終도 없고
不變하는 無形의 法則에 있을 뿐으로 動과 靜이 相互陰陽을 이루는 狀態에서 兩儀가 成立한다, 氣가 形을 이루고 形은 象을 이루고 象은 物을 生하여
만물이 變轉하는 生成變化가 無窮하다. 一은 水인데 天地가 分化하지 않고 萬物이 不成한 始初에 "水를 먼저 보았으니" 太乙은 水의 尊稱이라 天地萬物의 母요
根源이다. 水가 木을 生 한다는 것은 水는 萬物의 核이요 木은 發芽의 싹이요, 火는 開花하는
꽃이요 金은 열매果實인데 이것이 모두 土를
의지(依支)하여 生成作用을 한다. 生이란 無形이고 成이란 有形(유형)이다. 고로 相生은 精氣神의 作用이 화합하여
열매맺는 결실의 收斂相을 나탄내는 것이요 相剋관계는 精氣神의 作用이 분화하여
無限極數로 뻗어가는 變化相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五行相生相剋은 氣質과 形相을 구분하여 감정하되 物質관계는 形相으로 보고 健康 疾病은 氣質의 作用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木實도 未熟前은 水요 人間의 [種]精子와 卵子도 水다 形과 質이 化合하면 陰陽의 氣로 生成한다 陰陽이 合成然後에 春生하고 秋成하게되니
三은 木이요 四는 金이다, 水는 屬性이라 氣가되니 潤下요 淸濁에 따라 上昇下降한다. 甲乙木은 發性으로 曲直이라 하고 結實과 美麗를 目的으로
한다, 丙丁火는 藏性이요 炎上의 氣라 陰陽에 따라 周流한다. 戊己土는 至性이며 包育之性으로 生死의 權限을 갖고 있으며 燥濕을
보고 庚辛金은 생성능력의 개조적 활동성으로 成物하며 만물에 有用하게 봉사한다.
☆ 실제 감정 실례: 1947년 2월 27일 (음력)戌時生 男命息 陰年출생
時柱 |
日柱 |
月柱 |
年柱 |
감정 구분 |
|||||
陽金 |
庚 |
陰火 |
丁 |
陰水 |
癸 |
陰火 |
丁 |
오행 |
天干 |
中土 |
戌 |
陽金 |
酉 |
陰木 |
卯 |
陰水 |
亥 |
소속 |
地支 |
|
|
丁 戊 己 庚 辛 壬 |
|
대 |
|||||
|
|
54 44 34 24 14 4세 |
|
4운 |
|||||
丁→庚:正財 |
자신본체 |
丁→癸:偏官 |
丁→丁:比肩 |
천간육신 |
|||||
丁→戌:傷官 |
丁→酉:偏財 |
丁→卯:偏印 |
丁→亥:正官 |
지지육신 |
|||||
養 |
長生 |
病 |
胎 |
12運星 |
|||||
寡宿 |
天乙貴人 |
太極貴人 |
驛馬,天乙貴人 |
神殺吉凶暗示 |
|||||
|
|
|
卯戌六合火局 |
천간지지生扶共合刑沖破害 |
|||||
|
|
|
|
三災空亡 |
|||||
|
|
|
|
|
①일지와 월지가 충되면 생부모와 동거하지 않고 양부모 슬하에 자랄 경우가
있다. 월지 편인은 정신과 심리파악의 재능이 있어 의사나 배우 혹은 운명철학가로
명성을 얻을 수 있다.
②문창성은
학문과 지혜의 별이고 총명과민하고 文才가 있으며 풍류를 즐긴다.
③년주에 비견이
있으면 손위의 형 누나가 있고 양자가 되거나 일가의 후계자로 새로운 가문을 창시한다.
④시주에
정재가 있으면 자수성가하나 정재가 형충파해되지 않고 겁재가 없으면 妻子의 복이
있으며 성품이 과감하거나 성질이 조급한 편이다. 財星이 長生과 동주하면 官印生財하여
부귀하거나 명성을 얻을 수 있다.
⑤초년의 정관은 기억력이 좋고 어려운 시험에
통과하여 여러사람을 인도하고 거느리는 두령운을 가지고 잇다.
☆ 감정 실례: 1974년 6월 25일 (음력) 申時生 女命息 陽年출생
時柱 |
日柱 |
月柱 |
年柱 |
감정 구분 |
|||||
陽木 |
甲 |
陰火 |
乙 |
陰金 |
辛 |
陽木 |
甲 |
오행 |
天干 |
陽金 |
申 |
陽金 |
酉 |
中土 |
未 |
陽木 |
寅 |
소속 |
地支 |
|
|
甲 乙 丙 丁 戊 己 庚 |
|
大 |
|||||
|
|
61 51 41 31 2111 1세 |
|
1운 |
|||||
乙→甲:劫財 |
자신본체 |
乙辛→癸:偏官 |
乙→甲:劫財 |
천간육신 |
|||||
乙→申:正官 |
乙→酉:偏官 |
乙未→卯:偏財 |
乙→寅:劫財 |
지지육신 |
|||||
胎 |
絶 |
養 |
帝王 |
12運星 |
|||||
紅艶 |
天乙貴人 |
節度貴神 |
天德貴人 |
神殺吉凶暗示 |
|||||
|
|
|
卯戌六合火局 |
천간지지生扶共合刑沖破害 |
|||||
|
|
|
|
三災空亡 |
|||||
|
|
|
|
|
①本命人은 실제 丁卯 大運년 2005년 木氣가 旺하고 丙寅 대운년 시작의 火氣와
木生火의 강한 운세로 31세에 혼인을 한 사실이 있다.
②節度貴神이 있는
사람은 품행단정하고 성품이 고상하며 깔끔한 취미에 종교적 신앙심이 있거나 규칙성있는
생활을 즐긴다. 즉 절도있는 생활과 규율적 생활리듬을 중시하나 자기주관이 강하여
남에게 고집스런 사람으로 인식될 수 있다.
③여자가 홍염이 있으면 얼굴이 예쁘거나
잘 생긴 미모형일 수 있다. 어릴 때는 귀염상으로 남에게 인기가 있고 숨은
재능이 있다.
4.貴厄 12성좌 12地支 대조 간편 사주감정
(1)수상에서 보는 귀액 12성좌 간편 사주 보는 법
사주 8자를 만세력에서 뽑아서 각 각
干支의 배당地支에 해당하는 성좌의 글자를 배당하여 해석하는 것이다. 또 출생한
년지를 기점으로 그에 해당하는지지를 정하고 그기서 부터
생월 생일 생시의 숫자상 계산을 12지 순으로 세어나가면서 그에 해당하는 지지에따른 글자를 선정하여 해석한다.
(2)각 성좌별 길흉 암시 배당 글자의 평생운수에 배정하여 대체의 인생행로의
굴곡을
해석한다.
①貴---大吉---귀한 가문의 후예가 될 확률이 강하다.
②厄---中凶---인생의
고비마다 간난 신고 횡액을 당하는 수가 빈번하다.
③權---中吉---부귀영화나
권세를 누릴 가망이 있다.
④破---大凶---파산이나 실직의 흉살이 자주 다친다.
⑤奸---中吉---간사한 지모와 권모술수가
능하다.
⑥文---大吉---문예나 지략이 풍부하고 글과 문장으로 출세한다.
⑦福---大吉---壽福과
長命을 타고나 한평생 복록이 겸전한다.
⑧驛---大凶---역마살이 끼여 변동과
이사가 많고 안정을 누리기 힘들다.
⑨孤---大凶---고독하고
외로운 인생살이가 펼쳐진다.
⑩忍[刃]-中凶---칼잡이 검객처럼 인내하고 은인자중하는
인고의 세월을 보내리라.
⑪藝---中吉---예술이나 재능을 타고나 특별한
技藝로 이름을 날린다.
⑫壽---大吉---壽富貴多男終天命으로 五福 중 3-4개가
갖추어져 있다.
(3)귀액 12성좌 간편 사주법의
현대적 해석
귀액 12성좌 사주 해석법은 "그림 당사주 판단법"처럼
고대 전제 군주 시대나 옛 사람들이 심심풀이 삼아 궁금증을 해소하는 간단한 사주
풀이법으로 과학적인 근거가 있다기 보다 사주감정가의 경험적 혜안에 의한 상담방법이다.
이 때 단순히 사주만 보는 것이 아니라 관상이나 수상을 종합한 身言書判의
인물 감정법에 따라 판정하면 상당한 근거를 가지고 적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2장:사주명식 설정과정의 인생포석 기본감정
1.사주명식(四柱命息)
설정과정
(1)[四柱 設定法]-사주를
뽑는 법
①사주 네기둥 간지를 정확한
산법으로 만세력에서 뽑는다.
②월별 생일 節入에서 남녀를 구별하고 대운세수를
정한다. 필요하면 月律 藏干을 뽑는다.
③생일 天干 地支를 기준으로 사주상에
해당하는 通變星 六神을 찾는다.
④사주 각 기둥 地支의 12운성을 따져서
평생운세의 진로를 종합적으로 개관한다.
⑤사주 각 神殺의 길흉화복의 성운을
적어서 전체적 운세를 관찰한다.
⑥형충파해 생부공합(간합 육합 삼합)과 공망과
삼재를 적어서 운세의 강약을 본다.
⑦대운의 入運數와 월별간지를 대조한다.
남자는 순운을 여자는 역운을 배정하여 평생운수 변화를 조사한다.
⑧피
감정자의 형편에 따라 단식
및 복식 운명감정을 따져서 대강 볼 것인가? 세부적으로 자세히 볼 것인가?를 결정한다.
⑨天干의
간합이나 地支의 삼합 육합을 따져서 사주의 기본 포석을 총괄적으로 점검한다.
⑩四柱란 年柱 月柱 日柱 時柱를 稱하며 사주(四柱)에
팔자(八字)가 있다 하여 四柱八字라고 한다, 四柱를 설정하는 방법은 출생당사자의 生年 月日時의 干支(간지)로서
生年은 年柱로 生月은 月柱로 生日은 日柱로 生時를 時柱라 하는 것인데 기둥 柱자를
지칭하여 사주 네 기둥(Four pillars)이라 한다.
▣ 四柱를 定하는 法은 다음과 같다.
四柱란 年柱 月柱 日柱 時柱를 稱하며 四柱(사주)에
八字(팔자)가 있다 하여 四柱八字라고 한다, 四柱를 設定(설정)하는 方法(방법)은 出生當事者(출생당사자)의 生年 月日時의 干支(간지)로서
生年을> 年柱 生月을> 月柱 生日을> 日柱 生時를> 時柱라 하는 것인데 四柱를 定하는 法은 다음과 같다, 四柱를
비롯한 모든 易學(역학)에서는 陰曆(음력) 節(절)을 基準(기준)하는 것이며 節(절)을 重要視(중요시)하니 立春日(입춘일)을 基準(기준)하여
新年(신년)을 삼는다,四柱를
비롯한 모든 易學에서는 음력절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며 절후(節候)를 중요시하여 입춘일(立春日) 기준하여
신년을 삼는다.
例 : 甲子年에 出生하였으면 年柱는 甲子가 되는 것이다, 或 今年 戊寅年에 出生하였으면 年柱가 戊寅이 되는 것인데 主意할 점은 四柱에서 一年이
바뀌는 것은 立春節로 基準하니 出生日이 戊寅年 一月 七日이라도 立春이 되지 않았으니 丁丑年 十二月로 봐야 한다, [月柱] 月地는 每年 變함 없이
1月은>寅 2月은>卯 3月은>辰月로 定하여 있으나 月干은 太歲의 천간에 따라 變化한다, 月柱을 붙이는 法은 年柱를 定하는 法과
같이 生月 節入을 標準하여 定한다, 假令 2月에 出生 하였어도 2月 節인 驚蟄이 지나지 않고 出生 하였으면 正月로 定하고 萬若 陰曆 2月이라도
3月 節氣인 淸明이 經過하여 出生하였으면 三月로 定한다.각 月 節入前에 태어난
사람은 비록 날짜상은 그 해당 월에 속해 있어도 그 전월의 候[16일부터 30일의 뒤쪽
15일에 해당함]에 해당하므로 전월 月腱을 쓴다.
그러나 年이나 月을 막론하고 節入時間을 正確하게 基準하여야 한다, 月干을
定하는 法은 年頭法에 따라 부치는 때인 데 例를 들면 戊寅年은 戊土와 癸水가 合하여 火가 되니 火를 生하는 五行인 陽干木을 基準하여
甲寅月부터 進行한다, 年月日柱는 萬歲曆에 記載되어 있으니 別問題가 아니지만 時干을 定하는 것은 萬歲曆에도 없으니 時頭法을 별도로
기록하거나 暗記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2)定時法 設定
正時法은 子時를 午後 11時부터 다음날 午前 1時까지 대대 現在時間 二時間式을 四柱에는 1.時間으로
計算하면 된다, 그리고 出生日干을 基準하여 日干과 合하여 變하는 五行을 克하는 陽干으로부터 子時가 進行된다, 例 甲日 己日에 出生한 者는
甲己合이 土가되니 土를 克하는 陽木 卽 甲子時부터 進行한다, 四柱를 設定하는데 있어서 年月日은 萬歲曆에 잇는 데로 記載하면 되지만 時干은
萬歲曆에 記載되어 잇지 않으니 早見表를 參考하고 夜子時에 出生者는 夜子時 表데로 記載하면
된다.
(3)大運 定하는 法
四柱는 그 사람의 運命이 어떠한 것인가? 하는 先天命의 基準이고 八字에 依하여 吉凶禍福이 언제 發現할
것인지는 大運의 吉凶에 의하여 豫見할 수 있으니 後天命運을 決定하는 關鍵이다, 대운은 十年間 善惡의 行路와 같으니 大運을 보지 않고는 吉凶을
判斷할 수 없으므로 大運定하는 法을 알아야 한다, 大運은 生月을 基準하여 定하는데 年干의 陰陽에 따라 順行과 逆行한다, 陽年干의 男子와 陰年干의
女子는 順行하고 陰年干의 男子와 陽年干의 女子는 逆行한다, [陽男 陰女는 順行] [陰男 陽女는 逆行이다]
甲丙戊庚壬년에 출생한 남자와 乙丁己辛癸년에 출생한 여자는 順行하고 甲丙戊庚壬年에 출생한 여자와 乙丁己辛癸년에 출생한 남자는 逆行한다, 예를
들어 戊寅년 甲寅月에 태어난 男子라면 順行하니 甲寅月다음은 乙卯 丙辰 丁巳等으로 대운을 적어가고" "女子라면 逆行하니 "甲寅월 前월은 癸丑 壬子
辛亥 庚戌等으로 적어간다,
2.例 丁丑年 壬寅月에 出生한 男子는 逆行하니 壬寅월 전에 辛丑 庚子 己亥 戊戌等으로 逆行하고 女子는 陰年干이라
順行하니 壬寅 다음이 癸卯요 다음은 甲辰 乙巳 丙午等으로 順行한다,
(4)行運歲數 定하는 法
[陽男 陰女는 未來節이라 하여 出生日부터 다음달 節入까지의 日數를 三分하여 定하고] [陰男 陽女는
過去節까지 則 出生日로부터 그 달의 節入까지 날짜를 따져서 三分한다] 日數를 計算할 때 生時까지 合算하여야 하는데 現在萬歲曆에서 計算方法은
時間을 따지지 않고 生日을 加算하면 節入日을 빼고 生日을 빼고 計算하면 節入日을 加算한다,그리고 總日數를 3으로 分割하여 整數를 大運歲數로
定한다, 萬若에 三分하고 1.이 남으면 1.을 빼고. 2.日이 남으면 1.을 加算한다 則 1.捨 2.入한다, 例 生日에서 節入까지 4.日이면
3日이 1.大運이라 1.이 남으니 1.을 버리고 1.大運이 된다, 例 5.日이면 3.分하고 2.가 남으니 2.에 1.을 加算하여 2.大運이
된다,
例 出生日부터 節入까지 22.일이면 3.으로 나누면 7.이고 1.이 남는데 1.을 버리고 7.大運이 된다,
(5)每月節入 早見表
음력 |
支月 |
절기 |
甲己년 |
乙庚년 |
丙辛년 |
丁壬년 |
戊癸년 |
1월 |
寅 |
입춘(立春) |
丙寅 |
戊寅 |
庚寅 |
壬寅 |
甲寅 |
2월 |
卯 |
경칩(驚蟄) |
丁卯 |
己卯 |
辛卯 |
癸卯 |
乙卯 |
3월 |
辰 |
청명(淸明) |
戊辰 |
庚辰 |
壬辰 |
甲辰 |
丙辰 |
4월 |
巳 |
입하(立夏) |
己巳 |
辛巳 |
癸巳 |
乙巳 |
丁巳 |
5월 |
午 |
망종(亡種) |
庚午 |
壬汚 |
甲午 |
丙午 |
戊午 |
6월 |
未 |
소서(小暑) |
辛未 |
癸未 |
乙未 |
丁未 |
己未 |
7월 |
申 |
입추(立秋) |
壬申 |
甲申 |
丙申 |
戊申 |
庚申 |
8월 |
酉 |
백로(白露) |
癸酉 |
乙酉 |
丁酉 |
己酉 |
辛酉 |
9월 |
戌 |
한로(寒露) |
甲戌 |
丙戌 |
戊戌 |
庚戌 |
壬戌 |
10월 |
亥 |
입동(立冬) |
乙該 |
丁亥 |
乙亥 |
辛該 |
癸亥 |
11월 |
子 |
대설(大雪) |
丙子 |
戊子 |
庚子 |
壬子 |
甲子 |
12월 |
丑 |
소한(小寒) |
丁丑 |
己丑 |
辛丑 |
癸丑 |
乙丑 |
(6)사주운세의 대세를 점검하는 24 절기에 대한 설명
月別 |
1月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절입 |
입춘 |
경칩 |
청명 |
입하 |
망종 |
소서 |
입추 |
백로 |
한로 |
입동 |
대설 |
소한 |
24節氣(절기)란 1년 12월중 30일을 1개월 즉 한마디로 一節이라 하고 30일의 中央 즉 15일을 1氣로 정하여 그 달의 氣가 가장 강한 것으로 보는 것이며 細分(세분)하면 五日을 一候라 하고 三候(삼후) 十五日을 一氣라 하며 二氣 30일을 1節로 하여 移月한다. 즉 한달중 深賤(심천) 寒暖燥濕(한난조습)을 살펴 農事(농사) 每事(매사)에 적용하며 일상생활에 사용하였다. (즉 일년중 절과 기가 24개가 있으니 24절기라 하는 것이다.)
봄 [春] |
1.입춘[立春] 2.우수[雨水] 3.경칩[驚蟄] 4.춘분[春分] 5.청명[淸明] 6.곡우[穀雨] |
여름[夏] |
7.입하[立夏] 8.소만[小滿] 9.망종[芒種] 10.하지[夏至] 11.소서[小暑] 12.대서[大暑] |
가을[秋] |
13.입추[立秋] 14.처서[處暑] 15.백로[白露] 16.추분[秋分] 17.한로[寒露]18.상강[霜降] |
겨울[冬] |
19.입동[立冬] 20.소설[小雪] 21.대설[大雪] 22.동지[冬至] 23.소한[小寒]24.대한[大寒] |
입춘은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정월(正月) 절기로 양력으로는 2월 4일 경이다. 입춘 전날은 절분(節分)으로 불리며 철의 마지막이라는 의미로 '해넘이'라고도 불리며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는 준비를 한다. 특히 입춘 날에는 "입춘대길(立春大吉)" 등의 입춘방(立春榜)을 문에 붙이고, 입춘절식(立春節食)이라 해서 고유의 절기 때 먹는 음식인 절식(節食)으로 입춘 날에 먹는 햇나물 무침이 있다. 입춘 기간에는 동풍(東風)이 불어 언 땅이 녹고, 동면(冬眠) 벌레가 움직이기 시작하며, 어류(魚類)가 얼음 밑을 다닌다고 한다. | |
우수(雨水) |
우수는 입춘(立春)과 경칩(驚蟄) 사이에 있는 음력 정월 중기(中氣)로 양력(陽曆)으로 는 2월 19일
경이다. 봄을 알리는 '단비가 내려 대지를 적시고 겨울동안 얼었던 대지가 녹아 물이 많아진다'는 의미로 우수(雨水)라고 한다. '우수 경칩에
대동강(大同江) 물이 풀린다' 라는 옛말이 전해온다. |
경칩(驚蟄) |
경칩은 우수(雨水)와 춘분(春分)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2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3월 6일 경이다. 이 무렵은 날씨가 따뜻해져 초목(草木)의 싹이 돋고 동면(冬眠)하던 동물이 깨어 꿈틀 대기 시작한다는 의미에서 명칭이 정해졌다. 이 때의 풍속(風俗)에는 개구리 정충(精蟲)이 몸을 보(保)한다고 해서 개구리 알을 잡아먹고, 흙 일을 하면 탈이 없다 해서 담을 쌓거나 벽을 바르는 일을 하고, 이 날 보리 싹의 성장상태로 보리 농사의 풍흉(風凶)을 점쳤다고 한다. |
춘분(春分) |
춘분은 경칩(驚蟄)과 청명(淸明) 사이에 있는 음력 2월 중기(中氣)로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며 양력으로는 3월 21일 경이다. 춘분 기간에는 제비가 날아오고, 우뢰 천둥소리가 들리며, 그 해 처음으로 번개가 친다고 한다 |
청명(淸明) |
청명은 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에 있는 음력 3월 절기로 양력으로는 4월 5일 경이다. 날씨를
이야기할 때 '청명하다'는 말을 사용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말고 깨끗한 기후의 시기다. 보통 중국 제(齊)나라의 개자추(介子推)라는
인물에서 유래된 한식(寒食)날이 이 날을 전후해서 있어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 라는 속담도
있다. |
곡우(穀雨) |
곡우는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에 있는 음력 3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4월 20일 경이다. 의미는
봄비가 내려 백곡(百穀)이 윤택 해진다는 것이고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마련하고 한 해 농사의 준비가
시작된다. |
입하(立夏) |
입하는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있는 음력 4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5월 6일 경이다. 곡우(穀雨) 후 15일이다. 여름에 들어 섰다고 하여 입하라 한다. 옛날 중국에서는 입하 15일간을 5일씩 3후(候)로 세분하여, ① 청개구리가 울고, ② 지렁이가 땅에서 나오며, ③ 왕과(王瓜:쥐참외)가 나온다고 하였다. 음력에서는 보통 4, 5, 6월의 석달을 여름이라고 하지만 이것은 너무 엉성한 구분이고, 엄격히 입하 이후 입추 전날까지를 여름이라고 규정 짓는다. |
소만(小滿) |
소만은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에 있는 음력 4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5월 21일 경이다.
의미는 만물(萬物)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찬다는 뜻으로 날씨가 여름에 들어서 모내기가 시작되고 보리 수확(收穫)을 하기 시작한다. 소만
기간에는 씀바귀가 뻗어 나오고, 냉이가 누렇게 죽어가며, 보리가 익는다고 한다. |
망종(芒種) |
망종은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5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6월 6일 경이다.
의미는 까끄라기 종자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이고 모내기나 보리 베기가 완성되는 시기다. 망종 기간에는 까마귀가 나타나고, 왜가리가
울기 시작하며, 지빠귀가 울음을 멈춘다고 한다. |
하지(夏至) |
하지는 망종(芒種)과 소서(小暑)사이에 있는 음력 5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6월 22일 경이다. 이
날은 낮의 길이가 1년 중 가장 긴 날이 되는데, 이는 지구 표면이 받는 열량(熱量)이 가장 많아진다는 것으로 이 열량이 계속 쌓여
하지(夏至) 이후에 더욱 더워져 삼복(三伏) 시기에 가장 덥게 된다. |
소서(小暑) |
小暑는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에 있는 음력 6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7월 7일 경이다.
날씨는 더위와 함께 장마전선의 정체로 습도가 높아 장마철이 시작된다. |
대서(大暑) |
대서는 소서(小暑)와 입추(立秋) 사이에 있는 음력 6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7월 23일 경이다.
대개 중복(中伏) 시기와 비슷해서 폭염의 더위가 심한 시기이면서도 장마로 인해 많은 비를 내리기도
한다. |
입추는 대서(大暑)와 처서(處暑)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7월 절기(節氣)로 양력(陽曆)으로는 8월 8일
경이다. 입추 기간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고, 이슬이 진하게 내리며, 귀뚜라미가 운다. | |
처서(處暑) |
처서는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에 있는 음력 7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8월 23일 경이다.
의미는 더위가 물러간다는 뜻이다. 처서 기간에는 매가 새를 잡아 늘어 놓고, 천지가 쓸쓸해지며, 논 벼가 익는다고
한다. |
백로(白露) |
백로는 처서(處暑)와 추분(秋分) 사이에 있는 음력 8월 절기(節氣)로 양으로는 9월 8일 경이다. 이
시기에는 밤에 기온이 내려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엉겨 이슬이 되어 풀잎에 맺힌다. 백로 기간에는 기러기가 날아오고, 제비가 돌아가며, 뭇
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 |
추분(秋分) |
추분은 백로(白露)와 한로(寒露) 사이에 있는 음력 8월 중기(中氣)로 춘분과 함께 밤낮의 길이가 같고
양력으로는 9월 23일 경이다. 이 시기는 추수기가 시작되고 백곡(百穀)이 풍성한 때이다. 추분 기간에는 우레 소리가 그치고, 동면할
벌레가 구멍 창을 막고, 땅 위의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고 한다. |
한로(寒露) |
한로는 추분(秋分)과 상강(霜降) 사이에 있는 음력 9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10월 9일 경이다.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가 되며, 단풍이 짙어지고 여름새와 겨울새의 교체 시기에 해당하며 오곡백과(五穀百果)를 수확한다. 한로
기간에는 기러기가 모여들고, 참새가 줄어들고 조개가 나돌며, 국화꽃이 노랗게 피어난다고 한다. |
상강(霜降) |
상강은 한로(寒露)와 입동(立冬) 사이에 있는 음력 9월 중기(中氣)로 태양이 양력으로는 10월 24일
경이다. |
입동(立冬) |
입동은 상강(霜降)과 소설(小雪) 사이에 있는 음력 10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11월 8일 경이다.
입동 기간에는 물이 비로서 얼고, 땅이 처음 얼며, 꿩은 드물고 조개가 잡힌다고 한다. |
소설(小雪) |
소설은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에 있는 음력 10월 중절(中氣)로 양력으로는 11월 23일 경이다.
이 시기는 첫 겨울의 증후가 보여 눈이 내린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
대설(大雪) |
대설은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있는 음력 11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12월 7일 경이다.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라는 의미이지만 실제 추위의 계절은 동지(冬至)를 지나서부터 다. |
동지(冬至) |
동지는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있는 음력 11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12월 22일 경이다.
동지는 24절기 중에 직접적인 풍습이 가장 많이 있는 기간이다. 민간에서도 동지절식(冬至節食)을 먹었는데, 붉은 팥으로 죽을 쑤어
그 속에 찹쌀로 옹시미 또는 새알심이라는 단자(團子)를 만들어 넣어 먹고 또 역귀(疫鬼)를 쫓는다는 의미로 팥죽 국물을 벽이나 문에
뿌렸다. |
소한(小寒) |
소한은 동지(冬至)와 대한(大寒) 사이에 있는 음력 12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1월 6일 경이다.
대한이 더 춥다는 의미지만 우리나라는 소한 때가 더 추워 "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옛말이
생겨났다. |
대한(大寒) |
대한은 소한(小寒)과 입춘(立春) 사이에 있는 음력 12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1월 21일 경이다. 겨울 추위의 매듭을 짓는다는 의미의 대한(大寒)이지만 실제는 소한(小寒) 때가 더 춥다. |
(7)시두법 설정
하기
시두(時頭)법 암기하기
日干 |
|
晝子時 |
새벽 |
시 |
시 |
시 |
시 |
시 |
시 |
시 |
시 |
시 |
시 |
夜子時 |
甲己日 |
甲子시 |
乙丑 |
丙寅 |
丁卯 |
戊辰 |
己巳 |
庚午 |
辛未 |
壬申 |
癸酉 |
甲戌 |
乙亥 |
丙子시 | |
乙庚日 |
丙子시 |
丁丑 |
戊寅 |
己卯 |
庚辰 |
辛巳 |
壬午 |
癸未 |
甲申 |
乙酉 |
丙戌 |
丁亥 |
戊子 | |
丙辛日 |
戊子시 |
己丑 |
庚寅 |
辛卯 |
壬辰 |
癸巳 |
甲午 |
乙未 |
丙申 |
丁酉 |
戊戌 |
己亥 |
庚子 | |
丁壬日 |
庚子시 |
辛丑 |
壬寅 |
癸卯 |
甲辰 |
乙巳 |
丙午 |
丁未 |
戊申 |
己酉 |
庚戌 |
辛亥 |
壬子 | |
戊癸日 |
壬子시 |
癸丑 |
甲寅 |
乙卯 |
丙辰 |
丁巳 |
戊午 |
己未 |
庚申 |
辛酉 |
壬戌 |
癸亥 |
甲子 |
2.천간합 조사하기와 감정해설
(1)天干合
①甲己合
土局의 吉凶점검과 감정해설---中正之合
②乙庚合
金局의 吉凶점검과 감정해설---仁義之合
③丙辛合
水局의 吉凶점검과 감정해설---威嚴之合
④丁壬合
木局의 吉凶점검과 감정해설---仁壽之合
⑤戊癸合
火局의 吉凶점검과 감정해설---無情之合
[天干合 變化 解說] 천간합 변화 해설①甲己合論--中正之合
甲己合土는 黃天秀氣라 하고 中正之合이라
한다, 甲性은 仁이고 十干의 首位가되고 己土는 鎭靜重厚한 生物有德으로 甲己合을 中正合이라 하며 天에 黃氣生으로 黃天秀氣라 하고 世人이 尊崇하고
人品이 重厚한데 五行이 無氣有殺卽 忿怒하여 性品이 偏屈하다, 己甲合은 信義不足 聲濁 鼻根底陷이 特徵이다, 甲己合은 信義가 있고 有德하나
智短이 特徵이다.
②乙庚合論--仁義之合
仁義之合이라 하고 素天秀氣라 한다 金은 義理가 되고 乙木은 仁이라 仁義라 한다, 天에 白氣生하니 素天이라 하며 惑은 風月合이라 한다, 乙性은 柔하고 仁하며 庚性은 義와 剛이며 不屈性이라 剛柔가 相合하여 仁義之本이다. 人이 果敢剛直하고 仁義와 進退가 分明하다 乙庚合은 仁義는 있으나 禮와 慈悲不足이고 虛禮虛飾이다.
③丙辛合論--威嚴之合
丙辛合은 威嚴之合이라 하고 玄天秀氣라 한다, 丙火는 辛에 死地이고 辛金은 巳火에 死地라 威嚴이라 하고 天에 黑氣가 出現하니 玄天秀氣라 한다, 丙火는 陽火라 炎盛하고 印을 克하는 辛金을 合하고 官殺로 化하니 威嚴이라 하고 人이 儀威嚴肅하고 物과 淫을 喜한다. 丙辛合은 有嚴이나 偏屈하고 冷情하다, 好色하고 奸詐하며 智明하다, 辛丙合은 身體倭小하고 性急하다, 坤命은 容貌가 俊秀하고 聲小하고 奸巧하다.
④丁壬合論--仁壽之合
丁壬合은 夜合이고 대合인대 丙火逢卽 瞬間發展이다. 丁壬合은 淫亂之合이라 하고 蒼天秀氣라 한다, 壬은 純陰의 水라 三光不照하고 丁은 純藏之火라 丁壬은 陰合이 되여 智明하고 美麗를 好하고 多情酒色 隱密하다, 丁壬合은 木氣라 天에 靑氣가 集하니 蒼天秀氣라 한다, 小人에 親切하고 君子에는 倨慢하여 勝負心이 强하고 坤命은 邪陰奸嬌하고 淫慾이 發動한다. 老人은 少妻合이요 少女는 老夫相逢한다, 先凶卽 後吉하고 先吉卽 後賤하다, 丁壬合은 嫉妬心이 强하고 壬丁合은 無信이요 偏屈性이다.
⑤戊癸合論--無情之合
戊癸合은 無情之合이라 하고 丹天秀氣라 한다 戊土는 老陽之土요 癸水는 老婦다, 戊土는 天干陽의 終數이고 癸水는 天干陰의 終數로 나이 많은 男女가 만나 無情이라 하며 戊癸合은 火로 化하니 天에 赤氣가 生하므로 丹天秀氣라 하고 乾命에 少婦를 合하여도 無情하다, 戊癸合하여 嬌態롭고 醜하며 男子는 少婦를 合하고 女子는 少男을 合한다. 癸水가 戊土를 合하면 形容이 古朴하고 乾命은 老婦合하고 坤命도 老夫相逢한다, 戊癸合은 男女間에 奢侈한다, 癸戊合은 愚昧하고 嫉妬心이고 有始無終이다.
2.天干合 地支合會 刑沖破害 조사하기와 감정해설
(1)天干合
①甲己合
土局의 吉凶점검과 감정해설---中正之合
②乙庚合
金局의 吉凶점검과 감정해설---仁義之合
③丙辛合
水局의 吉凶점검과 감정해설---威嚴之合
④丁壬合
木局의 吉凶점검과 감정해설---仁壽之合
⑤戊癸合
火局의 吉凶점검과 감정해설---無情之合
(2)地支
三合 會局
①申子辰--水局형성 ②巳酉丑--金局형성 ③寅午戌--火局형성
④亥卯未--木局형성
(3)地支 六合
①子丑--土氣
②巳酉丑--金局형성 ③寅亥--木氣 ④卯戌--火氣 ⑤辰酉--金氣 ⑥午未--불변
(4)刑沖破害[상극--충돌--파산--해악]
①刑--형벌의
상극운을 나타낸다.
寅巳--刑, 巳申--刑,
寅申--刑, 以上은 持勢之刑
寅巳申
丑戌--刑, 未戌--刑,
丑未--刑, 以上은 無禮之刑
丑戌未
卯子--刑, 子卯--刑,
以上은 子卯 無恩之刑
②自刑--辰⇔辰, 午⇔午, 酉⇔酉, 亥⇔亥
▲三刑과
自刑 도표 정리---삼형살은 地支 3자가 모여서 상호 충돌하여 발생하고 3자 모두가
있으면 3형살, 2자만 있으면 6형, 혹은 형살리라고 한다. 삼형살은 상충과 비슷하나
상추은 짧은 시간의 단기적 충격이나 3형은 끈질기게 장기적으로 흉살이나 나쁜 운이
발생하는 것이다. 상충보다 불운이나 재앙의 정도가 심하다.
寅巳申 三刑 |
持勢之刑 |
寅巳 |
巳申 |
寅申 |
丑戌未 三刑 |
無禮之刑 |
丑戌 |
丑未 |
未戌 |
子卯--刑 |
無恩之刑 |
子卯 |
卯子 |
|
辰午酉亥 自刑 |
辰⇔辰 |
午⇔午 |
酉⇔酉 |
亥⇔亥 |
⊙持勢之刑은
자신의 힘을 과신하는 과대망상이나 유아독존의 좌충우돌로 나아가다 실패나 악수를
저지르는 것이다.
⊙無禮之刑은 예의범절이 없고 성질이 불온하거나 반골기질을
가진 한풀이의 저항적인 기질이다. 타인에게 편안하거나 따뜻한 분위기의 친절성이
없어서 붙임성이 가지 않는 차가운 성격이거나 냉혹한 사람이다. 항상 자신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고 타인을 이용하여 자신의 욕심을 채우려 한다.
⊙無恩之刑은 '은혜를
원수로 갚는 사람'이나 '물에 빠진 사람 건져 놓으니 보따리 내놓으라'하는 경우처럼
남에게 받기만 하고 베풀기를 꺼려하는 사람이다.
⊙自刑은 지나친 强旺을 나타내어
자기의 능력과 분수를 넘어 유아독존의 고집을 피우다 스스로 자멸하는 것이다. 이것은
성격이 옹졸하고 성장발달이 순탄치 못하고 세상을 물정을 잘 몰라 스스로 기고만장하거나,
불안정의 정서결함과 도착 일탈 강박관념에 사로잡혀서, 난폭한 성질이 잠재되어
있다가 평소의 열등감이 어떤 자극을 받으면 순간적으로 불평불만이 표출하거나
돌발적 파괴운동을 하는 경우이다. 스스로 독립하는 자주정신이 약하고 매사에 끈기가
없어 쓸데없이 자기 주장을 하고 자기의 비관된 처지를 남의 탓으로 돌리며 주위에
불안감을 조성한다. 필요없이 난폭한 기질을 보여 가족이나 주위사람에게 기피증을
안겨주는 불안정한 성격이다. 평소에는 잘 나타나지 않다가 순간적인 흥분을 하여
남을 괴롭히는 대인기피증을 유발한다. 자형은 본원적 운명의 성패보다는 후천적
길흉화복의 정도를 표시한다.
③沖--충돌의 갈등운
子午沖,
丑未沖, 寅申沖,
卯酉沖, 辰戌沖, 巳亥沖
④破--파산이나 멸망의 쇠운
子⇔酉破,
丑⇔辰破, 寅⇔亥破, 卯⇔午破,
巳⇔申破, 戌⇔未破
⑤害(地支六害-or
穿:천))--해악이나
손해의 損財數
子未害, 丑午害,
寅巳害, 卯辰害,
申亥害, 卯戌害
3.육신의 사상과 통변에 대한 인물분석 심층해석
(1) 육신의 사상(思想) 사주감정 인생판단
六神순환의 상생상극표
◎양인(羊刃)은 12운성 건록의 앞자리와 뒷자리에 있다. 12운에서 陽干은 順行하고
陰干은 逆行한다. 고로 양간건록의 뒷자리와 음간건록의 앞자리가 양인이다. 양간
양인은 제왕이고, 음간 양인은 건록에 해당한다. 양인은 內剛外柔한 성격에 活潑果斷한
처신을 하나 자비심이 적은 편이다.
★四吉神--正財,正官,印綬,食神이요 }
四凶神--偏官의 七殺, 傷官,
偏印의 梟神, 劫財의 羊刃
(2)육신의 길흉신살과 상생상극 순환운용법의 판세분석
★육신의 상생상극 관계
①日干이 生한 것은 일간을 克하는 것을 克한다(이긴다).
일간이
生한 식신 상관은 일간을 克하는 편관 정관을 극하여 이긴다.
②日干이 生한 것이 일간을 生하는 것한테 克함을 받는다.
日干이
生한 식신 상관은 일간을 낳고 생하는 편인 인수한테 克함을 받는다.
③日干이 克하는 것일지라도 일간을 生하는 것을 克한다.
日干이
克하는 편재 정재일지라도 일간을 생하는 편인 인수를 克한다.
④日干을 克하는 것일지라도 일간이 生하는 것 한테 克함을 당한다.
日干을 克하는 편관 정관일지라도 일간이 生한 식신 상관한테는
克함을 당한다.
★육신의 음양 상응관계 파악하기
①비견(比肩)은
일간과
오행이 동일하고 음양이 같은 것
②겁재(劫財)는 일간과
오행이 동일하고 음양이 다른 것
③식신(食神)은 일간이
생산하는 것으로 음양이 동일한 것
④상관(傷官)은 일간이
생산하는 것으로 음양이 다른 것
⑤편재(偏財)는 일간이
극복하는 것으로 음양이 동일한 것
⑥정재(正財)는 일간이
극복하는 것으로 음양이 다른 것
⑦편관(偏官)은 일간을
상극하는 것으로 음양이 동일한 것
⑧칠살(正官)은 일간을
상극하는 것으로 음양이 다른 것
⑨편인(偏印)은 일간을
생산하는 것으로 음양이 동일한 것
⑩인수(印綬)은 일간을
생산하는 것으로 음양이 다른 것
(3)육신의 길흉신살과 조견표
①天干 六神 通變 조견표
일간 > |
天干 六神 通變 조견표 | |||||||||
육신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比肩(비견)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劫財(겁재) |
乙 |
甲 |
丁 |
丙 |
己 |
戊 |
辛 |
庚 |
癸 |
壬 |
食神(식신)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甲 |
乙 |
傷官(상관) |
丁 |
丙 |
己 |
戊 |
辛 |
庚 |
癸 |
壬 |
乙 |
甲 |
偏財(편재)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甲 |
乙 |
丙 |
丁 |
正財(정재) |
己 |
戊 |
辛 |
庚 |
癸 |
壬 |
乙 |
甲 |
丁 |
丙 |
偏官(편관) |
庚 |
辛 |
壬 |
癸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正官(정관) |
辛 |
庚 |
癸 |
壬 |
乙 |
甲 |
丁 |
丙 |
己 |
戊 |
偏印(편인) |
壬 |
癸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印綬(인수) |
癸 |
壬 |
乙 |
甲 |
丁 |
丙 |
己 |
戊 |
辛 |
庚 |
②地支 六神 通變 종합 조견표
|
地支 六神 通變 조견표 | |||||||||
地支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子 |
印綬 |
偏印 |
正官 |
偏官 |
正財 |
偏財 |
傷官 |
食神 |
劫財(羊忍) |
比肩 |
丑 |
正財 |
偏財 |
傷官 |
食神 |
劫財 |
比肩 |
印綬 |
偏印 |
正官 |
偏官(羊忍) |
寅 |
比肩 |
劫財 |
偏印 |
印綬 |
偏官 |
正官 |
偏財 |
正財 |
食神 |
傷官 |
卯 |
劫財(羊忍) |
比肩 |
印綬 |
偏印 |
正官 |
偏官 |
正財 |
偏財 |
傷官 |
食神 |
辰 |
偏財 |
正財(羊忍) |
食神 |
傷官 |
比肩 |
겁재 |
偏印 |
印綬 |
偏官 |
正官 |
巳 |
食神 |
傷官 |
比肩(羊忍) |
劫財 |
偏印 |
印綬 |
偏官 |
正官 |
偏財 |
正財 |
午 |
傷官 |
食神 |
劫財 |
比肩 |
印綬(羊忍) |
偏印 |
正官 |
偏官 |
正財 |
偏財 |
未 |
正財 |
偏財 |
傷官 |
食神(羊忍) |
劫財 |
比肩(羊忍) |
印綬 |
偏印 |
正官 |
偏官 |
申 |
偏官 |
正官 |
偏財 |
正財 |
食神 |
傷官 |
比肩 |
劫財 |
偏印 |
印綬 |
酉 |
正官 |
偏官 |
正財 |
偏財 |
傷官 |
食神 |
劫財(羊忍) |
比肩 |
印綬 |
偏印 |
戌 |
偏財 |
正財 |
食神 |
傷官 |
比肩 |
劫財 |
偏印 |
印綬(羊忍) |
偏官 |
正官 |
亥 |
偏印 |
印綬 |
偏官 |
正官 |
偏財 |
正財 |
食神 |
傷官 |
比肩 |
劫財 |
③天干 地支 六神 通變 종합 조견표)
일간 > |
天干 地支 六神 通變 종합 조견표) | |||||||||
육신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比肩(비견) |
甲 寅 |
乙 卯 |
丙 巳 |
丁 午 |
戊戌辰 |
己未丑 |
庚 申 |
辛 酉 |
壬 亥 |
癸 子 |
劫財(겁재) |
乙 卯 |
甲 寅 |
丁 午 |
丙 巳 |
己丑未 |
戊戌辰 |
辛 酉 |
庚 申 |
癸 子 |
壬 亥 |
食神(식신) |
丙 巳 |
丁午 |
戊戌辰 |
己未丑 |
庚 申 |
辛 酉 |
壬 亥 |
癸 子 |
甲 寅 |
乙 卯 |
傷官(상관) |
丁 午 |
丙 巳 |
己丑未 |
戊辰戌 |
辛 酉 |
庚 申 |
癸 子 |
壬 亥 |
乙 卯 |
甲 寅 |
偏財(편재) |
戊辰戌 |
己丑未 |
庚 申 |
辛 酉 |
壬 亥 |
癸 子 |
甲 寅 |
乙卯 |
丙 巳 |
丁 午 |
正財(정재) |
己丑未 |
戊辰戌 |
辛 酉 |
庚 申 |
癸 子 |
壬 亥 |
乙 卯 |
甲 寅 |
丁 午 |
丙 巳 |
偏官(편관) |
庚 申 |
辛 酉 |
壬 亥 |
癸 子 |
甲 寅 |
乙 卯 |
丙 巳 |
丁 午 |
戊辰戌 |
己丑未 |
正官(정관) |
辛 酉 |
庚 申 |
癸 子 |
壬 亥 |
乙 卯 |
甲 寅 |
丁午 |
丙巳 |
己丑未 |
戊辰戌 |
偏印(편인) |
壬 亥 |
癸 子 |
甲 寅 |
乙 卯 |
丙 巳 |
丁 午 |
戊辰戌 |
己 丑未 |
庚 申 |
辛 酉 |
印綬(인수) |
癸 子 |
壬 亥 |
乙 卯 |
甲 寅 |
丁 午 |
丙 巳 |
己丑未 |
戊 辰戌 |
辛 酉 |
庚 申 |
양인(羊忍)은 12운성 건록의 앞과 뒤에 있다. 12운에서 양간은 순행하고 음간은 역행한다.
고로 양간 건록의 뒷자리와 음간 건록의 앞자리가 양인에 해당한다. 양인의 운세는 수양이 전투적 자세로 돌진하는 기세를 비유하니 건록의 녹을 받기 전과 받은 후에 사람의 운세가 강력하게 발휘되는 것을 상징한다.
(4)육신의 성격 성질에 의한 진로개척과 직업선택의
방향
①비견(比肩)
⊙비견의
성격은 분리이별의 운명, 투쟁이나 소송 경쟁의 운수가 많고 고집이 세며 실패 성공이든
자기가 생각하는 방안으로 밀고 가는 독선적 기질이 강하다. 비견이
(比肩)은 독립과단성의 셩격이 농후하다.
⊙비견이 많으면 경쟁적 독립사업에
적합하다. 학력이나 지식이 많으면 변호사, 계리사, 세무사, 의사, 기자 등의 자유업에
유리하고 기술자, 금융보험 소개업에도 진출한다.
②겁재(劫財)
⊙대체로
비견과 비숫하고 투쟁심과 공격적 성격이 강한 凶星으로 자라난 환경이 고독하고
고생을 많이 한 사람에 많다. 혼자서 책임지고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사업에 성공운이
강하고 공동사업을 하면 갈등이나 분쟁이 자주 일어난다.
③식신(食神)
⊙식신은
성격이 완만하고 성질은 온후 명랑하며 남녀 호색의 기질이 있고 외견상 사람이 좋아
보인다. 신체가 豊肥하든지 마음 씀씀이가 푸근하다. 수양이 된 사람이면 인덕이
있어 남에게 베풀기 좋하하고 동정심이 많다.
⊙의식주 家産 遺業을 이어받아
부자가 되든지 노후 俸祿등의 유산 퇴직금 등이 많은 吉星이다.
⊙食身生財格은
실업가, 기타 식신격은 교육계 학계 진출이 유망하다.
⊙중하위 식신격은 요리
周旋업, 유통 물류 산업, 봉급생활 회사원으로 진출한다.
④상관(傷官)
⊙상관은
성질이 교만 방자하고 자기자랑을 잘하며 남을 무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것은 본성에
그런 징후가 많다는 것이고 후천적 수양을 하든지 교양이 쌓이면 그런 징후는 감소된다.
⊙일생에 진로의 방해 惡手의 再演이 많고 경쟁적이거나 소송 반대에 부딪혀
자기가 바라던 일이 좌절되는 수가 많다.
⊙교사 학자 변호사 계리사 인기 연예
흥행업 진출 등 각종 경쟁적 업무에 재능이 있다. 財星이 있으면 무역 물류 유통
상업 등에 성공하고 官殺이 있으면 偏業(의사 한의사 약사 철학가 점술 무당 박수
중개업)에도 유망하다.
⑤편재(偏財)
⊙청렴결백성이
있고 호방하고 대인적 풍모가 있다. 돈을 잘 벌고 잘 쓴다.
⊙고독한 특수 직업에
운수가 있고 해외무역 전당포 고물상 청소대행업에 진출한다.
⊙일반적
상업이나 출입이 많은 유통 상업 청부업 중개업 금융보험업에 유리하다.
⑥정재(正財)
⊙얼굴이
인자하거나 준수하게 잘 생기고 이목구비가 반듯하다.
⊙상업
공업에 재주가 있으나 모험 투기업은 삼가라. 日柱가 약할 때는 금융계 회사원의
봉급생활이 적합하고 財星이 약하면 공업계가 유리하고 일주를 중심한 사주운세가
극히 약하면 외교원 세일즈맨이 진출하면 무난하다.
⊙사주 운세가 강하면
재산을 크게 모으고 명예도 얻으며 사업이 흥왕하여 복록이 풍성하여 국가적 인물로
뻗어난다.
⑦편관(偏官)
⊙성격이
올 곧으며 정의감과 의협심이 풍부하고 매사에 앞장서나 자기의 분수에 넘쳐 낭패를
당하는 수가 있다.
⊙상업 청부업 조선업 건축업 등 복잡한 대인관계를 잘 처리하는
융통성과 수완이 있다. 무관 사법관 등의 권력의 자리에 앉으며 성격이 한 쪽으로
편협하게 치우치면 협잡성이나 강열 횡포 독재 고독성이 표출된다.
⊙고독하고
외로운 영웅별의 凶星이나 吉星이 협조하면 대귀 대부하거나 일세를 풍미할 두령이나
지도자가 된다.
⑧정관(正官)
⊙인품이
단정하고 지혜를 타고 났으며 남다른 특기나 재주를 가진 사람이 많다. 불쌍한 사람을
진정으로 동정하는 자비심을 가졌다. 교양과 덕목을 갖추면 종교인이나 덕망가가
될 자질이 다분하다.
⊙정직과 성실을 요구하는 직업분야인 교육계나 행정사무직
평가 감정원으로 진출한다. 국공립 공무원 관리직에 진출할 가망이 많고 가계나 단체의
정통법통울 이을 운수이다. 官殺이 過多하면 사람을 다루는 직업보다 물건이나 기술을
다루는 기술직이나 연구직이 적합하다.
⊙정관이 좋은 대운을 만나거나 가정환경의
뒷받침이 있는 사람은 큰 시험에 합격하여 국가적 인물이 될 운이 있다.
⑨편인(偏印)
⊙호기심이
많고 다재다능한 처세술이 뛰어난 사람이 많다. 대인관계에 융통성이 있어 다방면에
상담 외교술이 능하다.
⊙자기고집이나 괴퍅한 기질이 숨어 있고 이별
고독 파괴의 흉운을 몰고 오기도 한다. 남자는 色難을 겪고 여자는 佳人薄命의 경우가
있어 자기절제나 깊은 철리를 깨닫는 신앙심이 없으면 타고난 福과 壽를 해칠 우려가
있다.
⊙직업의 진출 방향은 기술자 기자 평론가 技藝를 다루는 占福術에
재능이 있으며 의사 의료업 운명철학가로도 유망하다.
⑩인수(印綬)
⊙온후독실하고
인품과 처세에 위엄과 권위가 서려있다. 내유외강으로 총명과 지혜가 있어 仁義之像을
갖춘 도덕군자의 풍모가 있다.
⊙학술이나 예능이 능숙하여 교육가 학자
자선사업가로 활동하며 지식과 대인처세를 이용한 생산업무에 종사한다.
⊙다방면의
사회적 활동에 명성이 있고 교육 예술 문화 종교분야에 종합적으로 유능한 능력을
갖고 있다.
(5)육신의 통변에 관한 내면적 심층해석
①비견(比肩)은
比較되는 상대적 존재이니 경쟁자에 해당하는 형제간이나 수족관계로 경쟁하면서
협조하는 존재이다.
②겁재(劫財)는
劫 또는 刃이라하고 義형제 星이라 한다.
③식신(食神)은 음식조리를 담당하고
壽星 制神 進神 漏氣神이라 한다.
④상관(傷官)은 破傷 破官星 박탈관성(剝奪官星)
漏氣神이라 한다.
⑤편재(偏財)는 天財 浮財 天馬라고 한다.
⑥정재(正財)는
正馬 妻星 최관성(催官星)이라고 한다. ※催:핍박할 최, 재촉할 최
⑦편관(偏官)은
七殺 敵星 孤極星이라고 한다.
⑧정관(正官)은 官貴星 權星 祿星이라고 한다.
⑨편인(偏印)은
倒食 효신(梟神) 呑陷殺 退神이라고 한다.
⑩인수(印綬)는 正印 爵星 魁星 文星이라고
한다.
★ 四吉神은 財 官 印 食이고 四凶神은 殺 傷 梟 刃이다.
A.육신으로 대변되는 육친관계
①比肩劫財(비견겁재)남>兄弟(형제자매)친구 동서 며느리 (女命에)>형제
동료 동서 시아버지
②食神傷官(식신상관)남>祖母(할머니) 丈母(장모) 조카 제자 손자 손녀 外祖父(외조부) (女命에>자식 조카 제자
③正財偏財(정재편재)남>아버지 숙부 고모 妻妾(처첩) 兄 弟嫂(형수제수) (女命에>媤母(시어미) 父親 叔父 孫子女(손자 손녀)
④正官偏官(정관편관)남>자식 조카 外祖母(외조모) 妹夫(매부매제) (女命에>男便 愛人 媤 同氣間 며느리
⑤正印偏印(정인편인)남>조부 모친 모친형제들 숙모 장인 외손자여 (女命에>어머니 모친형제들 숙모 손자 손자손녀 사위
B.육신의
성질과 격국(格局)
(6)육신의 사상思想에 따른 운명학적 성격이나 개성적 특징에 대한 해설
4.포태법(胞胎法)의 운세기복과
성정에 대한 해설
(1)12運星 포태법 조견표[胞胎法 早見表]
12運10干 | 絶 |
胎 |
養 |
長生 |
沐浴 |
冠帶 |
建祿 |
宰旺 |
衰 |
病 |
死 |
墓 |
甲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乙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丙戊 |
亥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丁己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庚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辛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壬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寅 |
卯 |
辰 |
癸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日干에서 各支로 대조하고 혹은 다른 干에서
各支를 대조하여 12성운을 배정한다.
四旺∼長生
冠帶 建祿 宰旺
四平∼沐浴
墓 胎 養
四衰∼衰
病 死 絶
(2)포태법 십이운세 기복 성정해설
[胞胎 十二 心性解說]
生>敏捷明朗 >進取發展 病>守分守義 >嫉妬同情
浴>龍頭蛇尾 >多慾多敗
死>智明多情 >神經疾患
帶>智明活動 >統率優秀 墓>儉素吝嗇
>實利主張
祿>寬大溫厚 >多情明朗 絶>注意不足
>陰性短氣
旺>自身實踐 >世人尊敬 胎>慈悲順應
>義俠心强
衰>溫和自重 >小極勞苦 養>圓滿他利 >上敬下愛
胞胎法은 萬物의 生成變化 過程을 알 수 있으며 人間의 生老病死를 豫知할 수 잇는 것이고 職業과 事物을 分別하는데 重要한 役割을 하는 것이므로 暗記하는 것이 原則이다.胞胎의 例>壬水가 酉金 浴地에 들면 酉에서 長生된 丁火를 合하니 異姓之合이요 丁壬合(음란지합) 木氣의 生死가 결정된다, 合卽 化하고 化는 變이라 木氣가 生하면 戌에 養지요 亥에 長生하니 3개월이면 生物이 되니 母가 입태를 하게되고 寅에 祿地라 6개월이면 母胎에서 動하고(놀고) 卯에 7개월로 人이 完成되고 辰에 衰하고 巳에 病 午에 死地라 胞가 死하니 10개월로 午火에서 陰 乙木이 出生한다, (陰陽 生地는 換魂이다) 人이 出生하면 陰이나 점차 陽으로 化하고 旺卽衰하니 늙게되면 다시 陰으로 돌아간다.
[胞胎法과 物像과 性情]
絶地= 無形 分散 破産 消耗星으로 絶望과 苦痛이 따른다.
胎地= 準備始動 動心 새出發 物質配合 等으로 본다.
養地= 養育 保護 進行 企劃 可動 成長等을 意味한다.
生地= 生産 長久 長壽 確信 新品 變化等을 意味한다.
沐浴= 快樂 遊興 誘惑 精神昏迷 빠져드는 것으로 본다.
冠帶= 鋪裝 檢査 活動 벨트 等으로 推理한다.
建祿= 形象出 新商品出荷 入社活動으로 본다.
宰旺= 覇氣絶頂 最高人氣 頂上 不屈의 意志로 活動한다.
衰地= 變形 壓迫 殘疾 在庫 消化不良 活動障害 等이다.
病地= 疾病 再生 在庫整理 活動停止 投藥 等으로 본다.
死地= 殺傷 絶望 廢品 他人依賴 死物 等으로 본다.
墓地= 淸掃 廢品 處理場 保管倉庫 休息 處 拘束 等으로 본다.
<생지> 亥中 甲木생지> 核中 목(芽) 씨에서 싹이 생하는 의미
<생지> 寅中 丙火생지> 草木 생(花) 木生후 꽃이 생함
<생지> 巳中 庚金생지> 花中 생(實) 花생후 열매가 생함
<생지> 申中 壬水생지> 實中 생(核) 實생후 씨가 생함을 의미한 것이다.
(相生은 氣 相剋은 物)
相生> 冬節후 春節이요 春生후 夏節이고 夏節은 中央土
土生후
秋節생 秋生후 冬節생한다.
5.공망(空亡)의
사상적 배경 해설과 종류
(1)60갑자 공망 조견표
甲子 旬 |
乙丑 |
丙寅 |
丁卯 |
戊辰 |
己巳 |
庚午 |
辛未 |
壬申 |
癸酉 |
空亡 |
戌亥 |
甲戌 순 |
乙亥 |
丙子 |
丁丑 |
戊寅 |
己卯 |
庚辰 |
辛巳 |
壬午 |
癸未 |
空亡 |
申酉 |
甲申 순 |
乙酉 |
丙戌 |
丁亥 |
戊子 |
己丑 |
庚寅 |
辛卯 |
壬辰 |
癸巳 |
空亡 |
午未 |
甲午 순 |
乙未 |
丙申 |
丁酉 |
戊戌 |
己亥 |
庚子 |
辛丑 |
壬寅 |
癸卯 |
空亡 |
辰巳 |
甲辰 순 |
乙巳 |
丙午 |
丁未 |
戊申 |
己酉 |
庚戌 |
辛亥 |
壬子 |
癸丑 |
空亡 |
寅卯 |
甲寅 순 |
乙卯 |
丙辰 |
丁巳 |
戊午 |
己未 |
庚申 |
辛酉 |
壬戌 |
癸亥 |
空亡 |
子丑 |
(2)60갑자 納音 오행 공망 조견표
一旬 |
二旬 |
三旬 |
四旬 |
五旬 |
六旬 |
||||||
海中金 |
甲子 |
山頭火 |
甲戌 |
井泉水 |
甲申 |
沙中金 |
甲午 |
覆燈火 |
甲辰 |
大溪水 |
甲寅 |
爐中火 |
丙寅丁卯 |
潤下水 |
丙子 |
屋上土 |
丙戌 |
山下火 |
丙申 |
天河水 |
丙午 |
沙中土 |
丙辰 |
大林木 |
戊辰己巳 |
城頭土 |
戊寅 |
霹靂火 |
戊子 |
平地木 |
戊戌 |
大驛土 |
戊申 |
天上火 |
戊午 |
路傍土 |
庚午辛未 |
白蠟金 |
庚辰 |
松柏木 |
庚寅 |
壁上土 |
庚子 |
釵釧金 |
庚戌 |
栢榴木 |
庚申 |
劍矛金 |
壬申癸酉 |
楊柳水 |
壬午 |
長流水 |
壬辰 |
金泊金 |
壬寅 |
桑栢木 |
壬子 |
大海水 |
壬戌 |
空亡 |
戌亥 |
|
申酉 |
|
午未 |
|
辰巳 |
|
寅卯 |
|
子丑 |
納音空亡 |
水 |
|
無 |
|
金 |
|
水 |
|
無 |
|
金 |
(3)공망의
종류와 해설
①五行 空亡論 [五行 空亡論]
1=金이 空亡되면 有聲이라 하고 2=火가 空亡되면 淸明이라 하고 3=水가 空亡되면 淸流라 하고 4=土가 空亡되면 崩壞라 하고
5=木이 空亡되면 折木이 된다 6= 空亡은 絶處에 逢生하듯이 虛中에 有德하고 亡中有聲이라 空亡이 自旺하면 大聲應器로 四支全空則 大人貴命이다. 7= 甲子旬中에는 陽年生은 戌이 空亡이고 亥는 不空이다 甲子旬中에 陰年生은 亥가 空亡이고 戌은 不空이다. 地支가 空亡이면 天干도 空亡이 된다. 8= 日干空亡은 十惡大敗日이라 此日은 貧賤이라 한다. 9= 財와 福星이 空亡이면 散財하고 惡殺空亡은 惡殺解消된다. 10=空亡있고 生旺하면 性品이 寬大하나 虛名動搖하고나 身建多福 安逸하다. 11= 空亡에 死絶卽 平生漂流하고 虛送歲月이다. 12=寅申巳亥 四孟空亡이면 毒을 主導하고 高次元의 學文을 좋아하고 奸驕하며 術客이 많다. 13=互換空亡은 家庭風波가 많고 財敗한다. 互換 空亡의 (例) 年柱 甲子= 日柱 壬戌 [年柱로 戌 空亡 日柱로 子 空亡] 14=亡身이 空亡되면 春風浪客으로 異性多難이다. 15=健祿空亡이면 平生無財요 財輕視한다. 16=咸池桃花 六害空亡은 凶死하고 水厄이 따른다. 17=華蓋 天乙 三奇 學堂空亡은 聰明巨儒 修道人이다.
② 劫財
財星이 空亡이면 財利에 冷淡하고 蓄財에 無能하다. 재물을 모아도 쓸데가
많이 생겨 저축이 되지 않아 부자가 되기 힘들다.
③ 截路空亡
절로[截路] 空亡이란 道路가 끊겼다 하여 出入求財 交易 就職 結婚等 百事에 不吉한 것으로 時가
截路空亡이면 無子라 하고 生子면 子厄憂患이 많고 雖有富貴라도 老來에 貧困하고 孤獨之命이다,
甲己日=申酉時 天干[庚辛0]乙庚日=午未時[丙丁0] 丙辛日=辰巳時[戊己0] 丁壬日=寅卯時[甲乙] 戊癸日=戌亥時[壬癸0]
④ 各柱 六神 空亡論
1=建祿空亡은=外華虛命이고 一生目的事가 如夢이다, 2=日干空亡은=世緣이 無意하고 膝下에 憂患이 많다, 3= 時間空亡은=虛榮과 固執이고 心氣는 高次元이다, 4= 胎月空亡은=高學이나 愚昧하고 事不難成 東奔西走한다, 5= 財가 空亡이면 財利에 冷淡하고 蓄財에 無能하다, 6=官星 空亡은 名利不願하고 輕視하며 官이 대神인대 空亡되면 官을 願하나 不成한다,
7=正印이 空亡되면 學文에 障害요 他人의 援助를 不願하고 上下間에 無禮하다,
8=食神空亡은 無能하고 積極性이 不足하고 活動에 障害이다, 9=空亡된 神이 他 五行과 合하여 他神으로 變하여 忌神이 되면 意慾이 强하고 多計나 百事難成이다.
10=地支가 空亡이면
天干도 無力하다 物質이 空亡되면 氣가 强할 수 없다, 11=空亡이 三合되면 不空이다, 그러나 空亡된 地는 能力이 3分 減하고 六親關係는 三合
解空되어도 無力하다, 12=空亡도 眞空이 있는데 月令을 得하지 못한 것을 眞空이라 한다 眞空은 力量이 7分減한다, 月令을 得한 五行은 半空이라 하고
能力이 4分 減한다, 13=華蓋가 空亡되면 志高淸心이나 子緣이 稀薄하다, 14=時間이 空亡되면 子緣이 稀薄하고 生子라도 晩年孤獨하고 有志不成이다.
15=日干이 空亡되면 父母無德하고 離鄕浪客으로 淸高하나 孤獨하다,
16=印綬 空亡은 敎育學硏이고 慈善醫術 兩母다 17=食神 空亡은 宗敎藝術 辯舌에 素質이고 多産이나 生子有苦다,
18=傷官空亡은 初産에 女息이 많다, 外交 指導 學硏 英雄心이고 革新性이다,
19=官星 空亡은 官을 利用하고 小官을 輕視하고 自尊心이 極强하고 官을 願하나 不成한다, 20=偏官 空亡이면 英雄豪傑性
謀事革新이고 子孫德이 不足하다, 21=女命에 食神傷官이 空亡卽 子息愛護 文學宗敎 敎育係 進出이나 夫婦宮이 不吉하다,
(4)貧寒 空亡 [貧寒 空亡]
貧寒空亡이란 大運이 不吉하면 財物苦痛이 極甚하고 雖有富貴라도 一時財物 苦痛이 甚하고 九流業이 많다 [九流術業이란] 宗敎 藝術 技能 醫術 修道 哲學等이다. [甲己人] 土 巳午가 空亡 [乙庚人] 金寅卯가 空亡 [丙辛人]水子丑이空亡 [丁壬人]木 戌亥가空亡 [戊癸人]火申酉가 空亡이다.
(4)공망에 대한 동양 운명철학의 사상배경
空亡法은 모든 易法에서 重要하게 應用되는 것이니 參考하기 바란다.
空亡이란 十干과 十二地支가 짝이 되어 六十甲子를 이루는데 天干은 10字이고 地支는 12字라 干支가 合하고 남은 2字를 짝이 없다
하여 空亡이라 한다, 空은 虛요 亡은 無다 그러므로 有體無實이라 虛無한 것이다,
四柱內에 年月日時中에 어느 地支가 空亡에 該當하는가를 보아 祖上의 德有無 父母兄弟 德有無 夫婦宮吉凶 子孫德 有無를 살피는 것이다,
그러나 空亡된 五行이 忌神인지 喜神인지를 살펴서 運命鑑定을 하는 것으로 忌神이 空亡이면 吉로 보고 喜神이 空亡이면 凶으로 본다 空亡을 찾는 것은
日柱를 基準하는 것이지만 年柱를 基準하여 보기도 한다 四柱 年月日時가 全部 空亡이 되면 大吉命으로 富貴之命이
된다.
(5)三災
계산법
삼재가 들어오는 해 1년, 멈추는 해 1년, 나가는 해 1년 도합 3년이 걸린다.
寅午戌생 | [범 말 개]띠는 원숭이 해 부터 3년간 삼재의 시기에 해당됩니다. ⇒申酉戌年 |
申子辰생 | [원숭이 쥐 용]띠는 범띠 해부터 3년간 삼재의 시기에 해당됩니다.⇒寅卯辰年 |
巳酉丑생 | [뱀 닭 소]띠는 돼지해부터 3년간 삼재의 시기에 해당됩니다.⇒亥子丑年 |
亥卯未생 | [돼지 토끼 양]띠는 뱀띠 해부터 3년간 삼재의 시기에 해당됩니다.⇒巳午未年 |
즉, 삼재(三災)의 시기에는 창업이나, 사업투자를 해도 자금회전이 잘 안되며, 금전거래나, 직업변동, 건축, 이사, 장거리여행, 등 큰 大事를 앞두고는 운(運)이 잘 풀리지 않으며 가정생활과 사업현장 사회적 불경기 국가적 재난이 닥쳐 영업이 잘 풀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三災가 들기 전에 열심히 노력하여 三災의 기간 동안에는 현상유지에 힘쓰고 사업의 확장이나 개업은 삼가야 한다. 그러나 고대의 경제구조와 현대의 경제유통망이 완전히 다르므로 꼭 삼재의 시기라고 실패하거나 불운만 닥치는 것이 아니고 본인의 각오와 위기극복의 준비상태에 따라 다소 휴식을 통한 현상유지에 중점을 두신다면 三災의 시기 또한 무난하게 잘 극복할수 있습니다. |
제3장:사주감정의 심층해석을 위한 각종 길흉신살론
1.일간에서 대조하여 보는 십간 신살(神殺)
▼神殺 |
天干 神殺표 |
||||||||||
日干 에서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
洋刃 |
卯 |
辰 |
午 |
未 |
午 |
未 |
酉 |
戌 |
子 |
丑 |
|
飛刃 |
酉 |
戌 |
子 |
丑 |
子 |
丑 |
卯 |
辰 |
午 |
未 |
|
暗祿 |
亥 |
戌 |
申 |
未 |
申 |
未 |
巳 |
辰 |
寅 |
丑 |
|
金與祿 |
辰 |
巳 |
未 |
申 |
未 |
申 |
戌 |
亥 |
亥 |
寅 |
|
官祿 |
寅 |
卯 |
巳 |
午 |
巳 |
午 |
申 |
酉 |
|
子 |
|
名位祿 |
丙 寅 |
丁 卯 |
|
|
|
|
壬 午 |
癸 酉 |
|
|
|
時祿 |
亥 |
戌 |
申 |
未 |
申 |
未 |
巳 |
辰 |
寅 |
丑 |
|
紅艶 |
午 |
申午 |
寅 |
未 |
辰 |
辰 |
戌申 |
酉 |
子 |
申 |
|
夾祿 |
丑 卯 |
寅 辰 |
辰 午 |
巳 未 |
辰 午 |
巳 未 |
未 酉 |
申 戌 |
戌 子 |
亥 丑 |
|
太極貴神 |
子 午 |
子 午 |
卯 酉 |
卯 酉 |
辰 戌 |
辰 戌 |
寅 亥 |
寅 亥 |
巳 申 |
巳 申 |
|
天乙貴神 |
陽貴 |
未 |
申 |
酉 |
亥 |
丑 |
子 |
丑 |
寅 |
卯 |
巳 |
陰貴 |
丑 |
子 |
亥 |
酉 |
未 |
申 |
未 |
午 |
巳 |
卯 |
|
福星貴神 |
寅 |
丑 亥 |
子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
天廚貴神 |
巳 |
午 |
子 |
巳 |
午 |
申 |
寅 |
午 |
酉 |
亥 |
|
天福貴神 |
酉 |
申 |
子 |
亥 |
卯 |
寅 |
午 |
巳 |
丑 未 |
辰 戌 |
|
天官貴神 |
未 |
辰 |
巳 |
寅 |
卯 |
戌 |
亥 |
申 |
酉 |
午 |
|
文昌貴神 |
巳 |
午 |
申 |
酉 |
申 |
酉 |
亥 |
子 |
寅 |
卯 |
|
節度貴神 |
巳 |
未 |
巳 |
未 |
巳 |
未 |
亥 |
丑 |
亥 |
丑 |
|
流霞객사 사망 |
酉 |
戌 |
未 |
申 |
巳 |
午 |
辰 |
卯 |
亥 |
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魁강살은 연월일시에 庚辰, 壬辰,戊戌, 庚戌이 있으면 해당된다. |
★일간에서 추가로 대조하여 다른 柱의 천간 지지 신살표
▼神殺 |
天干 神殺표 |
|||||||||
日干 에서 月支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旺刃은 사법관의 사주 |
卯 |
寅 |
午 |
巳 |
午 |
巳 |
酉 |
申 |
子 |
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日干 에서 日支나 時支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福星 |
寅 |
亥,丑 |
戌,子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년지에서 보는 고신(孤神) 과숙(寡宿) 원진(元辰)
년지기준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孤神 |
寅 |
寅 |
巳 |
巳 |
巳 |
申 |
申 |
申 |
亥 |
亥 |
亥 |
寅 |
寡宿 |
戌 |
戌 |
丑 |
丑 |
丑 |
辰 |
辰 |
辰 |
未 |
未 |
未 |
戌 |
元辰(男) |
未 |
午 |
酉 |
申 |
亥 |
戌 |
丑 |
子 |
卯 |
寅 |
巳 |
辰 |
元辰(女) |
巳 |
申 |
未 |
戌 |
酉 |
子 |
亥 |
寅 |
丑 |
辰 |
卯 |
午 |
3.월지에서 보는 길신표(吉申表)
月支기준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天德貴人 |
巳 |
庚 |
丁 |
申 |
壬 |
辛 |
亥 |
甲 |
癸 |
寅 |
丙 |
乙 |
月德貴人 |
壬 |
庚 |
丙 |
甲 |
壬 |
庚 |
丙 |
甲 |
壬 |
庚 |
丙 |
甲 |
天德合 |
申 |
乙 |
壬 |
巳 |
丁 |
丙 |
寅 |
己 |
戊 |
亥 |
辛 |
庚 |
月德合 |
丁 |
乙 |
辛 |
巳 |
丁 |
乙 |
辛 |
己 |
丁 |
乙 |
辛 |
己 |
華蓋 |
辰 |
丑 |
戌 |
未 |
辰 |
丑 |
戌 |
未 |
辰 |
丑 |
戌 |
未 |
4. 日支 및 年支 대조하는 신살표(神殺表)
日支年支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驛馬 |
寅 |
亥 |
申 |
巳 |
寅 |
亥 |
申 |
巳 |
寅 |
亥 |
申 |
巳 |
桃花咸池 |
酉 |
午 |
卯 |
子 |
酉 |
午 |
卯 |
子 |
酉 |
午 |
卯 |
子 |
月殺 |
戌 |
未 |
辰 |
丑1 |
戌 |
未 |
辰 |
丑 |
戌 |
未 |
辰 |
丑 |
亡神 |
亥 |
申 |
巳 |
寅 |
亥 |
申 |
巳 |
寅 |
亥 |
申 |
巳 |
寅 |
將星 |
子 |
酉 |
午 |
卯 |
子 |
酉 |
午 |
卯 |
子 |
酉 |
午 |
卯 |
攀鞍 |
丑 |
戌 |
未 |
辰 |
丑 |
戌 |
未 |
辰 |
丑 |
戌 |
未 |
辰 |
天殺 |
未 |
辰 |
丑 |
戌 |
未 |
辰 |
丑 |
戌 |
未 |
辰 |
丑 |
戌 |
地殺 |
申 |
巳 |
寅 |
亥 |
申 |
巳 |
寅 |
亥 |
申 |
巳 |
寅 |
亥 |
災殺 |
午 |
卯 |
亥 |
酉 |
午 |
卯 |
子 |
酉 |
午 |
卯 |
子 |
酉 |
劫殺 |
巳 |
寅 |
亥 |
申 |
巳 |
寅 |
亥 |
申 |
巳 |
寅 |
亥 |
申 |
喪門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弔客 |
戌 |
亥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血刃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
|
|
|
|
|
|
|
|
|
|
|
|
★喪門은 격각살로 허송세월을 보내는 별로 일지를 기준으로
보나 月支에서도 본다. |
||||||||||||
|
日支에서 대조하는 신살표(神殺表)
日支에서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將星 |
子 |
酉 |
午 |
卯 |
子 |
酉 |
午 |
卯 |
子 |
酉 |
午 |
卯 |
華蓋 |
辰 |
丑 |
戌 |
未 |
辰 |
丑 |
戌 |
未 |
辰 |
丑 |
戌 |
未 |
5. 六合 三合 刑 沖 害 破 合 干合 會局 조견표
年支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三合會局 |
天干合 |
子 |
|
合 |
|
刑 |
三合半會 |
|
沖 |
害 |
三合 |
破 |
|
|
亥卯未 |
甲己土 |
丑 |
合 |
|
|
|
破 |
三合 |
|
|
|
三合 |
|
|
||
寅 |
|
|
|
|
|
刑 害 |
三合半會 |
|
沖 |
|
三合 |
合破 |
乙庚金 |
|
卯 |
刑 |
破 |
|
|
害 |
|
破 |
三合 |
|
沖 |
合 |
三合 |
寅午戌 |
|
辰 |
三合半會 |
破 |
|
害 |
刑 |
|
|
|
三合 |
合 |
沖 |
|
丙辛水 |
|
巳 |
|
三合 |
刑害 |
|
|
|
|
|
合刑破 |
三合 |
|
沖 |
||
午 |
沖 |
害 |
三合半會 |
破 |
|
|
刑 |
合 |
|
|
三合半會 |
|
巳酉丑 |
丁壬木 |
未 |
害 |
刑 沖 |
|
三合半會 |
|
|
合 |
|
|
|
刑破 |
三合 |
||
申 |
三合半會 |
|
刑沖 |
|
三合 |
合刑破 |
|
|
|
|
|
害 |
戊癸火 |
|
酉 |
破 |
三合半會 |
|
沖 |
合 |
三合 |
|
|
|
刑 |
害 |
|
申子辰 |
|
戌 |
|
刑 |
三合 |
合 |
沖 |
|
三合半會 |
刑破 |
|
害 |
|
|
|
|
亥 |
|
|
合破 |
三合半會 |
|
沖 |
|
三合 |
害 |
|
|
刑 |
|
제4장:12 地支의 종류와 특성에 대한 인물 비유론
|
|
|
|
|||||||||||
Rat |
Cow |
Tiger |
Rabbit |
Dragon |
Snake |
Horse |
Sheep |
Monkey |
Hen |
Dog |
Pig |
1.地支의
동물형에 따른 인물 비유론
[十二 地支特性 說明 論]
①子=[晝讀.夜勤.光明忌 暗室喜 春夏秋節出入. 冬節入庫 非活動]:쥐는 낯에는
학업에 열중하고 밤에는 일을 한다. 밝은 곳을 싫어하고 어두운 곳을 좋아하며 봄 여름 가을철에 활동을 많이하고 겨울철에 활동을
자재한다.
②丑=[體肥大 行動遲 沈黙 口不休 勤勉 好食하고 順從형이다]:소는 신체는
비대하고 행동은 더디며 침묵형이며 입은 항시 쉬지 않고 "부지런하며 음식 먹기를 좋아한고 주인에게 순종하는
편이다.
③寅=[權威堂堂 晝讀 夜耕性 夜行好 鷄鳴 空山隱居]:호랑이는 권위가 당당하며 낯에는 독서하고 밤에는 먹이를 구한다. 밤에 활동을
많이 하고 닭이 울면 활동을 자재하고 산중에 숨어 산다.
④卯=[通行陽地 好高登走喜 下行苦 好食 實 藥草]:토끼는 밝고 따뜻한 곳으로 다니며 높은 곳으로 달리기를 좋아하며
낮은 곳으로 달리는 것을 고통스러워하고 음식은 과일이나 약초를 즐겨 먹는다.
⑤辰=[實體難見 像想動物 潛水飛天 好雲雨 變化無窮 大海大澤之像]:용은 실체를 보기 어려운
상상속의 동물이다 잠수하고 하늘로 오르며 비와 구름을 좋아하고
변화가 무궁하며 큰 바다와 큰 호수를 상징한다.
⑥巳=[舌輕 無足能走曲 無言食 夏秋氣强 性交長時 圓形眠]:뱀은 혀를 가볍게 놀리고 다리는
없으나 꾸불꾸불 잘 달리고 "소리없이 음식을 먹고 여름과 가을에 "기가 강하고 성교를 장시간하며
잠잘 때 둥글게 감고 잔다.
⑦午=[出外 好競走 夜行恐 交尾特技 性器特大 在家愁心]:말은 외출하고 달리기를 좋아하며 밤에 다니는 것을 두려워 하고
이성교미에 특기가 있으며 성기는 특별하게 크고 집안에 있으면 수심이 따른다.
⑧未=[柔順固執 百草好食 輕薄性 最畏旺水 前引不從]:양은 유순하지만 고집스럽고 풀은 가리지 않고 먹으며 경박한 성품에 "많은
물을 가장 두려워하고 앞에서 끌면 따르지 않는 특성이 있다.
⑨申=[利己獨食 才藝出衆 孤獨性 高等樹木 放浪者 獨走往來]:원숭이는 자기자신 많을 위하고 음식 나눠 먹기를 싫어하고
예능재주가 출중하며 고독한 성품에 높은 나무에 오르기를 좋아하고 방랑자 기질에 혼자왕래한다.
⑨酉=[口尖 散食 冠爪兼備 短性交 兩足飛上 丑時鷄鳴]:닭은 입이 뾰족하고 음식을 흩어 버리며 먹고 발톱과 벼슬이 있으며
성교시간이 짧으며 두 다리로 날아 오르고 축시에 울어 날이 밝음을 알려준다.
⑪戌=[主客能知 家門守盜 要口溫 狩獵知能 性交長 不恥]:개는 주인과 객을 구분할 줄 알고 집 문 앞에서 도적을 지키고
입이 따뜻한 것을 좋아하고 수렵에 능하고 성교를 오래하며 부끄러운 것을 모른다.
⑫亥=[好食性 不擇甘苦 飢食大聲 大食過慾 飽滿休息]:돼지는 먹기를 좋아하고 달고 쓴 것을 가리지 않고 배가 고프면 큰
소리를 지르고 지나치게 음식욕심을 부리고 배가 부르면 평안하게 휴식한다.
[地支特性
說明 子丑]
[子水 論]
쥐띠의 성격과
기질: 지상의
차가운 기운이 지하의 따뜻한 열기를 동반하여 비로소 1양이 생하는 동지의 계절을형성한다 고로 불굴의 투지력과 새 출발의 기상이 있으니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 독특한 개성과 야성미를 발휘하는 반면 교만한 성격과 타인을 업신여기는 습성을 수반하게 되고 이중 인격의 소유자가
많은 반면 여름철에 태어나면 근면성실하고 기지를 발휘하여 자식 번성에 힘을 쓰나 겨울철에 출생하면 활동에 장애요 쾌락과 낙천성으로
흐르기 쉽다,
직업성분: 전 후가 다른 동물이라 일사에 전염하기 어려우며 수차 직업을 바꾸게 되는데 본인의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여 근면성실하게
장기간 유지하면 대부분 성공할 확률은 높다, 쥐의 성품은 깎고 다듬고 입을 쉬는 시간이 별로 없으니 어학 아나운서 법률 교육자 출판업 조각가
비밀직업 음양학자 야간업 음식업 밀매업 등과 인연이 있다, <부부인연>여름철 태어나면 소띠 양띠 용띠 원숭이 겨울철 생은 말띠 뱀띠
4.5.6.9월 생이 좋다.
子는 지극히 습하고 찬 것이며 음기가 다하고 하나의 양기가 생한다 壬生 子하여 滋孕이요, 지하수 음극처 양이 생하는 곳이며 음양의
교차점으로 위는 양이요 아래는 음으로 되어 있으며 계곡의 물인데 많으면 큰 강물이 된다, 형상은 검은 것이고 방위는 북쪽에 위치하고 申과 辰을
보게 되면 큰 바다가 되어 파도가 일어나니 자생이 亥水를 보면 문장가라 하고 子生이 亥時에 生하면 두 마리의 물고기가 바다에 논다고 하며
文章力에 素質이 있다 亥는 바다라 하고 물이 흐르는 곳이다,
[丑土論]
소 띠의 성격과 기질: 소는 체구는 비대하고 행동은 느리며 침묵하고 입은 쉴새 없으며 근면성실하고 먹기를 좋아하고
순종형이다, 丑土는 陰으로써 12月에 음기가 다 지나는 계절로 동결되니 만물을 생하지 못한다.
옛날부터 소는 근면성실하고
순종하며 우둔한 면이 있으나 어떠한 곤경과 시련에도 이겨내는 투지력이 있으며 매사에 시종일관하여 대망의 뜻을 달성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고독성을 지니고 있으며 친한 친구와도 진정으로 터놓고 상의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으니 이러한 성격을 개선해 나가면 좋고 매사에 앞서가면 언젠가는
불행을 초래하게 되니 항시 타인의 의견을 존중하고 융화하는데 힘쓰면 결코 좌절은 없을 것이다, 소띠의 특성은 고집과 자만심이 강하게 나타난다.
진로 직업: 투지력이 강하고 순종형이라 적은 자금으로 대성할 기질이 있으니 본인의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면 시종일관하여 정상에 오르게
되니 만인이 우러러보게 되고 추종하나 한번 실패하면 재기하기 어려운 것이 특징이다.
유망 업종:종교가.법률가.연구직.검
경찰.언론.금융업.음악.교육자.세균학자.여름생은> 음료수. 냉동사업 정수기.냉장고.가전 재 품.귀금속.골재사업. 농 가축. 양식업. 점술
등이 길하다. 부부인연: 쥐띠. 닭띠. 뱀띠.개띠 겨울생은 뱀띠가 좋고 여름생은 돼지띠 쥐띠가 무난하다.
[寅木
論]
호랑이는 [권위가 당당하고 야간에 활동하고 닭이 울면 심산에 은거하나 내적인 면으로 보면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학문하는
것이다] (寅은= 3.양으로 점차 양기승하고 陰은 쇠하게 되며 만물번성기로 演(연)이라 하고,
艮山(간산) 黃谷(황곡) 大林(대림)
農場(농장)으로 春색을 發(발)하면 萬物(만물)이 암암리에 동한다, 寅時에 寅中丙火가 生하고 申을 만나 春色(춘색)을 잃게 되고 絶地(절지)가
된다, 寅은 艮山(간산)이라 丙戊 長生하니 戊土는 높은 산이라 하고 山에 큰 범이 있다 하여 寅生이 戊辰時에 出生하면 虎嘯山谷(호소산곡)하니
威名萬里(위명만리)다 [이름이 사방으로 널리 알려진다는 말]
성격과
기질:고상한 인품과 권세를 타고 났으나 항시 심중에 멀고 높은 곳에 깃들어있으며 형이상학적인 추리와 과학적 지혜를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남이 상상하지 못하는 불가능한 한계에까지 도전하려는 야심이 충만하고 타인이 생각하지 못한 놀라운 추리력을 발휘 하기도 한다,
진로 직업: 땅속 깊은 곳으로부터 온기가 점차 상승하여 대지를 뚫고 나오려는 시기로 수목의 삯이 바야흐로 발하는 때라>
생물학/광학/태양열연구/ 전기 전자 발전기/ 열 기구/검 경찰/의술/외교/교육계/적성이 맞으며 운송업/무역/야간업/등도 무난하다,
[卯木 論]
토끼는 양지바른 곳을 좋아하고 높은 곳으로 달리기를 좋아하며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고통스럽게 여기고 식성은 채식 과일을 좋아한다, <卯는 해뜨는 시간으로 中春(중춘)에 陽氣(양기)가 茂盛(무성)하니>버들가지 꽃나무
中春(중춘)에 茂盛(무성)한 活草木(활초목)이라 청녹색이고 陰이 발생하는 午에 甲木이 죽고乙木이 午中己土에 生하고 茂盛(무성)한 것이다,
卯酉충하면 서리가 내리기 전에 잎이 떨어지고 絶(절)된다,
辛酉金은 霜(상)이다, 卯木은 亥卯未 三合이 되면 酉金 충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성격 기질:이중인격의 소유자로 타고났으나 그 성품은 온순하고 부드러운 반면 운명은 극에서 극으로 달리는 양극성을 갖고 있다
대인관계에 있어서는 타인의 사랑을 많이 받기도 하지만 본인은 고독함을 느끼게 되고 영적방면에 직감력은 우월하고 깊은 이해력과 포용력이 있으며
화려한 이상을 갖고 있으므로 과거의 잃어버렸던 이상을 다시 찾으려는 끈임 없는 욕구가 성공의 길로 유도하는 근본이라 할 수 있다,
진로직업:卯木은 花草木으로 봄 여름에 태어난 자는> 화원 조화 약초 의상 업이 좋고 화가 소설 극작가 연예인 디자이너
모델 의약사 미용 음식 점술에 적성을 타고 낫다,
[辰巳 論]
용은 [實體難見(실채난견) 潛水飛天(잠수비천) 好雲雨(호운우) 變化無窮(변화무궁)
大海大澤之像(대해 대택지상) (辰은 5.陽으로 物盡(물진)하고 養育하니 震이다),
[震] 양질의 土요
旺水의 庫로 바다라 한다, 초봄의 土로 땅의 王이라 한다 만물이 辰土에 의지하여 배양성장하니 辰土는 戌土의 충을 원하는 것이다, 충이 없으면
辰中乙癸를 쓰지 못한다, 壬水墓地에 癸水가 根을 하니 음양기가 교체됨과 같다 辰中에는 만물이다 살고 있다, 辰은 바다이기 때문이요 良質의 土에는
萬物이 生한다 水木이 많은 四柱에 金水運이면 辰土는 무너진다,
성격과 기질:용은 무형의 동물로 상징적인대 水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라 조화가 무궁하고 정의감과 드높은 이상을
갖고 있으며 약자를 도우면서 본인의 목표를 향하여 돌진하는 기상이 격렬하여 도중에서 좌절하기 쉽다 또한 사소한일과 세심함이 결여되어 함정에
빠지기 쉽고 혹은 간교한 모사로 인하여 스스로 화를 불러 들이 기도한다 그러나 마음속으로는 자신의 목표에 대한 이상적추구를 끊임없이 갈망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대인관계에 있어서는 동료들의 유력한 협조 자로 교량 역할을 하는 천부성을 타고났으니 설득력과 융화 단결하는데
앞장서고 좋은 역할을 하게 된다.
직업성분:늦봄과 초여름에 천둥 번개를 동반한 빗속을 승천하는 청용 상처럼 평범한 직장에서는 두각을 나타내기
어렵고 비밀스럽고 획기적인일이 행해지는 곳이나 위험을 동반한 직장 치열한 경쟁이나 스릴이 있는 곳 변화가 다양한 곳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정부 비밀요원 외교 기자 선전원 아나운서 배우 스포츠 중개업 무역업 암거래 업이 좋고 여자는 요식업 다방등이 좋다.
[巳火論]
성격과
기질:
외부로 보아서는 온화한인상과 준수한 용모로 일찍 주위로부터 사랑을 받게 되고 지혜 또한
뛰어나서 수학적 두뇌가 발달하여 지배자의 기상을 타고나 타인의 지배를 받기 싫어하고 겉보기에는 온순한 것 성질이 나면 물불을 가리지 않고 사납게
덤벼 드는 자가 많으며 변칙적인 행동도 아무런 거리낌 없이 자행하게 된다. 그러나 타고난 원만성이 평화로운 조화의 정신으로 화하여 대인
관계에 있어서도 특유의 지혜를 발휘하여 교량 역할을 하는 외교적 수단도 뛰어나다.
직업성분: 초여름의 바람이 만물을 움직이게 하는 형상처럼 선천적지혜와 탁월한미적조화의 감각을 타고났으니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창조적인
그것은 현실에 조화시키려는 노력이 실질적인 생활에서 나타난다 그러므로 시각적으로나 미적감각을 살릴 수 있는 일에 종사하면 성공하게 된다,
<적합한 업종>외교 디자이너 화가 건축설계 실내장식 조경 원예 운송업 의사 미용 조각 요리 귀금속 등이 좋다,
巳火는 庚金의 長生處이고 戌土에 入墓하는데 火日柱는 戌運에 육체적으로 평안을 얻는다, 火土는 戌에 墓地이나
本家와 같다, 巳는 뱀이라 겨울철에 生하면 활동에 장해요 서리와 눈에 동사할 염려가 있으니 吉命이 못된다, 巳日生이 辰時에 出生하면 뱀이 변하여
용이되니 吉命이 된다, 巳는 申을 만나면 合도 되고 破도 되는데 巳火에 庚金이 長生이라 申이 巳를 보면 合이 되고 巳가 申을 보면 破(파)다,
金은 巳에 生하나 火는 申에 병지다 巳가 戌土를 보면 怨嗔(원진)이요 개 소리에 뱀이 달아난다, 年月에 辰巳는 부모와 일찍 이별이 많고
日時辰巳는 처자이별이다.
사주가 겨울철에 한랭하면 巳火가 온난하게 하나 火의 세력은 약하고 溫土로 化하니 온실과 같고
農畜産物(농축산물)이다, 巳火는 양 극처로 巳가 둘이면 쌍둥이 출산이 많고 女命은 男家를 破한다, 巳와 亥가 충되면 火氣는 위로 오르고 水氣는
수 기는 아래로 내려간다, 왕한 火를 충하면 화재 폭발사고다, 귀인 취하는 것은 子에서 巳까지는 6陽으로 陽貴를 取하고 午에서 亥까지는 6
陰으로 陰貴를 取한다,[天乙貴人取用法]
巳가 寅을 보면 형 살로 심장질환 血疾(혈질)이며 長患(장환)이다, 巳酉丑 三合은 庚金을 生成하고 組織團體
團合(조직단채합)을 의미하나 逆合(역합)이라 不正合으로 複雜多難(복잡다난)하고 不和之合(불화지합)이다, 다른 오행 합은 順生合(순생합)이나
巳酉丑三合은 逆 剋合(역극합)이다, 역류 합은 장자라도 장남 구실 못하고 부모처자와 인연이 없다, 巳酉丑三合에 金日柱가 酉月生이면 男女間에
배우자를 剋한다, 辰巳는 긴 동물이라 財나 食神이면 국수 당면 냉면 라면이다.
巳中에는 丙戊가 있으니 丙은 밝은 것이고 戊土는 넓은 광장이라 車馬가 달리는 도로요 광장이고 밝고 화려한
곳이다, 巳日 辰時에 生한 者는 뱀이 용으로 변하니 千里龍馬格(천리용마격)이라 하여 大貴格이라 하나 辰巳는 地網殺(지망살)이라 格이 낮으면
관재구설로 감옥살이하게 되고 부부불화한 것이다, 巳火는 6陽의 極處로 鎔鑛爐(용광로)에 해당하니 庚金이 生地요 [用器生] 戊土는 母에 의지하여
祿地가 된다, 巳와 申이 刑合이나 서로 해가 없고 亥水와 충하면 불꽃이 튄다 화재주의
[午火論]
말은 [출입과 경주를 좋아하고 밤에
외출을 두려워한다,交尾特技(교미특기) 性器特大(성기특대) 집에 있으면 수심이 따른다, 午는 陽死陰生(양사음생)으로 교차하니 陰始生으로 長大하여
[旿]라 하고 烽火(봉화)라 하고 陽 極處(양극처)로 陰이 始生하는 곳이라 上은 陽이요 下는 陰이 된다 午中에는 己土가 祿地가 되니 色은
黃赤色이다 [夏至後로는 낯이 점점 짧아지고 밤은 차차 길어진다] 午日生이 辰時에 生하면 龍馬라 하여 吉로 본다 午火가 子를 보면 충이 되는데
子는 陰의 極處요 午는 陽의 極處로 火氣가 上昇하고 水氣는 흩어진다, 午는 車로 본다,
성격:
쌍두마차가 폭풍의 언덕에서 태양을 향해 비상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고로 당신은 목표를 설정하면 정열이 흘러
넘치고 지혜와 발전 자성과 추론의 능력을 내포하고 있다, 천부 적으로 순간적 임기응변과 변설 지모 지략의 능력을 갖고 태어난 사람이라 하겠다,
따라서 말은 음양이 교차하는 시점으로 이중적 지성과 천부 적으로 임기응변에 능하나 이중적 품성은 때에 따라 모순된 기분을 조성하여 평소와 달리
이해할 수 없는 사람으로 변신하게 되니 불안과 동요를 느끼거나 이상한 매혹에 휩싸여 불안을 불러 오기도 한다, 또한 대인관계나 이성 교제에
있어서도 완전히 빠져들어 헤어나지 못하는 일은 없다.
직업성분: 명쾌한 사고력과 신속한 행동력을 필요로 하는 일에 특이한 재능을 지니고 있다 고로 이 태생은 어떠한 위기에
처하더라도 순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판단력과 결단력을 갖고 있으니 사고 사건해결에 뛰어난 재능이 있으며 설득력을 필요로 하는 업종이면 더욱
좋다고 하겠다,
업종: 언론인 변호사 수사관 보좌관 정보 통역 외무 아나운서 운송업 인기직업 종사자가 성공할 확률이 높다,
[未土 論]
양은 [유순하나 고집이세고
초식을 좋아하며 경박하고 많은 물을 두려워하고 끌려가는 것을 싫어한다, (未는 6月 木이 種成하여 萬物成한 後라 [味]라 하고 화원 농장
온실로 본다 未土는 甲木의 墓地가 되고 乙柔木의 養地다, [花園에 百가지 花草를 人工으로 培養하는 곳이다] 未土에 丁火와 乙木풀이 있으므로
溫室이라 한다, 未中乙木과 丁火를 用하려면 戌土의 刑이 있어야 한다, 형 충이 없으면 不用이다,
성격:방어적이고 민감한 성격의 소유자 모성애가강하게 나타나고 보육의 정신과 자기방어의 본능을 타고났으며 자신과 가정을 위하여 집안에
무엇이든 축적해 놓으려고 하는 반면 방어적 본능에서 나오는 배타적 충동이 강하고 자기 주장에도 남달리 신경 질적으로 격렬한 대가있다, 때로는
욱하는 성질이 일시적으로 일어 낫다가 본연의 상태로 내성을 갖고 있어 악의를 갖지 않는 반면 대단한 고집으로 인하여 피해를 입기도 한다,
직업성분: 여름 밤 새로운 목초지로 이동하는 양 때와 같이 모방과 창조의 이면으로 나타난다 양의 태생은 모방의 천재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면서 흉내를 내는데 그치지 않고 모방으로부터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데 게을리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소질과 역량을 바탕으로
대중적생활을 풍요롭게 하는데 공헌하는 바다, 품질개선이나 창의력을 필요로 하는 업종에 종사하면 인기를 갖는다.
업종>화원 약초 식물
재배 출판업 연극 변호사 약사 의사 식품제조업 무역업 섬유류 의상 카바레 숙박 업 목욕탕 유흥업
등에 좋다.
[申金 論]
申 원숭이는 [利己 獨食 才藝出衆 孤獨性 高等樹木 放浪者 獨走往來 申은 萬物이 茂盛하여
上下相通하며 白露에 葉落의 氣를 보니 伸이요, 申金은 頑金이요 大都市 市場 水의 生處다, 坤方이요 名都라고 하지만 기가 强하지 않으면 안
된다, 一國의 首都는 宰王의 處所이기 때문이다 申生이 亥時면 天地가 交態하니 大發한다, 申中에 壬生하고 艮山과 대충 방으로 水가 山을 回流하는
格이다,
성격: 권위와 지혜가 충만하고 작은 일에서 큰 것으로 운명을 개조해가려는 의지가 강하게 나타나고 항상 활기차고 명랑한 분위기와
야성적인 절규가 당신의 운명 속에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이기적이고 고독성을 겸비하고 있으니 모든 사람에게 친절과 서비스 정신을 발휘하면 어둡고
침울한 곳에서 호방한 성격으로 세인의 존경을 받게 된다 또한 밝고 명랑한 반면 성미가급하고 변덕스러우며 적막한 것을 추구하는 습성이 마음 깊숙이
잠재해있다,
직업성분: 인기성을 동반한 영화나 TV 및 배우 특수 기능자 정치가 변호사 군인 경찰 외과의사 코미디 패션모델 각종기획자 무역
외무원 극장 카바레 오락실 무속인 의의 직종이 좋을 것이다,
[酉金 論]
닭은 입이 뾰족하고 음식을 흩허버리며 먹고 벼슬과 발톱 성교하는 시간이 극히 짧으며 두 다리로
飛上(비상)하고 날이 밝음을 알리는 것이 특징이다, 酉는=시간상으로 日沒時로 萬物이 움츠리고 氣가 下降(하강)한다, [酉金] 珠玉이요 寺鐘이고
酒器다 酉金은 西方에 있어 戌亥乾方에 가까우니 鐘소리가 天門에 울린다 하여 절에 종이라 한다, 酉金은 正西라 佛國의 極樂정토라 하고 鐘聲은 山谷
戊土에 振動한다, 寅中戊土를 山谷이라 한다,
성격: 중추 가절의 보름달이 상징하듯 영원한 젊음과 청순함이 특징이며 꿈 많은 소녀와 같은 애 듯한 감수성을 지니고 어린 시절의
추억을 되새기며 지난날을 그리워하는 감상적인 사고의 소유자로서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꿈을 그리면서 희망과 공상 속에 사로잡혀있다, 또한 유생의
수호신은 충실한 마음의 전달 자로 선지선각의 예지 능력을 부여받았다, 고로 미래를 예견하고 모든 일을 치밀하게 진행해 나갈 수 있는 실무 능력이
있으며 매사를 완전에 가까울 정도로 매듭 지어야 직성이 풀리는 성격이다, 그러므로 자신의 결점에 의해서 문제가 발생하면 그 고통과 번뇌는 다른 사람의 배가된다 따라서 자기가 원하는 욕망을 보충하지 않고는 견디지
못하는 반면 때로는 불완전한 일이나 증오하는 결벽성이 잠재해 있다 하겠다,
직업성분:
선천적으로 타고난 분석능력을 살린 평론가 회계사
경리직 비서 교육자 프로듀서 약사 간호사 통역관 병리실험 상업미술 패션 디자이너 수예 꽃꽂이 화원 골동품 역술인 등의 직업이 좋다,
[戌土 論]
개는 주인과 타인을 알아보고
문전에서 도적을 지키니 창고직이나 APT관리인과 같고 입은 따뜻하게 하며 수렵이나
도둑을 지키는 데 소질이 있다. 지구력이 강하여 사냥을 하는 재주가 있으며 에너지가
강하여 장시간 성교하며 부끄러운 줄 모르는 것이
특징이다,
(戌은= 天門이라 하고 萬物이 衰하고 滅한다, [戌土] 熱土 火爐 倉庫다. 寅午戌 火局이면 鎔鑛爐다, 戌中에 丁火와 辛金은
辰土나 丑土가 있어야 開庫되어 有用한다,
성격: 사람은 晩秋의 太陽이 황혼에 기우는 서쪽
지평선으로 넘어가는 모습이 상징하듯 특수한 예술적 재능을 지니고 있으며 인생의 모든 것을
체험한 이해자의 상징이며 공정한 비판력의 표징이기도하다.또한 보은의 정신과 이해심이 있으며 측은지심이 과하여 타인의 슬픔과 고통이 자신의
고통으로 이어져 공감 대를 형성하게 된다 대인관계에 있어서도 극단으로 치우치는 일이 드물며 균형을 유지하는 분별과 조화가 생활신조로
되어있다 반면에 허영심이나 자존심 인간의 모든 욕망이 마음 깊숙이 도사리고 있으면서도 겉으로는 자기의 야심을 감추는 성격이다,
직업성분: 금전을 탐하는 마음보다 사회적으로나 직업에 있어서도 명예욕과 미를 창조하는 재능을 살릴 수 있는 분야가
좋다,>학문탐구 영화나 무대 미술담당 기획 인테리어 건축설계 디자이너 카메라맨 미용사 재단사 검찰직 세무 직 오락실 중개업 검찰 정신신경과
창고업 열료 유흥 경비원 오락실 신앙 점술업 등이 좋다.
[亥水 論]
음식에 있어서는 쓰고 단 것을
가리지 않고 좋아하며 굶주리면 큰소리를 지르며 대식가요 배가 부르면 휴식하는 습성을 갖고 있다.
(亥는= 純陰이라 萬物을 해하고 죽이는
작용이 있으며 海 湖水 銀河水 天文이라 한다, 丙辰日生 女子는 亥水가 男便이면 性的不滿이 많고 惑은 性不具 男便이다, 辰은 亥水의 庫가 되므로
辰土 女子의 腹上에서 死한다, 辰亥怨嗔 不平不滿이다, 亥는 6.陰의 極處로써 亥中 甲木이 喜神이면 未土와 合이 되어야 有用한다.
성격: 매사에 집착력이 매우 강한 반면 체념 또한 빨리한다 이러한 경향은 연륜이 더해감에 따라 생과사의 비밀을 존중하는 마음으로 변해
개방보다 실속을 폭로보다는 은폐를 변명 보다 침묵중시하는 소극적 경향을 나타낸다 외적으로는 약적이면서도 내적으로는 음성적인 인생관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자신의 마음에 들면 인정에 매우 약하지만 일단 눈 밖에 나면 언제까지나 독성을 품고 있는 경향이 있고 언젠가는 원망의 화살을 보내게
된다. 또한 대체로 웃음을 잃은 듯 엄숙하며 남에게 겉치레를 않지만 사람을 끌어 당기는 이상한 매력을 지니고 있으며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성공해야겠다는 마음이 깊이 도사리고 있으면서도 겉으론 속마음을 노출시키지 않는다 또한 목적을 위해 서라면 인내심이 강하게 작용한다.
직업성분: 즉 의문에 도전이라 말할 수 있다 수사나 탐구면에 특수한 재능을 부여받은 것이다 그러므로 강인한 호기심으로 인하여 조사나
탐구하는 일에 적합하다 하겠다. 수사 탐험가 과학자 천문학자 각종사고처리 기획자 의약분야 생물학 역사 신경정신과 산부인과 종교신앙 예언자
생산업 야간업소등에 적합하다.
2.12支月의 월령운세와
대운의 운세기복론
日干은 主星이 되고 출생월은 月令
또는 提綱이라 하고 지구의 일년 동안 자전과 공전궤도의 軌跡이 되므로 중요하다.
간지론에서 일간을 중심으로 월령의 오온육기의 변화에 따른 운세변화를 검토하자면
월을 중심으로 일간 十干의 상대적인 변동을 대조점검하여 운명을 감정한다.
[地支 十二個月 說明]
①子月生論
子月은 11월로 大雪 후
10일까지 壬水를 취하고 11일 이후 소한까지은 癸水를 취한다. 자월은 겨울의 한
가운데로 旺月로 藏干은 壬癸水뿐으로 水만으로 형성된다.
11월은 六陰이 盡하고 一陽이 始生하니 丑月을 맞이하여
絶處逢生이다, 子水는 地下生水요 潤下水며 寒冷한 水로 그 象은 黑池다. 申辰이 있거나 亥水가 있으면 江이고 湖水며 大海로 波濤가
일어난다, 申子辰 三合 되면 波濤소리가 요란하다, 子水가 卯木을 보면 刑殺이지만 子水는 癸水라 卯에서 生地가되니 有情한
刑이라 한다. 子日生이 癸亥時에 生 하면 雙魚가 海遊라 하여 文章家다 天令이 子에 이르면 萬物을 닫고 감추어 헤아리니 揆라 한다, 子水가 寅을
보면 敗浴지요 隔角이니 丑이 挾拱되어있고 子見丑이면 隣近合이 되나 丑見子면 輕福이다.
子는 夜間에 活動하고 눈이 빛나고 晝間에는 活動을
싫어한다.子生이 未時出生者 元嗔殺이지만 墓地로 死한다, 大自然의 生氣가 地下로 回流하고 萬物滋養한다, 子見酉는 破요 病地로 敗絶 또는 矯正手術이다, 子의 모양은 왜소하지만 어두운 곳에서 勤勉하고 貯蓄하기를
좋아한다, 申子辰 三合은 申이 子를 生하고 子에 死하고 子는 辰中 乙목을 生하고 辰에 入墓한다, 水는 生하는 곳과 泄하는 곳이 있어야 淸하여 吉한 것이고 水의 性은 聰氣요 智慧, 記憶力 冷情 水多卽 輕擧妄動이다.
②丑月生論
丑子月은 初氣는 癸水, 中氣는 辛金, 正氣는 己土이다. 丑月은
겨울의 끝달이며 初氣, 中氣, 正氣는 모두 月支 元命格을 달리한다.
丑은 凍土요 氷雪이라 霜雪을 大恐하다, 丑土는 坊波堤고 柳岸이라 하는데 丑土中에 金水가 있으니 岸이 되고 丑土가 水를 막고
木을 生하게 한다, 丑中에 癸辛은 未戌土로 庫를 열어야 하고 有用하게된다, 戌土로 開庫하는데 辰土가 冲戌 하면 丑中癸辛은 無用이다, 丑日生이
己未時면 月光이 柳枝에 있어 上格이라 한다, 丑은 戌을 刑하고 戌은 未를 刑하는데 丑戌未
三刑殺은 無恩之刑으로 親交間에 背恩이다, 丙丁日生 女命 은 丑土가 食神傷官으로 子息이나 凍土로 子息이 되지 못한다,
水日干 女命에도 丑土는 官星이나 男便口實 못한다, 丙丁日干 男命에 丑中癸水는 戌土가 開庫 하면 子息이 可能하다, 丑月은 凍結된 季節이나 二陽의 氣가 있으니 柳岸이
된다, 丑과 午는 元嗔으로 牛馬相爭으로 外傷에 不過하다 丑戌刑은 腎臟과 胃腸의 手術이다, 子丑合은 福輕이요 丑合子는 厚福이다, 子未元嗔은 子丑合을 妨害하고 子와 丑共이 傷害를 준다, 丑과
巳는 合이 되지 못하고 丑과 酉는 合이다, 丑土는 調候없으면 萬物不生한다, 男命에 甲乙日干이 丑月이면 丑土가 財로 妻가 되는데 妻口實 못한다,
健康이 不吉이요 子息도 正常이 아니다.
防波堤 柳岸이라 하고 土金 庫다, 丑土는 冬土라 霜雪恐하나 天氣가 丑土로 移轉하여 2 陽을 生하니 丑中에 己土가 溫氣를 받아 능히 萬物을
生한다 丑土는 未와 戌土로 開庫하고 丑日生이 未時에 生하면 달빛이 버들가지에 빛인다 하여 上格이 많다고 한다, 四柱가 燥熱하면 첫째 丑土요 두
번 째가 辰土다.
③寅月生論
寅月은 孟春으로 初氣는
戊土, 中氣는 丙火, 正氣는 甲木이 된다.
初春寅中 甲木은 土中芽요 野馬가 되고 農場이요 牧場이다, 寅月은 三陽之節로 春色이 發現하니 辛金有卽 霜이라 春色을 破한다,
寅은 艮山이라 戊土가 長生하니 黃谷에 大虎가 있는 象으로 威名이 있다, 寅은 巳를 刑하고 巳는 申을 刑 하는데 申이 巳를 만나면 合이 된다,
寅巳申은 完全한 三刑이 아니고 申寅巳는 完全한 三刑이 된다, 寅申巳亥는 四生地로 四柱內에 전부있으면 男命은 大富貴요 은命은 賤格이고 或은身體에
障害다, 寅午戌에 卯와 未는 一家人이나 局이 混雜되니 親族間에 骨肉相戰이다,
寅申相은 祿을 破하는데 寅中丙火와 戊土를 用할 境遇 有用이다 寅中甲木 用者는 申冲을 大忌한다, 庚寅日은 寅中丙戊가 生地라
眞爲殺印相生이 된다, 寅은 虎라 하나 命理通辯에 있어서는 큰 짐승으로 달리는 것이라 牛馬車요 農場으로 본다, 寅刑巳는 心臟血疾이요 長患痼疾이다,
寅午戌은 三代가 合으로 寅은 祖요 午는 母요 戌은子로써 寅은 午生하고 死地요 午는 戌生하고 墓地이다, 寅은 酉를 보면 元嗔 인데 鷄鳴卽 虎는
活動障害로 싫어한다, 寅辰은 卯가 挾攻으로 方局成이나 隔角되어 辰을 害하니 喪門이 된다,
寅申이 不吉 하면 亥子水가 通關神으로 相을 救濟하고 丑土가 있으면 申金이 丑에 入墓되어 不이다, 寅은 萬物이 始生한다는
意味로 演이라 한다, 寅月木은 金을 보면 霜雪과 같으니 柔芽가 發하지 못하고 平生 刑妻剋子한다, 寅은 亥를 보면 合하여 木이 되나 亥는 寅에
合보다는 破力이 强하다, 亥水는 寅에 病地이기 때문이다, 寅午戌 全三合에 午月生은 午生이 子息이 못된다, 戌生이 子息이 된다 寅亥合이 되면 木은
生地나 寅中丙戊는 亥水에 絶地다.
④卯月生論
卯月生은 旺春으로 봄이 한창 무르익는 절기로
木氣가 왕성한 때이다.
天에서는 風이요 地에서는 活草木이고 넝쿨이며 花草木이다. 卯木은 中春에 茂盛한 靑色의 수풀로 [茂]라고 한다, 卯木은
花草木이라 癸水雨露에 枝葉이 成長하지만 冬節은 癸水가 霜雪이 되므로 忌한다, 卯木은 酉月霜前에 葉落枯死하니 絶지요 巳火는 熱爐라 敗浴地이고
戌土는 火庫라 墓地가된다, 卯月은 萬草木이 旺盛하고 辰月은 萬花芳暢으로 蜂蝶이 往來한다, 卯는 辰 [龍宮]前이라 卯와 辰이 害가 되고 辰宮을
움직여 雷聲을 내니 雷門이라 한다 3月의 辰中乙木은 紅艶草木이라 總天然色이고 衣裳布木 花草다, 卯가 子를 만나면 刑殺이지만 相生이 되어 有情한
것이고 卯가 申을 보면 怨嗔 인데 乙庚暗合하고 枝葉이 傷하기 때문이다.
卯와 戌은 春秋合으로 火가 喜神이면 文章이 華麗하고 乾命은 優雅하나 坤命은 孤獨이다, 卯未合은 溫土에 草木이라 花草 盆制 溫室內에 菜蔬類 또는 果圓이다,
亥卯未三合은 甲木을 生成하고 惡殺이 되면 胃腸癌 發生한다, 亥卯合은 乙木과 壬水가 死地라 水旺이면 乙木이 浮木되고 木旺 하면 亥水가 死한다,
卯가 午를 보면 破가되고 男은 女家를 破하고 女는 淫賤之命이다, 亥卯未 三合이 있는 境遇 卯月生 乙木日干은 兄弟가없다 乙亥日이 卯月生이면
本人生後 母는 死亡한다, 乙卯木은 癸水는 大好하지만 壬水는 不好한다, 旺한 壬水에 乙木은 浮木이다, 卯未나 亥卯合에 寅木은 方混局이라 하여
一家人이나 成局을 妨害한다, 卯木은 霜雪에 枯死하니 辛酉月 卯木이 喜神일 떼 身體外傷이 있거나 一生不幸을 招來한다, 乙木은 酉와 戌을 忌하나
三合木局이 있으면 酉戌을 不畏한다.
⑤辰月生論
辰月은 봄의 끝 달로 乙의 餘氣와, 癸의 中氣와
戊土의 正氣로 되어 있다.
辰月 辰土는 乙木과 癸水를 收藏하고 있으니 水木庫다 辰은 春土요 濕土지만 五陽節로 溫氣가 많아 萬物을 自生한다, 辰土에
甲木은 衰地고 乙木은 養地며 乙木은 甲木의 陽刃이다, 辰月은 陽氣가 過半으로 物盡하니 震이라 한다, 地球는 上은 戌이고 下는 辰으로 기울어져0 亥水를 出水方이라 하고 辰은 水歸宿地로 龍宮이고 바다[海]라고 한다, 水庫를 여는 것은
戌土로 冲하여 開庫되지만 3戌이 1辰을 冲 하면 破庫되어 無用이다, 辰中乙木과 癸水가 妻財가 되면 戌生이 妻로 들어온다, 辰은 龍이라 水上을
달리는 生物로 水旺해야 吉命이 된다, 辰은 龍이고 巳는 뱀이라 巳見辰이면 進氣요 辰見巳면 退氣다, 日時辰巳가 있으면 地網殺이라 하여 前途에
그물을 쳤다는 意味로 男命剋妻하고 諸事中途障害요 女命剋夫하고 平生孤獨之命이다.
辰戌은 天羅地網이라 하여 孤獨을 主導하고 貴人不臨으로 女子는 寡宿殺이라 한다, 辰中乙癸는 戌鍵으로 開庫有用이나 子와 申을 만나면
有用한다, 辰辰이면 自刑으로 水溢한다, 暴水 水害다, 辰은 丑逢卽 破殺이라 內部修理 移動 矯正手術이다, 辰亥는 怨嗔으로 辰이 亥死水를 싫어하고
亥水는 辰에 入庫된다, 丙丁日 女命에 亥水가 男便인대 辰이 近接 하면 數次 男便死別한다, 或 腹上死한다, 辰酉는 合이나 福輕하고 酉가 辰合은
厚福이다, 辰中乙木은 3月花草木이라 開花滿發하여 蜂蝶이 亂舞하고 華麗함을 意味하니 總天然色으로 纖維 服地 花園 美術品 觀光業等으로 致富한다.
或은 野菜商이다 申子辰 三合에 子月生은 重婚이요 辰生 子生後 生死離別이다, 辰酉合에 再逢辰이면 爭合이라 進退가 不分明하여 망설임이
많다, 辰은 壬水와 辛金의 庫가되고 辰中乙木 財는 農産物 穀物 海草類 養魚場이다, 辰巳混雜에 喜神이면 粉食業이다, 戊土日干에 巳中庚金은 食神으로
마른 飮食이고 辰戌이 있으면 菓子類이다, 辰中癸水財는 濁酒요 民俗酒이다, 辰巳混雜이면 一家同居不可다, 辰巳는 地網殺이고 辰變龍化는 千年이다,
甲日干 辰財는 水中生物로 江 湖 海 水産業 船員으로 水多면 大人 水弱이면 小人이다.
⑥巳月生論
巳月은 여름의 첫달로 初氣는 戊土이고, 中氣는
庚金, 正氣는 丙火가 된다.
巳는 뱀이고 陽極處이며 丙戊가 祿地로 暗藏되어 燥熱한 廣場이고 驛前이요 運動場 大路다 巳는 午馬의 一位 全으로 車馬가
集合하는 곳으로 驛前이고 소란한 곳이다. 巳는 뱀으로 無足走行함으로 交通手段으로 車馬로 본다, 巳火는 庚金의 長生處이고 戌土에 入墓하는데 火日柱는 戌運에 肉體的으로 平安을
得한다, 火土는 戌에 墓地이나 本家와 같다, 巳는 뱀이라 冬節生은 活動障害요 霜雪에 凍死할 念慮가 있으니 吉命이 못된다 巳日生이 辰時에 出生
하면 巳變龍이라 하여 吉命이 된다, 巳는 申을 만나면 合도 되고 破도 되는데 巳火에 庚金이 長生이라 申이 巳를 보면 合이 되고 巳가 申을 보면
破가된다,
金은 巳에 生하나 火는 申에 病死宮이라 破라 한다 巳가 戌土를 보면 怨嗔이요 犬聲이면 뱀이 달아난다, 年月에 辰巳는 父母早別하고
日時辰巳는 妻子離別한다 冬節에 寒冷 하면 巳火가 調候하나 火의 勢力은 弱하고 溫土로 化하니 溫床이 되고 農畜産物이다, 巳火는 陽極處로 兩巳逢卽
陽極陽이라 女命은 男家破다, 巳와 亥가 相冲 되면 火氣는 上昇하고 水氣는 下降하며 爆發火災等 事가 發現한다, 子에서 巳까지는 6陽으로 陽貴를
取하고 午에서 亥까지는 6 陰으로 陰貴를 取한다, [天乙貴人取用法] 巳가 寅을 보면 刑殺로 心臟疾患이고 血疾이며 長患이다, 巳酉丑 三合은 庚金을
生成하고 組織團體 團合을 意味하고 逆合이라 不正合으로 複雜多難하고 不和之合이다, 他三合은 順生合이나 巳酉丑三合은 逆 剋合이다, 逆流合은 長子라도
長子口實못하고 父母妻子無緣이다, 巳酉丑三合에 金日柱가 酉月生이면 男女間에 配偶者를 剋한다, 辰巳는 긴 動物이라 財 食神이면 국수 당면 냉면 라면
類이다, 17. [巳月論]
⑦午月生論
午月은 여름의 旺월로 初氣는 丙火이고, 中氣는
己土, 正氣는 丁火가 된다.
午月 午火는 陽極處이고 1陰이 始生하는 곳으로 火勢는 極旺處이다, 午는 燈火요 烽火臺라 한다 午中에 己土는 祿地이나
燥熱한 火中土라 沙土라 하고 熱土라 한다, 午中己土가 財나 食神이면 菓子類이다, 木日干이 午月生이고 無水면 枯死하고 丑辰濕土가 있으면 反吉이다.
午火는 車馬로 달리는 것이라 交通手段이고 家畜이요 水下에 午火가 食神財면 生鮮이다, 午가 丑을 보면 怨嗔이고 湯火殺 鬼門關殺에 該當한다,
怨嗔이란 午는 馬요 丑은 牛라 하여 牛가 馬를 보고 일하지 않는다 하여 미워하고, 湯火라 하는 것은 熱火에 丑土가 있으니 丑中癸水가 끌는 물이
되므로 水火에 傷處를 意味하고 鬼門關이란 丑中癸水가 未土를 보면 七殺로 鬼라 하고 午는 未前이라 鬼神門前으로 精神錯亂 神經過敏 노이로제 症狀을
말한다,
午火가 亥를 보면 水火相戰이나 午中己土와 亥中甲木이 暗合이고 午中丁火와 亥中壬水가 暗合이다, 午生辰時면 龍馬라 하여 吉命으로 보고
午馬가 辰龍을 生한다, 午가 寅을 보면 生我者로 父母가되고 午가 戌을 보면 我生者로 子孫이다, 寅午戌 三合은 父母本人子息과의 合이고 丙火를
生成하고 鎔鑛爐가되고 寅은 午生後 死地요 午는 戌을 生하고 入墓한다,
午午는 自刑이라 하고 火爆熱하여 伏吟이라 하고 喪哭事요 子冲하면 火災爆發事故다 寅午戌 三合에 火日干이 午月生이면 夫婦相別하고 午生
子息生하면 子息口實못한다, 午에 申이 있으면 隔角이라 하고 喪門으로 喪哭事有 午午에 冲子면 雙馬가 冲이라 2.3.重 衝突이다, 午年 酉月生은
男破女家요 午生辰月女는 女破男家다, 午에 甲木이 死地나 乙木生地로 魂이 바퀴는 刑象이다, 壬午日은 午中丁火와 壬水가 暗合으로 天地 合德이라 하고
吉命으로 본다 丙午日柱는 陽刃으로 夫婦不和하고 刑冲을 喜한다,午 月=[午火論] 午火는 陽極處이고 1陰이 始生하는 곳으로 火勢는 極旺處이다, 午는 燈火요 烽火臺라 한다 午中에 己土는 祿地이나
燥熱한 火中土라 沙土라 하고 熱土라 한다, 午中己土가 財나 食神이면 菓子類이다, 木日干이 午月生이고 無水면 枯死하고 丑辰濕土가 있으면 反吉이다.
午火는 車馬로 달리는 것이라 交通手段이고 家畜이요 水下에 午火가 食神財면 生鮮이다, 午가 丑을 보면 怨嗔이고 湯火殺 鬼門關殺에 該當한다,
怨嗔이란 午는 馬요 丑은 牛라 하여 牛가 馬를 보고 일하지 않는다 하여 미워하고, 湯火라 하는 것은 熱火에 丑土가 있으니 丑中癸水가 끌는 물이
되므로 水火에 傷處를 意味하고 鬼門關이란 丑中癸水가 未土를 보면 七殺로 鬼라 하고 午는 未前이라 鬼神門前으로 精神錯亂 神經過敏 노이로제 症狀을
말한다,
午火가 亥를 보면 水火相戰이나 午中己土와 亥中甲木이 暗合이고 午中丁火와 亥中壬水가 暗合이다, 午生辰時면 龍馬라 하여 吉命으로 보고
午馬가 辰龍을 生한다, 午가 寅을 보면 生我者로 父母가되고 午가 戌을 보면 我生者로 子孫이다, 寅午戌 三合은 父母本人子息과의 合이고 丙火를
生成하고 鎔鑛爐가되고 寅은 午生後 死地요 午는 戌을 生하고 入墓한다,
⑧未月生論
未月은 여름의 季月로서 초기 9일은 丁火가 司令하고, 中氣 3일은 乙木이 司令하고,
正氣 18일은 己土가 사령한다. 未土는 土氣가 가장 왕성하다고 한다.
未土는 熱土요 沙土이고 人工培養土로 溫床이라 한다 未中에는 丁火가 있어 熱土라 하고 未中乙木이 財가 되면 花草라 하고
菜蔬 藥草 柔植木 花園 野山이다, 未土는 羊이라 하며 未中乙木이 羊의 內臟이라 하여 羊 곱창으로 본다, 未中에 乙과 丁은 未中己土에 官과 印이
되며 丑戌刑으로 開庫하여야 有用하고 丑戌無卽 未中乙丁은 不用이다, 未土가 卯木과 合하면 變形한다, 癸水가 未月이면 偏官이며 未中丁火 偏財가
있으니 財政職이고 別定職이다, 未土는 旺한 亥水가 重疊이면 堤防이 不可요 무너진다, 未는 羊이라 羊은 水를 忌하는 性格이고 未月은 花木이 種을
이루고 萬物成長然後에 味生하니 [味]라 한다 未月은 陰氣漸進하고 火勢가 漸弱하니 丙丁을 偏愛한다,
未月에 水弱해도 大厄은 없다 己土에 辛金은 文昌食神이다, 未와 酉는 申이 挾攻해있고 隔角이고 喪門이라 死別哭事가 있다, 未生戌月은
男破女家요 未生寅月은 女破男家다, 子水가 未土見卽 子水葬地요 子丑合을 妨害하고 子未가 怨嗔이나 未土가 子見卽 輕하다, 未生丑時는 丑中辛金이 死하고 未生戌時는
傷辛이다, 癸水日干에 未中己土가 偏官으로 子息이나 旺한 亥水가 合되면 子息이 못되고 딸이다,
⑨申月生論}
申月은 7월 가을의 첫달이 되고 初氣는 戊土, 中氣는 壬水가 旺하고 장생지가
되며, 正氣는 庚金으로 건록지가 된다.
申金은 旺(왕)한 壬水의 長生處(장생처)이고 名都坤(명도곤)이라 하며 一國首都(일국수도)다, 한 나라의 수도는 體体不强(체불강)하면 名都(명도)가 못된다, 申은 鐵馬(철마)고 물 탱크로 水原地(수원지)다, 우리나라의 지명은 수원이다, 申은 子에
死地(사지)요 亥水에 病地(병지)다, 申은 壬水生하니 艮山(간산)과 對案(대안)하여 水가 山을 輕回(경회)하는 것이다, 申日 亥時면
天地交態(천지교태)하여 크게 빛이 난다, 寅中丙戊는 申이 없으면 不用(불용)이다, 申子辰 三合에 子生 子息은 不生育(불생육)하고 辰生 子 生後
生死離別(생사이별)이다, 卯와 申은 怨嗔(원진)이라 結局破敗(결국파패)한다, 申中壬水用者는 寅冲없으면 不用이나 子辰이 있으면 壬水用한다,
申金巳月生男은 男破女家요 申金에 未는 寡宿殺이고 庚金日干에 壬水는 文昌食神이고 甲申日은 絶地座나 申中壬水가 있어 殺印相生이 된다,
申月에 未土는 天醫神이라 하고 未中丁乙己가 財性이면 天醫神 財物로 醫藥과 因緣이 있다, 冬節申金이 水가 없고 寒冷하면 生氣 잃은 死金이다,
申子는 淸水요 生水이고 子辰은 濁水이다.
申이 戌土보면 酉가 夾拱(협공)되 있고 隔角(격각)이라 喪門殺(상문살)이라고 한다, 申巳合은 合力(합력)이 强(강)하고
福淸(복청)이나 巳에 申合하면 刑殺(형살) 破(파)로 福輕(복경)이다, 申金 巳月生男은 남자가 여자가정을 파괴하고 申金에 未는
寡宿殺(과숙살)이고 庚金 日干에 壬水는 文昌食神(문창식신)이고 甲申日은 絶地(절지)나 申中 壬水가 있어 殺印相生(살인상생)이 된다, 申月에
未土는 天醫神(천의신)이라 하고 未中 丁乙己가 財性(재성)이면 天醫神(천의신) 財物(재물)로 醫藥(의약)과 인연이 있다, 겨울철 申金이 水가
없고 寒冷(한냉)하면 生氣(생기)잃은 死金(사금)이다, 申子는 맑은 물이고 子辰은 탁한 물이다.
⑩酉月生論
酉月은 중추절로서 初氣는 庚金이고, 正氣는 辛金으로 金의 專氣로 구성되었다.
酉金은 닭이라 하고 犧牲奉仕者요 我損他益하고 割引功德性 寺鍾이며 珠玉細金 精密附屬 樂器 霜 酒器라 한다 酉金은 寺鍾이라
戌土를 大好한다 酉戌은 偏方이라 子緣이 薄하고 萬物肅殺之氣라 孤獨性을 意味한다 酉金은 水를 좋아하고 冬節辛酉金은 火의 溫暖함을 要한다 酉金에
水가 많으면 金白水淸이라 하고 淸貴格이요 火土가 多卽大忌한다, 巳酉丑 三合에 庚辛日干이면 金水運이 吉하고 火土運은 不吉하다 酉金은 珠玉金이고
精密附屬이라 火多면 賤命으로 食小事煩이고 秋冬生은 吉命이 많고 夏節生은 賤命이 많다, 酉戌은 害가 되고 他人의 妨害를 받고 酉生子月은 男破女家요
酉生巳月은 女破男家다. 酉生이 寅을 보면 怨嗔이고 鷄聲이면 虎는 活動障害이다, 寅이 酉를 怨望하고 不平不滿이다.
酉生申이면 亡身殺이고 酉金이 卯木을 보면 相冲으로 卯木이 傷한다, 酉는 霜雪로 花草木은 葉落枯死한다, 女命에 辛酉日은 白虎라 하여
傷夫之命이라 하는데 酉에는 木이 絶되고 火가 死地이다, 酉生酉日은 自刑이 되고 孤獨을 內包하고 父母또는 夫婦緣이 薄하다 酉는 닭으로 萬人에게
所得은 없으나 時間을 알려주니 割引奉仕 한다, 酉生은 穀食을 먹으며 흩어 버리니 大富不成이다, 酉는 聲帶가 좋으니 樂器라 하고 두발로 달리는
짐승으로 오토바이 自轉車라 한다, 酉가 辰과 合하면 酉金이 墓地로 死鷄라 한다 酉時는 日沒時로 丙太陽이 死地이고 酉에 丁火가 長生된다 丁火는
燈燭이고 月이라 하니 日沒後 暗中有光이다.
⑪戌月生論
戌月은 가을의 끝달로 初氣는 辛金이 왕하고, 중기는 丁火의 庫地가 되며, 正氣는
戊土가 된다.
戌은 火庫이고 萬物을 貯藏하는 倉庫이다 戌土에는 辛金이 暗藏이라 山中寺院이라 하며 火爐 敗品處理場이다, 戌亥는 天門이고
天羅殺이다, 地球는 上이 戌亥方이고 下는 辰巳方이다, 그러므로 戌亥를 天門 辰巳를 龍宮이라 한다, 戌日亥時는 禍小하고 亥日戌時는 大禍라 한다
戌中丁辛을 用하려면 辰丑未 土가 있어 刑冲을 하여야 開庫되어 使用可能하다 戌土는 熱土라 不生金이요 生木이 不可하다, 그러나 三冬月에는 戌土를
願한다 戌土에 寅午가 있으면 火局으로 불덩이가 된다, 戌은 辰土로 開庫하나 三辰이 一戌冲하면 破庫無用이다 丙火日干은 戌逢이면 入墓나 肉體的으로
便安을 得한다.
戌亥天門은 祖基를 破하고 諸事先後不合이고 妻子를 剋한다, 戌月은 季秋로 葉落하고 萬穀收藏時期로 燒原이라 하고 旺한 水를 大忌하고
卯와 合되면 春色을 發한다, 卯戌合은 春秋合이니 火가 喜神이면 男命은 文章이 華麗하고 貴命이 많으나 女命은 不可하다 卯에 戌合은 厚福이나 戌에
卯合은 福輕이다 戌月의 辛金財는 天醫財라 醫藥이다, 戌은 天門이고 華蓋로 二三重이면 孤僧 巫女 道人 易術人이 많다 戌은 天門孤方이고 辰은 龍宮이라 辰戌日時면 不入貴人이라 男命은
刑妻剋子하고 女命은 孤寡之命이다 戌은 亥水를 싫어하고 亥中甲木을 喜한다 亥中甲木이 喜神이면 未가 妻子가된다, 卯가 妻子가 되면 不可하고
結局離別이다, 戌土는 生木不可라 卯木財를 심으면 財物發展이 없다.
戌中辛金은 壬水가 있어야 辛金을 使用할 수 있다, 丙火는 戌土를 보아야 丙火가 入墓되어 便安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戌土가 많으면 丙火의
빛이 어두워 社會活動에 障害요 入僧 巫女 易術인이 되기 쉽다, 戌月은 萬草木이 葉落하는 季節로 秋收하여 貯藏하는 倉庫가되고 廢物을 쌓아두는
쓰레기 장이다, 戌日生이 卯木을 만나면 春秋文筆이라 하는데 卯와 戌이 合하여 火가되는 것으로 火氣가 日干의 喜神이라야 한다.
⑫亥月論
亥日은 孟冬이다. 初氣는 戊土이고, 중기는
甲木, 正氣는 壬水이다. 中氣는 甲의 장생에 좌하고 正氣는 壬水의 建祿에 坐한다.
亥水는 大海水며 江湖水이고 天下水는 去流면 不回한다 亥水가 辰을 보면 怨嗔이고 亥死水는 辰에 入庫된다, 亥水는 6陰의
旺處로 甲死木이 生地이다 亥中甲木이 喜神이면 未土와 卯木없으면 不用한다 女命壬水日干이 亥中甲木이 食神으로 子息이지만 未卯없으면 子息이 되지
못하고 不具또는 缺陷이 있는 子息을 生한다, 亥水는 順陰으로 强한 陰氣가 萬物을 肅殺한다 亥水가 寅과 합하면 合과 破가 되는데 亥에는 木이
生地로 寅木에는 合이 되나 亥水는 寅에 病地로 亥가 破한다 寅亥合은 東海東北의 合으로 우리 나라는 越海日本과
合이다.
亥는 江海라 丙太陽의 照光이 있으면 빛이 燦爛하여 偏官이나 良友라 한다, 亥水가 丁火를 보면 丁星과 亥中壬水가 暗合하고 木이
暗生한다. 亥水는 旺水라 泄하는 卯未를 좋아하고 土를 忌한다 水旺한 亥月에 寅木은 合보다는 浮木이 된다, 亥水가 己土를 보면 己土가 亥中甲木과
暗合을 좋아하고 壬水를 싫어한다 亥水는 子水가 近接하면 江湖水가 넘쳐 波濤소리가 요란하니 戊土라야 堤防하고 己土는 不可하다, 亥水喜神일 떼
辰土를 보면 水가 入墓되어 大禍發生한다 亥와 午가 近接하면 亥中壬水와 午中丁火가 暗合하고 亥中甲木과 午中己土가 暗合이다 金日干에 亥中甲木이 財가
되면 海上運送業이요 海草類이고 水産物이다.
亥와 戌은 天文星으로 男女共히 夫婦因緣이 적고 宗敎 哲學 巫俗과 緣이 있고 或은 慈善事業가다, 戌亥는 天羅殺인대 亥生이 戌時면
禍重하고 戌生亥時면 禍輕하다, 亥는 돼지라 筋肉이 없고 키가 적고 잠이 많은 것이 特徵이고 巳를 보면 相冲이다, 巳亥冲은 水火冲이나 6陽과
6陰의 極旺地冲이라 불꽃이 튀기고 水火氣가 上昇下降한다, 特히 爆發火災等이 發生하고 人體에는 熱이 나고 血壓이 오른다, 亥生이 辰日辰時生이면
죽은 돼지다, 亥가 卯見卽 卯生後 死하고 木은 未에 葬地이다, 甲乙日干에 亥卯未 三合이 있고 卯辰月이면 男女共이 夫婦偕老難이다, 乙亥日은
卯月이면 本人生後 母死亡이다, 亥가 空亡이면 卯가 合하여 亥水가 解空되니 卯의 功이다, 庚日이 亥月生이면 文昌星食神이고 戌土는 天醫文書이다,
己土日干이 亥月生이면 亥中甲木을 取用하고 亥水는 忌한다.
3.오운육기설에 따른 운명변화 운세 기복론(起伏論)
제5장:운명학과 사주감정의 원천인 동양철학의 근본원리와 사상연원(思想淵源)
1.하도의 복희팔괘와 낙서의 문왕팔괘
※선천하도(先天河圖)의 용마도(龍馬圖) 와
후천낙서(後天洛書)의 귀서황극도(龜書皇極圖)
태극
음양설은 전부 선천도와 후천도를 근거로 하여 그 이론이 성립발전되었다. 선천도는
伏羲氏의 하도 太極圖를 말하고 후천도는 洛書 皇極圖인 문왕팔괘를 말한다. 太極圖인
河圖는 만물의 근원적인 불변상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서로 대립이 되어있는 사물이 상생조화가 일어나기를 기다리는 본래모습의
불변진리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하도는 구체적으로 천지만물과
인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며,서로 대립이
되어 상극을 일으키는 사물이 추후 상생의 조화(변화)가 일어나기를 기다리는
형체입니다.
태극은 무극에서 생성된 것인데 五를 중심으로 兩極으로 분화되는
중앙에 존재하여 무극을 內包하고 兩極을 外延으로 한 것이다. 태극도는 복희씨의
하도에서 유래하여 對置法과 配合法의 논리로 모든 수리학의 總帥를 이루고 있다.
무극에서 태극이 나오고 다시 태극운동으로 양의인 음양으로 나누어 오행이 생성되고
분화발전하여 만물이 탄생한다.
※極의
字義∼木의 나무가 빨리 커 올라간 上端의 첨단을 말한다.
皇極圖인 洛書는 天地法道가 어떻게 흐르고
변동하며 서로 상극하여 대립하고 갈등하는 사물이 상생을 이루기 위하여 어떻게
변화하고 진행하는
정반합의 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天地人 三才의 道가 생성 발전 완성되는 과정의 변동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낙서는 사시(사계절)을 나타내고,또한 상생상극의
도가 행하는 9가지 법도를
나타내며,이는 홍범구주로 표현이 된다.
[하도의 數理 구성원리] 북방에 一이 生하니
그의 對峙로 남방에 二가 생하고 중앙에 五가 위치하여 북방의 一을 加하면 六이
成하고, 다시 남방에 二를 가하면 七이 된다. 동방에 三이 생성하고 그에 대치하여
서방에 四를 낳으니 중앙의 五와 합하여 외곽에 八과 九가 만들어 진다. 十五를 중심으로 小圖를 치고 一三五七의
홀수의 합계 20數를 陽界로 하는 경계선弧를 치고 二四六八의 짝수 합계를 陰界로
하는 경계선을 양계와 접하여 밖으로 大圖를 그으면 태극도의 문양이 완성되는 것이다.
주역의 易卦는 태극도를 근거로 하였다. 복희씨가 하도를 보고 전체적으로 도형화한
것이 태극도가 됐으며 주역은 태극에서 생긴 음양의 부호로 四象이 만들어지고 八卦,
64괘가 완성되었다.
[하도 낙서 황극도
종합해석]
하도
선천수에서 음수가 30[2+4+6+8+10=30]이고 양수가 25[1+3+5+7+9=25]이며 生數 1,2,3,4,5를
내방에 배치하고 成數 6,7,8,9,10을 외방에 배치하여 자연우주계의 조화로운
세계를 표상했다. 후천수에서 음수가 20이고 양수가 25이며 양수가 안쪽 正方에 핵심으로
자리잡고 음수가 대각선 偶方에 배치하여 陽多陰小하고 陽主陰從으로 하여 인간계의
當爲를 고려했다. 우주자연계는 비록 양수 25 음수 30으로 陰多陽小해도 음양이 서로
화합하여 영원히 순환하지만 인간계는 善보다는 惡의 세력이 창궐하고, 착한 사람보다는
악한 사람이 많으며, 인간의 욕심 속에서는 항상 밝은 면보다는 어두운 면이 왕성하게
꿈틀거리므로 전체적으로 밝은 광명의 빛의 光陽을 照向하여 善을 향한 의지가
우세하도록 해야한다. 황극도는 이러한 인간의 본성과 성질을 감안하여 마땅히 나아가야
할 洪範普遍眞理의 당위원칙을 규정한 것이다. 황극도를 종적 입체에서 보면 고도로
향상하는 공간의 무한성을 나타내고 횡적 평면으로 보면 八方으로 확장발전하는 시간의
영원성을 상징한다. 이것이 곧 십자가의 대진리를 상징적으로 암시하는 것이다. 복희씨가
觀星辰하여 우주 천지 자연 조화를 궁구하고 아래로는 察五行으로 지상계를 살펴서
하수용마의 등에 새겨진 드형을 보고 팔괘를 제작했다. 약 6000년 전부터 음양설이
있었으니 주역은 夏殷周 삼대에 걸쳐 완성되었는데 하도선천은 음야학의 창시적 始源이
되고 다음 주문왕의 낙서 팔괘와 殷箕子의 洪範九疇이다.
하도는 음양의 생성원리를 우주구성의 수의 理致를 기본수 一에서 十까지 배치시켰으니 만유존재의 생명법칙이 여기에 다 포함되어 있다. 복희씨가 此理를 살펴서 팔괘를 劃하니 이것이 선천수이다. 하도는 質의 내용을 표시하고 팔괘는 象의 外樣을 나타낸다. 周의 문왕이 복희씨의 태극 양의 사상 팔괘를 근본으로 하여 다시 팔괘를 검토하여 인간사의 당위규범으로 配卦하니 이것이 문왕 팔괘 혹은 후천수라 한다. 그리고 64卦에 단사(彖辭)를 붙여 주역을 만드니 동양점성의 大宗이 되었다. 주역 점괘는 음양의 時位와 得失로써 길흉을 판정하고 오행의 상생상극법을 적용하지 않는 음양의 도덕과 점법이 포함된 것으로 통달하면 顯道하고 神德을 얻는다.
하도의 數理靈相을 살펴보면 음과 양이 항상 마주보고 있습니다.또한 대칭하여 존재하는
수리적 사물이 서로 마주보고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靜적인 상태를 나타냅니다.그래서 조화가 일어나기 전의 모든 만물의 근원적인 불변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數理圖
안의 1-2-3-4-5를 生數라 혹은 陽數라 하고 外延의 6-7-8-9-10은 成數 혹은
陰數라 한다.중앙의 5토는 體가 되고 1-2-3-4가 用이 된다. 5체수에 1-2-3-4-5의
用數를 차례로 더하면 성수 6-7-8-9-10이 된다. 10토는 만물의 생성을 관장하는 것으로
속이 텅빈 곳입니다. 5土數는 텅빈 空의 無를 나타내고, 10成數는 만물의
형상 즉 有형의 완성상을 나타냅니다.10은 사물이 완전하게 성장한 유형의 완성상으로 나타난 유극의 극치인 만물상을 나타낸다.
한마디로 5토는 空을 나타내고, 10은 色을 나타냅니다.공이 즉 색이 되기도 하고, 색이 곧 공이 되기도 합니다.10토가 우리 몸이면, 5토는 마음입니다.그 사이에 일어나는 감정과,보는 것,듣는것,몸에 피가 순환하는 것,
몸이 움직이는 것은 텅빈 마음과 몸이 상호작용하며 나타나는 것입니다.
수의 생성순서로 보면 1이 미완성 출발의 근본이요 10은
완성된 成體數나 다시 허공의 귀일로 돌아가면 0의 虛空盡無가
됩니다. 그러므로 10과 0은 서로 통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空無歸一의 河圖靈相眞理이다.
낙서에 보면 10
이 없습니다.
하도가 상생수를 나타내면 낙서는 상극의 변화수를 나타냅니다. 낙서는 氣質의 변화만을 나타내고,형상이 없으므로 완성된
수의 10
이 빠져 있습니다.그러나 하도는 만물이 서로 음과 양으로 배치하고 있기에,
10 이 있는 것입니다. 중앙 5토는 無極를 나타내고,10토는 완성형상으로 有極을 나타냅니다. 수의 원리는 만물의
형성원리가 되니 중앙 5토[中央土]가 천지만물의
중앙에 있는 것처럼 마음[心]의 중심에 신령이 있는 것입니다.
그 마음의 중앙 5토에 해당하는 것이 신령(神)이라면, 유형의
만상은 정기(精氣)가 정밀하게 엉겨서 사물로 형성된 것입니다.사물이 혼탁하게
만들어진 것을 귀(鬼)라고 하며, 조잡한 기운(氣運)이 거칠게 만들어진 것입니다.
죽은 것을 귀신이라고 하고, 살아있는 것을 정기라고 합니다.
5토는 하도에서 보는 만물이건 ,낙서에서 보는 조화의 흐름이건,항상 중앙에 있어서, 모든 형상과 변화의 주체는
곧 마음(5토)입니다.
하도를 체로 보면 낙서는 용이 되어 우주의 만물이 시간적으로 발전하는 것을 표시합니다.낙선는
만물이 생성발전하는 변화상을 나타내므로 10의 형상인 성체수는 내면에서 보이지
않게 운동하여 밖으로는 그 모습을 볼 수가 없는 것입니다. 하도는 사계절이나 동서남북의
방향을 상징하는 성체수이나 낙서는 운동의 방향과 흐름의 에너지를 이루어지는 형상의
靈相진리를 나타내므로 상하좌우나 대각선으로 3개의 수를 합치면 15가 된다. 서로
다른 부분이 상극 상생 중화의 과정을 거쳐 조화를 이루는 원리를 나타낸다. 15數度가 一氣가 되어 24절기를 이루니 합하여
360도의 원순환 고리의 1년을 거치면 지구공전의 환순환고리가 완성된다.
동서남북(東西南北)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이 전부 중앙토에 의지한 것처럼, 사람의 육신의 萬氣運도 모두 마음(心)에 의지하여 있습니다.혼백이란 귀신과 신령에
두루 통하는 말로 선령일 때는 신령이라 칭하고 악령으로는 귀신이나 마귀 사탄으로 부르는
것입니다.
혼백 동서남북도 곧 동서남북이 혼백을 중심으로하여 있다는 말입니다.
이것을 깨달은 사람이 바로 도의 진수를 아는 사람입니다.
멀리 보면 천문과 모든 생명체와 상하관계가 하도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이 원취제물(遠取諸物)이요,
가까이서 찾아
근취제신近取諸身)하면 내 몸(마음)에서 만물의
씨앗을 두루 갖추고 있습니다.
만물이 구성하는 근본원리의 불변상[본원상, 원천상]과 변동하는 과정의 변화상이
모양과 방법과 순서가 서로 다른 것 같지만 실상은 같은 원리로 움직입니다. 옛사람이나
지금 사람이 모두 시대적으로 고대와 현대에 살지만 모두가 마음의 평안과 행복한
인생을 갈구합니다. 먼저 가고 늦게 가지만 지향하는 목표는 같습니다.
사람이 지극하게 공경하는 마음으로 정성을 다하여
5토자리에 들면 천지와 내가 하나되어,굳이 일기예보를 보지 않아도 날씨를 알고,
또한 풍운 조화를 부릴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옛 선인들이 도통을
하면 자기가 마음에 원하는 경지가 스스로 얻을 수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有 와 無는 서로의 겉과 속이 되어서, 있음에서 없어지는 방향으로 조화가 흐르게 되고,
없음에서 있음으로의 방향으로 조화가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높은 곳과 낮은 곳이 있어야만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물이 흐를수 있고, 낮은 곳에서 증발하여 높은 곳으로 수증기가
올라 가듯이 서로 대립되어 상하,고저, 강약 등으로 나위어져 대립되어야 그 사이에 상호변화가 흐를수 있는 것입니다.
하도가 서로 대립되어 있는 불변본원상의 원래모습을 형상한
것이라면 상호조화가 일어나기를 기다리는 상이라면, 낙서에서는 모든 상이 음양으로 서로
어긋나거나 틀리게 대립되어 서로 경쟁하고 투쟁하는 변화상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주역의 계사전에 보면
낮이 가면 밤이 오고 밤이 가면 낮이 오니, 해와 달이 서로 밀어서 밝음이 생겨나는 것이다. 추운
것이 가면 더운 것이 오며 더운 것이 가면 추운 것이 오니, 춥고 더운 것이 서로 밀어서 한 해를 이루게 한다. 가는 것은 굽히는 것이고 오는
것은 펴는 것이니, 굽혀서 펴는 것이 서로 느끼면서 이로운 것이 생겨나는 것이다.
변화란 서로 반대되는 것이 있어야만 이루어질수 있는 것이기에, 복희씨가 만물을 보고,
그 만물에 숨어있는 근본 이치를 찾아서 그려 놓은 것이 하도이고 복희 팔괘입니다.조화를 일으키기 위하여 서로 대립되어 기다리는 형체를 하도라고 합니다.
그래서 음과 양이 항상 마주보고 있습니다.
그런 모든 변화는 또한 중앙에서 일어나므로, 중앙과 변두리도 서로 대립되어 있습니다.낙서는 조화가 흐르고,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사계절의 변화를 보고 그 안에 흐르는 변화의 법칙을
도식화 시켜 놓은 것입니다.그러기에 낙서를 보면 서로 대립되어 있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 잇습니다. 그래서 하도를 도의 本體라 하고,낙서를 도의 運用이라 합니다.
또 다른 말로 하도를 道라 하고, 낙서를 術이라고 합니다. 하도와 낙서를
통합적으로 통달하여 응용하는 것을 도술이라고합니다. 하도를 표현한 복희 팔괘와 낙서를 표현한 문왕 팔괘를 자세히 살펴봅시다.
시간의 선천, 후천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 둘은 지금까지의 도와 변화를 나타낸 것이라.
선천(지금 시점의 이전)의 변화 법칙이라고 하고, 하도와 정역 팔괘를 합쳐서 (지금 이후의 도와 그 변화) 후천의
변화 법칙이라고 합니다. 앞의 선천팔괘 때 쓰는 선천과
개벽이 일어나기 전의 선천은 서로 의미가 다름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선천 팔괘란 복희 팔괘를 나타내고,후천 팔괘는 문왕 팔괘를 나타냅니다.
복희 팔괘는 서로 대립되어 조화를 기다리는 상이므로, 만물이 원래 가지고 있는 상이라 하여 선천팔괘라고도 하며,
문왕 팔괘는 조화가 흐르고 행하는 것을 나타내므로,만물이 원래 모습에서 변화하는상이라 하여 후천팔괘라고도
합니다. 시간의 선천,후천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 둘은 지금까지의 도와 변화를 나타낸 것이라.
선천(지금 시점의 이전)의 변화 법칙이라고 하고, 하도와 정역 팔괘를 합쳐서 (지금 이후의 도와 그 변화) 후천의
변화법칙이라고 합니다. 앞의 선천팔괘때 쓰는 선천과 개벽이 일어나기 전의 선천은 서로 철학과
과학의 의미가 다릅니다
복희 팔괘는 서로 대립되어 조화를 기다리는 상이므로
모든 괘가 서로 반대되는 괘와 대립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만물의 본래
상이라고 합니다. 복희 팔괘의 건괘와 곤괘는 强과 柔를 나타냅니다. 강과 유가 서로 밀고 댕겨서 변화를 나타내는데.
아직은 서로 대립만 되어 잇는 형태입니다. 天과 地인 乾卦와 坤卦가 서로
마주보고 있듯이
巽괘와 震괘도 마주보고 있습니다. 손괘는 흩어트려 수그러지게 하는 것이고,
진괘는 모여 움직이게 하는 것입니다.
坎괘와 離괘는 물과 불을 나타내고,
艮괘와 兌괘는 간은 그치는 것을 나타내고, 兌괘는 활짝피어 기뻐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렇게 복희팔괘는 서로 반괘를 가지고 서로 대립되어 조화가 일어나기를
기다리는 상을 나타낸 것입니다. 실제 조화는 문왕 팔괘로 나타냅니다.
복희 팔괘는 서로 반대 방향에 대립되어 잇지만. 문왕 팔괘는 변화라 시간과 방위가 잇습니다.
문왕 팔괘는 응양의 변화가 일어나는 사시를 나타내고,
낙서는 천지를 변화를 일으키고, 도가 행하는 9가지 방법을 나타냅니다. 이는 홍범 구주로 나타납니다.
道가 행하는 홍범구주의 9가지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선천하도(先天河圖)의 용마도(龍馬圖)
河圖는 지금으로부터 약 5500여 년 전에
중국의 3황 5제 중의 첫 임금인 동방태호(東方太皓) 복희씨(伏羲氏:단기앞 1195-1080년경,
서기앞 3528-3413년경)가 황하강에서 나온 八척되는 용마(龍馬)의 등에 새겨진 太極무늬의
형상으로부터 계시 받아 팔괘(八卦)의 형상을 만든 것인데, 우주창생(宇宙創生)의
5대 근본 원소인 木 火 土 金 水의 五行이 相生의 원리에 의해 木生火→火生土→土生金→金生水로
발전하면서 우주가 차례로 창조되어 간다는 만물의 변화과정을 설명하는 자연 자연상수(象數哲學)의
근본원리를 말한다.
용마의 머리는 二七數形의 태극형상이
소용돌이로 꿈틀거리고 꼬리에는 一六數形이, 등어리 좌편엔 三八數形, 우편엔
四九數形이 중앙엔 五十數形의 무늬형이 새겨진 형상을 보고 복희씨가 곰곰이 생각하고
궁리하여 先天 河圖의 도형을 배치했다.
태극도(太極圖)는 4차원 시간세계의 영원성을 나타내며 자연계에
존재하는 變動 유동진리(流動眞理)를 상징한다. 만물의 변화하는 모습이 고왕래금(古往來今)의
우(宇)로 종적(縱的)으로 꿰뚫는 시간적인 순서를 나타내는 당위법(當爲法)으로 우주를
縱으로 꿰뚫는 진리를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으로 설명한다. 先天數를 중심으로 볼 때는 태극도를 體로
보고 황극도는 用으로 보아 盡心窮理로 현안문제를 해결한다. 태극도를 선천도라
하여 천지가 창조되기 전의 우주창생원리를 수리로 나타낸 것이다.
※후천낙서(後天洛書)와 귀서황극도(龜書皇極圖)
洛書는 지금으로부터 약 4300여
년 전에 삼황오제인 堯임금(단기앞 24∼단기 74년, 서기앞 2357∼2260년)과 舜(虞舜:단기
79∼126년, 서기앞 2255∼2208년) 임금의 뒤를 이은 중국의 하(夏)나라 우(禹:단기
121∼146년, 서기앞 2250∼2275년)임금 때 낙수(落水)에서 나온
신령스러운 거북[龜}이 등에 새겨진 영묘(靈妙)한 그림무뉘와 숫자의 형상(形象)으로부터
신비한 계시를 받고 제작한 것을 후에 문왕이 팔괘(八卦)를 산정(算定)하고 천지사방에 비유하여 수리학적으로 배치한 靈動數理圖形을
만든 것이다. 낙서를 바탕으로 만든 문왕팔괘도를 후천도라하여 천지가 창조된 후
만물이 변화되는 우주발전분화원리를 수리도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河圖가 우주창생(宇宙創生)의 창조발전이 木 火 土 金 水의 五行이
相生의 원리에 의해 차례로 창조되어 간다는 만물의 변화과정을 설명하는 것이라면,
洛書는 천지간 만물이 생존경쟁의 법칙에서 상극으로 대치하여 오행이 土克水→水克火→火克金→金克木→木克土로
逆接하는 正反合의 갈등과 투쟁의 과정을 거쳐서 상승 발전한다는 경쟁원리를 암시하며,
특히 낙서의 기본 개념으로 인문사회 과학에서 인간들의 상호경쟁 관계는 상극의
경쟁관계가 역사적 체계적으로 발전한다는 변동현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河圖가 一에서
十까지의 數를 五方에 이중으로 배치했고
洛書는
一에서 九까지의 數를 單數로 배치한 것이다.
洛書는 3차원 공간세계의 무한성을 나타내며 인간계에
나타나는 정재진리(定在眞理)를 상징한다. 만물이 운동하는 형태가 천지사방(天地四方)
주(宙)로 횡적(橫的)으로 확산하는 공간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존재법(存在法)의 진리를
형이하학적(形而下學的)으로 보여준다. 하도는
자연수가 통일하는 상을 암시하고 낙서는 자연계가 현상계에서 발전하는 상을 암시하니
후세의 연구가들은 깊이 궁구하시라.
▣◈▦▩마방진(魔方陳:Magic square): 모든 수의 좌우와 대각선의 합이 15가 되는 신비의 조화수
4 |
9 |
2 |
3 |
5 |
7 |
8 |
1 |
6 |
2.홍범구주와 귀서황극도
(1)홍범구주(洪範九疇)와 귀서황극도(龜書皇極圖)의
유래
▣◈▦▩ 洪範九疇의 九宮數 구성
6 |
1 |
8 |
7 |
5 |
3 |
2 |
9 |
4 |
九宮數의 오행수리 구성
生數 |
一 |
二 |
三 |
四 |
五 |
成數 |
六 |
七 |
八 |
九 |
十 |
五行 |
水 |
火 |
木 |
金 |
土 |
귀서황극도는 殷의 箕子가 낙서구궁을 보고 상하로
뒤집어 도치된 수의 원리로 재배치하여 홍범구주을 만들었다. 홍범구주는 治者의
도리를 밝힌 것으로 고대시대에서는 임금이나 왕 혹은 천자나 황제가 통치자에 해당하므로
황제가 백성을 우주 천지 자연법도에 따라 성인의 경지에서 백성을 편안하게 다스리는
법도의 원리로 황극도를 제시한 것이다. 오행의 원리가 天時 人事에 동일하게 해당되는
사물의 원리를 말하고 오행의 상생상극법을 적용한다. 후세의 음양 역술가들이 낙서구궁과
문왕팔괘를 기반으로 각종 철학원리나 점술법을 만들어 내었다.
후세의
음양학슬자와 운명철학가 들이 낙서구궁과 문왕팔괘를 기반으로 각종 점술법을 조작하니
모두가 오행의 상생상극법을 원칙으로 하여 사주학와 관상 수상 성명학과 더불어 體相이나 각종
인물감정법에서는 선천하도의 음양술과 후천낙서 오행의 상생상극법을 겸용하여 활용하는 추세다.
후천수를 중심으로 볼 때는 황극도를 橫的 空間으로
보고 태극도 縱的 時間 으로 보아 窮理變通한다. 황극도는 人極 정신계와 民極 물질계를
합한 전체로써 존재한다. 민극을 토대로 해서 인극을 상위로 한 것이 양극을 좌우로
내포하고 있다. 2와 4를 底邊으로 하여 5를 정점으로 한 정삼각형은 民極인데 저변은
民衆의 位고 정점은 師表의 位로써 9點에서 상승하여 올라간다. 즉 물질계의 위에
정신계가 자리잡고 있으며 물질의 궁극적 입자는 무한자까지 쪼개가면 결국 정신의
문제로 귀착되어 사념의 문제로 넘어간다. 민극은 人極의 교점에서 독자의 정신계를
가지고 있다. 5는 7과 3의 中으로 상위로 올라가서 1과 연결하는 縱線으로 庸道를
형성하니 中位를 지켜서 중용의 자리가 된다. 6과 8을 상변으로 하고 5를 底點으로한
倒3각형은 人極이니 인극은 민극의 師表者가 중용도로 올라가면 그의 정신계가 확대되어
감을 표시한다. 5의 중점에서 7과 3은 양극단을 표시한다. 6과 2를 좌변으로 한 5와의
3각형은 음계를 나타내고 8과 4를 우변으로 한 5와의 3각형는 양계를 나타내어 밖으로
나갈수록 음양이 확대된다. 7과 3을 횡축으로 한 5는 중을 표시하고 9와 1을 縱軸으로
庸은 종횡으로 교차하는 십자가형의 진리로써 중용를 나타낸다. 종횡의 양축이 교합해서
중용이 되니 이것이 程子의 不扁之謂中이요 不易之謂庸이다. 좌우 양극에서 5의 중점으로
들어오는 것은 和고 중점에서 양극으로 나가는 것은 流라 한다.
孔夫子께서
"和而不流하니 强裁矯여 中立而不倚하니 强裁矯여" 하신 것은 중용을 지켜나가는
것이 최종적으로 가장 선하고 강한 것이요 橫의 좌우 양극단에 지우치면 不善하고
惡한 것으로 떨어지는 것이니 겉으로 강한 것 같지만 결국 약해지고 소멸하는 것이다.
縱의 上極은 最善의 이상적 지향점이 되는 곳이다. 중점에서 횡축으로 나가는 것은
공리적 실용으로 발전하는 것이요 종축으로 올라가는 것은 도덕적으로 고양되고 상승되는
것이다. 양극에서 중점으로 모여드는 것은 會其有極이고 중점에서 상극으로 돌아가는
것은 歸其有極이다. 有極이라는 것은 民極에서 人極으로 가는 皇極의 중용도로써
중도중행의 바른 길이다.
(2)양의(兩儀)와
육극(六極)의 홍범(洪範)
양의는 우주를 움직이는
근본 2개 세력권인 음계와 양계를 의미하니 합하면 태극이 되고 흩어지면 오행으로
갈린다. 또한 생명의 작용을 나타내니 음양의 힘으로 사지백체가 움직이고 정신작용이
활동한다. 홍범은 다음의 六極으로 나눈다.
①무극(無極)∼천지가 창조되기 전 우주가
혼동(混沌:Chaos)한 무형의 상태로 아무것도 탄생되지 않았으며 그저 검붉은 덩어리가
빙글빙글 돌아가며 회전하는 천공의 덩어리로 빛도 없었으니 虛無의 핵심이다. 이
운동을 주관하는 에너지의 원천은 허공천신이라 할 수 있다.
②양의(兩儀)∼무극이
분화하여 형체를 갖춘 세력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陰의 靜한 세력과 陽의 動한
양극세력(Antagonistic Power)으로 나누이는 과정이 양의의 상태이다.
③태극(太極)∼천지
우주(Cosmos)가
창조되는 찰라이니 무극과 음양의 양의가 혼합되어 무에서 유로 넘어오는 단계이니
有의 시초가 된다. 무극에서 음양으로 분리되기 전에 兩儀의 혼합덩어리이다.
④민극(民極)∼양의가 분화되면 오행이
형성되고 팔괘의 운행으로 64괘로 성장발전하여 만물이 탄생한다. 탄생한 만물
중에서 사람이 가장 귀중하니 그 중에서도 백성으로 대표되는 民衆의 최고 통치자가
민극의 최고 봉우리를 차지하니 그것이 민극의 자리다.
⑤인극(人極)∼민극은
무지몽매하거나 혼란된 질서에 따라 우왕좌왕하는 수가 있어 그러한 혼돈의 암울한
상태는 빛의 질서를 유지하는 인륜도덕의 최고자리가 인극의 최고봉으로 인의예지신의
오상이 수립되니 민극의 최고 통치이념으로 대이상이 된다.
⑥황극(皇極)∼治者의
최고이념은 통치자의 대이상이 된다. 고대나 봉건 군주시대에는 하늘의 도리를 이어
받은 천자나 황제 군주나 왕의 자리를 대변하는 최고점으로 황극이 존재하였으나
현대의 민주주의 시대에는 국민의 선택에 의한 지도가를 말한다.
(3)홍범구주의
철학적 의의와 현대적 해석
홍범구주에 의한
생명철학의 구성은
①무극(無極)은 생명의 핵심 즉 우주 대생명럭을 말한다.
②양의(兩儀)는 무극의 혼돈된 생명에너지가 대폭발(Big Bang)의 소용돌이가
서서이 양분되어 태극운동으로 분화 발전한다.
③태극(太極)은 무극이 태극으로 분화되면서 생명력의 운동으로 음양의 두 세력이
분리된다.
3.동양철학 원리 주역팔괘(周易八卦) 방위 원리도(周易八卦)
伏羲 八卦 方位 先天 龍馬 河圖法 |
文王 八卦 方位 後天 神龜 洛書法 |
|
|
하도에서 음양학이 비롯되며 오행으론 상생법의 모체가 된다. |
낙서에서 후천 음양학이 시작하며 오행상 상극법을 적용한다. |
주역의 계사상전(繫辭上傳)에 보면 역에 태극이 있어 태극은 兩儀를 낳고, 양의는 四象을 낳고 사상은 八卦를 낳는다고 했으니『易有太極
是生兩儀 兩儀生四象 四象生八卦』란 구절이다. 朱晦菴은 朱子語錄에서 사상을 老陽 小陽 老陰 少陰으로 구분했다. 李濟馬(1838-1900)는
성리학에서 우주 천지자연의 근본철학원리인 주역과 음양이원의 사상철학을 바탕으로 인간의 몸도 사상의학으로 다루는 체질론을 창안했다.
※朱晦菴∼본명은 周熹(1130-1200)로 호가 회암이고 존칭으로 朱子라 칭한다. 宋代의 성리학자로 기존의 유학사상을 우주자연
哲理사상을 다루는 성리학으로 집대성하여 발전시킨 사람으로 주요저서는 四書集注가 있다.
①五行(오행)은 水,火,木,金,土요,
②五事(오사)는 貌,言,視,聽,思요,
③八政(팔정)은 食,貨,祀,司空,司徒,司寇,賓,師요,
④五紀(오기)는 歲,月,日,星辰,曆數요,
⑤皇極(황극)은
中央에서 政治를 잘 함이요,
⑥三德(삼덕)은 正直, 剛克,柔克이요,
⑦稽疑(계의)는 雨,霽,蒙,驛, 克과 貞,悔요,
⑧庶徵(서징)은 雨,暘,욱,寒,風이요,
⑨五福(오복)은 壽,富,康寧,攸好德,考終命이며, 이에 따른
六極(육극)이 있으니 凶短折,疾,憂,貧,惡,弱인 것이다.
이는 낙서의 9개의 점들과 서로 관계가 있습니다.
첫째는 천지가 행하는 것으로서 비오고,덥고,따듯하고,춥고,바람이 부는 천지의 조화를 나타낸
것입니다. 둘째는 사람의 몸을 다스리는 것으로써 얼굴의 공손함,말하는 것의 순종, 보는 눈의 밝음, 들음의 총명, 생각의 밝음(지혜)로써 첫번째의 오행과 관계가 있어서, 사람 마음과 천지의 날씨와 서로 감응하면서 변화가 일어납니다. 이 오행과 오사를 합쳐서 홍범이라고 하고, 나머지 7개를 합쳐서 구주라고 합니다. 그래서 홍범구주가 되는 것 입니다.
셋째는 여덟까지의 정치로써 사람이 하늘에 낸 법도에 따르는 것으로써, 백성들의 삶을 넉넉히 하고, 편안하게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조선시대에 이에 맞추어서 8부가 있었습니다.
네째는 오기로써 하늘이 사람에게 보이는 것으로써,1년,월,일,별자리,역수등에 길흉을 나타내서 백성들의 힘들고 어려운 것을 나타내
주는 것입니다.한마디로 천문을 보는 것입니다.다섯째는 황극으로써 임금이 이런 하늘의 道를 세워서 다스리는 것입니다.
여섯째는 다스리는 것으로써, 하늘의 응감과 변화에 순응하여 다스리는것입니다. 일곱째는 계의로써 사람이 하늘의 말씀을 들어서 의심나는 것을 없애는 것입니다.
여덟째는 서징은 하늘이 징조를 보여주는 느끼고 징험하는 것입니다.
아홉째는 하늘의 뜻을 사람이 느끼어 감응 하는 것으로써 해로운것과 좋은 것이 잇는데,좋은 것은 오복이요, 나쁜 것은 육극(여섯가지 해로움)입니다.
이 아홉가지 도의 행함이 곧 낙서의 아홉개의 점을 나타냅니다..
더 쉽게 설명하면
하늘과 땅은 음과 양의 상대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설정한 형체를 뜻한다. 복희 八괘의 방위는 조화를 기다리는 형체요. 문왕 八괘의 방위는 조화가 흘러 돌아가게 하는 쓰임이니라. 그러나 상대를 기다리는 것도 흘러감이 아니고서는 변화를 일으키지 못하고 흘러 돌아감도 상대를 기다리지 않고는 스스로 행하지 못한다. 하도와 낙서를 구체적인 만물의 정으로 표현한 것이 복희팔괘와 문왕팔괘입니다. 더 자세히 나타낸것이 주역의 64괘이고요. 팔괘는 천지에도 있고,모든 사람에게도 있어서, 천지와 사람을 하나로 꿰뚫는 것이 바로 팔괘입니다.하도낙서를 구궁이라고도 하며, 팔괘로도 나타냅니다. 하도를 道라 하고, 낙서를 術이라고 합니다. 팔문둔갑이라는 말은 이 팔괘를 이용하여,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은 누구나 가능한 일이며, 낙서를 잘 사용하면 神仙의 경지에 들어갑니다. 강태공이 이를 잘 사용한 분입니다. 팔문둔갑의 둔갑술은 마음으로 강하고,유하고,나아가게 하고, 물러나게 하고,등등의 각 괘를 사용하여 조화를 부리는 것을 팔문 둔갑이라고 합니다.주역 계사전에 등장하는 근취제신 원취제물'(近取諸身 遠取諸物)이라는 표현이 대표적이다.
4.태극과 음양오행설의 원리해설
우주
삼라만상의 모든 만물이 오행으로 그 형상을 이루고 數理로써 그 形量이 계수되고
음양으로 오행이 운행되는 법칙으로 삼는다. 음양은 태극설에서 기원했는 데 현대적으로
말하면 음과 양의 상대성이 태극에서 합치고 통일된다는 의미다. 태극설을 처음 주장한
주염계(周濂溪: 이름은 주돈이)는 성리학을 연구하는 주자학자였지만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태극의 근원은 무극이라는 우주근본 에너지에서 생성된다고 설명했다.
태극이란 우주를 구성하는 陰과 陽의 二元氣의 근본 에너지를 말하며, 태극의 이름이
최초 인정받게 된 것은 周代의 易經이고, 후대에 와서 北宋의 주돈이(1017∼1073)의
태극도설이 나왔다. 음과 양의 두 원기가 합치거나 분리되는 태극운동을 하면서 만물이
형성된다. 천지가 생기기 전을 무극으로 표현하는데 이 때 우주 원질은 무색
무미 무형으로 혼돈상태를 유지하면서 서서이 음양의 이원운동으로 조용한 음의 운동과
활발한 양의 운동으로 대별되는 데 이러한 운동의 상징적인 대표적 양은 물체는 태양이나
하늘이고 음의 물체는 달과 땅이다. 태극이 음양의 두가지로 나누이는 것을 兩儀라고
하고 다시 四象으로 분화되고 팔괘로 발전한다. 사상을 방향에 비유하면 四正의 東의
震과 西의 兌, 南의 離와 北의 坎이고, 다시 四方의 중간인 四隅의 동북의 艮과 동남의
巽, 서북의 乾, 서남의 坤으로 분화되어 전부 합쳐서 八卦라고 한다. 음과 양이 서로
충격반응하고 조화 통일하면서 영원히 반복 태극운동을 하면서 오행과 五物이 상호작용하면서
만물이 탄생한다. 오행은 상생 상극운동을 하면서 만물이 분화 발전한다.
●○無極 始源⇒⊙BLACK
HOLE의 太極운동⇒兩儀
陰陽⇒ 四象⇒五行 ⇒八卦 ⇒WHITE HOLE의 萬物⇒우주森羅萬象
우주의 시원(始源)인
형체없는 무극에서 생성된 태극은 한번 動하여 生陽하고 陽이 極盛하면 生陰하여
靜하니 分陽分陰하여 兩儀가 생기고 양의는 生四象하여 老陽 少陰 老陰 少陽이라
한다. 사상은 生八卦하여 천하만물이 탄생한다. 陽極則 沈靜하고 純靜에서 生陰되며
陰極則 生動陽하여 陰陽動靜운동의 반복으로 分陽 分陰 兩儀立하여 우주삼라만상이
변전한다.
5.천지창조의 순서와 오행의 탄생
●●
○無始⇒⊙渾沌胚胎⇒태역⇒태초⇒태시⇒태소⇒태극⇒우주森羅萬象
§
※◈◈▣●★☆火水의 離坎 律呂정신운동
천지창조 전의
무극의 빅뱅(Big Bang)상태에 The void of ether가 혼합되어 궁창(穹蒼:The vault
of heaven)이 타오르고 분화발산되는 창조자리수는 10무극이다.
①離火는 분열의
정신으로 生生之謂術 Developing <╋>律動 운동이다.
②坎水는 통합의 정신으로
生生之謂道 Becoming <━> 呂韻 운동이다.
|
|
|
|
|
|
|
|
無始 |
↓ ↑ |
太易 |
火生 |
胚胎 |
氣無 |
아무 기운도 나타나지 않은 단계로 氣도 理도 없다. 未發된 상태이지만 운동의 기운은 있으나 다만 認識되지 않을 따름이다. |
道家에서 無極의 자리가 태역 |
BIG BANG |
↓ ↑ |
太初 |
金生 |
渾沌 |
氣無 體無 |
기운이 엉기는 단계로 律呂의 음양정신이 동하기 시작하는 조화자리 空에서 태역의 자리인 무극에서 발아된 기가 현상화된 旣發상태로 기를 인식한다. |
|
↓ ↑ |
太始 |
木生 |
大爆發 |
體有 質無 |
본 바탕체가 있으나 성질은 없다. 氣가 인식되면 理가 내재되어 작동되니 寂滅之空의 一太極水가 탄생한다. |
|
|
↓ ↑ |
太素 |
土生 |
分化 |
質有 形無 |
성질이 생성되었으나 형체 모양은 없다. 形質이 완전히 갖추어진 것은 아니나 質과 形이 발아되는 단계로 씨앗 난자 정자 5장6부 등이 적합한 온도와 여건이 갖추어지면 형체를 만들기 시작한다. |
|
|
無終 |
↓ ↑ |
太極 |
水生 |
整頓 |
氣體 質形具有 |
기질과 성질 형체를 갖춘 만물이 되었다. 形象과 質料가 서로 엉키고 조화되어 형체를 갖춘 사물이 완성된다. |
|
無極⇒⊙渾沌胚胎⇒태극⇒음양⇒사상⇒팔괘의 생성과정 주역 기호 표시⇒우주森羅萬象
6.오행의
성질과 상호변화
(1)水性論]
(2)木性論]
(3)火性論]
(4)土性論]
(5)金性論]
五行
性質 說明
1. [水論] 水는 淸潔한 것을 吉로 하고 生하는 것과 泄하는 것이 있어야 하고 空亡과 濁水刑冲을 忌한다, 天傾器北하니
亥水는 出水方位다, 水는 東南으로 흐르는 것을 順行이라 하고 吉命이 많으며 西北으로 흐르게 되면 逆流라 風波가 많은 것이다, 水性은 流動하고
출렁이는 性格으로 一平生破도가 많고 屈曲波難이 많은 法이다,
水는 申宮에 이르면 波濤소리가 搖亂하고 넘친다 水가 逆流하면 名聲은 있어도 家庭事가 複雜多難하다, 水가 逆流하면 未冲前에
自絶自死하고 波濤가 生하여 諸事遲延이요 逆行이다 水는 어둡고 冷한 것이라 丙火太陽의 照光이 있어야 江湖가 美麗하고 水火旣濟라 하고 良友라 하는
것이다.
水는 土가 많으면 不流요 濁水가되어 每事에 遲滯되고 막히는 것이라 人體에는 血病이고 血液循環의 疾患이다, 水는 天氣로 萬物의
根源이라 人間에 있어서는 祖上과 같으므로 敬神하여 宗敎關心이다 水多卽 戊土로 堤防하고 己土로는 濁水만 되고 堤防을 하지 못한다, 水가 金多면
濁水요 木多면 水死하고 火多면 水蕩하고 土多면 不流한다, 陽水身弱은 貧寒을 招來하고 陰水身弱은 蓄財로 富를 이룬다 冬節水는 萬物肅殺하고 溫水는
萬物을 生育한다, 金寒水冷은 有淸明이나 子息難養이 天下의 理致다 그러므로 初春과 冬節의 水는 丙太陽照暖을 吉로 하고 夏節의 水는 生水金을 大好한다,
秋節의 水는 火金을 倂用한다 水는 江湖요 霜雪이라 時上壬水가 透出하면 前途有江이라 萬事中途挫折하고 諸事障害요 人生航路에 多額이라 截[절]로라
한다.癸水는 雨露지만 初春과 冬節은 霜露요 氷雪이라 忌하는바 特히 初春과 冬節의 木日干은 癸水를
不用다.
命內에 水火相戰이면 水液 火傷 血病 精神 眼疾이 따른다, 水性은 多情하고 融和 團結團合을 좋아하고 水旺하면 輕妄하고 촐싹대는 면이
있다 水는 萬物의 滋養分이고 生命의 根源인바 淸하고 溫暖하면 慈善事業을 많이 한다, 水命人은 反覆性과 動搖가 많은 것이 特徵이다 癸水는 雨露라
萬物生育의 義務가 있으므로 九流術業이 많고 水源이 弱하고 旺土上의 壬水는 山中藥水요 濁한 水가되고 金의 生을 받고 泄氣가 있으면 淸水가 된다
旺水는 歸宿地 辰土를 보아야 한다.
2. [木性論]
陽木은 結實을 主導하고 陰木은 華麗한 姿態와 茂盛을 主導하며 曲直性이라 上昇을 좋아한다 木은 土에 依支하고 水火의 保護를 받아야
生成發育하고 華麗하며 結實을 하게 되니 生木은 四季節 水火土가 없으면 不可하다,
木은 空亡을 忌하고 初春發芽木은 丙太陽을 吉로 하고 金을 大忌하나 死陽木은 庚金得해야 成器하여 貴命이 된다, 死木이나 濕木은
金으로 쪼개지 않으면 發火하지 못하고 成器하지 못한다. 正二月 木은 柔發芽木이라 金을 大忌하고 丙太陽을 大好하며 庚辛金이 있으면
刑妻克子한다.
二三月乙木은 開花期라 天紫滿紅하여 蜂蝶이 往來하고 華麗함이 極에 達한다 旺한 甲木은 五月開花기요 晩秋에 丹楓으로 美色을 發한다
그러므로 春木은 丙火先用하고 夏節木은 水를 先用하고 金을 次用하며 秋冬木은 火金을 倂用한다,
木은 土多면 損力하고 土薄이면 才藝는 있으나 小福이요 水多면 浮木되어 漂流하고 不着地요 火多면 焚死하고 金多면 破木 傷身이다,
金殺多卽 厚土를 願하고 火多면 濕土와 水金을 要하며 木多면 成林으로 無實하게되니 金을 要하고 水多면 土를 보아야 定着하고 吉命이
된다.
甲木이 旺하면 乙木은 藤蘿繫甲하고 乙木이 旺하고 甲木이 弱하면 甲木은 結實하기 어렵다. 霜降以後 木은 葉落枯枝하니 無花에 水多면
結實이 없고 諸事遲延이다 癸水는 雨露라 萬禾稼를 生育하지만 初春과 冬節은 霜露가되어 不用한다 夏節木은 丑土에 依支하나 冬節木은 丑土가 冬土요
寒金의 庫藏이라 木이 依支할 수 없다.
甲木은 龍雷요 乙木은 風이다 甲乙不調는 風이 많은 法이다, 甲寅乙卯 甲辰乙巳 甲戌乙亥는 生木으로 火를 喜하고 金을 忌하며,
甲申乙酉 甲午乙未 甲子乙丑은 死木이라 金의 切傷을 大好한다 木은 密林成卽 太陽照暖이 어려워 金으로 伐木을 하지 않으면 無實이고
寒冷하고 濕하여도 結實難이라 凶命이다.
夏節木도 燥熱하면 枝葉이 枯死하니 癸水雨露時에[子息]開花結實한다, 初春木은 根을 刑冲하면 身體有欠이다 夏節甲午日은 天赦日로 調候가
되면 富命이 많다, 三月乙木은 紅艶草木이라 總天然色으로 華麗하고 奢侈한 것이므로 纖維類이고 九十月 甲木이 火多면 乾燥하고 葉落한 死木이라 藥草
纖維 合板等이다, 寅中甲木은 土中發芽前 木으로 農場 溫床木이다, 亥中甲木은 水中浮木이라 海水上 死木으로 船舶이고 水産物이다 未中木은 沙土中 人工栽培木이고 野低山으로 小植木이고 花園이다, 乾命에
亥中甲木이 妻子면 卯未없으면 妻子가 되지 못하고 惑 寅生 子息生하면 身體缺陷이 있다 金木이 相戰이면 金庫를 봐야 吉하고 乙木이 火多면 辯舌이
能하다,
3. [火論]
陽火는 太陽이고 陰火는 燈燭과 같은 것으로 火强하면 旺金을 鎔解하고 成器하여 有用하게 되며 火弱하면 一寸의 金도 녹일 수 없다 火는
炎上한 것으로 밝고 明朗한 것이며 빛이 長遠하여야 萬物을 成長하게 하고 調候役割을 하는 것이다, 火가 弱하면 光輝가 長遠하지 못하니 伏藏을
要하고 名은 없으나 不滅이다 旺火는 透出되어 水火旣濟되어야 光明하고 火는 水昌해야 顯節遠望이다,
火는 申酉地에 木母가 絶地라 火는 滅하고 南方에서 果斷性을 發한다 火는 坎宮至하면 두려워 操心하고 禮만 지킨다, 火는 旺土를
大忌하는데 戊土가 빛을 가려 埋光된다 春火는 萬物 生育을 主導하고 夏節火는 萬穀을 結實하게 하고 秋冬火는 萬物에 溫暖을 主導한다 秋節霜降에 火가
꺼지게 되니 伏藏함이 宜하다 春火는 木火通明之象으로 光明을 吉로 하고 春火에 癸水는 暗雲과 같다,
冬節火는 木火相濟가 吉하고 빛이 長久하다 不晴不雨시 癸水를 逢하면 不顯不達이다, 陽火는 晝間은 太陽이고 夜間에는 月이고 照明燈이다 丙火는 寅時出하니 生地요 酉時日沒하니 死地가된다 陰火는 星辰이고 燈燭이라 日沒後有光하니 酉에 生地고 日出寅時에 死地다, 春夏節 旺火는 壬水輔映을 要하고 冬節火는 甲庚을 大好한다 火勢와 金勢가 均等하면 鑄印이라 하여 大富貴命이다, 丁星은 太陽光明에 奪光無色하고 丁日이나 丁火 喜用者는 夜生者貴요 晝生者는 賤하다, 火는 禮라 美麗를 좋아하고 奢侈와 流行에 敏感하다, 丙火는 明朗快活하고 星辰은 情과 智 孤獨을 內包한다,
夏節生이 火가 太過하면 過燥하여 萬物이 枯死하니 夜生者는 貴하고 晝生者는 多煩이다, 火多卽焚死하고 木多火熄이고 土多면 火洩하여 身弱拙者다 壬丙相照는 河海照光이라 貴格이다, 丙太陽에 癸水는 雲霧라 貴格이 되지 못하고 火日柱가 土가 많으면 甲木先用하고 水旺이면 甲寅木과 戊土를 要하고 金旺이면 比肩劫財를 用하고 木旺이면 庚金用한다 火旺이면 濕土 不然이면 財官을 用한다 土旺이면 泄氣過하여 才藝는 있으나 功果가 없고 金旺이면 財多身弱으로 貧妖之命이다, 木旺이면 龍頭蛇尾로 無實이다,
水旺이면 長患疾病이요 有名이나 財敗한다, 火熱하면 運元이 溫暖地로 향해야 吉하고 가장 밝은 時는 巳火요 가장 어두운 時는 丑時다, 四柱에 火가 弱하고 寒濕하면 巳火가 吉하고 燥熱한 命은 丑土를 봐야 吉하다, 木이 火土過熱하면 未土나 金이 木火過熱이면 丑土요 火가 水旺極弱이면 巳火가 吉하다,
4. [土論]
土는 萬物을 收藏하여 生長하므로 母性이요 中心이 되어 水火 金木이 土에 依支하고 生成收藏하는 것은 土의
役割이다, 土는 四庫地로 四維에 散하고 辰戌丑未에 歸藏한다, 冬土는 萬物 不生이요 無土命은 庫가없고 無信이라 不可富요 信用이 없고 厚重하지
못하다, 土는 潤濕溫暖해야 萬物을 能生하고 溫土는 雨露癸水를 大好한다 戊土는 固重헤야 堤防이 되며 己土는 田園沃土다, 燥土는 物病이고 寒土는
無功이며 土厚는 愚鈍하고 土薄이면 薄福이요 木多는 土病이다,
高山이면 無貴요 土薄이면 信用과 內集이 없다, 土가 火金得卽 方成大器요 金旺土弱이면 惡土다 水旺하면 戊土가 吉神이고 己土는 濁水만 된다 辰은 水庫로 乙癸를 暗藏한 草木澤이다, 未土는 木庫로 乙丁이 暗藏되어 溫土生木이라 砂土요 戌土는 火庫로 丁火辛金 暗藏이라 星玉을 暗藏한 土다 丑土는 寒金寒水의 庫로 冬土라 萬物不生土다, 辰鍵은 戌 未鍵은 戌 戌鍵은 丑 丑鍵은 未戌이다,
乾命은 四庫全備면 大富大貴命이고 坤命은 孤寡之命이다 己土는 柔砂土라 旺庚金을 生하지 못하고 不埋金한다 完全 燥土는 萬物不生이라 無子息이고 旺金의 母는 戊土요 柔細金의 母는 己土다 土庫는 自家라 庫로 보지 않고 細辛金은 燥熱한 戊戌 土를 大忌하고 水를 好한다, 土旺에 戌多卽 橫暴하여 爭鬪를 좋아하고 多睡眠한다 辰未月土는 多食하고 丑月土는 淸孤하다, 未土는 人工培養 砂質土요 辰土는 泥土다 未辰은 草木氣가 많고 丑戌土는 金氣가 많다,
果樹園이나 花園 溫室栽培는 辰土와 未土고 鑛産業이나 古鐵敗車場은 丑戌土다, 春節土는 溫暖을 要하고 夏節土는 雨露가 生命이고 秋節土는 溫暖과 雨露를 共히 願하고 冬節土는 丙太陽의 溫暖이 生命이다 燥土命은 雨露時結實 生子한다 厚土는 甲木을 先用하고 燥土는 雨露水를 先用한다, 寒土와 薄土는 火가 있어야 生命을 維持한다 辰土는 甲木이 大好하고 未土는 乙木이 大好한다, 燥土는 不生金하고 水旺이면 土流하고 金多卽 薄土로 物病이다, 土弱 木旺이면 薄福하고 土重하면 遲滯됨이 많고 土는 辰未에 娶하면 貴하고 丑戌에 娶하면 賤하다,
土用神은 每事 遲滯되나 晩年富貴하고 長久한다. 秋金은 子旺母衰라 火助를 願하고 冬土는 寒冷하나 內溫하니 水旺이면 財豊하다, 土日四季月에 得金이면 終當富貴다, 春秋土는 丙癸甲을 願하고 夏節土는 陽氣 發身하니 水와 甲을 願하고 冬土는 甲丙이다, 土官은 暗藏官이라 建築 農畜産 刑獄官이고 他人不侵한다 土中 官星이 暗藏이면 刑冲時 大發한다 燥土上에 甲乙木은 雨露 癸水逢後 發花結實한다, 土日壬水財는 有勞財요 癸水財는 安易得財다, 土重하면 刑冲破有卽 吉命이나 脾胃疾患이 隨伴된다,
5. [金論]
庚金은 旺金이라 巳火에 生地요 申酉에 綠旺이요 亥子에 病死地요 寅卯木 旺處에 絶地요 胎地다 庚金은 剛旺한
金이라 鎔解되어야 成器有用한다, 辛金은 珠玉이라 旺한 戊土에 埋金되니 大忌하고 癸水의 洗滌을 大好한다 旺한 壬水는 庚金의 子息이요 癸水의 母는
辛金珠玉이다, 旺金은 剛直이요 決斷力이고 革新이요 義를 意味하고 執刀掌權이다,
珠玉金은 決斷과 剛性은 不足하나 才藝와 運營의 妙는 있다 金이 無光이면 淸孤요 金水兩神 均等이면 淸雅나 子息恨歎이다, 金이 無火면
諸事가 遲延이고 晩子를 生産한다 金이 無水에 火土多卽 鎔解된 金이니 一生貧寒을 招來하고 火金이 均等하면 鑄印이라 하여 大富貴命이다,
鑄印格은 丑運逢하면 一落千丈한다, 金과 火가 相互旺하면 高級乘用車를 乘하고 死絶墓를 大忌하니 木火에 煉金되고 無土則 功名은 있으나 速成速敗之命이다, 純金에 淸水格이면 金白水淸하여 聰明과 才藝 特出하고 淸貴命으로 大名이나 富弱하고 子息恨歎이고 每事遲滯요 兩金에 兩財면 財豊하고 一金에 三水는 水厄이요 溺死를 意味하고 一金에 三木은 自身損傷이다, 水盛하면 金死하고 土多면 埋金되어 無光輝라[聾啞者]요 火多則 殘疾 肝疾이요 火傷이 많고 木多則 金缺이라 傷身이 많다,
成器金이 再逢火運이면 鎔解되어 不用이고 完全燥土는 金母가 되지 못하고 寒金은 溫暖을 要하고 燥熱한 金은 濕土를 喜하고 秋節金은 自然旺勢라 煉金을 願한다 金은 至陰이라 中含至陽의 情이 있고 能히 堅固하다, 獨陰이면 不堅하니 六偶면 消한다, 金多火弱이면 諸事가 煩雜하고 金輕火重이면 消亡한다, 金旺火旺은 富貴格이나 金이 無水면 無光이다, 金弱無土면 死絶이요 水日金局이면 西北運은 喜하나 南方은 不意다 金이 過熱면 丑土暗藏庫를 喜한다, 秋金이 無火에 水旺淸水면 精神淸高 起越이요 頭腦聰明하고 秋金이 土多면 愚鈍人이다,
b3: 사주감정과 운명철학의 예언투시 ⇒b4이동